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62Y1 - 통굽 밑창을 개량한 기능신발. - Google Patents

통굽 밑창을 개량한 기능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362Y1
KR200441362Y1 KR2020070013571U KR20070013571U KR200441362Y1 KR 200441362 Y1 KR200441362 Y1 KR 200441362Y1 KR 2020070013571 U KR2020070013571 U KR 2020070013571U KR 20070013571 U KR20070013571 U KR 20070013571U KR 200441362 Y1 KR200441362 Y1 KR 200441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walking
soles
present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근
Original Assignee
김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근 filed Critical 김창근
Priority to KR2020070013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굽 밑창을 개량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갑피와 깔창 및 통굽 밑창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밑창의 바닥면의 형상을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으로 구성하고 재질을 고탄력의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게 하고 무한궤도의 바퀴처럼 굴곡으로 형성하여 지면에 대해 부드러운 착지와 보행 진행시 발바닥 관절의 굽힘 현상으로 인한, 관절의 무리를 최소화하여 우수한 충격완화로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게 한 통굽 밑창이 개량된 기능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굽 밑창의 재질을 고탄력 고강도의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신발의 원형을 지속적으로 보존하고 밑창의 형상복원력을 향상시켜 관절의 보호와 효율적인 보행을 유지하게 하여 발의 건강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신발, 통굽 밑창, 굴곡 형상, 우레탄 수지, 무한궤도, 굽힘 현상,

Description

통굽 밑창을 개량한 기능신발.{Platform shoes}
본 고안은 종래의 신발에서 나타나는 통굽 밑창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출안 한 것으로 신발 바닥면을 굴곡 형상으로 형성하여 보행시 발바닥과 발가락 관절의 굽힘 현상으로 발가락관절이 받는 무리를 주지않도록 함으로써, 착지 및 중심이동단계에서 관절 충격을 완화시켜 발과 발목관절 및 신체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드러운 굽힘과 자연스러운 보행이 가능한 통굽 밑창이 개량된 기능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재질을 고탄력의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밑창의 원형 복원력을 향상시켜 신발의 원형을 유지하고 밑창의 우수한 형상 복원력으로 보행 시에 안전성이 높은 통굽 밑창이 개량된 기능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통굽 밑창의 굴곡 형상이 무한궤도의 모양으로 착지에서 중심이동단계에 발바닥과 발가락이 받는 착지충격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발과 다리에 불연속적인 충격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착지와 효율적인 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밑창의 재질을 고탄력 우레탄 수지로 하여 보행 시에 발바닥과 발가락이 굽히는 부분의 실제 굽어지는 각도가 60 ~ 90도 이상으로 보행 시 관절보호에 뛰어난 효과가 있고, 굽힘 후 복원단계에서 반발력에 의해 탄력적이고 경쾌한 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통상의 신발 구성인 갑피, 깔창 및 중창 그리고 밑창에 있어서 신발 밑창이 아웃솔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아웃솔의 뒤축부터 전방 끝단까지 오목한 굴곡 형상이 6개로 형성되고 굴곡 면의 경사각이 오목한 면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15 ~ 20도인 경사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밑창의 윗면의 전방 부는 일정 위치(B)에서 전방 끝단으로, 전방 부에는 5개의 관통공(28a)과 가로로 개방된 3개의 슬릿 (27)을 형성하여 보행 시 아웃솔의 굴곡이 운동궤적에 따라 굴곡 형상의 경사각이 커질 때 상대적으로 받는 힘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며, 일정위치(B)에서 후방 뒤축까지 10개의 관통공(28b)을 직경 1cm, 깊이 3cm ~ 4cm 정도 구멍으로 만들어 보행 시 발꿈치가 지면에 대해 받는 충격을 분산시켜 발목 관절과 다리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며 밑창의 무게감소효과도 가져와 보행 운동시 피로도를 감소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밑창의 전방부터 후방까지 6개의 오목한 굴곡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고분자 화합물인 폴리에스테르 글리콜과 에틸렌 글리콜을 8:2 비율로 혼합하여 고탄력의 우레탄 수지로 합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밑창의 윗면은 일정위치(B)에서 전방부에 5개의 관통공(28a)과 3개의 가로로 개방된 슬릿(27)을 형성하고 일정위치 후방으로 직경 1cm의 10개의 관통공(28b)을 전후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적인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밑창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부 단면도이며, 도 6은 실시 예의 배면 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통상의 신발이 그렇듯이, 갑피(10)와 밑창(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갑피(10)는 내피(12)와 외피(14) 및 깔창(1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밑창(20)은 중창(22)과 아웃솔(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웃솔(24)은 뒤축의 바닥면의 끝 부분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뒤축의 곡면 형상은 보행 중에 발뒤꿈치의 지면착지시 부드러운 착지가 이루어지도록 발목관절에 대한 발꿈치의 운동궤적에 맞춰서 형성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한 경사각(R)이 25 ~ 30도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인체공학적인 면에서 효과적이며, 이는 착지 시 지면에 대해 뒤축이 이루는 평균각도로부터 산출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솔(24)의 바닥면을 좌우방향으로는 평면을 유지시켜 보행 중의 좌우 안정성을 확보한 것은 종래의 신발에서와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솔(24)은 착지 및 중심이동단계 시 후방의 굴곡 형상의 경사각부터 각도가 커지게 되는데, 이후 발바닥과 발가락 관절 부분은 경사각이 최대 60 ~90도로 커지므로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중심이동 후 이탈단계에서 형상이 복원되어 반발력이 발생하므로 보행 운동의 효율성을 높인다.
여기서, 아웃솔(24)은 고탄력의 우레탄 수지의 특성으로 밑창(20) 및 갑피(10)로 이루어진 신발의 원형을 보존하고, 보행 시에 굴곡 및 신장의 변형 빈도가 높은 상기 밑창(20)의 원형 복원이 원활하게 되도록 함과 동시에 보행 안정성을 향상시켜 보행자의 효율적인 보행을 도모하도록 한다.
상기 밑창(20)은 어떠한 소재 및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보행시 굴곡각이 큰 전방부는 일정위치에서 가로로 개방된 3개의 슬릿(27)를 형성하여 발바닥면과 발가락의 관절의 굽힘작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중심이동 시에 반발력으로 원활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수의 관통공(28a) (28b)을 형성시켜 상기 아웃솔(24)의 제조시 성형액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밑창(20) 구성 요소인 중창(22)은 택숀지로서 능직과 종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타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갑피(10)의 내피(12)와 외피(14) 및 깔창(16)은 인조피혁과 천연피혁 등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상술한 구성에 있듯이 보행 시에 발의 운동은 지면에 착지단계, 중심이동단계, 중심이탈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준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면 착지단계에서 착지하는 순간 후방부의 뒤축이 지면에 닿게 되는데, 본 고안은 뒤축의 곡면각도로 부드러운 착지를 하게 하여 착지 충격량을 최대한 흡수하고 밑창(20)의 접지면이 굴곡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발바닥 전체로 받게 되는 지면 충격량도 상당량을 분산시켜 완충효율이 높고 부드러운 착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중심이동단계로 보행운동이 시작되면 뒤축의 굴곡 형상에서부터 보행운동에 따라 굴곡 형상의 경사각(R)이 최대 60 ~ 90도로 커지면서 발바닥과 발가락관절의 굽힘 현상을 원활하게 하여 발목관절과 발바닥 및 발가락관절의 급격한 충격과 무리한 굽힘이 유발하지 않고,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보행운동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의 중심이탈단계에서는 밑창(20)의 뒤축부터 지면을 이탈하게 되는데 전단계에서 커졌던 굴곡 형상의 경사각(R)이 원형으로 복원되며 보행 운동에 대한 반발력이 발생하여 보행 진행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보행 효율이 높으며 굴곡 형상들의 운동이 무한궤도의 운동원리와 같아서 부드럽고 경쾌한 보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밑창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4은 도 2의 A-A'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갑피 12: 내피
14: 외피 16: 깔창
20: 밑창 22: 중창
24: 아웃솔 27:슬릿
28:관통공

Claims (1)

  1. 갑피, 중창 및 통굽 밑창으로 구성된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밑창이 중창과 아웃솔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웃솔의 밑면은 오목한 면과 볼록한 면의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뒤축의 지면에 대한 경사각은 25 ~ 30도 경사각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윗면은 일정위치에서 전방부에 좌우로 개방된 3개의 슬릿(27)으로 형성되어 분할되고 일정위치에서 후방부는 다수의 관통공(28b)으로 밑창의 무게를 감소하였으며, 상기 아웃솔의 뒤축부터 전방 끝단까지 경사각이 15 ~20도인 굴곡 형상으로 형성하여 보행 시 발목관절부터 발바닥 및 발가락관절까지의 운동 궤적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경사각이 60 ~ 90도인 굴곡 형상으로 형성하여 보행시 효율적인 보행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통굽 밑창을 개량한 기능신발.
KR2020070013571U 2007-08-16 2007-08-16 통굽 밑창을 개량한 기능신발. KR200441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571U KR200441362Y1 (ko) 2007-08-16 2007-08-16 통굽 밑창을 개량한 기능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571U KR200441362Y1 (ko) 2007-08-16 2007-08-16 통굽 밑창을 개량한 기능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362Y1 true KR200441362Y1 (ko) 2008-08-11

Family

ID=4164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571U KR200441362Y1 (ko) 2007-08-16 2007-08-16 통굽 밑창을 개량한 기능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3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585B2 (en) Golf shoe with an outsole having wave-like flex channels
CN111480936B (zh) 带有稳定鞋底的鞋类
CN108720168B (zh) 具有改进型鞋底的鞋
US7814683B2 (en) Health footwear having improved heel
US20200170338A1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flexibility, and shock absorption
KR100584527B1 (ko) 터널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제작방법
US8516723B2 (en) Midfoot insert construction
RU2489069C2 (ru) Подошва для полуботин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россовки
US8732982B2 (en) Footwear
US9155352B2 (en) Propulsive sole for impact distribution and round walking
CN115413848A (zh) 提供动态变换特性的足部支撑构件
CN112770646B (zh) 具有模子底的鞋类
KR100720959B1 (ko) 측면공간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KR101773939B1 (ko) 충격 완화 기능을 구비하는 신발밑창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US11969057B2 (en) Sole for footwear with positioning faces
KR100765805B1 (ko) 터널부가 형성된 롤링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800063B1 (ko) 에어백 및 터널부가 형성된 마사이워킹 전문 롤링신발 장착용 미드솔
KR100800060B1 (ko) 에어백 및 상하터널부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전문 롤링신발장착용 미드솔
KR200441362Y1 (ko) 통굽 밑창을 개량한 기능신발.
KR101208487B1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JP2020534126A (ja) 履物のアウトソール
JP3874982B2 (ja) 靴底
KR101196569B1 (ko)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JP3155765U (ja) 靴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