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770Y1 - 트랙터 내측 피티오를 이용한 예취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내측 피티오를 이용한 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770Y1
KR200440770Y1 KR2020060030077U KR20060030077U KR200440770Y1 KR 200440770 Y1 KR200440770 Y1 KR 200440770Y1 KR 2020060030077 U KR2020060030077 U KR 2020060030077U KR 20060030077 U KR20060030077 U KR 20060030077U KR 200440770 Y1 KR200440770 Y1 KR 200440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frame
coupled
pto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308U (ko
Inventor
전현종
홍종태
최용
이충근
조영목
강영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20060030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77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7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4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9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4Cutting-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100)는 트랙터(200)의 하부에 지면과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121)(125)와, 트랙터(200)의 내측 PTO(240)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입력축(131)과, 입력축(131)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풀리(141)(142)(143)와, 풀리(141)(142)(143)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잔디나 풀을 절단하는 절단날(151)(154)(157)과, 절단날(151)(154)(157)에 의해 절단된 잔디나 풀을 트랙터(200)의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부재(161)와, 프레임(11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트랙터(200)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예취장치(100)는 소형 트랙터(200)의 앞바퀴(210)와 뒷바퀴(2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잔디와 같은 풀을 예취함으로써 정원, 공원, 잔디밭 등을 관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취장치, 내측 PTO, 트랙터, 절단날, 풀리, 벨트

Description

트랙터 내측 피티오를 이용한 예취장치{Mower using the inside PTO of tracto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가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예취장치 110...프레임
112...롤러 113...연결대
114...앞바퀴고정대 115...뒷바퀴고정대
121...앞바퀴 122...앞바퀴높이조절대
125...뒷바퀴 126...뒷바퀴높이조절대
131...입력축 132...기어박스
134...텐션조절풀리 141,142,143...제 1,2,3 풀리
144,145,146...제 1,2,3 회전축 147,148,149...제 1,2,3 축하우징
151,154,157...제 1,2,3 절단날 161...배출안내부재
162...절단물 안내부재
본 고안은 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내측 PTO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아 잔디와 같은 풀을 깎는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취장치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절단날을 이용하여 잔디와 같은 풀을 깎는 장치로, 절단날이 자체 동력원 또는 외부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외부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예취장치는 트랙터나 관리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된다. 최근에는 45마력 이하의 소형 트랙터가 출시되면서 외국에서는 소형 트랙터에 부착되어 정원, 공원, 잔디밭 등을 관리할 수 있는 미드모어(Mid-mower)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미드모어는 트랙터의 내측 PTO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한다.
그런데, 현재 출시되고 있는 미드모어는 제조사별로 부착 방법이 달라서 자 체제작 트랙터에 맞는 미드모어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미드모어의 개발이 미흡하여 해외에서 미드모어를 구입하여 트랙터와 함께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출용 트랙터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미드모어의 수입대체효과를 가질 수 있는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는 트랙터의 하부에 지면과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와, 트랙터의 내측 PTO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풀을 절단하는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된 풀을 상기 트랙터의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트랙터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일단은 상기 트랙터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에 결합되는 작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바가 움직이면 상기 연결로드 및 상기 지지대가 이에 연동하면서 상기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 을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는 상기 프레임을 상기 트랙터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단은 상기 트랙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리는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각 풀리에는 상기 절단날이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풀리는 구동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복수의 바퀴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각 바퀴고정대에는 바퀴높이조절대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바퀴높이조절대에는 상기 각 바퀴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날은 절단되는 풀이 바람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곡된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가 트랙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100)는 복수의 바퀴(121)(125)가 구비된 프레임(110)과, 트랙터(200)의 내측 PTO(240)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입력축(131)과, 입력축(131)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풀리(141)(142)(143)와, 각 풀리(141)(142)(14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절단날(151)(154)(157)과, 절단된 풀을 안내하는 배출안내부재(161)와, 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해주는 높이조절장치(17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트랙터(200) 하부의 트랙터 앞바퀴(210) 및 뒷바퀴(220) 사이에 설치된다.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연결부재(111)와 롤러(112)가 구비되고, 연결부재(111)에는 트랙터(20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230)에 결합된 연결대(113)의 단부가 결합된다. 프레임(110)의 전후방에는 한 쌍의 앞바퀴(121)를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앞바퀴고정대(114)와 한 쌍의 뒷바퀴(125) 설치를 위한 한 쌍의 뒷바퀴고정대(116)가 설치된다.
앞바퀴고정대(114)에는 앞바퀴(121)가 결합된 앞바퀴높이조절대(122)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뒷바퀴고정대(116)에는 뒷바퀴(125)가 결합된 뒷바퀴높이조절대(126)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바퀴높이조절대(122)(126)에는 복수의 핀공(123)(127)이 구비되고, 각 바퀴고정대(114)(116)에는 각 핀공(123)(127)에 대응하는 고정공(115)(117)이 구비된다. 각 바퀴높이조절대(122)(126)를 각 바퀴고정대(114)(116)에 일정 높이로 설치한 후 핀공(123)(127)과 고정공(115)(117)을 일치시키고 고정핀(미도시)을 핀공(123)(127)을 통해 고정공(115)(117)에 삽입하면 각 바퀴(121)(125)의 설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앞바퀴(121)는 앞바퀴높이조절대(122)에 36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지지부재(124)에 결합되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반면, 뒷바퀴(125)는 뒷바퀴높이조절대(126)에 결합되되 앞바퀴(121)처럼 수평으로 회전하지는 않는다.
입력축(131)은 프레임(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기어박스(132)에 결합되고, 유니버셜조인트(133)를 통해 트랙터(20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내측 PTO(240)와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어박스(132)의 내부에는 입력축(131)과 제 1 회전축(144)을 기어 연결하는 기어(예컨대, 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입력축(131)이 회전하면 제 1 회전축(144)이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복수의 풀리(141)(142)(143)는 제 1 회전축(144)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제 1 풀리(141)는 기어박스(132)에서 돌출되어 프레임(110)에 고정된 제 1 축하우징(14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전축(144)에 결합되고, 제 2 및 제 3 풀리(142)(143)는 구동벨트(133)를 통해 제 1 풀리(141)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 2 풀리(142)는 프레임(110)에 고정된 제 2 축하우징(14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축(145)에 결합되고, 제 3 풀리(143)는 프레임(110)에 고정된 제 3 축하우징(14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3 회전축(146)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벨트(133)에는 제 1 내지 제 3 풀리(141)(142)(143) 이외에 구동벨트(133)의 텐션을 조절해주는 텐션조절풀리(134)가 결합된다. 텐션조절풀리(134)는 텐션조절스프링(135)에 의해 프레임(110)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복수의 절단날(151)(154)(157)은 지면을 향해 각 회전축(144)(145)(146)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절단날(151)(154)(157)의 양쪽 단부의 각 일측면에는 잔디와 같은 풀을 절단하기 위한 날(152)(155)(158)이 서있고, 그 맞은편에는 절단된 풀을 불어내기 위한 바람을 일으키는 절곡부(153)(156)(159)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이렇게 각 절단날(151)(154)(157)이 절곡부(153)(156)(159)를 구비함으로써 절단날(151)(154)(157)의 회전시 바람이 더 많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절단된 풀이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더 잘 배출될 수 있다.
배출안내부재(16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10)의 한쪽 측부에 연장 구비되어 절단날(151)(154)(157)에 의해 절단된 풀을 트랙터(200)의 측면으로 안내한다. 프레임(110) 내측의 각 절단날(151)(154)(157)의 후방에는 절단날(151)(154)(157)에 의해 절단된 풀을 배출안내부재(161)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절단물 안내부재(162)가 구비된다. 따라서, 절단날(151)(154)(157)이 회전하면서 프레임(110)이 전진하면 절단날(151)(154)(157)에 의해 절단된 풀은 프레임(110)의 내부 일측에 적체되지 않고 절단물 안내부재(162)와 배출안내부재(161)를 따라 프레임(110)의 측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높이조절장치(170)는 앞뒤바퀴(121)(125)를 포함한 프레임(110)의 지면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단은 트랙터(20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171)와, 지지대(171)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내지 제 3 연결로드(172)(173)(174)와, 제 3 연결로드(174)에 힌지 결합되는 작동바(175)를 포함한다. 작동바(175)는 트랙터(200)의 힌지장치(250)와 힌지 결합되어 힌지장치(250)가 움직이면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제 3 연결로드(174)를 움직이게 한다. 제 3 연결로드(174)가 움직이면 이와 연결된 제 2 및 제 1 연결로드(173)(172)가 연동하면서 지지대(171)를 회전시켜 프레임(110)을 승강시킨다. 지지대(171)가 프레임(110)을 상승시킬 때 프레임(110)은 앞바퀴(121)와 뒷바퀴(125)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되 뒷바퀴(125)가 앞바퀴(121)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기울어진다. 이때, 롤러(112)는 지면에 접하여 프레임(110)의 이동을 돕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바퀴(121) 및 뒷바퀴(125)가 지면에 접한 상태에서 트랙터(200)가 전진하면서 내측 PTO(240)의 동력이 유니버셜조인트(133)를 통해 입력축(131)에 전달되면, 그 구동력은 제 1 회전축(144), 제 1 풀리(141), 구동벨트(133), 제 2 및 제 3 풀리(142)(143)로 전달되어 제 1 내지 제 3 절단날(151)(154)(157)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복수의 절단날(151)(154)(157)은 프레임(110) 하부의 잔디와 같은 풀을 절단하고, 절단된 풀은 회전하는 절단날(151)(154)(157)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유동하여 절단물 안내부재(162)를 따라 배출안내부재(161)로 안내된 후 배출안내부재(161)를 통해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풀의 키가 작거나 높으면 앞바퀴높이조절대(122) 및 뒷바퀴높이조절 대(126)를 조작하여 앞뒤바퀴(121)(125)의 설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절단날(151)(154)(157)의 높이를 풀이 잘 절단될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예취 작업이 끝나면 트랙터(200)의 내측 PTO(240)의 동력을 차단하고 트랙터(200)의 힌지장치(250)를 조작하여 지지대(171)를 회전시켜 프레임(110)을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킨다. 이때, 앞뒤바퀴(121)(125) 모두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고 프레임(110)은 회전하는 롤러(11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트랙터(2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는 소형 트랙터의 앞바퀴와 뒷바퀴의 사이에 설치되어 잔디와 같은 풀을 예취함으로써 정원, 공원, 잔디밭 등을 관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는 해외에서 수입하는 미드모어의 수입 대체효과를 얻을 수 있고, 수출용 트랙터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고안은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6)

  1. 트랙터의 하부에 지면과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와, 트랙터의 내측 PTO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풀을 절단하는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된 풀을 상기 트랙터의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트랙터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일단은 상기 트랙터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에 결합되는 작동바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바가 움직이면 상기 연결로드 및 상기 지지대가 이에 연동하면서 상기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을 승강시켜 프레임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트랙터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단은 상기 트랙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각 풀리에는 상기 절단날이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풀리는 구동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복수의 바퀴고정대가 구비되고, 상기 각 바퀴고정대에는 바퀴높이조절대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바퀴높이조절대에는 상기 각 바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절단되는 풀이 바람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내측 PTO를 이용한 예취장치.
KR2020060030077U 2006-11-21 2006-11-21 트랙터 내측 피티오를 이용한 예취장치 KR200440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77U KR200440770Y1 (ko) 2006-11-21 2006-11-21 트랙터 내측 피티오를 이용한 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77U KR200440770Y1 (ko) 2006-11-21 2006-11-21 트랙터 내측 피티오를 이용한 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308U KR20080001308U (ko) 2008-05-26
KR200440770Y1 true KR200440770Y1 (ko) 2008-07-01

Family

ID=4163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077U KR200440770Y1 (ko) 2006-11-21 2006-11-21 트랙터 내측 피티오를 이용한 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7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744B1 (ko) 2011-02-11 2012-11-01 유한회사 웅진기계 미드모우어 승하강장치
KR101798966B1 (ko) 2016-06-15 2017-11-20 진흥기계(주) 잔디 깎는 높이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114A (ko) 2019-02-28 2020-09-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작업차량용 미드모어 검사장치
KR20210088267A (ko) 2020-01-06 2021-07-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작업차량용 모어 장치
KR20210092598A (ko) 2020-01-16 2021-07-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어박스 냉각 구조를 가지는 미드모어 장치
KR20210119671A (ko) 2020-03-25 2021-10-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개선된 브릿지 체결 구조를 가지는 미드모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744B1 (ko) 2011-02-11 2012-11-01 유한회사 웅진기계 미드모우어 승하강장치
KR101798966B1 (ko) 2016-06-15 2017-11-20 진흥기계(주) 잔디 깎는 높이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308U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770Y1 (ko) 트랙터 내측 피티오를 이용한 예취장치
WO2002000007A3 (en) Walk reel mower
CN107371566A (zh) 一种园林绿化用割灌机
CN202773371U (zh) 果园割草机
EP2108241B1 (en) Auxiliary drive mountable to a reel mower cutting unit
CN105751891A (zh) 一种割草机的无极调速控制机构
CN102771249A (zh) 一种割草机装置
US7198114B2 (en) Turf maintenance device for aeration and vertical cutting of soil
CN202697252U (zh) 一种割草机的割草高度调节机构
CN105532304A (zh) 一种自走式水田育秧用制浆装置
CN204733595U (zh) 叶菜收获机
CN209435832U (zh) 小型前悬挂双圆盘牧草收割机传动装置
CN111955144A (zh) 一种可调节式不易损坏刀片的割草机
CN202697253U (zh) 一种割草机上的刀片离合机构
KR200451023Y1 (ko) 잔디 채취장치
JP3826155B2 (ja) 自走式歩行型草刈機
JP2021170963A (ja) 草刈装置
CN110651585A (zh) 一种双发动机软轴传动全地形遥控割草机
KR20240021523A (ko) 농산물 절단기 무게 경감 장치
JP3826101B2 (ja) 自走式歩行型草刈機
CN220733569U (zh) 一种高效割草机
CN113057024B (zh) 一种防止碎石进入的园艺智能割草设备
CN212087021U (zh) 一种高度可调节的高效收草机
CN2579157Y (zh) 随进式草坪割草机
KR19990022868U (ko) 경운기취부용마늘수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