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866Y1 - The bench press exercise system which will combine arm muscular motion - Google Patents

The bench press exercise system which will combine arm muscular mo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866Y1
KR200440866Y1 KR2020070008109U KR20070008109U KR200440866Y1 KR 200440866 Y1 KR200440866 Y1 KR 200440866Y1 KR 2020070008109 U KR2020070008109 U KR 2020070008109U KR 20070008109 U KR20070008109 U KR 20070008109U KR 200440866 Y1 KR200440866 Y1 KR 200440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rm
bench press
horizontal
press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1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광현
Original Assignee
박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현 filed Critical 박광현
Priority to KR2020070008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86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86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기 거치대가 구비된 벤치프레스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엉덩이로 앉거나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도록 마련된 평판 형태의 등 받침대와, 상기 등 받침대를 수평상태로 지지해주는 앞다리 및 뒷다리와, 상기 앞다리의 상부로 역기를 설치하기 위한 역기 거치대가 마련되는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뒷다리의 상부 외측면에는 외측을 향해 힌지 연결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힌지 연결부에는 수평부와 하부 도중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바벨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돌기가 형성되는 수직부가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회동수단이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벤치프레스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뒷다리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작동바가 형성되면서 상기 작동바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탱할 수 있는 패드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지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회동수단에는 반원형 형상으로 끝단 부근에 형성되는 결합공이 수평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연결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곡면부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곡면지게 형성되며 끝단에는 중공형의 수평가이드 봉이 고정결합되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수평가이드 봉에 손잡이를 삽입하고 사용자가 팔을 지지수단에 형성되는 패드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당기고 놓는 과정을 통해서 팔의 근육을 단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ch press exercise device equipped with a weight lifting cradle, a flat-type back pedestal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sit on his or her back or lie on his back, the front and rear legs supporting the back pedestal in a horizontal state,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ounterweight holder for installing the weights to the upper part of the front leg,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rear leg hinge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outward and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is a user-defined barbell i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lower half In the bench press exercise device is mounted so that the rotating means is formed integrally bent to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with a mounting projection that can be mounted on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operating ba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leg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on bar has a pad that can support the user's arm The support means is installed inclined, the rotating means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end is a curved portion rotatably coupl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has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end is equipped with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an extension part to which the hollow horizontal guide rod is fixedly coupled, and inserts a handle into the horizontal guide rod, and the user grips the handle while supporting the arm on a pad formed on the support means. Characterized by the muscles of the arm through the process of pulling and releasing.

본 고안에 따르면, 역기 거치대가 마련된 타측으로 팔에 근육을 발달시키는 암컬 운동기구을 장착하여 누구나 신장의 구애 없이 암컬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컬 운동시 사용되는 매트의 중앙으로 안내홈을 형성하여 정확한 팔 운동자세를 가지고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a female exercise equipment to develop muscles on the arm to the other side provided with a weight lifting cradle, anyone can not only perform the female movement without regard for the height of the kidney, and also form a guide groove to the center of the mat used during the female movement It is effective to exercise with arm posture.

벤치프레스 운동장치, 본체, 회동수단, 지지수단, 연결부재, 손잡이. Bench press exercise device, main body, rotation means, support means, connecting member, handle.

Description

암컬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벤치프레스 운동장치{The bench press exercise system which will combine arm muscular motion}The bench press exercise system which will combine arm muscular motion}

도 1 및 2는 종래의 벤치프레스 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nch press exercise devic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프레스 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bench press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프레스 운동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rotation means constituting the bench press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프레스 운동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constituting the bench press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프레스 운동장치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means constituting the bench press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8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프레스 운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7 and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ench press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1 : 벤치프레스 운동장치, 10 : 본체, 1: bench press exercise device, 10: main body,

12 : 등 받침대, 14 : 앞다리, 12: backrest, 14: forelimbs,

16 : 뒷다리, 18 : 힌지 연결부, 16: rear leg, 18: hinge connection,

20 : 회동수단, 21 : 수평부, 20: rotation means, 21: horizontal part,

22 : 수직부, 23 : 힌지공, 22: vertical portion, 23: hinge hole,

24 : 연결부, 30 : 지지수단, 24: connection portion, 30: support means,

32 : 작동바, 34 : 패드,32: operation bar, 34: pad,

36 : 안내홈, 40 : 연결부재, 36: guide groove, 40: connecting member,

42 : 곡면부, 44 : 연장부, 42: curved portion, 44: extension portion,

46 : 결합공, 48 : 수평가이드 봉, 46: coupling hole, 48: horizontal guide rod,

50 : 손잡이.50: the handle.

본 고안은 역기 거치대가 구비된 벤치프레스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기 거치대가 마련된 타측으로 팔에 근육을 발달시키는 암컬 운동기구을 장착하여 역기 운동과 더불어 누구나 신장의 구애 없이 암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암컬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벤치프레스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ch press exercise device equipped with a barbell cradle, more specifically to the other side equipped with a barbell cradle is equipped with a female exercise equipment for developing muscles in the arm and with the barbell exercise anyone can do a female exercise without regard to the kidneys It relates to a bench press exercise device that can also function as a female exercise.

일반적인 벤치프레스 운동장치(100)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엉덩이로 앉거나 등을 대고 누울 수 있게 마련된 평판 형태의 등 받침대(220)와, 상기 등 받침대(220)를 수평상태로 지지해주는 앞다리(240) 및 뒷다리(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general bench press exercise apparatus 100 supports the back support 220 in a flat form, and the back support 220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it with his butt or lie on his back as shown in FIG. 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ront leg 240 and the rear leg 260.

그리고 상기 벤치프레스 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부근(앞 다리가 형성되는 부근)으로 역기 거치대(320)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역기 거치대(32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역기(340)가 거치 되어 사용자가 상기 등 받침대(220)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역기(340)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도록 되어있다. In addition, the bench press exercise apparatus 100 has a barbell holder 320 extended to the vicinity of the head of the user (where the front leg is formed), and the barbell bracket 340 selected by the user on the barbell holder 320. ) Is mounted so that the user lifts the barbell 340 in a state of lying on the back pedestal 220.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벤치프레스 운동장치(100)는 수평상태로 누워서 역기(340)를 들어올리는 단편적인 운동만 할 수 있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보조기구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다른 운동 즉, 윗몸일으키기 또는 노젓기 운동 등의 부가적인 운동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bench press exercise apparatus 100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ation that can only perform a partial exercise of lifting the weights 340 by laying down in a horizontal state, even if additional auxiliary devices are installed, that is, other exercises, such as sit-ups or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effectively provide additional exercise, such as rowing exercise.

또한, 상기 벤치프레스 운동장치(100)와 같이 하나의 목적만을 달성하기 위한 운동기구는 이용자의 흥미를 쉽게 잃게 하여 오랫동안 꾸준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며, 한가지 운동만을 너무 지속적으로 하더라도 신체의 전체적인 균형이 무너져 오히려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exercise equipment for achieving only one purpose, such as the bench press exercise device 100,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lose the interest of the exercise can be steadily for a long time, significantly reduced, even if only one exercise too continuous bod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verall balance of the collapse would rather adversely affect health.

도시된 도 2는 기존의 벤치프레스 운동장치(100)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역기 거치대(320)가 마련되는 타측으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조수단(400)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2 is shown to be mad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bench press exercise apparatus 100, the auxiliary auxiliary means 400 is mounted to the leg exercise to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the counterweight cradle 320 It is shown.

즉, 상기 보조수단(400)은 상기 뒷다리(260)의 상부 측면으로 힌지 연결부(180)가 외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힌지 연결부(180)에는 수평부(420)와 수직부(440)가 수직 또는 곡면지게 절곡형성되며, 상기 수평부(420)와 수직부(440)가 맞닿는 꼭지점이나 곡면지점에는 힌지공(460)이 형성된다. That is, the auxiliary means 400 has a hinge connection portion 180 protrudes outwar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rear leg 260, and the horizontal portion 420 and the vertical portion 440 is formed in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180 It is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or curved, the hinge hole 460 is formed at the vertex or curved point where the horizontal portion 420 and the vertical portion 440 abuts.

이때, 상기 수직부(44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바벨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돌기(480)가 소정구간 돌출형성되고, 상기 수직부(440)의 끝단에는 사용자가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작동봉(490)이 장착된다. At this time, the vertical portion 44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rojection 480, which can be mounted to the barbell selected by the user protrudes a predetermined section, the operating rod (6) at th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440 so that the user can move smoothly ( 490 is mounted.

즉, 사용자가 등 받침대(220)에 앉은 상태에서 수평부(420)에 장착되는 작동봉(490)을 발을 이용하여 상, 하 운동함으로써 다리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user is to exercise the leg by moving the operating rod 490 moun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420 in the state sitting on the back pedestal 220, using the feet up and down.

그러나 상기 운동기구는 단순히 다리 운동에 극한되어 사용하다 보니 팔 운동을 해야할 경우 집에서는 팔 운동기구를 구입해야하고 헬스장에서는 다른 팔 운동기구를 찾아서 다시 운동해야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한 운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exercise equipment is simply used for leg exercise, so if you need to exercise, you have to buy arm exercise equipment at home, and at the gym, you need to find another arm exercise equipment and have to exercise again. .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역기 거치대가 마련된 타측으로 팔에 근육을 발달시키는 암컬 운동기구을 장착하여 역기 운동과 더불어 누구나 신장의 구애 없이 암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암컬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벤치프레스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quipped with a female exercise device to develop muscles in the arm to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weight lifting cradle with a weight lifting exercise to enable anyone to do a female exercise without the courtship of the kidney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ench press exercise device that can serve a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엉덩이로 앉거나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도록 마련된 평판 형태의 등 받침대와, 상기 등 받침대를 수평상태로 지지해주는 앞다리 및 뒷다리와, 상기 앞다리의 상부로 역기를 설치하기 위한 역기 거치대가 마련되는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뒷다리의 상부 외측면에는 외측을 향해 힌지 연결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힌지 연결부에는 수평부와 하부 도중으로 사용자 가 지정한 바벨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돌기가 형성되는 수직부가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회동수단이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벤치프레스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뒷다리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작동바가 형성되면서 상기 작동바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탱할 수 있는 패드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지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회동수단에는 반원형 형상으로 끝단 부근에 형성되는 결합공이 수평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연결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곡면부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곡면지게 형성되며 끝단에는 중공형의 수평가이드 봉이 고정결합되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수평가이드 봉에 손잡이를 삽입하고 사용자가 팔을 지지수단에 형성되는 패드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당기고 놓는 과정을 통해서 팔의 근육을 단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ck of the flat plate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it or lie on the back, the front and back legs supporting the back support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on the upper leg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ounterweight holder for installati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rear leg is formed with a hinge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outward and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can be mounted to the user specified barbell i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lower half In the bench press exercise device is mounted so that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integrally bent to rotate around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operating ba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leg while the us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bar Support means to install a pad that can support the arm The rotating means has a semicircular shape,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is formed to b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end is a hollow horizontal guide rod Mounting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fixed extension portion, th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guide rod and the arm muscles through the process of pulling and releasing the handle while the user supports the pad formed on the support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ining.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프레스 운동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프레스 운동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프레스 운동장치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rotation means for configuring a bench press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constituting the bench press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means for configuring a bench press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암컬 운동을 겸할 수 벤치프레스 운동장치(이하, '벤치프레스 운동장치' 라함)(1)는 사용자가 엉덩이로 앉거나 등을 대고 누울 수 있고 역기 거치 대가 마련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장착되는 회동수단(20)과,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지지수단(30)과, 팔 운동시 최대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연결부재(40)로 대별할 수 있다.Bench press exercis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nch press exercise device") that can serve as a female exercise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user can sit with his hips or lie on his back,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weight lifting cradle, Rotating means 20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support means 30 mounted on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that can make the most effect during the arm movement can be roughly divided have.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엉덩이로 앉거나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도록 마련된 평판 형태의 등 받침대(12)와, 상기 등 받침대(12)를 수평상태로 지지해주는 앞다리(14) 및 뒷다리(16)와, 상기 앞다리(14)에 상부를 향해 연장형성되는 역기 거치대(14a)로 구성된다. The main body 10 has a flat backrest 12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a user can sit on his or her back or lie on his back, and the front and rear legs 14 and 16 supporting the backrest 12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front leg 14 is composed of a counterweight cradle 14a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여기서 상기 앞다리(14)와 뒷다리(16)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앞다리(14)가 H 형상으로 형성되고, 뒷다리(16)가 수평바의 중앙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수직바가 일체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front leg 14 and the rear leg 1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leg 14 is formed in the H shape, and the rear leg 16 has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bar. An example in which the vertical bars formed are integrally described will be described.

그리고 상기 본체(10)를 구성하는 뒷다리(16)의 상부 측면에는 외측을 향해 힌지 연결부(18)가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힌지 연결부(18)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두 개를 소정의 간격(상기 회동수단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용접을 통해서 뒷다리(16)에 고정결합한 후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18a)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연결부(18)는 평판 두 개가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In addition, a hinge connection portion 18 protrudes outward from an upper side of the rear leg 16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 and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18 has two flat plate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After the fix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rear leg 16 through a welding space), the hole 18a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8 reveals that two flat plates may be formed integrally.

상기 뒷다리(16)에 형성되는 힌지 연결부(18)와 결합하는 회동수단(20)은 수평부(21)와 수직부(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21)와 수직부(22)가 맞닿는 꼭지점이나 곡면에는 힌지 연결부(18)와 결합을 위한 힌지공(23)이 형성된다.The rotating means 20 which is coupled to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8 formed on the rear leg 16 has a horizontal portion 21 and a vertical portion 22 integrally formed, and the horizontal portion 21 and the vertical portion 22 The hinge hole 23 for coupling with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18 is formed at the vertex or the curved surface that a) contact.

즉, 상기 회동수단(20)은 힌지공(23)을 상기 힌지 연결부(18)와 볼트와 너트를 통해서 고정결합하여 상기 힌지공(23)을 중심으로 상, 하 회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ivoting means 20 is fixed to the hinge hole 23 through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8 and the bolt and nut to be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hinge hole (23).

그리고 상기 회동수단(20)에 형성되는 수평부(21)는 저면 일측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동일선상에는 연결공(24a)이 형성되는 연결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22)의 하부 도중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무게의 바벨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돌기(26)가 형성되는데, 상기 장착돌기(26)는 바벨이 운동중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 하 이동으로 인한 소음과 충격량이 상기 본체(10)에 전달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완충고무(27)가 장착된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21 formed on the pivoting means 2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oward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onnection portion 24 having a connection hole 24a is formed on the same line, and the vertical portion 22 is formed. Dur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rojections 26 for mounting the barbell of the user's desired weight is formed, the mounting projections 26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side to prevent the barbell from falling during the movement and the rear, up and down movement Due to the noise and impact due to the shock absorbing rubber 27 to reduce the transmission to the main body 10 is mounted.

상기 뒷다리(16)의 상부에 사용자의 암컬 운동(팔 근육운동)을 위한 설치되는 지지수단(3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작동바(32)와 상기 작동바(32)의 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을 지탱할 수 있는 패드(34)로 구성된다. The support means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leg 16 for the user's arm movement (arm muscle movement) is fixed to the operating bar 32 and the operating bar 32 is forme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ad 34 that is engaged and can support the user's arm.

그리고 상기 작동바(32)에는 사용자에 신장에 따라 상기 지지수단(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공(32a)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공(32a)에는 상기 작동바(32)의 높이 조절에 따른 고정을 위한 조절레버(38)가 장착된다. And the operation bar 32 is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hole (32a)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means 30 in accordance with the user to the height and the height adjustment hole (32a) of the height of the operation bar 32 The control lever 38 for fixing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is mounted.

또한, 상기 작동바(32)의 경사지게 장착되는 패드(34)는 사용자가 암컬 운동시 지탱되는 팔꿈치를 아픔 없이 지탱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이나 쿠션재질을 선택하여 형성되고 중앙 부근에는 상기 회동수단(20)의 작동시 수평부(21)를 최대한 당길 수 있도록 안내홈(36)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ad 34 to be inclinedly mounted on the operation bar 32 is formed by selecting a rubber material or a cushion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support the elbows supported by the user without pain, and the rotation means 20 near the center. Guide grooves 36 are formed to pull the horizontal portion 21 as much as possible during the operation.

즉, 상기 패드(34)에 형성되는 안내홈(36)을 통해서 상기 회동수단(20)을 당길시 수직부분까지 회동수단(20)의 수평부(21)를 당기게 되고, 이는 곳 사용자의 팔의 사용자의 얼굴이 있는 지점까지 당길 수 있으므로 정확한 자세 및 팔의 단련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잘못된 자세로 인한 허리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pulling the rotating means 20 through the guide groove 36 formed in the pad 34, the horizontal portion 21 of the rotating means 20 is pulled up to the vertical por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user's arm. Because it can pull to the point of the user's face can not only correct the posture and arm training, but also prevent the back injury caused by the existing wrong posture.

상기 회동수단(2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운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40)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부(42)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곡면지게 형성되는 연장부(44)가 일체로 형성된다. The connecting member 40 mounted on the pivoting means 20 to transmit the user's exercise forc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42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an extension portion 44 formed to b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do.

그리고 상기 곡면부(42)의 끝단 부근으로는 상기 수평부(21)에 형성되는 연결부(24)와 볼트와 너트를 통해서 결합되는 결합공(46)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4)의 끝단에는 중공형의 수평가이드 봉(48)이 고정결합되되, 상기 수평가이드 봉(48)에는 사용자가 회동수단(20)과 연결부재(40)를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50)가 장착된다.In addition, near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42, a coupling portion 46 form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24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21 and a bolt and a nut is formed, and an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44 is formed. There is a hollow horizontal guide rod 48 is fixedly coupled, the horizontal guide rod 48 is equipped with a handle 50 so that the user can pull the rotating means 20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이때, 상기 수평가이드 봉(48)의 내부에는 상기 손잡이(50)의 단단한 고정을 위해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guide rod 48 reveals that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to secure the handle 50.

또한, 상기 연결부재(40)에 형성되는 연장부(44)의 저면으로 상기 회동수단(20)과 연결부재(40)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재(60)가 장착된다. In addition, a buffer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to alleviate the noise and impact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rotation means 20 and the connection member 40 to the bottom of the extension portion 44 formed in the connection member 40 The member 60 is moun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7 및 8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프레스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측면도이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Figures 7 and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ench press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평판 형태의 등 받침대(12)와, 상기 등 받침대(12)를 수평상태로 지지해주는 앞다리(14) 및 뒷다리(16)와, 상기 앞다리(14)를 상부를 향해 연장형성하여 역기 거치대(14a)가 형성되는 본체(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뒷다리(16)의 상부 외측면에는 구멍(18a)이 형성되는 힌지 연결부(18)를 고정결합한다. First, the back pedestal 12 in the form of a plate, the fore leg 14 and the back leg 16 supporting the back pedestal 12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front leg 14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cradle ( A main body 10 in which 14a) is formed is formed. At this time, the hinge outer portion 18 is formed i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rear leg 16 is fixedly coupled.

그리고 상기 힌지 연결부(18)에는 끝단의 저면에 연결부(24)가 형성되는 수평부(21)와 하부 도중으로 장착돌기(26), 완충부재(27)가 형성되는 수직부(22)가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회동수단(20)을 장착하되, 상기 회동수단(20)은 상기 수평부(21)와 수직부(22)가 맞닿는 곡면에 형성되는 힌지공(23)을 상기 힌지 연결부(18) 사이에 개재한 후 볼트와 너트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고정결합한다. In addition,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8 is integrally formed with a horizontal portion 21 having a connecting portion 24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nd, and a vertical portion 22 having a mounting protrusion 26 and a buffer member 27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rotating means 20 is formed to be bent, wherein the rotating means 20 has a hinge hole 23 formed on a curved surface where the horizontal portion 21 and the vertical portion 22 abut between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18. After intervening in the housing, fix it with a bolt and nut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다음으로 상기 뒷다리(16)의 상부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작동바(32)가 형성되면서 상기 작동바(32)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탱할 수 있는 패드(34)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지수단(30)을 장착한다. Next, while the operating bar 32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leg 16, the support means in which the pad 34 capable of supporting the user's arm is inclin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bar 32 ( 30).

그리고 상기 회동수단(20)에는 반원형 형상으로 끝단 부근에 형성되는 결합공(46)이 수평부(21)의 저면에 형성되는 연결부(24)와 회동가능하고 결합되는 곡면부(42)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곡면지게 형성되며 끝단에는 중공형의 수평가이드 봉(48)이 고정결합되는 연장부(44)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재(40)를 장착하면 벤치프레스 운동장치(1)의 조립은 완료된다. In addition, the rotating means 20 has a coupling portion 46, which is formed in the semicircular shape near the end, is rotatable and coupl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 2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21, and predetermined It is formed to have a curved length and the end of the assembly of the bench press exercise device (1) is equipped with a connecting member 40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ortion 44 is fixed to the hollow horizontal guide rod 48 is fixed to the end Is complet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결부재(40)에 형성되는 수평가이드 봉(48) 에 손잡이(50)를 삽입한 후 당기면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회동수단(20)의 연결부(24)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여 상기 회동수단(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도시된 도7)In the above state, when the user inserts the handle 50 into the horizontal guide rod 48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 40 and pulls the connecting member 40 to connect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rotation means 20. Rotation to the center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rotating means 20. (Fig. 7)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도시된 도7)에서 상기 연결부재(40)에 장착되는 손잡이(50)를 잡아당기게 되면 연결부재(40)는 연동작동하여 상기 힌지 연결부(18)를 중심으로 회동수단(20)을 당기게 된다.And when pulling the handle 50 mounted to the connecting member 40 in the above state (Fig. 7), the connecting member 40 is interlocked to operate the pivot means about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8 ( 20) is pulled.

다음으로, 사용자가 힘을 최대한 발휘하여 상기 연결부재(40)에 장착되는 손잡이(50)를 최대한 당기게 되면 회동수단(20)의 수평부(21)는 패드(34)의 안내홈(36)까지 최대한 회동하고 이와 연결된 연결부재(40)는 사용자의 팔의 각도 만큼 더 이동을 하여 그만큼의 팔의 운동효과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Next,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50 mounted on the connecting member 40 to the maximum by using the maximum force, the horizontal portion 21 of the rotation means 20 is up to the guide groove 36 of the pad 34. Rotating as far as possibl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40 is to move further by the angle of the user's arm to see the effect of the movement of the arm.

이와 같이 한 곳에 설치되는 벤치프레스 운동장치를 통해서 역기 운동과, 팔운동을 병행할 수 있어 시간절약과 더불어 균형적인 몸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such, the bench press exercise device installed in one place can perform both weight exercise and arm exercise to form a balanced body with time savings.

본 고안에 따르면, 역기 거치대가 마련된 타측으로 팔에 근육을 발달시키는 암컬 운동기구을 장착하여 누구나 신장의 구애 없이 암컬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컬 운동시 사용되는 매트의 중앙으로 안내홈을 형성하여 정확한 팔 운동자세를 가지고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a female exercise equipment to develop muscles on the arm to the other side provided with a weight lifting cradle, anyone can not only perform the female movement without regard for the height of the kidney, and also form a guide groove to the center of the mat used during the female movement It is effective to exercise with arm posture.

Claims (3)

사용자가 엉덩이로 앉거나 등을 대고 누울 수 있도록 마련된 평판 형태의 등 받침대(12)와, 상기 등 받침대(12)를 수평상태로 지지해주는 앞다리(14) 및 뒷다리(16)와, 상기 앞다리(14)의 상부로 역기를 설치하기 위한 역기 거치대(14a)가 마련되는 본체(10)를 구성하고, 상기 뒷다리(16)의 상부 외측면에는 외측을 향해 힌지 연결부(18)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힌지 연결부(18)에는 수평부(21)와 하부 도중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바벨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돌기(26)가 형성되는 수직부(22)가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회동수단(20)이 힌지 연결부(18)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벤치프레스 운동장치에 있어서, Back plate 12 in the form of a flat plat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hips or lying on the back, the front legs 14 and the rear legs 16 supporting the back support 12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front legs 14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unterweight holder 14a for installing the counterweigh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nd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8 protrudes toward the outside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rear leg 16 and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8, the pivoting means 20 integrally bent to the horizontal portion 21 and the vertical portion 22 formed with a mounting protrusion 26 for mounting the barbell designated by the user to the lower half is hinged connection portion ( In the bench press exercise device mounted to rotate about 18), 상기 뒷다리(16)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작동바(32)가 형성되면서 상기 작동바(32)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탱할 수 있는 패드(34)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지수단(30)이 장착되고, The support means 30 in which an operating bar 32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leg 16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inclined pad 34 supporting the user's arm is inclin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ng bar 32. Is fitted, 상기 회동수단(20)에는 반원형 형상으로 끝단 부근에 형성되는 결합공(46)이 수평부(21)의 저면에 형성되는 연결부(24)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곡면부(42)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곡면지게 형성되며 끝단에는 중공형의 수평가이드 봉(48)이 고정결합되는 연장부(44)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재(40)를 장착하고, The rotating means 20 has a coupling portion 46 formed in the semi-circular shape near the end portion, the curved portion 42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21, and predetermined It is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length and the end is equipped with a connecting member 40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extension portion 44 is fixed to the horizontal guide rod 48 of the hollow type, 상기 수평가이드 봉(48)에 손잡이(50)를 삽입하고 사용자가 팔을 지지수단(30)에 형성되는 패드(34)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50)를 당기고 놓는 과정을 통해서 팔의 근육을 단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컬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벤치프레스 운동장치.Inserting the handle 50 into the horizontal guide rod 48 and the muscle of the arm through the process of pulling and releasing the handle 50 while the user supports the arm to the pad 34 formed on the support means 30 Bench press exercise device that can serve as a female exercis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ining.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수단(30)에 형성되는 패드(34)는 중앙 부근으로 상기 회동수단(20)의 작동시 수평부(21)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도록 안내홈(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컬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벤치프레스 운동장치.The pad 34 formed on the support means 30 has a guide groove 36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so as to accommodate the horizontal portion 21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rotation means 20 is operated. Bench press exercise equipment that can combine exercis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재(40)에 형성되는 연장부(44)의 저면으로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재(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컬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벤치프레스 운동장치.Bench press exercise device that can serve as a female mov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member 6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44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40.
KR2020070008109U 2007-05-17 2007-05-17 The bench press exercise system which will combine arm muscular motion KR20044086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109U KR200440866Y1 (en) 2007-05-17 2007-05-17 The bench press exercise system which will combine arm muscular mo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109U KR200440866Y1 (en) 2007-05-17 2007-05-17 The bench press exercise system which will combine arm muscular mo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866Y1 true KR200440866Y1 (en) 2008-07-04

Family

ID=4163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109U KR200440866Y1 (en) 2007-05-17 2007-05-17 The bench press exercise system which will combine arm muscular mo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86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910B1 (en) * 2014-11-21 2015-06-10 이차영 Health machine
KR102154302B1 (en) * 2020-06-25 2020-09-09 주식회사 인사이트 A back-muscle strengthen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910B1 (en) * 2014-11-21 2015-06-10 이차영 Health machine
KR102154302B1 (en) * 2020-06-25 2020-09-09 주식회사 인사이트 A back-muscle strengthen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9562A (en) Total abdominal workout machine
US9993681B2 (en) Core training bench
US20060166799A1 (en)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KR102092669B1 (en) A foldable pilates exercise machine that enables efficient pilates operation
WO1993004738A1 (en) Training apparatus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US7172539B1 (en) Abdominal exercising support apparatus
US20040014570A1 (en) Exercise bench
KR200440866Y1 (en) The bench press exercise system which will combine arm muscular motion
KR200463833Y1 (en) Equipment for abdominal muscles sporting
US4662631A (en) Bench-type exercising apparatus
CN112843621A (en) Stretching exercise device for arm training
EP3181198B1 (en) Portable abs exercise device
KR200495994Y1 (en) Multi-use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cables
US6712743B2 (en) Multi-functional exerciser
KR200464221Y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KR200451492Y1 (en) Rowing Machine
KR200451925Y1 (en) Rowing fitness equipment
KR20180138056A (en) a pull-up bar with a support
CN210472948U (en) Comprehensive training ware based on galvanized pipe
KR200439611Y1 (en) The bench press exercise system which will combine a the back motion
KR200424860Y1 (en) Folding physical traninig machine
KR200463831Y1 (en) Health equipment for upper body handle control device
KR101392056B1 (en) Weight compound exercise equipment
KR101142731B1 (en) Health cycle for multi exerc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