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993Y1 - 소주 전용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소주 전용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993Y1
KR200440993Y1 KR2020070007556U KR20070007556U KR200440993Y1 KR 200440993 Y1 KR200440993 Y1 KR 200440993Y1 KR 2020070007556 U KR2020070007556 U KR 2020070007556U KR 20070007556 U KR20070007556 U KR 20070007556U KR 200440993 Y1 KR200440993 Y1 KR 200440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cooling
storage container
soju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익수
Original Assignee
권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익수 filed Critical 권익수
Priority to KR2020070007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9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주류를 냉각시킬 수 있는 소주 전용 냉각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소주 전용 냉각장치는 내부가 빈 보관함과, 냉각기를 포함한다. 보관함의 내부 바닥면에는 열교환을 시키는 냉각판이 설치되고, 이 냉각판의 위로 부동액이나 소금물이 충진된다. 그리고 보관함의 상부면상에는 부동액이나 소금물에 잠기는 다수의 수납통이 형성되며, 이 수납통들의 개방된 상부에는 이를 밀폐시키는 단열 마개가 구비된다. 또한, 수납통들의 상부면상 일측에는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수납통내에 저장되는 소주병의 온도를 체크하여 출력해주는 외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한편, 별도의 냉각기를 구비하여 냉각판으로 냉매를 순환시킨다. 마지막으로 보관함과 냉각기를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부를 포함하는데, 이 메인컨트롤부에서는 소주병이 사용자정의 최적의 온도에 도달되면 이를 각 수납통 번호별로 점멸 불빛으로 알려준다.

Description

소주 전용 냉각 장치{Apparatus for cool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주 전용 냉각장치 110 : 보관함
120 : 수납통 130 : 마개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냉각판
151 : 열전달유체 160 : 냉각기
170 : 메인컨트롤부
본 고안은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주를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영하로 냉각시켜 보냉 용기에 담아 손님 데이블에 제공함으로 장시간 냉각된채 영하의 소주를 마실 수 있게 하는 소주 전용 냉각장치 및 각각의 소주병을 실시간 현재온도를 체크할 수 있는 소주 전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주는 맛이 쓰고 열이 발생되는 주류로서 차게 해서 마시는 것이 좋다.
현재는 소주를 대부분 냉장고 등에 보관하여 냉장고의 온도 8℃ 안팎에서 냉각 및 보냉을 하게 된다.
이처럼 냉장고에 소주를 보관하게 되면 냉장이 잘 된거 잘 되지 않은거의 구별이 어렵고 금방 시원함이 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테이블이나 함 등에 주류용기를 넣을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하고 이 홀의 하부에서 냉각을 시켜 주류용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소주 냉각장치는 손님을 접대할때나 업소 등에서 손님에게 주류를 제공할 때 앉은 테이블에서 적절하게 냉각된 주류를 선택할 수 있는 잇점이 있지만, 손으로 만져보고 어떤 것이 적절한지를 파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냉각 방식에도 얼음을 넣어 사용하거나 냉각시킨 물을 순환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어 빠른 냉각을 도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냉각판과 부동액(소금물)으로 열전달을 빠르게 하면서 열전도율이 높은 수납통을 구비하여 소주병을 냉각시키고, 소주병의 현재온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소주 전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소주병을 넣어 냉각시키는 통상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냉각장치에 사용되는 열전달유체로 부동액이나 소금물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주 전용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냉각장치는 내부가 빈 보관함과, 보관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시키는 냉각판과, 보관함에 충진되는 열전달유체와, 보관함의 상부면상으로 개방되면서 열전달유체에 잠기는 다수의 수납통과, 수납통을 밀폐시키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냉각장치는 수납통들의 상부면상 일측에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수납통내에 저장되는 소주병의 온도를 체크하여 출력해 주는 외부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냉각장치는 냉각판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통상의 냉각기 및 보관함과 냉각기를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컨트롤부에는 소주병이 사용자정의 최적의 온도에 도달되면 이를 알려주는 점멸전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주 전용 냉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주 전용 냉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소주 전용 냉각장치(100)는 보관함(110)과, 냉각기(160)를 포함한다.
보관함(110)은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보관함(110)의 내부 바닥면상에는 냉각판(150)이 구비된다. 냉각판(150)은 통상의 냉각코일이 순환되는 것으로, 별도의 냉각기(160)에서 유입된 냉매가 냉각판(150)을 순환하면서 외부열을 빼앗아 되돌아가는 열교환기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냉각판(150)의 상부측 공간에는 열전달유체(151)가 충진된다. 바람직하게는 열전달유체(151)는 부동액이 사용된다. 또는, 열전달유체(151)는 소금물이 사용된다. 여기에서 열전달유체(151)로 부동액이나 소금물이 사용되는 이유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열전달 방식에는 공기에 의한 대류방식 및 전도나 복사를 이용한 방식이 있다. 이때, 대류 방식은 전도 방식에 비해 늦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개체를 공기 보다 물을 이용하는 방식이 최적이다.
그러나 물을 매개체로 사용할 때에는 물이 0℃에서 얼어 버리기 때문에 0℃이하에서는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열전달매체는 부동액이나 소금물을 이용하여 최대한 빠른 열전달을 도모하면서 낮은 온도에서 얼지 않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소금물의 농도는 -5℃에서 얼지 않을 정도로 유지되면 충분하다.
보관함(110)의 상부면상에는 다수의 수납통(120)이 형성된다. 수납통(120)은 상부가 개방된 길쭉한 컵 형상으로, 수납통(120)의 상부면상이 보관함(110)의 상부면상과 수평을 이루면서 수납통(120)의 아래쪽이 보관함(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결과적으로 수납통(120)이 열전달유체(151)에 잠기도록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납통(120)은 통상적으로 비교적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소재가 채택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납통(120)의 개방된 상부면상에는 각각 마개(130)가 형성된다. 마개(130)는 수납통(120)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단열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납통(120)들의 상부면상 옆에는 하나씩 외부 디스플레이부(140)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각각의 수납통(120)내의 온도를 체크하여 식별가능하도록 출력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온도체크를 위한 센서가 수납통(120)내의 소주병이 맞닿는 곳에 구비되며, 이를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출력만 해주는 것이다.
소주병이 맞닿는 곳이라 함은, 소주병의 뚜껑이 될 수 있고, 병의 외주면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온도센서를 두기 위해서 수납통(120)의 내부에 소주병의 뚜껑과 맞닿는 판(도시되지 않음)이나 또는, 소주병과 맞닿는 홀더(도시되지 않음) 등을 구비시켜 외부 디스플레이부(140)와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냉각기(160)는 냉각판(151)으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냉장고와 같은 통상의 냉동기가 사용된다.
또한, 보관함(110)의 어느 일측에는 메인컨트롤부(170)가 구비된다. 메인컨트롤부(170)는 냉각기(160) 및 보관함(110)을 제어하는 곳으로, 냉각기(160)를 제어하여 열전달유체(151)의 온도를 열전달유체(151)가 소금물일 경우에는 -5℃가 유지되도록 하고 부동액일 경우에는 그 이하의 온도로 유지해도 무관하다. 따라서 보관함(110)의 내부에는 열전달유체(151)의 온도를 체크하여 메인컨트롤부(170)로 전송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컨트롤부(170)에는 개별 디스플레이부(140)와 연결되어 수납통(120)내의 온도센서에서 체크된 온도가 사용자 정의에 의해 정해둔 최적의 온도에 도달되면 이를 알람해주는 알람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소주 전용 냉각장치(100)의 사용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냉각기(160) 및 메인컨트롤부(170)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냉각기(160)에서 냉각이 되면서 냉각판(150)으로 냉매가 순환되고, 이에 따라 열전달유체(151)가 냉각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열전달유체(151)가 냉각되면서 수납통(120)이 열전달유체(151)와 같은 온도로 냉각된다. 이때, 수납통(120)은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큰 열 손실이 없이 바로 수납통(120)의 내부로 전달된다.
한편, 냉각을 위한 소주병은 마개(130)를 열고 수납통(120)내에 넣은 후, 다시 마개(130)를 닫아 보관시킨다. 이때, 소주병을 넣은후 미도시된 온도센서가 구비된 판이나, 홀더를 소주병과 맞닿게 한 후, 마개(130)를 닫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처럼 수납통(120)에 소주병을 넣으면 병들과 맞닿은 곳에 위치한 온도센서가 이를 체크하여 디스플레이부(140)로 계속해서 현재의 온도를 출력해 주게 된다.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 소주병의 온도가 최적의 온도가 되면 이를 메인컨트롤부(170)에서 알람되고 이 알람소리를 듣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40)를 보면서 최적 상태의 소주병을 꺼내어 식음하게 된다. 이때, 최적의 온도는 -5℃가 된다.
한편, 메인컨트롤부(170)에서는 소리에 의한 알람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40)로 펄스방식 전기신호를 보내 빨간불 또는 파란불등이 점등되게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주 전용 냉각장치는 여러 개의 수납통속에서 마시기 좋은 최적의 온도를 설정해 주고 이 최적의 온도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하게 알려줄 수 있어 주의를 요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장치를 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할 시에는 편리성과 함께 많은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잇점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소주병을 넣어 냉각시키는 통상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내부가 빈 보관함(110)과, 상기 보관함(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시키는 냉각판(150)과, 상기 보관함(110)에 충진되는 통상의 열전달유체(151)와, 상기 보관함(110)의 상부면상으로 개방되면서 상기 열전달유체(151)에 잠기는 다수의 수납통(120)과, 상기 수납통(120)을 밀폐시키는 마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주 전용 냉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수납통(120)들의 상부면상 일측에는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통(120)내에 저장되는 소주병의 온도를 체크하여 출력해 주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4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주 전용 냉각장치.
KR2020070007556U 2007-04-18 2007-05-08 소주 전용 냉각 장치 KR200440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556U KR200440993Y1 (ko) 2007-04-18 2007-05-08 소주 전용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346 2007-04-18
KR2020070007556U KR200440993Y1 (ko) 2007-04-18 2007-05-08 소주 전용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993Y1 true KR200440993Y1 (ko) 2008-07-16

Family

ID=4164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556U KR200440993Y1 (ko) 2007-04-18 2007-05-08 소주 전용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9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918A (ko) * 2017-11-25 2019-06-04 박근배 캠핑용 소주 냉동고
KR20190060917A (ko) * 2017-11-25 2019-06-04 박근배 캠핑용 소주 냉동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918A (ko) * 2017-11-25 2019-06-04 박근배 캠핑용 소주 냉동고
KR20190060917A (ko) * 2017-11-25 2019-06-04 박근배 캠핑용 소주 냉동고
KR102034440B1 (ko) 2017-11-25 2019-10-24 박근배 캠핑용 소주 냉동고
KR102034439B1 (ko) 2017-11-25 2019-10-24 박근배 캠핑용 소주 냉동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3226A (en) Refrigerated beverage holder
US5207076A (en) Pitcher cooler
US3888092A (en) Device for changing the temperature of containers and their contents
US20150128619A1 (en) Cooling Device for Beverages
JP2016507042A (ja) 冷蔵装置
US104953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 fluid beverage below a beverage&#39;s freezing point
KR200440993Y1 (ko) 소주 전용 냉각 장치
CN203928569U (zh) 一种冰箱速冷装置以及冰箱
CN112512380A (zh) 饮料冷却器
WO2006006789A1 (en) A bottle cap to improve cooling efficiency and refrigeration method for using this
KR20220030787A (ko) 병의 저온 냉각장치
KR200225883Y1 (ko) 냉각/보온기능을 갖춘 식음료 용기
JP2002019894A (ja) 酒サーバ
KR101935833B1 (ko) 냉각 테이블
CN108703608A (zh) 一种可快速冷却或加热液体或用作冷藏容器的多功能杯子
CN216745149U (zh) 一种微型制冷器
RU18312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и подогрева жидкостей
JP6046387B2 (ja) 飲料容器
JP2556840Y2 (ja) 飲料注出装置
ES1301470U (es) Dispositivo para el enfriamiento acelerado por contacto, del contenido de un envase ,especialmente latas y botellas.
JPS623656Y2 (ko)
KR20070000065U (ko) 개량형 음료용 냉각컵
KR200339514Y1 (ko) 물병의 간이 냉각캡 및 냉각캡의 결합 구조
JPS581743Y2 (ja) 熱源容器
CN115342582A (zh) 液体为冷媒的快速冷却瓶装饮料和啤酒的冷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