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13Y1 - Device for controlling of flow measuring unit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trolling of flow measur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313Y1
KR200441313Y1 KR2020070019403U KR20070019403U KR200441313Y1 KR 200441313 Y1 KR200441313 Y1 KR 200441313Y1 KR 2020070019403 U KR2020070019403 U KR 2020070019403U KR 20070019403 U KR20070019403 U KR 20070019403U KR 200441313 Y1 KR200441313 Y1 KR 200441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sensor
square wave
co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4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택
Original Assignee
김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택 filed Critical 김진택
Priority to KR2020070019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31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31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G01F1/58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constructions of coils, magnetic circuit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G01F1/60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6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measuring electrical currents passing through the fluid flow; measuring electrical potential generated by the fluid flow, e.g. by electrochemical, contact or friction effects

Abstract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가, 유체가 통과되는 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관의 코일과 다른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다중 주파수를 구비하며, 측정 유체에 따른 측정주파수 및 전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측정주파수에 따른 구형파를 생성하고, 검출된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며, 설정시간에서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제어신호 및 센서전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변환부와, 방형파에 의해 교번 스위칭되어 측정 전원을 코일에 인가하는 코일구동부와, 센서에 유기되는 기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센서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센서전원을 교번 스위칭하여 센서의 피막 코팅을 제거하는 센서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하에 처리된 유량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Figure R2020070019403

유량 측정, 유량 검출, 센서 제어,

The control device of the flowmeter includes at least one coil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at least one electrode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oil of the tube, and multiple frequencies, A controller for selecting a measurement frequency and a power source, generating a square wave according to the selected measurement frequency,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and generating a sensor control signal and a sensor pow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nsor at a set time; A power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a power selected by the power supply, a coil driving unit alternately switched by a square wave to apply measurement power to the coil,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electromotive force induced by the sensor, and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by a sensor control signal A sensor control unit which alternately switches the sensor power to remove the coating of the sensor, and a flow side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t consists of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ata.

Figure R2020070019403

Flow measurement, flow detection, sensor control,

Description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OF FLOW MEASURING UNIT}DEVICE FOR CONTROLLING OF FLOW MEASURING UNIT}

본 고안은 유량측정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량측정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low meter.

일반적으로 유량측정기는 관 내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 압력 또는 속도 등을 측정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In general, the flow meter refers to a device for measuring the flow rate, pressure or velocity of the fluid flowing in the tube.

도 1은 전자 유량 측정기의 유량 측정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flow measurement principle of an electromagnetic flow meter.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폐쇄된 관로10에 자계 발생용 코일180을 장착하고, 상기 코일180에 측정 파형을 인가하면 상기 관로10에 자계가 발생하여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자기장 속을 통과하는 유체는 유체 고유의 특성의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가 자기장 속을 흐를 때 상기 자속을 끊으면, 상기 관로 상에서 코일180과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전극190에서 상기 유체의 속도에 비례하는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이는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 측정기는 상기와 같은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 관로 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when a magnetic field generating coil 180 is mounted in a closed pipeline 10 and a measurement waveform is applied to the coil 180,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pipeline 10 to form a magnetic field. At this tim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magnetic field may have a conductivity of the fluid-specific characteristics. Therefore, if the magnetic flux is interrupted when the fluid flows in the magnetic field, a voltage proportional to the velocity of the fluid may be obtained at the electrode 190 dispos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coil 180 on the conduit. This can be defined by Faraday's law. Therefore, the flow rate meter can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pipeline by the Faraday law as described above.

이때 상기 전극190에 유기되는 전압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표시할 수 있 다.In this case, the voltage induced in the electrode 190 may be expressed as in Equation 1 below.

E = K · B · d · VE = K · B · d · V

상기 <수학식 1>에서 E는 기전력, K는 비례상수, B는 자속밀도, d는 관의 내경, V는 유체의 평균속도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비례상수 K와 관의 내경 d 및 자속밀도 B가 일정하다고 하면, 상기 유체의 속도 V에 따라 기전력 E가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전력 E의 세기를 필요 시간 단위로 적분한 것이 유량이 될 수 있다.In Equation 1, E may be an electromotive force, K may be a proportional constant, B may be a magnetic flux density, d may be an inner diameter of a tube, and V may be an average velocity of a fluid. At this time, if the proportional constant K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luid and the inner diameter d and the magnetic flux density B of the tube are constant,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omotive force E changes according to the speed V of the fluid. In this case, the integral of the strength of the electromotive force E in the required time unit may be a flow rate.

상기와 같은 측정 방식을 사용하는 전자 유량 측정기는 측정 대상인 유체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측정 파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관로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특정 파형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유량 측정의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특정한 유체들은 특정의 주파수를 흡수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런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경우 흡수되는 주파수를 측정 주파수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전자 유량 측정기는 상기 측정 파형을 생성하기 위하여 고정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고 다중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ctromagnetic flowmeter using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method may use different measurement waveforms depending on the type of fluid to be measured. This may absorb energy of a specific waveform depending on the type of fluid flowing in the conduit, in which case an error in flow measurement may occur. For example, certain fluids may have the property of absorbing certain frequencies, and when measuring the flow rate of such fluids, the absorbed frequency should not be used as the measurement frequency. Thus, the electromagnetic flow meter preferably uses multiple frequencies instead of a fixed frequency to generate the measurement waveform.

상기와 같이 다중 주파수를 사용하는 유량 측정기의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 종류를 변경하거나 또는 동작 중인 상태에서 측정 주파수를 바꿀 필요성이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유량 측정기의 동작을 중지시켜 현재 측정 중인 유체의 유량 측정을 종료시킨 후, 새로운 측정 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새로운 측정 주파 수에 의해 유량 측정기 동작을 세팅시켜야 한다. 상기 유량 측정기의 세팅이 종료된 후, 사용자는 유량 측정기를 동작시켜 새롭게 설정된 기능으로 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유량 측정기는 새로운 기능을 설정하는 동안 유량 측정 동작이 중단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유량 측정기를 다른 기능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유량 측정의 단속 없이 연속적인 유량 측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flow rate meter using the multiple frequencies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type of fluid to be measured or to change the measurement frequency in the operating state. In this case, the user must stop the flow meter to end the flow measurement of the fluid currently being measured, set a new measurement frequency, and set the flow meter operation by the new measurement frequency. After the setting of the flow meter is finished, the user can operate the flow meter to measure the flow rate with the newly set function. Therefore, the conventional flow meter has a problem that the flow measurement operation is interrupted while setting a new function. Therefore, even if it is desired to change the flow meter to another function, it is desirable to perform continuous flow measurement without interrupting the flow measurement.

또한 상기 유량측정기의 유체에 의해 상기 유체가 통과되는 유량 측정기의 내부에 피막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측정하는 유체의 종류가 오폐수 등과 같이 슬러지 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량측정기는 불필요한 피막이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성되는 피막이 유량측정기의 전극 등과 같이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적인 소자에 형성되는 경우 유량 측정의 에러 및 오동작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량측정기에 형성되는 피막을 자동적으로 제거하여 유량 측정을 정확하게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lm is formed inside the flow meter through which the fluid is passed by the fluid of the flow meter. In particular, when the type of the fluid to be measured includes sludge, such as waste water, the flowmeter can be formed quickly unnecessary film. In this case, when the coating is formed on an electrical element for measuring the flow rate, such as an electrode of the flow meter, an error and a malfunction of the flow rate measurement may be caus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utomatically remove the film formed on the flow meter so that the flow rat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accurately.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 측정기는 측정 대상인 유체의 종류들을 측정할 수 있는 다중 주파수를 생성하며, 이런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으로 설정되는 유체의 종류에 적합한 측정 파형을 생성하여 유량 측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유량 측정기를 동작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기능 변경시 현재 설정된 유체의 유량 측정 기능을 유지하면서 변경하고자 하는 대상의 측정 주파수를 변경 하여, 상기 측정 주파수를 변경하는 동안에도 측정 기능을 유지한다. 이후 측정 주파수의 변경이 완료되면 변경된 측정 주파수를 이용하여 유량의 측정을 개시하므로써, 측정 주파수를 변경하는 중에도 연속적으로 유량 측정 기능을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유량측정기는 전극에 일정 주기로 교번 전압을 인가하여 유체에 의해 형성되는 피막 코팅 현상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인가되는 교번 전압은 미세한 전압으로 유체를 측정하는 전기적인 소자들에 형성될 수 있는 피막을 제거하여 유량 측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low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multi-frequency capable of measuring the types of the fluid to be measured, and by using the multi-frequency to generate a measurement waveform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fluid to be measured to measure the flow rate Perform efficiently. Also, when the function is changed while the flow meter is in operation, the measurement frequency of the target to be changed is changed while maintaining the flow measurement function of the currently set fluid, and the measurement function is maintained even while the measurement frequency is changed. After the change of the measurement frequency is completed, the measurement of the flow rate is started using the changed measurement frequency, thereby maintaining the flow measurement function continuously while the measurement frequency is changed. In addition, the flow meter removes the coating coating phenomenon formed by the fluid by applying an alternating voltage to the electrode at regular intervals. In this case, the applied alternating voltage may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flow rate measurement by removing the coating that may be formed on the electrical devices measuring the fluid at a minute voltag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는 다중주파수를 사용하여 측정 대상인 유체의 종류에 따라 유량 측정 특성이 양호한 측정 주파수를 설정하므로 유량 측정 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고안의 유량측정기는 측정 기능을 변경할 때 기능을 변경하는 중에도 측정 상태를 유지하여 유체의 유량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유량측정기는 유량측정기에 일정 주기로 교번 전압을 인가하여 유량측정기 내부에 형성되는 피막 코팅 현상을 제거시킨다. The flow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flow measurement characteristics by setting the measurement frequency having a good flow measure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luid to be measured by using the multi-frequency. In addition, the flow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measurement state even when the function is changed when the measurement function is changed, so that the flow rate measurement of the fluid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In addition, the flow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coating coating phenomenon formed in the flow meter by applying an alternating voltage to the flow meter at regular intervals.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가, 유체가 통과되는 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관의 상기 코일과 다른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다중 주파수를 구비하며, 측정 유체에 따른 측정주파수 및 전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측정주파수에 따른 방형파를 생성하고, 검출된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며, 설정시간에서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제어신호 및 센서전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 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변환부와, 상기 방형파에 의해 교번 스위칭되어 상기 측정 전원을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코일구동부와, 상기 센서에 유기되는 기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센서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센서전원을 교번 스위칭하여 상기 센서의 피막 코팅을 제거하는 센서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처리된 유량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coil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is passed, at least one electrode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oil of the tube, multiple A sensor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measurement frequency and power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fluid, generating a square wave according to the selected measurement frequency,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and controlling the sensor at a set tim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ensor power control signal, a power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power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a coil driving unit alternately switched by the square wave to apply the measurement power to the coil, and inductive to the sensor. Alternately switching th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electromotive force and the sensor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by the sensor control signal And removing the coating film of the standing sensor controller,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flow measurement data the process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본 고안은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유체가 통과되는 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관의 상기 코일과 다른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다중 주파수를 구비하며, 측정 유체에 따른 측정주파수 및 전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측정주파수에 따른 방형파를 생성하고, 검출된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며, 설정시간에서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제어신호 및 센서전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변환부와, 상기 방형파에 의해 교번 스위칭되어 상기 측정 전원을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코일구동부와, 상기 센서에 유기되는 기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센서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센서전원을 교번 스위칭하여 상기 센서의 피막 코팅을 제거하는 센서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처리된 유량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at least one coil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is passed, at least one electrode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oil of the tube, and multi-frequency A sensor control signal and a sensor power source for selecting a measurement frequency and power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fluid, generating a square wave according to the selected measurement frequency,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and controlling the sensor at a set tim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 power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the power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a coil drive unit which is alternately switched by the square wave to apply the measurement power to the coil, and electromotive force induced by the sensor. Th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d switching the sensor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by the sensor control signal alternately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ocessed flow measurement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또한 본 고안은 유체 종류에 따른 측정주파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측정 유체 종류를 확인하여 상기 방형파를 생성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the measurement frequency data according to the fluid type, the control unit provides a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for generating the square wave by checking the type of the measurement flui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센서가 적어도 두개로 구성되며, 센서제어부는 적어도 두개의 스위칭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교번 스위칭 제어신호인 상기 센서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들이 구동되어 피막 코팅을 제어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t least two sensors, the sensor control unit includes at least two switching elements, the switching device is driven by the sensor control signal of the alternating switching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coating film coating It provides a control device.

또한 본 고안은 키입력부를 더 구비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측정 모드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설정된 유체의 측정모드를 유지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변경 측정 모드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 완료시 상기 측정모드를 변경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key input unit, and when the measurement mode change is required by the user's selection, the control unit sets the change measurement mo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while maintaining the measurement mode of the currently set fluid, Provided is a control device of a flow meter for changing the measurement mode upon completion of the setting.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표시부가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장착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회전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so that the display unit is rotated at a set angle, and provides a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is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 주파수를 방형파로 생성하는 방형파 생성기와, 상기 검출된 측정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검출된 측정신호가 설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방형파를 변경하는 방형파변경기로 구성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quare wave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measurement frequency as a square wave, a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into digital data, and when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the square wave is changed. It provides a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consisting of a square wave changer.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성되는 방형파를 설정된 비율로 주파수를 가감하는 방형파가감기를 더 구비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device of the flow rate meter further comprises a square wave rewinder for the control unit to add or subtract the frequency of the generated square wave at a set ratio.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코일은 두개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구동부가, 상기 방형파를 설정된 분주비로 분주하는 분주기와, 상기 분주된 방형파를 버퍼링하는 버퍼와, 적어도 두개의 스위칭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전원변환부 에서 생성되는 제1구동전원 및 제2구동전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분주된 방형파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가 교번 스위칭되어 상기 제1코일에서 제2코일로, 그리고 상기 제2코일에서 제1코일로 전류 패스를 형성하여 관 내에 자력선을 생성하는 드라이버로 구성된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coils, the coil driver is composed of a divider for dividing the square wave at a predetermined division ratio, a buffer for buffering the divided square wave, and at least two switching elements, The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riving power source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generated in the power conversion unit, the switching element is alternately switched by the divided square wave to the first coil to the second coil, and the Provided is a control device for a flow meter, comprising a driver for forming a current path from the second coil to the first coil to generate magnetic lines of force in the tube.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측정된 유량 데이터를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flow rate data to an external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본 고안은 검출부가 상기 센서에서 검출되는 기전력을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검출신호를 파형정형하는 파형정형기로 구성된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device for a flow meter consisting of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omotive force detected by the sensor and a waveform shaper for waveform shaping the amplified detection signal.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는 다중주파수를 사용하여 유량측정기에서 측정하는 유체를 가장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주파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유량측정기의 측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되는 유체에서 특정 주파수를 흡수하는 경우는 측정 파형을 제어하여 유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측정 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으며, 측정 주파수를 설정된 크기로 가감하여 서로 다른 공명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유체에 의해 발생될 수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검출기는 센서에 미세한 교번 전압을 인가하여 센서에 쌓이게 되는 피막 코팅 현상을 제거할 수 있어 유량 측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and use the measurement frequency that can measure the fluid measured by the flow meter most effectively using multiple frequencies, thereby improving the measurement efficiency of the flow meter. Can be. In addition, when absorbing a specific frequency in the fluid to be measur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easurement waveform and change it to a measurement frequency that is not affected by the flui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the noise that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flow rate det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film coating phenomenon accumulated on the sensor by applying a minute alternating voltage to the sensor can accurately measure the flow rate.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는 검출기에서 측정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다른 측정모드 또는 다른 여하한의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현재 수행중인 측정모드를 유지하면서 측정 모드를 변경하고, 변경 완료시 변경된 측정모드를 수행하므로써 측정모드를 중단하지 않고 유량 측정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measurement mode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measurement mode even when changing to another measurement mode or any other mode while performing the measurement mode at the detector. By completing the changed measurement mode, the flow measurement mode can be changed without interrupting the measurement mod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하기 설명에서 유량 측정 전압, 데이터 로깅, 통신 방법 등과 같은 구체적인 예시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examples such as flow measurement voltage, data logging,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like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implement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lso by their modifications.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다중주파수"라는 용어는 관 구경 및 유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수개의 주파수들을 의미하고, "측정주파수"라는 용어는 유량 측정기의 관 구경 및 유체 종류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를 의미한다. "센서 제어"라는 용어는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의 피막 코팅 현상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번 전압"이라는 용어는 코일 및 센서 등을 제어하는 전압으로 양극에서 음극으로 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변환되며 발생되는 전압을 의미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multi-frequency" means a plurality of frequencies tha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ube diameter and the type of fluid, and the term "measuring frequency" is a frequency selected by the tube diameter and the fluid type of the flow meter. Means. The term "sensor control" means to remove the film coating phenomenon of the sensor measuring the flow rate. The term "alternative voltage" refers to a voltage generated by converting from anode to cathode or from cathode to anode as a voltage for controlling coils and sensors.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는 다중 변환 주파수(variable multi-frequency)에 의한 최적 주파수를 자동 결정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는 센서에 일정 주기마다 미세한 +/- 교번 전압을 인가하므로써, 유체에 의한 전극의 피막 코팅 현상을 제거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측정 감도의 저하가 없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는 실시간 운영체계(real time O/S)의 실시간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측정 기능을 변경하는 동안, 즉 키 조작 중에도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표시부에 그래픽 LCD를 채용하여 시간당 유량을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flow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optimum frequency by the variable multi-frequency (variable multi-frequency) can be measured accurately. In addition, the flow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minute + /-alternating voltage to the sensor at regular intervals, to eliminate the coating coating phenomenon of the electrode by the fluid, so as not to reduce the measurement sensitivity even for a long time use. In addition, the flow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l time control program of a real time operating system (real time O / S), so that the flow rate can be measured while changing the measurement function, that is, during key operation. And the graphic LCD can be used to display the hourly flow rate graphically.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w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코일180은 복수개의 코일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파이프 라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파이프 라인 내에 흐르는 유체에서 자장을 인가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1코일180a 및 제2코일18b의 두 개 코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파이프 라인의 소정 위치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il 18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ils and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pipeline. The coil applies a magnetic field in the fluid flowing in the pipelin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two coils of the first coil 180a and the second coil 18b, it may b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ipeline.

센서190은 파이프 라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190은 전극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전극190은 상기 코일180과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음전극과 양전극의 2개의 전극190a 및 19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180a와 코일180b 사이에 각각 전극190a 및 전극190b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90도)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sensor 19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ipelin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nsor 190 uses an electrode. The electrode 190 may be installed to face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coil 180, and may include two electrodes 190a and 190b of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are installed at right angles (90 degrees) as shown in FIG. 2 between the coils 180a and 180b.

메모리1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10은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 종류 및 유체측정기에 접속된 파이프의 크기에 따라 측정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The memory 110 temporarily stores the operation program of the flow meter and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10 may include a program for selecting a measurem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type of fluid to be measured and the size of a pipe connected to the fluid meter.

코일구동부120은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방형파에 의해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결정되는 구동 전원으로 상기 코일180a 및 180b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구동부120은 분주기121, 버퍼123 및 드라이버1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일구동부1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분주기121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방형파를 설정된 분주비에 따라 분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분주비는 상기 코일180a 및 180b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의 공급 주기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분주비는 실험에 의해 최적의 분주비를 설정될 수 있다. 버퍼122는 상기 분주기121에서 출력되는 분주신호를 측정 펄스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드라이버123은 상기 버퍼123에서 출력되는 측정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교번되는 측정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버123은 두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펄스에 의해 교대로 활성화되어 상기 코일180a 및 180b에 교번되는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il driver 120 drives the coils 180a and 180b with a driving power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100 by the square wave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0. The coil driver 120 may include a divider 121, a buffer 123, and a driver 125.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il driver 120, the divider 121 divides the square wave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the set division ratio. Here, the division ratio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a supply cycle of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coils 180a and 180b, and the division ratio may be set by an experiment. The buffer 122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pulse measuring the divided signal output from the divider 121. The driver 123 is switched by a measurement pulse output from the buffer 123 to generate an alternating measurement signal. The driver 123 may be configured of two or more transistors, and may be alternately activated by the measurement pulse to transfer a driving signal alternately to the coils 180a and 180b.

그러면 폐쇄된 관로10에 장착되는 상기 코일180a 및 180B에 상기 교번되는 측정신호가 인가되며, 이로인해 상기 코일180a 및 180b는 상기 관로10에 자계를 발생하여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자기장 속을 통과하는 유체는 유체 고유의 특성의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가 자기장 속을 흐를 때 상기 자 속을 끊으면, 상기 관로10 상에서 코일180a 및 18b와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전극190a 및 190b에는 상기 유체의 속도에 비례하는 전압이 유기된다. 이는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 측정기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 관로 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Then, the alternating measurement signals are applied to the coils 180a and 180B mounted on the closed pipe line 10, and thus the coils 180a and 180b generate a magnetic field in the pipe line 10 to form a magnetic field. At this tim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magnetic field may have a conductivity of the fluid-specific characteristics. Therefore, when the fluid is interrupted when the fluid flows in the magnetic field, a voltage proportional to the velocity of the fluid is induced in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disposed at positions different from the coils 180a and 18b on the conduit 10. This can be defined by Faraday's law. Therefore, the flow rate meter may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pipe by Faraday's law as shown in Equation (1).

그러면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연결되는 검출기130은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유기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파형정형 및 증폭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기130은 제1증폭기131, 파형정형기133 및 제2증폭기13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기130의 동작을 살펴보면, 코일180a 및 180b에 의해 자력선이 발생되면, 상기 관10 내에서 전도도를 가지는 유체가 발생된 자력선을 끊게 되며, 이로인해 전극190a 및 190b에 기전력이 유도된다. 그러면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연결되는 상기 제1증폭기131은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유도되는 기전력을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파형정형기133은 상기 제1증폭기131에서 증폭된 검출 파형을 검파하고 정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파형정형된 검출신호는 미약한 신호의 세기를 가진다. 따라서 제2증폭기135는 파형정형된 파형을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n, the detector 130 connected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detects the voltage induced by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shapes and amplifies the waveform, and applies the waveform to the controller 100. The detector 130 may include a first amplifier 131, a waveform shaper 133, and a second amplifier 135.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detector 130, when the magnetic force line is generated by the coils 180a and 180b, the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by the fluid having a conductivity in the tube 10 is cut off, and thus electromotive force is induced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hen, the first amplifier 131 connected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performs a function of amplifying the electromotive force induced in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he waveform shaper 133 detects and shapes the detected waveform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ier 131. At this time, the waveform-shaped detection signal has a weak signal strength. Therefore, the second amplifier 135 performs the function of amplifying the waveform.

상기 제어부100은 다중주파수를 생성하는 기능 및 도시하지 않은 전원부를 제어하여 원하는 크기의 동작전원의 생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유량측정기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 종류 및 관10의 크기 등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110에서 상기 선택된 유체 및 관의 특성에 따른 측정 주파수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측정주파수에 따른 방형파를 생성하고, 상기 유체를 측정하기 위한 전압을 결정한 후, 상기 생성되는 방형파 및 변환된 전압을 상기 상기 코일구동부120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기130에서 검출되는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변환한 후, 이를 분석하여 처리한다. The controller 10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multi-frequency and a function of controlling a power unit (not shown) to control generation of an operating power of a desired size. The control unit 100 checks the measurem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fluid and tube in the memory 110 when the fluid type to be measured in the flow meter and the size of the tube 10 are selected, and the square wav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measurement frequency. After generating a, determine the voltage for measuring the fluid, and outputs the generated square wave and the converted voltage to the coil driver 120. And after receiving the measurement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130 is digitally converted, it is analyzed and processed.

상기 제어부100은 내부에 방형파생성기, 방형파가감기, 디지털변환기, 방형파변환기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방형파생성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측정주파수를 방형파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형파가감기는 상기 생성되는 방형파의 주파수를 설정된 주파수로 가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방형파가감기는 상기 생성된 방형파의 주파수를 ±1% - ±2% 가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디지털변환기는 상기 검출기130에서 검출되는 측정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방형파변환기는 상기 검출되는 측정신호가 미약한 경우 상기 방형파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100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기 구성 요소들은 전부 또는 이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may have a square wave generator, a square wave winding, a digital converter, and a square wave converter. Here, the square wave generator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the measured frequency selected by the user as a square wave. The square wave rewinder performs a function of adding and subtracting a frequency of the generated square wave to a set frequency. Here, it is assumed that the square wave adder decrements the frequency of the generated square wave by ± 1%-± 2%. The digital converter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measurement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130 into digital data. The square wave converter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square wave when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is weak.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00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ll or some of them.

센서제어부(sensor cleaner)140은 상기 미세 교번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인가한다. 상기 센서제어부14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설정 시간 주기마다 설정된 크기의 미세한 교번 전압을 생성하며, 이를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전극190a 및 190b는 상기 미세 교번전압에 의해 피막 코팅이 제거된다. 상기 전극190a 및 190b는 관10 내에 흐르는 유체인 오폐수에 의해 접지 부분에 이물질로 인한 피막 형성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센서제어부140은 교번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극190a 및 190b의 접지 부분에 상기 생성된 교번 전압을 가하여 피막을 제거한다.The sensor cleaner 140 generates the fine alternating voltage and applies the alternating voltage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he sensor controller 140 generates a minute alternating voltage having a set magnitude at each set time perio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applies it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hen, the coating of the electrode 190a and 190b is removed by the fine alternating voltage.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may be formed of a film due to a foreign material in the ground portion by waste water which is a fluid flowing in the tube 10. In this case, the sensor controller 140 generates an alternating voltage and removes the film by applying the generated alternating voltage to the ground portions of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표시부15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유량측정기의 동작 상태 및 등록모드시 설정된 모드의 설정 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그래픽 표시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량측정기의 동작 상태를 그래픽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할 수 있다. 키입력부160은 유량 측정기의 각 종 기능 및 설정 기능에서의 수치 변경 등의 키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인가한다.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flow meter and the setting state of the mode set in the registration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graphic display function, and may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the flow meter in a graphic form. The display unit 150 may be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key input unit 160 detects a key input such as a numerical value change in various functions and setting functions of the flow meter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ler 100.

통신부170은 유량측정기와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 간에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7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측정된 유량 검출 데이터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170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유선통신부인 경우, 상기 통신부170은 RS 232C 방식 또는 RS485 multi drop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인 경우, 상기 통신부170은 CDMA에 의한 무선 통신 또는 LAN에 의한 인터넷 통신부가 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인 경우, 상기 통신부170은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UWB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or 170 may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he flowmeter and an external device or a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170 outputs the measured flow detection data through an external device or a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be configured as a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wired communica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be implemented by RS 232C method or RS485 multi drop method.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by CDMA or an Internet communication unit by LAN. 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use a Bluetooth, ZigBee, or UWB communication method.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전원변환부는 유량 측정기의 각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특히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코일180a 및 190b에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 종류 및 관10의 크기에 따른 설정된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코일180a 및 180b에 인가한다.In addition, the power conversion unit (not shown) supplies operating power to each part of the flow meter, and in particular, generates a set voltage according to the fluid type and the size of the tube 10 to be measured to the coils 180a and 190b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Applied to 180a and 180b.

도 3은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에서 제어부100, 코일구동부120 및 검출부13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00, the coil driving unit 120 and the detection unit 130 in the flow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은 유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는 측정주파수 및 전압을 확인하며, 상기 측정주파수에 따른 방형파를 생성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전원변환부를 제어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에 따른 설정 전원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에서 생성되는 방형파 및 전원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상기 구동부120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유량측정기의 전원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전원(예를들면 24V)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전원(예를들면 20V - 30V)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을 변환하는 이유는 상기 코일180a 및 180b에 의해 관10 내에 생성되는 자력선의 세기는 상기 전원에 의해 변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10의 크기 및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 특성에 따른 전원 및 측정 주파수를 미리 실험하여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유체 측정시 상기 관10 및 측정 유체의 종류에 해당하는 측정 주파수 및 전원을 선택하여 상기 구동부120에 인가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100 checks a measurement frequency and a voltag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luid, and generates a square wav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frequency. In addition, by controlling a power conversion unit (not shown) to control to generate a set power according to the fluid to be measured. The square wave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00 and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converter are applied to the driver 120.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of the flow meter is generally fixed to one power source (eg, 24V),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power source (eg, 20V-30V) can be generated. The reason for converting the power is tha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tube 10 by the coils 180a and 180b can be converted by the power source.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ource and the measurem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ube 10 and the fluid characteristics to be measured in advance are stored in the memory 110, and the measuremen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ube 10 and the measuring fluid when measuring A frequency and a power ar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driver 120.

그러면 상기 구동부120의 분주기121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방형파를 설정된 분주비로 분주하며, 상기 분주된 방형파는 버퍼123에서 버퍼링된다. 이때 상기 분주비는 8이라고 가정하며, 이런 경우 상기 분주기121은 입력되는 방형파를 8분주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버퍼123에서 출력되는 분주된 방형파신호는 드라이버125에 인가되며, 서로 다른 동작을 하는 상기 드라이버125의 PNP 트랜지스터Q1 및 NPN트랜지스터Q2가 교대로 활성화된다. 이때 상기 드라이버125의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는 Vcc 전압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변환부에서 생 성되는 코일180a 및 180b의 구동전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1이 온되면, 상기 구동전원 Vcc, 트랜지스터Q1, 제2코일180b, 제1코일180a을 통해 접지GND의 전류 패스가 형성되며, 이로인해 상기 코일180a 및 180b에 의해 상기 관10 내에서 자력선이 생성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Q2가 온되면, 상기 접지Gnd, 제1코일180a, 제2코일180b,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제2구동전원 -Vcc의 전류 패스가 형성되며, 이로인해 상기 코일180a 및 180b에 의해 상기 관10 내에서 자력선이 생성된다. Then, the divider 121 of the driving unit 120 divides the square wave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00 at a set division ratio, and the divided square wave is buffered in the buffer 123.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division ratio is 8, and in this case, the divider 121 divides the input square wave into 8 divisions and outputs them. The divided square wave signal output from the buffer 123 is applied to the driver 125, and the PNP transistor Q1 and the NPN transistor Q2 of the driver 125 which perform different operations are alternately activated. In this case, the Vcc voltage applied to the transistor Q1 of the driver 125 may be driving power of the coils 180a and 180b generated by the power conver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ccordingly, when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a current path of the ground GND is formed through the driving power supply Vcc, the transistor Q1, the second coil 180b, and the first coil 180a, and thus, the coils 180a and 180b in the tube 10 are formed. Magnetic lines of force are generated. In addition, when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n, a current path of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Vcc is formed through the ground Gnd, the first coil 180a, the second coil 180b, and the transistor Q2, and thus the tube is formed by the coils 180a and 180b. Magnetic lines of force are generated within 10.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제1코일180a에서 제2코일180b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제2코일180b에서 제1코일180a 방향으로 자력선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자력선은 관10 내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끊기게 되며, 이런 경우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기전력이 유도되며, 그 방향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극190a 및 190b는 상기 유체의 양(유량)에 따라 감지하는 기전력의 크기가 다르게 된다.When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magnetic lines of force are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il 180a to the second coil 180b an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il 180a to the second coil 180b.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cut off by the fluid flowing in the tube 10, and in this case, electromotive force is induced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and the direction is formed according to Fleming's right hand rule. In this case, the magnitudes of the electromotive force detected by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flow rate) of the fluid.

상기와 같이 전극190a 및 190b에서 유도되는 기전력은 제1증폭기131에서 증폭되며, 파형정형기133에서 검파 및 정형화되며, 제2증폭기135에서 다시 증폭된 후 상기 제어부100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제1증폭기131은 100배의 증폭율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motive force induced in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is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ier 131, detected and shaped by the waveform shaper 133, amplified by the second amplifier 135, and applied to the controller 100. In this case, the first amplifier 131 may be set to have an amplification factor of 100 times.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검출부130에서 검출되는 측정신호를 디지털 변환한 후 이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측정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유기되어야 기전력이 유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유체에 흡수되면 상기 검출기130에서 극히 미약하게 측정신호를 검출되어 유체를 측정할 수 없는 상태가 야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신호가 미약하게 검출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냄부의 방형파변환기를 제어하여 방형파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경되는 방형파는 상기 유체에 흡수되지 않는 주파수가 될 수 있다. Then, the controller 100 digitally converts the measurement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130 and processes it. At this time, the electromotive force induced in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may vary in siz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fluid to be measured. That is, when the electromotive force is absorbed by the flui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luid to be induced in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he detector 130 may detect the measurement signal very weakly, which may cause a state in which the fluid cannot be measured. At this time, if it is detected that the measurement signal is weakly detected, the control unit 100 may change the square wave by controlling the square wave converter of the inner part. In this case, the changed square wave may be a frequency that is not absorbed by the fluid.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방형파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방형파 주파수를 중심으로 설정된 비율(±1% - ±2%)로 주파수를 가감하는 방형파 가감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고유 공명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유체(예를들면 물에서 갑자기 공기를 통과할 때)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잡음을 줄기기 위하여 상기 코일180a 및 180b에 인가되는 방형파의 주파수를 가감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방형파 주파수를 변환하고(가감하면), 상기 변환된 방형파에 의해 코일180a 및 180b가 이에 자력선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관10 내에서 두 개 이상의 유체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기전력을 평균화하여 처리하면, 두 개의 유체 통과에 따른 잡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square wave adder that adds or subtracts a frequency at a ratio (± 1% to ± 2%) set around the square wave frequency generated by the square wave generator. That is, the frequency of the square wave applied to the coils 180a and 180b is added or subtracted to reduce noise generated when passing two or more fluids having different natural resonance frequencies (for example, when water suddenly passes through air). can do. This converts (decrements) the square wave frequency, and the coils 180a and 180b generate magnetic force lines by the converted square wave, and the control unit 100 is generated when two or more fluids pass through the tube 10. By averaging the electromotive force, it is possible to remove noise due to the passage of two fluids.

도 4는 상기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flow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60에서 설정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유량측정기의 동작모드 설정 및 동작모드에서 수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입력부160에서 임의 키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해당키에 따른 등록 기능을 처리한다. 또 한 상기 제어부100은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전극190a 및 190b의 접지 부분에 쌓이게 되는 피막 코딩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설정시간이 되면 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7단계에서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설정된 미세 교번 전압을 인가하여 피막 코팅을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00 may change an operation mode of the flow meter and a numerical value in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set by the key input unit 160. Therefore, when a random key input occurs in the key input unit 160,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211 and processes the regist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ey in step 213.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performs an operation of removing the film coding accumulated in the ground portions of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on a predetermined time basis. Therefore, when the set time is reached,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215 and removes the coating by applying a fine alternating voltage set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in step 217.

그리고 상기 유체 측정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된 유체 종류에 따른 측정 주파수 및 측정 전원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측정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223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측정주파수에 따른 방형파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 유체 종류에 대응되는 전원을 발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구동부120에 인가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223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방형파의 주파수를 가감하여 방형파를 변환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유량측정기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 종류 및 관10의 크기 등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110에서 상기 선택된 유체 및 관의 특성에 따른 측정 주파수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측정주파수에 따른 방형파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방형파를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방형파를 변환하는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유 공명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유체(예를들면 물에서 갑자기 공기를 통과할 때)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잡음을 줄기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방형파 변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유체를 측정하기 위한 전압을 결정한 후, 상기 생성되는 방형파 및 변환된 전압을 상기 코일구동부120에 출력한다. In the fluid measurement mod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measurement frequency and the measurement power according to the selected fluid type. Accordingly, in the fluid measurement mode, the control unit 100 generates a square wave according to the selected measurement frequency in step 223,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unit to generate power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measurement fluid, and applies it to the driving unit 120. . In step 223, the control unit 100 converts the square wave by adding or subtracting a frequency of the generated square wave. That is, the controller 100 checks the measureme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fluid and tube in the memory 110 when the fluid type and the size of the tube 10 to be measured in the flow meter are selected, Generate a square wave and convert the generated square wave. The reason for converting the square wave is to reduce noise generated when passing two or more fluids having different natural resonance frequencies (for example, when suddenly passing air through wat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quare wave conversion proces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e voltage for measuring the fluid, and then outputs the generated square wave and the converted voltage to the coil driver 120.

상기와 같이 유체를 측정하기 위해 생성되는 방형파 및 전원은 상기 구동부12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부120은 상기 방형파에 의해 교번적으로 스위칭 되어 상기 전원을 상기 코일180a 및 180b에 인가하며, 이로인해 상기 코일180a 및 180b는 상기 관10 내에 자력선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관10 내의 자력선은 관10 내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단속되어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기전력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검출부130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부600에 전달된다.Square wave and power generated to measure the flui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drive unit 120. Then, the driving unit 120 is alternately switched by the square wave to apply the power to the coils 180a and 180b, whereby the coils 180a and 180b generate magnetic lines in the tube 10. The magnetic force lines in the tube 10 are interrupted by the fluid flowing in the tube 10 and induced by electromotive force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he electromotive force induced by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is detected by the detector 130 and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600.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225단계에서 상기 검출되는 측정신호를 수신한 후 디지털 변환하며, 227단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신호의 세기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검출된 측정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크기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600은 2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1단계에서 상기 방형파를 변환한다. 이때 상기 검출되는 측정신호의 세기가 미약한 이유는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유기되어야 기전력이 유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유체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측정신호가 미약하게 검출되는 것을 감지하면, 방형파를 상기 유체에 흡수되지 않는 주파수로 변경한다. 그러나 상기 검출되는 측정신호가 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2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방형파의 변경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In step 225, the control unit 100 receives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and digitally converts it. In step 227, the controller 100 checks the intensity of the detected signal. In this case, if the detected intensity of the measured signal is smaller than the set size, the controller 600 detects it in step 229 and converts the square wave in step 231. In this case, the strength of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is weak because the electromotive force is absorbed by the fluid according to the type of fluid only after being induced by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herefore, when detecting that the measurement signal is weakly detected, the controller 100 changes the square wave to a frequency that is not absorbed by the fluid. However, if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size,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it in step 229 and does not perform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square wave.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233단계에서 상기와 같이 측정된 유량 검출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하며, 상기 22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와 같은 유량 측정 절차를 반복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검출되는 유량 검출 데이터를 분별, 시간별, 일별, 주간별, 월별로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또는 외부장치의 요구에 따라 통신부17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의 로깅(data logging)은 시간 데이터는 1일 단위로 누적하며, 일 데이터는 월 단위로 누적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은 유량검출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각도는 360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00 stores the flow rate detection data meas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memory 110 in the memory 110 and displays the flow rate on the display unit 150, and returns to step 221 to repeat the flow measurement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0 may accumulate and manage the detected flow rate detection data by minute, hour, daily, weekly, and monthly, and transmit the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a request of an external de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logging may include accumulating time data on a daily basis and daily data on a monthly basis.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be designed to be rotatabl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flow rate detector, and the rotation angle may be designed to rotate 360 degrees.

도 5는 도 4의 213단계에서 처리되는 키 입력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제어부600은 상기 측정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키 입력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4의 213단계에서 도 5와 같은 절차로 키 입력을 처리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input processing procedure processed in step 213 of FIG. 4. The controller 600 detects a key input generated while the measurement mode is performed, and processes the key input in the procedure of FIG. 5 in step 213 of FIG. 4.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키입력이 발생되면 311단계에서 상기 유량 측정 모드의 변경을 명령하는 키 입력인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유량 측정 모드의 변경은 유체 종류를 변경하여 측정을 명령하는 경우, 측정 주파수를 변경하는 경우, 측정 전압을 변경하는 경우 등과 같이 현재 측정하는 유량 측정모드의 실질적인 변경을 초래하는 설정모드를 의미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50을 제어하여 설정 변경모드임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부120을 제어하여 현재 실행중인 유체 측정모드를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60을 통해 원하는 설정 기능을 등록한다. Referring to FIG. 5, when a key input is generated,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a key input is commanded to change the flow measurement mode in step 311. Here, the change of the flow measurement mode refers to a setting mode that causes a substantial change of the flow measurement mode currently measured, such as when changing the fluid type to command a measurement, changing a measurement frequency, or changing a measured voltage. do.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311 and displays the setting change mode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150 in step 313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driving unit 120 to maintain the fluid measurement mode currently being executed. In the above state, the user registers a desired setting function through the key input unit 160.

이후 상기 설정 기능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7단계에서 설정된 기능을 상기 메모리110에 등록하고 상기 구동부120을 제어하여 설정된 기능의 방형파 및 전원을 인가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319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설정 기능으로 유량 측정 모드를 수행하면서 상기 유량 측정모드 로 리턴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00은 유량 측정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새로운 유량 측정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코일구동부120을 변경 이전의 유량 측정모드로 제어하면서 변경하고자 하는 유량측정모드의 변경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유량 측정 모드의 변경 절차를 종료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변경 이전의 유량 측정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변경된 유량 측정모드로 측정 동작을 개시한다. 따라서 상기 유량 측정기의 동작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량 측정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 완료시 변경된 유량측정모들르 수행할 수 있어 유량 측정모드의 단절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setting function ends,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315, registers the function set in the step 317 in the memory 110, and applies the square wave and power of the set function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20. In step 319, the control unit 100 returns to the flow measurement mode while performing the flow measurement mode with the changed sett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ler 100 changes to the new flow measurement mode while performing the flow measurement mode, the control unit 100 performs the procedure of changing the flow measurement mode to be changed while controlling the coil driver 120 to the flow measurement mode before the change. Thereafter, when the procedure for changing the flow rate measurement mode is ended, the controller 100 ends the flow rate measurement mode before the change and starts the measurement operation in the changed flow rate measurement mode. Therefore, the flow rate measurement mode can be changed without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rate meter, and when the change is completed, the changed flow rate measurement mode can be performed to eliminate the disconnection phenomenon of the flow rate measurement mode.

또한 상기 키 입력이 측정 기능을 변경하는 키 입력이 아니면(예를들면 데이터 통신, 표시되는 측정 데이터의 변경 등), 상기 제어부100은 321단계에서 상기 유량 측정 모드를 수행하면서 상기 키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In addition, if the key input is not a key input for changing a measurement function (for example, data communication, change of displayed measurement data, etc.), the control unit 100 performs the flow measurement mode in step 321,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It performs a functio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50.

도 6은 유량 측정기의 센서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제어부600은 상기 측정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설정된 센서 제어시간이 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4의 217단계에서 도 6과 같은 절차로 센서 제어 절차를 처리한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ontrolling a sensor of the flow meter. The control unit 600 detects this when the sensor control time is set while performing the measurement mode, and processes the sensor control procedure by the procedure as shown in FIG. 6 in step 217 of FIG. 4.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일정 주기마다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설정된 크기의 미세한 교번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쌓인 피막 코팅을 제거한다.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피막 코팅되면 상기 관100 내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을 감지하는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는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미세 교번 전압을 인가하는 센서제어 부140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00은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전극190a 및 190b를 제어하기 위한 미세 전압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제어부140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제어부140은 상기 코일구동부120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드라이버125의 구성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센서 구동전압은 상기 전극190a 및 190b을 진동시킬 수 있는 미세 전압으로 설정하며, 이 전압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전원변환부185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제어부140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센서제어부140은 상기 코일구동부120의 드라이버125와 같은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센서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상기 센서 구동전압이 인가되는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100 removes the film coating accumulated on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by applying a minute alternating voltage having a size set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film is coated on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he function of sensing th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tube 100 may be reduced. Therefore, the flow me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control unit 140 for applying a fine alternating voltage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he control unit 100 of the fine voltage for controlling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every set period Control the generation and generate a senso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nsor controller 140. The sensor controller 140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the coil driver 120, or may be configured only by the driver 125. In this case, the sensor driving voltage is set to a minute voltage capable of vibrating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and the voltage may be generated by the power converter 18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applied to the sensor controller 140. In addition, the sensor controller 140 includes the same driver as the driver 125 of the coil driver 120 to form a current path through which the sensor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by a sensor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0. Can have

따라서 상기 설정된 시간이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5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53단계에서 상기 전원변환부185를 제어하여 전극190a 및 190b를 구동할 센서 구동전원을 생성하며, 이때 상기 센서 구동전원은 미세 전원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355단계에서 상기 센서제어부140에 상기 센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그러면 상기 센서제어부140은 상기 센서제어신호의 스위칭되어 상기 센서구동전원을 미세 교번전원으로 생성하여 상기 전극190a 및 190b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전극190a 및 190b는 상기 미세 교번전원에 의해 진동되어 전극190a 및 190b에 끼인 피막들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 수행되며,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5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 제어 동작을 종료한 상기 유량 측정 모드로 리턴한다.Therefore, when the set time is reached,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351 and generates the sensor driving power for driving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by controlling the power conversion unit 185 in step 353, wherein the sensor driving power is fine. It can be a power sourc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0 outputs the sensor control signal to the sensor control unit 140 in step 355. Then, the sensor control unit 140 switches the sensor control signal to generate the sensor driving power as a fine alternating power to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o apply. Then,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are vibrated by the fine alternating power source to remove the coatings stuck on the electrodes 190a and 190b.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for a set time, and when the set time ends,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357 and returns to the flow measurement mode where the sensor control operation ends.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측정모드의 연속적 측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측정모드의 변경을 예로서 설명한 것이고 다른 여하한의 변경, 수행 중에도 측정모드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tinuous measurement of the measurement mode, the change of the measurement mod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measurement mode is continuously performed even while changing or performing any other change.

도 1은 전자 유량 측정기의 유량 측정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explaining the flow measurement principle of an electromagnetic flow meter.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측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w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유량측정기에서 제어부, 코일구동부 및 검출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 coil driver, and a detector in the flow meter of FIG. 2.

도 4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량측정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flow met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도 5는 도 4의 외부 입력시의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at the time of external input of FIG.

도 6은 도 4의 센서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6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controlling the sensor of FIG.

Claims (10)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In the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유체가 통과되는 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At least one coil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ub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상기 관의 상기 코일과 다른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At least one electrode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oil of the pipe; 다중 주파수를 구비하며, 측정 유체에 따른 측정주파수 및 전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측정주파수에 따른 방형파를 생성하고, 검출된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며, 설정시간에서 유체의 속도에 비례하여 전압이 유기되는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제어신호 및 센서전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It has multiple frequencies, selects the measurement frequency and power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fluid, generates the square wave according to the selected measurement frequency, analyzes and processes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and the voltage is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fluid at the set tim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ensor control signal and a sensor pow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sensor to be released;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변환부와,A power conversion unit generating power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상기 방형파에 의해 교번 스위칭되어 상기 측정 전원을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코일구동부와,A coil driver which is alternately switched by the square wave to apply the measurement power to the coil; 상기 센서에 유기되는 기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A detector for detecting electromotive force induced by the sensor; 상기 센서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센서전원을 교번 스위칭하여 상기 센서의 피막 코팅을 제거하는 센서제어부와,A sensor control unit which alternately switches the sensor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by the sensor control signal to remove the coating of the sensor;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처리된 유량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ocessed flow measurement data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측정 모드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설정된 유체의 측정모드를 유지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변경 측정 모드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 완료시 상기 측정모드를 변경하는 키입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When a measurement mode change is required by the user's selection, the controller sets the change measurement mo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measurement mode of the fluid, and changes the measurement mode upon completion of the setting. A flow meter control device comprising an in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유체 종류에 따른 측정주파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It has a memory for storing the measurement frequency data according to the fluid type,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측정 유체 종류를 확인하여 상기 방형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The control unit is a control device of the flow met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square wave by checking the type of the measurement flui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적어도 두개로 구성되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or is composed of at least two, 센서제어부는 적어도 두개의 스위칭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교번 스위칭 제어신호인 상기 센서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들이 구동되어 피막 코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The sensor controller includes at least two switching elements, and the switching elements are driven by the sensor control signal which is the alternating switching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coat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장착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s mounted to rotate at a set angle and is rotate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측정 주파수를 방형파로 생성하는 방형파 생성기와,A square wave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measured frequency as a square wave; 상기 검출된 측정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기와,A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into digital data; 상기 검출된 측정신호가 설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방형파를 변경하는 방형파변경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And a square wave changer for changing the square wave when the detected measurement sig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valu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성되는 방형파를 설정된 비율로 주파수를 가감하는 방형파가감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7. The control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square wave adder which adds or subtracts frequencies of the generated square wave at a set ratio.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두개로 구성되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il is composed of two, 상기 코일구동부가,The coil drive unit, 상기 방형파를 설정된 분주비로 분주하는 분주기와,A divider for dividing the square wave at a set division ratio; 상기 분주된 방형파를 버퍼링하는 버퍼와,A buffer for buffering the divided square wave, 적어도 두개의 스위칭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소자는 상기 전원변환부에서 생성되는 제1구동전원 및 제2구동전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분주된 방형파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가 교번 스위칭되어 상기 제1코일에서 제2코일로, 그리고 상기 제2코일에서 제1코일로 전류 패스를 형성하여 관 내에 자력선을 생성하는 드라이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It is composed of at least two switching elements, the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riving power source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generated in the power conversion unit and the switching element is alternately switched by the divided square wave to the first And a driver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line in the pipe by forming a current path from the coil to the second coil and from the second coil to the first coil.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측정된 유량 데이터를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flow rate data to an external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9항에 있어서, 검출부가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etection unit 상기 센서에서 검출되는 기전력을 증폭하는 증폭기와,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electromotive force detected by the sensor; 상기 증폭된 검출신호를 파형정형하는 파형정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측정기의 제어장치.And a waveform shaper for waveform shaping the amplified detection signal.
KR2020070019403U 2007-12-03 2007-12-03 Device for controlling of flow measuring unit KR2004413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403U KR200441313Y1 (en) 2007-12-03 2007-12-03 Device for controlling of flow measur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403U KR200441313Y1 (en) 2007-12-03 2007-12-03 Device for controlling of flow measur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313Y1 true KR200441313Y1 (en) 2008-08-06

Family

ID=4164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403U KR200441313Y1 (en) 2007-12-03 2007-12-03 Device for controlling of flow measur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31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9961B2 (en) Magnetic flow meter with multiple coils
US7423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non-destructive and contactless detection of faults in a test piece which is moved relative to a probe
JP6364470B2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with automatic adjustment function based on detected complex impedance
CN101410698B (en) Magnetic flowmeter for measuring process flow and method therefor
JP5622936B2 (en) Noise detection and avoidance
JP2008224320A (en) Water meter
JP2005300534A (en) Method for operating magnetic dielectric flowmeter
CN105793675A (en) Method for operating a magnetic inductive measuring devic
RU2489684C1 (en) Electromagnet flow metre
JP2013088322A (en) Method for measuring flow velocity and flow volume
CN105043509A (en) Detecting method for liquid ultrasonic flowmeter and detecting system thereof
JP6183309B2 (en) Flow meter and insulation deterioration diagnosis system
KR200441313Y1 (en) Device for controlling of flow measuring unit
JP5023836B2 (en) Two-wire field device
CN100371687C (en) Method of operating a measuring apparatus
CN112903043B (en) Multichannel ultrasonic flowmeter system
CZ20002941A3 (en) Method for the magnetic-inductive measurement of fluid flow
CN111417841B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viscosity of a medium by means of a coriolis mass flowmeter and coriolis mass flowmeter for carrying out the method
RU2631916C1 (en) Method of controlling fluid media flow measurement by electromagnetic flowmeter
US7110899B2 (en) Phase measurement in measuring device
CN210990370U (en) Ultrasonic drive circuit and ultrasonic lung function instrument
JP4160797B2 (en) Magnetic induction flow meter
JP2013257276A (en) Electromagnetic flow meter
CN107449474A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and misconnection line detecting method
JP2000028408A (en) Electromagnetic flow 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