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523Y1 - 문짝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문짝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523Y1
KR200441523Y1 KR2020070009653U KR20070009653U KR200441523Y1 KR 200441523 Y1 KR200441523 Y1 KR 200441523Y1 KR 2020070009653 U KR2020070009653 U KR 2020070009653U KR 20070009653 U KR20070009653 U KR 20070009653U KR 200441523 Y1 KR200441523 Y1 KR 200441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roove
hollow groove
reinforcing memb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오하이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459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4152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오하이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오하이스틸
Priority to KR2020070009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5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포 PVC재질의 문짝의 휨방지를 위해 문짝의 세로틀내에 보강부재를 삽설하여 휨보강력을 증대시킨 문짝의 보강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보강구조는 PVC재질의 가로틀, 세로틀, 가로지지보 및 세로지지보에 각각 핀홈을 형성하고 목재핀을 상기 핀홈들에 삽입시켜 서로 문짝형상으로 조립하여 제조되되, 상기 세로틀의 외측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공홈을 천공하고, 상기 중공홈에는 휨방지를 위한 보강부재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포, PVC, 문짝, 보강부재, 중공홈

Description

문짝의 보강구조{REINFORCING STRUCTURE OF DOOR}
도1은 종래의 PVC 문짝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도1에 따른 PVC 문짝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따른 PVC 문짝의 측면도로서, 종래의 PVC 문짝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결합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부분사시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일부 분리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세로틀 111: 중공홈
112: 내부공 113: 보강리브
120: 가로틀 130: 세로지지보
140: 가로지지보 150: 보강부재
본 고안은 문짝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 PVC재질의 문짝의 휨방지를 위해 문짝의 세로틀내에 보강부재를 삽설하여 휨보강력을 증대시킨 문짝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경량화 및 저렴화를 위해 근래에 들어 발포 PVC재질로 제조된 문짝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발포 PVC 문짝은 폐기되어야 하는 PVC 자재를 발포한 후 압출하여 문짝으로 재활용하므로 친환경적이라는 잇점이 있어 그 활용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발포 PVC재질의 문짝으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조립식 문짝이 도1 및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데, 이를 참고하면 상기 문짝은 발포 PVC재질의 세로틀(11), 가로틀(12), 세로지지보(13) 및 가로지지보(14)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형상으로 서로 조립하여 제조되는 데, 이 때 각각의 부재(11 ~ 14)가 서로 맞대어져 조립되는 조립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핀홈(H)을 형성하고 이 핀홈(H)에는 목재핀(P)을 삽입시켜 서로 결속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발포 PVC재질의 문짝은 발포 PVC재질의 길이가 긴 세로틀(11)은 발포 PVC재질의 특성상 휨보강력이 약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시간 사용시 좌우로 휘어져서 오래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포 PVC재질로 제조된 문짝의 휨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문짝의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PVC재질의 가로틀, 세로틀, 가로지지보 및 세로지지보에 각각 핀홈을 형성하고 목재핀을 상기 핀홈들에 삽입시켜 서로 문짝형상으로 조립하여 제조되되, 상기 세로틀의 외측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공홈을 천공하고, 상기 중공홈에는 휨방지를 위한 보강부재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의 보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는 중공홈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철재질로서, 중공홈에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후에는 텐션력에 의해 중공홈 내면을 밀착지지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보강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결합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부분사시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일부 분리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보강구조는 PVC재질의 세로틀(110), 가로틀(120), 세로지지보(130) 및 가로지지보(140)에 각각 핀홈(H)을 형성하고 목재핀(P)을 상기 핀홈(H)들에 삽입시켜 서로 문짝형상으로 조립하여 제조된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세로틀(110)을 양 측면에 배치하고 한쌍의 가로틀(120)을 상측과 하측에 배치한 다음 내부에는 각각 세로지지보(130)와 가로지지보(140)를 배치한다. 또한, 상기 세로틀(110), 가로틀(120), 세로지지보 (130) 및 가로지지보(140)는 목재핀(P)을 이용하여 각각 문짝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각각 핀홈(H)이 형성되는 데, 상기 핀홈(H)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재(110, 120, 130, 140)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문짝 보강구조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틀(110)의 외측 내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중공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홈(111)으로는 휨방지를 위한 보강부재(150)가 삽입된다. 즉, 종래와 같은 발포 PVC재질의 문짝은 길이가 긴 세로틀의 경우 발포 PVC재질의 특성상 휨보강력이 약하는 문제점이 있는 데, 본 고안은 세로틀의 휨보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로틀의 외측 내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중공홈(111)을 형성한 다음 중공홈으로 휨방지를 위한 보강부재(150)를 삽입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150)는 중공홈(111)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철재질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홈(111)에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후에는 텐션력에 의해 중공홈(111) 내면을 밀착지지하도록 일측면(151)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부재의 일면이 개방된 경우에는 보강부재(150)가 중공홈(111)에 삽입될 때는 개방된 일측면(151)이 오므라지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다음에는 텐션력에 의해 펴지면서 보강부재의 외면이 중공홈(111) 내면을 밀착지지하기 때문에 보강부재(150)가 중공홈(1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틀(111)의 핀홈(H)으로 고정스크류(S)를 삽입시킨 다음 고정스크류(S)를 상기 보강부재(150)에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보강부재(150)를 중공홈(111)내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세로틀(110)의 내측 내부에는 다수개의 내부공(112)을 길이방향으로 천공하여 문짝의 무게를 보다 가볍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공(112)과 내부공(112)은 보강리브(113)에 의해 공간이 분할되며 보강리브(113)가 세로틀(110)의 내측을 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조립방법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세로틀(110)의 외측 내부에 형성된 중공홈(111)에 보강부재(150)를 삽입한다. 이 때 보강부재(150)는 바람직하게 일측면(151)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면(151)이 오므라들면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다음에는 텐션력에 의해 오므라진 부분이 펴지면서 보강부재(150)가 중공홈(111)의 내면에 밀착지지되게 된다. 이후에는 세로틀(110)의 핀홈(H)으로 고정스크류(S)를 삽입시켜 고정스크류(S)가 상기 보강부재(150)에 체결되도록 하여 보강부재(150)를 중공홈(111)내에 완전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로틀이 제조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세로틀(110)을 양 측면에 배치하고 한쌍의 가로틀(120)을 상측과 하측에 배치하고 내부에는 각각 세로지지보(130)와 가로지지보(140)를 배치한 다음, 목재핀(P)을 이용하여 각각 각각의 부재(110, 120, 130, 140)의 핀홈(H)에 삽입시켜 각각의 부재(110, 120, 130, 140)를 서로 결합시키고 나서 각각의 부재(110, 120, 130, 140) 사이의 공간에는 미도시된 마감판을 설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은 세로틀내에 삽설된 보강부재가 휨변형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문짝의 내구력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문짝의 내측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에 의해 무게가 보다 경량화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짝의 보강구조는 발포 PVC재질로 제조된 문짝의 휨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PVC재질의 가로틀, 세로틀, 가로지지보 및 세로지지보에 각각 핀홈을 형성하고 목재핀을 상기 핀홈들에 삽입시켜 서로 문짝형상으로 조립하되, 상기 세로틀의 외측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공홈을 천공하고, 상기 중공홈에는 휨방지를 위한 보강부재를 삽입한 것이며,
    상기 세로틀의 핀홈으로 고정스크류를 삽입시켜 상기 보강부재에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세로틀의 내측 내부에는 무게의 경량화를 위해 보강리브에 의해 공간이 분할되는 다수의 내부공을 길이방향으로 천공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중공홈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철재질로서, 중공홈에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후에는 텐션력에 의해 중공홈 내면을 밀착지지하도록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의 보강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70009653U 2007-06-12 2007-06-12 문짝의 보강구조 KR200441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653U KR200441523Y1 (ko) 2007-06-12 2007-06-12 문짝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653U KR200441523Y1 (ko) 2007-06-12 2007-06-12 문짝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523Y1 true KR200441523Y1 (ko) 2008-08-25

Family

ID=4164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653U KR200441523Y1 (ko) 2007-06-12 2007-06-12 문짝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5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07Y1 (ko) 2009-06-04 2011-05-03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출입구용 문짝 결합구조
KR101166174B1 (ko) * 2009-12-31 2012-07-18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문짝
CN110924824A (zh) * 2019-12-13 2020-03-27 陕西鑫邦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钢结构人防门及加工工艺
KR20220039088A (ko) * 2020-09-21 2022-03-29 김찬호 사우나 부스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07Y1 (ko) 2009-06-04 2011-05-03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출입구용 문짝 결합구조
KR101166174B1 (ko) * 2009-12-31 2012-07-18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문짝
CN110924824A (zh) * 2019-12-13 2020-03-27 陕西鑫邦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钢结构人防门及加工工艺
KR20220039088A (ko) * 2020-09-21 2022-03-29 김찬호 사우나 부스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KR102451227B1 (ko) * 2020-09-21 2022-10-06 김찬호 사우나 부스용 마감패널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7792B2 (en) Door handle for refrigerator
KR200441523Y1 (ko) 문짝의 보강구조
KR200438474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US8376021B2 (en) Component for producing a sectional door panel, shell for such a component, reinforcement strut for such a component, sectional door panel having such a component, and sectional door having a corresponding sectional door panel
US8117802B1 (en) Prefabricated structural element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100989505B1 (ko) 도어 프레임
KR200487651Y1 (ko) 도어용 글라스 장식테의 조립구조
KR20110122358A (ko) 조립식 파티션
KR100665562B1 (ko) 강화유리문용 프레임 어셈블리
KR100506507B1 (ko) 스톱퍼의 조립식 합성수지재 문틀 구조
KR101672457B1 (ko) 도어 결합 구조
KR20110005248U (ko) 화장실 칸막이용 프레임
KR102216112B1 (ko) 창틀 수평유지용 브라켓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152374A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183021B1 (ko) 개보수 창틀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JP6914805B2 (ja) 建具
KR101201616B1 (ko) 창호용 구조보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866238B1 (ko) 커튼월 창호 프레임
KR20210034998A (ko) 터닝 도어
KR102395057B1 (ko)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한 입면 분할 창호
KR200362220Y1 (ko) 확장 가변형 창호의 창틀결합용 브라켓 개선구조
KR200406301Y1 (ko) 창호 조립체
KR20120020878A (ko) 보강돌기가 형성된 철판형 보강부재를 갖는 합성수지재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508

Effective date: 201408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