KR200441850Y1 - 휴대 전자파 탐지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파 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850Y1
KR200441850Y1 KR2020060032437U KR20060032437U KR200441850Y1 KR 200441850 Y1 KR200441850 Y1 KR 200441850Y1 KR 2020060032437 U KR2020060032437 U KR 2020060032437U KR 20060032437 U KR20060032437 U KR 20060032437U KR 200441850 Y1 KR200441850 Y1 KR 200441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or
electromagnetic wave
electromagnetic
light emitting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222U (ko
Inventor
황희용
강성준
허문규
조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60032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85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8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42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e.g. measuring electric disturbances, warn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1Complete apparatus or systems; circuits, e.g. receivers or 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가의 신호처리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저전압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OP-AMP를 사용하여 전자파 신호의 수신 감도를 높이고 회로를 간단하게 설계하여 전체적으로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휴대성을 높인 휴대 전자파 탐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안테나로 구현되어, 전자파를 탐지하여 전자파 신호를 제공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서 탐지되는 전자파 신호를 정해진 증폭률에 따라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자파 신호를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하는 검파부와, 검파부에서 변환된 전자파 신호와 다수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등화된 색상을 표시하는 발광 및 경고음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전자파 탐지기는 소형화 구현됨에 따라 전자파 탐지기를 휴대폰 고리, 열쇠고리 또는 목걸이 팬던트 형태로 휴대하면서 시간/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현재 전자파의 세기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다.
Figure R2020060032437
전파 탐지기, 휴대용, 저전압 구동, 감도, 소형화

Description

휴대 전자파 탐지기{Portable Electromagnetic Wave Detec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의 상세 회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 전자파 탐지기 101a,101b : 상부/하부 하우징
102 : 전원 표시 LED 103 : 전원 스위치
104 : 표시 LED 105a : 스피커 홀
106 : 핸드폰 고리용 고리 107a : 밧데리 홈
110 : 수신부 120 : 증폭부
130 : 검파부 140,145 : 제1/2 비교부
142 : 분압회로 150 : 발광 출력부
160 : 경고음 출력부 E1 : 기판 안테나
OSC : 발진기 SP : 스피커
COMP1-COMP4 : 비교기 G-LED : 녹색 발광 다이오드
R-LED : 적색 발광 다이오드 U1,U2 : OP-AMP
본 고안은 휴대 전자파 탐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가의 신호처리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저전압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OP-AMP를 사용하여 전자파 신호의 수신 감도를 높이고 회로를 간단하게 설계하여 전체적으로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휴대성을 높인 휴대 전자파 탐지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생활에서는 많은 전자 제품들, 예를 들어, TV, 컴퓨터, 휴대폰, 드라이기, 전기 장판, 전자 레인지 등과 같은 전자 제품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자 제품들은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자파를 방출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전자파란,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을 갖는 일종의 전자기 에너지로 파장의 크기에 따라 우주선, 감마선, 엑스선, 가시광선, 무선파, 극초단파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방사선 중 공기나 생체에 조사되면, 물리적으로 전리를 일으키는 방사선이 있는데 이를 전리방사선(ionizing radiation)이라 하고, 전리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비전리방사선(non ionizing radiation)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파는 비전리방사선 종류(극초단파, 무선파, 가시광선)와, 초 음파, 저전자계 등을 포함하여 지칭한다.
이러한 전자파는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기구, 즉, 텔레비전을 비롯한 모든 가정용 전자 제품에서 전자파가 발생되며, 가전 제품 중 많은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제품은 2450MHz의 고에너지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는 전자 레인지, 800-900M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는 휴대폰이나 카폰, 그리고 컴퓨터 등이 있다.
일상생활 상에서 많은 가전제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눈의 장해 : 전자기파가 눈에 일으키는 장해로는 백내장이 대표적이며, 마이크로웨이브가 눈에 조사되면 열작용으로 인해 안구 내의 렌즈 부분의 온도가 상승되어, 백내장이 생긴다.
2)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 : 전자파에 의해 부신피질, 갑상선 등에서 호르몬 분비가 촉진되고, 당질 대사에도 변화가 온다.
3)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자파가 생체에 조사되면, 전자파에 의한 체온 상승이나 열 스트레스로 인해 행동에 변화가 초래된다.
4) 조혈계에 미치는 영향 : 생쥐에게 장기간 전자파를 조사한 결과, 임파구와 백혈구가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송전선 주위에 사는 어린이들은 다른 지역에 사는 어린이들에 비해 백혈병의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된 결과도 있음으로, 전자파에 장시간 노출되면, 백혈병의 발병률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5) 전자파와 기형 유발 : 임신 중인 동물이 300MHz 이상의 고주파에 노출될 때 기형발생이 우려되는데, 이는 열작용에 의한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생활 속에서 인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전자파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나, 전자파는 눈에 보이지 않는 파장이므로, 생활 속의 전자파를 탐지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가능한 전자파 탐지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생활 속에서 필요에 따라 언제라도 전자파를 탐지할 수 있도록 휴대성을 높여, 전자파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그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자파는 파장의 크기에 따라 고주파와 저주파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저주파인 경우 침투력이 강하여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생활 속의 전자파를 탐지하는 전자파 탐지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의 전자파 탐지기는 고가의 프로세서 등과 같이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여 탐지되는 전자파의 세기를 디지털 숫자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전자파 세기를 단계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회로를 설계하는 방식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998-19228호에는 전자기파 검출부와; 상기 전자기파 검출부에 검출된 전자기파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연결되어 외부에 전자기파의 검출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류 및 전자파 감지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전자기파의 세기에 따른 다단계 구별이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6V 전원을 사용함에 따라 기기가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108057호에 개시된 전자기파 간이측정장치는 회로소자 들이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어 0.7V 이상인 경우에만 동작이 이루어지며, 스피커의 경보음 레벨과 LED의 점등밝기로 전자파 방사량을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1998-10819호에 개시된 ELF파 감지기가 부설된 멀티테스터기는 막대형의 외장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으며, 소형화/휴대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2002-0074595호에 개시된 휴대용 디지털 전자파 측정기는 신호처리장치로서 고가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A/D 변환기를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2001-68151호에는 안전거리 정보제공 휴대용 전자파 측정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신호처리를 위해 고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A/D 변환기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생활 속의 전자파를 탐지하여 전자파의 세기를 단계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하되, 고가의 구성 요소를 제외하여, 단순한 회로 구성을 갖는 저가의 전자파 탐지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자파를 탐지하여 그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자파 탐지기를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소형 경량으로 제작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하기 위하여, 저전압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전자파 탐지기를 설계하여야 하며, 전자파 세기의 단계적 시각 표시 뿐만 아니라, 전자파의 세기가 일정한 크기 이상이 되면,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전자파의 세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가의 신호처리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3V 저전압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OP-AMP를 사용하여 전자파 신호의 수신 감도를 높이고 회로를 간단하게 설계하여 전체적으로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휴대성을 높인 휴대 전자파 탐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로 소자를 최소화하면서도 전자파 신호의 세기를 다단계로 표시해주면서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시켜서 시각적인 효과에 청각적인 효과를 더하여 경계심을 갖게 할 수 있는 휴대 전자파 탐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탐지기의 크기를 초소형화 및 경량화 하여 휴대폰 고리 또는 팬던트로 목에 걸고 다니거나 또는 키홀더로 이용함에 의해 항상 휴대하여 일상 생활하는 주변에서 마주치는 각종 전자파 발생원의 전자파 발생 강도를 현장에서 바로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는 저주파 대역의 생활 전자파 탐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테나로 구현되어, 전자파를 탐지하여 전자파 신호를 제공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탐지되는 상기 전자파 신 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자파 신호를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하는 검파부와, OP-AMP로 구현되는 다수개의 비교기를 구비하며, 각각 상기 직류 변환된 전자파 신호와 다수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직류 전자파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다수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와, 상기 검파부에서 변환된 전자파 신호가 상기 다수의 기준전압 중 최고 레벨의 기준전압 보다 더 큰 경우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와, 상기 제1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등화된 색상을 표시하는 발광 출력부와, 회로의 일단이 플로팅(Floating)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발진기 및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비교부로부터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회로 일단의 플로팅 상태를 접지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발진기를 기동시켜 스피커를 구동시킴에 의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로 구성되며, 상기 증폭부, 제1 및 제2 비교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비교기 및 발진기는 각각 3V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OP-AM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파 탐지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비교부는, 다수의 비교기 중 제1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자(+) 및 나머지 비교기의 반전 입력단자(-)에 상기 전자파 신호가 공통으로 인가되고, 상기 제1 비교기의 반전 입력단자(-) 및 상기 나머지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각기 서로 다른 레벨의 기준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비교부에 인가되는 다수의 기준전압은, 상기 제1 비교기로 인가되는 제1 기준전압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전압 값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 단자와, 제3 비교기의 출력 단자가 공통 연결되어, 상기 제1 비교기와 상기 제3 비교기의 출력이 상반되는 경우 상쇄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발광 출력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제1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비교기 및 제3 비교기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제2 비교기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각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발광 표시하고자 하는 색상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 출력부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이며, 전자파 신호가 제1 단계이면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만 발광하고, 제2 단계이면 상기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가 모두 발광하며, 제3 단계이면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만 발광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발진기는, OP-AMP를 포함하는 빈 브리지 발진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로팅(Floating) 상태로 설정되는 회로의 일단은 상기 OP-AMP의 반전 입력단자(-)와 비반전 입력단자(+)로부터 각각 제2 비교부의 출력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저항의 자유단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전자파 신호가 상기 다수의 기준전압 중 최고 레벨의 기준전압 보다 더 큰 경우 발광 및 경고음 출력부가 동시에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전자파 탐지기는 휴대폰 고리, 키홀더 또는 팬던트로 이용함에 의해 휴대성이 높게 된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인쇄회로기판의 동판을 직사각형 형태로 다른 회로배선과 함께 패터닝하여 얻어지는 기판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는, 수신부(110), 증폭부(120), 검파부(130), 제1비교부(140), 제2비교부(145), 경고음 출력부(150) 및 발광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안테나,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PCB 기판에 있는 동박을 패턴닝하여 인쇄회로 배선을 형성할 때 기판 안테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파 발생원으로부터 발산된 전자파를 흡수하여 전자파 신호를 증폭부(120)로 제공한다. 즉, 수신부(110)는 전자파를 탐지하여, 전자기파 신호를 증폭부(120)로 제공한다.
증폭부(120)는 수신부(110)에서 제공되는 전자파 신호를 미리 정해진 증폭률로 증폭한다.
그리고, 검파부(130)는 증폭부(120)에서 증폭된 전자파 신호를 교류에서 직류로 정류한다. 즉, 검파부(130)는 교류 전자파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비교부(140,145)로 제공한다.
상기 제1비교부(140)는 검파된 직류 신호와 다수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발광 출력부(16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비교부(140)는 제1 내지 제3 기준전압이 300mV, 600mV 및 1000mV의 3개로 설정된 경우, 각 기준전압의 전압과 수신된 전자파 신호, 즉 검파된 직류 신호의 전압을 비교하여, 수신된 전자파 신호가 300mV(제1기준전압)보다 작으면 비교 결과를 제공하지 않고 무시하며, 전자파 신호가 300mV보다 크고 600mV보다 작으면 제 1 단계 결과를 제공하고, 전자파 신호가 600mV보다 크고 1000mV보다 작으면 제 2 단계 결과를 제공하며, 전자파 신호가 1000mV보다 크면 제 3 단계 결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1비교부(140)에 제공되는 기준전압의 전압레벨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파 신호의 레벨도 3단계 이상의 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발광 출력부(160)는 다양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발광 소자(LED)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비교부(140)로부터 제공되는 비교 결과에 따라 차등적인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출력부(160)는 2 또는 3개의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제 1 단계 결과일 때 녹색(G)을 발광하고, 제 2 결과이면 주황색(Y)을 발광하고, 제 3 결과이면 적색(R)을 발광하여, 사용자가 전자파의 세기, 즉 안전한 정도를 시각적으로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녹색(G)이 발광되는 제1단계 전자파 신호의 세기는 인체에 큰 해로움을 주지 않는 안전한 범위로 설정하고, 주황색(Y)이 발광되는 제2단계 전자파 신호의 세기는 인체에 해로움을 주지만 심각하지 않으나 전자파 발생원과의 거리를 더 멀리 유지할 필요가 있는 범위로 설정하고, 적색(R)이 발광되는 제3단계 전자파 신호의 세기는 인체에 해로움을 줄 수 있어 즉시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현장에서 멀리할 필요가 있는 범위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비교부(145)는 검파된 직류 신호와 제3기준전압를 비교하여 제3단계 결과를 경고음 출력부(150)로 제공한다. 이 경우 제3기준전압는 제1비교부(140)에 사용되는 상기 제 3 단계 결과를 얻을 때 사용되는 1000mV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비교부(145)는 전자파 신호가 1000mV보다 크게 입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며, 경고음 출력부(150)는 제2비교기(145)로부터 제3단계 결과가 출력되는 경우에만 내장된 발진회로에 전원이 인가되어 일정한 주기의 구형파를 발진하여, 경고음을 출력한다.
제1 및 제2 비교기(140,145)로부터 각각 제3 단계 결과 출력이 발생하게 되면 발광 출력부(160)는 적색(R)의 발광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경고음 출력부(150)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경고음 출력부(150)는 음성변환기, 예를 들어 스피커 또는 부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는 사용자가 밧데리의 전원이 회로에 인가되도록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탐지기 주변의 전자파 신호를 탐지한다(S 100). 즉,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의 수신부(110)는 전자파 발생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 신호를 탐지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는 사용자가 본 고안의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를 휴대폰 고리, 키홀더 또는 목걸이의 펜던트(pendant) 형태로 휴대하고 일상생활을 하는 도중에 전자파의 세기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그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는 전자기기가 있는 경우에 전자기기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형태의 거리에서 전원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전자파 신호를 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증폭부(120)는 수신부(110)에서 탐지된 전자파 신호는 미약한 신호이므로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미리 설정된 증폭률에 따라 증폭한다(S 110).
그리고, 검파부(130)는 증폭된 전자파 신호를 검파하여 직류 신호로 변환한 후(S 120), 제1 및 제2 비교부(140,145)로 출력하면 제1 및 제2 비교부(140,145)는 제1 내지 제3 기준전압와 직류로 변환된 전자파 신호의 전압값을 비교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비교부(140)가 3단계로 비교결과를 구별하여 나타내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 제1비교부(140)는 전자파 신호의 세기가 300mV 이상인 지를 판단하여(S 130), 만약 300mV 이하이면,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가 전자파를 지속적으로 탐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는 피측정대상의 전자파 발생기기는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비교결과, 수신된 전자파 신호가 300mV 이상인 경우는 다음 단계(S140)로 진행하여 600mV 이상인 지를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수신된 전자파 신호가 600mV를 초과하지 않고 300mV 내지 600mV 사이인 경우, 제1비교부(140)는 제 1 단계 결과를 발광 출력부(160)로 출력하고, 발광 출력부(160)는 이에 따라 녹색(G)을 발광한다(S 145).
그리고, 제1비교부(140)는 상기 판단결과 전자파 신호의 세기가 600mV를 초과하는 경우 다음 단계(S150)로 진행하여 1000mV 이상인 지를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수신된 전자파 신호가 1000mV를 초과하지 않고 600mV 내지 1000mV 사이인 경우, 제1비교부(140)는 제 2 단계 결과를 발광 출력부(160)로 출력하고, 발광 출력부(160)는 이에 따라 주황색(Y)을 발광한다(S 155).
또한 제1비교부(140)는 상기 판단결과 전자파 신호의 세기가 1000mV를 초과하는 경우, 제 3 단계 결과를 발광 출력부(160)로 출력하고, 발광 출력부(160)는 이에 따라 적색(R)을 발광한다(S 160).
더욱이, 전자파 신호의 세기가 1000mV를 초과하는 경우 제2비교부(145)도 제 3 단계 결과를 경고음출력부(150)로 출력하며, 경고음출력부(150)는 이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한다(S 160).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를 구현한 회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부(110)는 기판 안테나(E1)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판 안테나(E1)는 절연층으로 에폭시를 사용하는 FR-4 PCB 기판의 동판(두께 0.762mm)을 5×6 m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로 다른 회로배선과 함께 패터닝하여 얻어지는 기판 일체형의 안테나로 제작되며, 그 결과 인터널(Internal) 형식으로 전자파 신호를 흡수한다. 이 경우 안테나(E1)와 접지 사이에는 안정된 신호의 수신을 위하여 1MΩ의 저항(R1)이 연결되어 있고, 수신되는 전자파 신호는 후단의 OP-AMP(U1)의 동작 주파수 범위에 따라 제한되어 100KHz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여 후단에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치 전체의 소형화와 함께 미약한 신호의 수신 감도를 높이고 저주파 대역의 전자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판 안테나(E1)와 함께 초단 증폭기로 OP-AMP(U1)를 사용하였으나, 수신 주파수 범위를 높이기 위하여 다른 형태의 주지된 안테나와 초단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된 전자파 신호는 후단의 증폭부(120)에 전달되며, 증폭부(120)는 연산증폭기(OP AMP: U1)를 구비한 비반전 증폭기로 구현되어 기판 안테나(E1)에 흡수된 전자파 신호가 안테나(E1)와 저항(R1) 사이의 접속점에 일단이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며, 반전입력단자(-)는 저항(R3)을 접지되고 반전입력단자와 OP AMP(U1)의 출력단자 사이에 저항(R2)이 연결되어 있다.
수신부(110)에서 제공되는 미약한 전자파 신호는 OP AMP(U1)에서 이미 정해진 증폭률(예를 들어, 6배)로 증폭한다.
이 경우 본 고안에서는 기판 안테나(E1)에 흡수된 전자파 신호를 인식/증폭하는 데 OP-AMP(U1)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 0.7V 이하 의 전자파 신호를 인식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OP-AMP(U1)의 출력은 그후 검파부(130)로 제공되며, 상기 검파부(130)는 증폭된 전자파 신호를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기 위한 정류용 다이오드(D1)와, 정류된 직류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주파 신호 성분, 즉 리플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류용 다이오드(D1)와 접지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 및 저항(R4)으로 구성되는 평활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검파부(130)는 직류(DC) 기준전압와 비교하기 위하여 전자파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한 후, 직류 전자파 신호를 제1비교부(140) 및 제2비교부(145)로 인가한다.
제1비교부(140)는 예를 들어 수신된 전자파 신호를 3단계 레벨로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해 3개의 OP-AMP를 이용하여 3개의 제1 내지 제3 비교기(COMP1-COMP3)를 구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COMP1-COMP3)의 각 입력단자에는 4개의 저항(R5-R8)으로 이루어지는 분압회로(142)에 의해 발생된 3개의 제1 내지 제3 기준전압, 예를들어, 1000mV, 600mV 및 300mV가 각각 인가되고, 다른 입력단자에는 수신된 전자파 신호가 공통으로 인가된다.
이 경우, 제1 비교기(COMP1)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제 2 비교기(COMP2) 및 제 3 비교기(COMP3)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수신된 전자파 신호가 공통으로 인가되고, 제1 비교기(COMP1)의 반전 입력단자(-)와, 제 2 비교기(COMP2) 및 제 3 비교기(COMP3)의 비반전 단자(+)에는 분압회로(142)의 저항값에 따라 설정되는 상기한 제1 내지 제3 기준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저항(R5-R8)은 가변 저항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준전압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기(COMP1-COMP3)는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전자파 신호와, 제1 내지 제3 기준전압을 각각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3 단계로 전자파 세기를 구분하는 경우에는 3개의 비교기로 구현될 수 있지만, 전자파의 세기를 더욱 세분화된 3레벨 이상의 다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표시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비교기의 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비교부(140)는 3개의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발광 출력부(160)로 제공한다. 제1 및 제3 비교기(COMP1,COMP3)의 출력단자는 서로 공통으로 연결되어 발광 출력부(160)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G-LED)에 연결되고, 제2 비교기(COMP2)의 출력단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R-LED)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비교부(140)로부터 제공되는 비교 결과에 따라, 즉 전자파의 세기에 따라 상이한 색상을 발광한다.
일례에 따라, 발광 출력부(160)는 제1 단계 결과인 경우에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G-LED)를 발광시켜 녹색을 표시하고, 제2 단계 결과인 경우에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G-LED)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R-LED)를 발광시켜 주황색을 표시하며, 제3 단계 결과인 경우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R-LED)를 발광시켜 적색을 표시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2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3 단계의 전자파 세기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발광 표시하고자 하는 색상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자 파의 세기를 표시할 수 있어 회로의 간소화와 함께 PCB의 크기, 즉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출력부(160)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G-LED)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R-LED)에 인가되는 비교기의 출력이 'LOW'인 경우에 발광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녹색 발광 다이오드(G-LED)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R-LED)의 캐소드가 제1 내지 제3 비교기(COMP1-COMP3)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는 2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3 단계의 전자파 세기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1 비교기(COMP1)는 전자파 신호가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제1 기준전압이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전자파 신호가 기준전압보다 크면, 'HIGH'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2 비교기(COMP2) 및 제3 비교기(COMP3)는 전자파 신호가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제2 및 제3 기준전압이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전자파 신호가 기준전압보다 작을 때, 'HIGH'를 출력한다.
제1 비교기(COMP1)와 제3 비교기(COMP3)의 출력 단자는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비교기(COMP1)와 제3 비교기(COMP3)의 비교 결과가 다른 경우, 즉 어느 하나가 'LOW'이고 다른 하나가 'HIGH'인 경우 상쇄되어 녹색 발광 다이오드(G-LED)는 점등되지 않는다.
다음 표 1은 전자파 신호의 세기와, 제1 내지 제3 비교기(COMP1-COMP3)가 출력하는 비교 결과 및 표시되는 색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파 신호(mV) 제 1 비교기 제 2 비교기 제 3 비교기 G-LED R-LED 표시 색상
300-600 L H L O X 녹색
600-1000 L L L O O 주황색
1000 이상 H L L X O 적색
상기 표 1에서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전자파 신호가 300-600mV이면, 제1 비교기(COMP1) 및 제3 비교기(COMP3)의 비교 신호가 'LOW'이고, 제2 비교기(COMP2)의 비교 결과가 'HIGH'이므로, 발광 출력부(160)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G-LED)만 발광된다.
그리고, 전자파 신호가 600-1000mV이면, 제1 비교기(COMP1), 제2 비교기(COMP2) 및 제3 비교기(COMP3)의 비교 결과가 모두 'LOW'이므로, 발광 출력부(160)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G-LED)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R-LED)가 모두 발광되어 주황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전자파 신호가 1000mV 이상이면, 제1 비교기(COMP1)의 비교 결과가 'HIGH'이고, 제2 비교기(COMP2) 및 제3 비교기(COMP3)의 비교 결과가 'LOW'이므로, 발광 출력부(160)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R-LED)만 발광된다.
상기 제1 및 제2 비교부(140,145)에서 제2 및 제3 비교기(COMP2-COMP3)의 반전 입력단자(-)에 기준전압을 인가하고 비반전 입력단자(+)에 증폭된 비교대상의 전자파 신호를 인가하는 방식은 비교기 출력 전류의 크기가 약하게 되고 전압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아 비교기의 출력인 녹색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G-LED,R-LED)와 발진기(OSC)를 제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교기의 반전 입력단자(-)와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를 각각 증폭된 비교대상의 전자파 신호와 기준전압을 인가하는 하는 방식을 채용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도 콘먼 애노드(common anode) 방식의 제품을 채용하였다.
한편, 상기 검파부(130)에서 직류 신호로 변환된 직류 전자파 신호는 제2 비교부(145)에도 인가된다. 제2 비교부(145)는 OP-AMP를 이용하여 제4 비교기(COMP4)로 이루어지며, 후단에 접속되는 경고음 출력부(160)를 기동시키는 스위칭 게이트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비교기(COMP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상기 분압회로(142)의 제1 기준전압, 즉, 1000mV가 인가되고, 다른 입력단자에는 수신된 전자파 신호가 인가된다.
경고음 출력부(160)는 경고음을 발생하기 위하여 스피커(SP)와 스피커(SP)를 구동하기 위한 구형파 발진기(OSC)를 구비하며, 전자파의 세기가 제1 기준전압(1000mV) 이상이면, 제4 비교기(COMP4)의 출력이 접지되어 발진기(OSC)에 동작전원이 인가되어, 일정한 주기의 구형파 신호가 스피커(SP)로 인가되어 경고음이 발생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는 수위가 높은 전자파의 세기가 탐지되면,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상을 발광시킬 뿐만 아니라,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갖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경고음 출력부(160)의 발진기(OSC)는 구동 전압(Vcc)을 통하여 제어하면, 경고음을 출력할 정도의 발진 전압이 스피커(SP)로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 전압(Vcc)과 접지(GND)의 전압차를 늘려 주기 위하여, 접지를 플로팅(Floating)시켜 주었다가 수신된 전자파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전압 이상이면, 접지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고음 출력부(160)의 구형파 발진기(OSC)는 OP-AMP(U2)를 이용한 빈 브리지 방식으로 구현되며, OP-AMP(U2)의 반전 입력단자(-)와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각각 저항(R9,R10)의 일단자가 연결되고 저항(R9,R10)의 타단은 공통 접속된 상태에서 플로팅 상태로 설정하기 위하여 스위칭 게이트 역할을 하는 상기 제4 비교기(COMP4)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형파 발진기(OSC)는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OP-AMP(U2)의 반전 입력단자(-)와 비반전 입력단자(+)에서 각각 출력단자 사이에 귀환용 저항(R11)과 캐패시터(C2)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형파 발진기(OSC)의 발진 주파수(f)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된다.
f = 1/2πRC
여기서, C=10nF, R=6.2KΩ인 경우 발진 주파수(f)는 2.5KHz로 정해진다.
따라서, 제4 비교기(COMP4)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자파 신호가 제1 기준전압 즉, 1000mV보다 크게 되는 경우, 제4 비교기(COMP4)의 출력은 'LOW'로 설정되며, 그 결과 저항(R9,R10)의 타단은 플로팅 상태에서 접지(GND) 상태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구형파 발진기(OSC)는 기동되어 2.5KHz의 구형파 발진신호를 스피커(SP)로 인가하며, 스피커(SP)는 경고음을 발생한다.
상기 스피커(SP)는 부저나 다이나믹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피커(SP) 구동에 사용되는 발진회로는 상기한 구형파 발진기(OSC) 이외에 다른 주지된 형태 의 발진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발진기의 회로 일단을 플로팅 상태에서 접지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의해 구동 전압(Vcc)이 3 V 정도로 저전압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충분한 크기의 경고음을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SP)의 구동이 가능한 출력이 얻어지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증폭부(120), 발진기(OSC) 및 비교부(140,145)에 3V의 저전압으로 동작이 가능한 OP-AMP(U1,U2) 및 비교기(COMP1-COMP4)를 사용하여 각종 기능의 회로 설계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디스크형 1.5V 밧데리 2개로 전원구동이 가능하여 하우징 내부에 최소한의 공간을 필요로 하며, 최소한의 적은 회로 소자로서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각종 회로소자가 실장되는 PCB 및 PCB를 내장하는 하우징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부(110)의 안테나는 기판 안테나(E1) 형태로 구현하였고, 2개의 발광 다이오드(G-LED, R-LED)를 사용하여 3 단계의 전자파 세기를 표시함에 의해, 발광 표시하고자 하는 색상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였다.
도 3에서 OP-AMP(U1,U2)와 비교기(COMP1-COMP4)에 각각 구비되는 양 및 부 전원(V+,V-)과 분압회로(142)에 대한 동작전원(V1-V5)은 디스크형 1.5 V 밧데리 2개에 의해 구동되며, 단일 3V 동작전원을 사용하므로 전원회로의 구성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는 18×31×13.5(가로×세로×높이)mm 크기의 초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가 상호 스냅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101a,101b)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하우징(101b)에는 상/하측에는 디스크형 밧데리를 수용하기 위한 밧데리 수용홈(108a,108b)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101a)에는 일측면에 위치하며,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 LED(102)와, 전면상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의 구동을 제어(ON/OFF)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103)와, 탐지되는 전자파의 세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색상이 표시되도록 내부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G-LED)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R-LED)가 내장되어 있는 표시 LED(104) 및 경고음이 출력되는 다수의 스피커 홀(105)이 구비되어 있다. 도 4b에서 미설명 부재번호 103a는 전원 스위치 수용홀을 가리킨다.
상기 스피커 홀(105)은 전파 모양을 이루도록 초승달 형태로 제작되었고, 그 내부는 계단형으로 제작하여 경고음의 출력 공진이 효율적으로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였고, 그 내부에는 스피커(SP)가 배치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는 극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가능하며, 휴대성을 높이도록 목걸이의 펜던트(pendant)로 이 용할 수 있도록 고리(106)를 상부 또는 하부 하우징(101a,101b)에 일체로 형성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 전자파 탐지기(100)는 키홀더로 이용하여 열쇠를 고리(106)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고리(106)에 휴대폰의 줄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고가의 신호처리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저전압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모든 능동소자로서 OP-AMP를 사용하여 전자파 신호의 수신 감도를 높이고 회로를 간단하게 설계하여 전체적으로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휴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회로 소자를 최소화하면서도 전자파 신호의 세기를 다단계로 표시해주면서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시켜서 시각적인 효과에 청각적인 효과를 더하여 경계심을 갖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파 탐지기에서는 2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3 단계의 전자파 세기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발광 표시하고자 하는 색상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자파의 세기를 표시할 수 있어 회로의 간소화와 함께 PCB의 크기, 즉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서는 비교기의 반전 입력단자(-)와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를 각각 증폭된 비교대상의 전자파 신호와 기준전압을 인가하며, 발광 다이오드도 콘먼 애노드(common anode) 방식의 제품을 채용함에 의해 저전압 전 원으로도 비교기의 출력에 연결되는 부하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경고음 출력부의 발진기(OSC)는 구동 전압(Vcc)과 접지(GND)의 전압차를 늘려 주기 위하여, 접지를 플로팅(Floating)시켜 주었다가 수신된 전자파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전압 이상이면, 접지되는 방식으로 설계함에 의해 저전압 전원으로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탐지기의 크기를 초소형화하여 팬던트로 목에 걸고 다니거나 또는 키홀더로 이용함에 의해 항상 휴대하여 일상 생활하는 주변에서 마주치는 각종 전자파 발생원의 전자파 발생 강도를 현장에서 바로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기판 안테나로 구현되어, 전자파를 탐지하여 전자파 신호를 제공하는 수신부와,
    OP-AMP로 구현되어 상기 수신부에서 탐지되는 상기 전자파 신호 중 100KHz 이하의 주파수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자파 신호를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하는 검파부와,
    OP-AMP로 구현되는 제1 내지 제3 비교기를 구비하며, 각각 상기 직류 변환된 전자파 신호와 제1 내지 제3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직류 전자파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비교 결과를 출력하며, 제1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제2 및 제3 비교기의 반전 입력단자(-)에 상기 전자파 신호가 공통으로 인가되고, 상기 제1 비교기의 반전 입력단자(-)와 상기 제2 및 제3 비교기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각기 상기 제1 비교기로 인가되는 제1 기준전압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전압 값이 작아지는 서로 다른 레벨의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제1 비교부와,
    상기 검파부에서 변환된 전자파 신호가 상기 제1 내지 제3 기준전압 중 최고 레벨의 제1 기준전압 보다 더 큰 경우 출력이 로우(LOW) 레벨로 설정되는 제4 비교 결과를 발생하는 제4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부의 제1 내지 제3 비교 결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등화된 색상으로 수신된 전자파의 세기를 표시하는 발광 출력부와,
    회로의 일단이 플로팅(Floating)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발진기 및 발진기 출력에 접속된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제4 비교기의 출력이 로우(LOW) 레벨로 설정되는 제4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회로 일단의 플로팅 상태를 접지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발진기를 기동시켜 스피커를 구동시킴에 의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부로 구성되며,
    상기 증폭부, 제1 내지 제4 비교기 및 발진기는 각각 3V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OP-AM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파 탐지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부는,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 단자와, 제3 비교기의 출력 단자가 공통 연결되어, 상기 제1 비교기와 상기 제3 비교기의 출력이 상반되는 경우,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파 탐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출력부는,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2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제1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비교기 및 제3 비교기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제2 비교기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각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다른 색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파 탐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출력부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이며, 전자파 신호가 제1 단계이면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만 발광하고, 제2 단계이면 상기 제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가 모두 발광하며, 제3 단계이면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만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파 탐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OP-AMP를 포함하는 빈 브리지 발진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로팅(Floating) 상태로 설정되는 회로의 일단은 상기 OP-AMP의 반전 입력단자(-)와 비반전 입력단자(+)로부터 각각 제4 비교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저항의 자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파 탐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전자파 신호가 상기 제1 내지 제3 기준전압 중 최고 레벨의 제1 기준전압 보다 더 큰 경우 발광 및 경고음 출력부가 동시에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파 탐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 탐지기는 휴대폰 고리, 목걸이 팬던트 또는 키홀더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파 탐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인쇄회로기판의 동판을 직사각형 형태로 다른 회로배선과 함께 패터닝하여 얻어지는 기판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파 탐지기.
KR2020060032437U 2006-12-22 2006-12-22 휴대 전자파 탐지기 KR200441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437U KR200441850Y1 (ko) 2006-12-22 2006-12-22 휴대 전자파 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437U KR200441850Y1 (ko) 2006-12-22 2006-12-22 휴대 전자파 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22U KR20080002222U (ko) 2008-06-26
KR200441850Y1 true KR200441850Y1 (ko) 2008-09-11

Family

ID=4132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437U KR200441850Y1 (ko) 2006-12-22 2006-12-22 휴대 전자파 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8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59Y1 (ko) * 2007-07-16 2009-07-14 주식회사 아이에스티 전자파 감지 악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22U (ko)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194B1 (ko) 무선 전력 시스템
US6934515B2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alerting device for use with a cellular telephone
KR101586803B1 (ko)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시스템
KR20170137830A (ko) 마이크로파 전력 센서 조립체를 포함하는 의료 제제 용기
SE0301980D0 (sv) Implantable medical device
AU20133323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transducers through integrated on-chip antenna
CN106353556B (zh) 电流传感器及电流感应方法
AU2019101615A4 (en) Wireless power system
CN106134091B (zh) 补救信号发生器
KR200441850Y1 (ko) 휴대 전자파 탐지기
CN105242121A (zh) 一种便携式电磁辐射测量仪
US8698056B2 (en) Battery-free electromagnetic leakage detector
WO2003034458A3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emitting bulb and method using same in a portable device
GB2194865A (en) Radio frequency detector
GB2254440A (en) Detecting microwave radiation
CN201207062Y (zh) 电磁辐射探测系统
RU214370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уровня и защиты от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излучения
Nishihashi et al. 2.45-GHz intermitte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batteryless LED cosmetic accessories
JP7320769B2 (ja) タッチセンサ、配線器具
CN207896973U (zh) 无线信号侦测装置与使用其的电子设备
US20240171011A1 (en) Power transmitter, power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KR20220157857A (ko) 이물질 검출을 위한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CN211855369U (zh) 一种接近传感器
KR101556193B1 (ko) 피부 자극용 스마트폰 케이스
TWM644465U (zh) 智慧控制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