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528Y1 - 회전우산 - Google Patents

회전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528Y1
KR200440528Y1 KR2020070011723U KR20070011723U KR200440528Y1 KR 200440528 Y1 KR200440528 Y1 KR 200440528Y1 KR 2020070011723 U KR2020070011723 U KR 2020070011723U KR 20070011723 U KR20070011723 U KR 20070011723U KR 200440528 Y1 KR200440528 Y1 KR 200440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otating
fixed shaft
coupling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숙
Original Assignee
박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숙 filed Critical 박희숙
Priority to KR2020070011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 A45B2025/105Umbrella crown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산대에서 우산살대가 회전되는 회전우산에서 상부살통 상측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의 구성이 간단하면서 비바람이 우산천에 부딪쳐서 회전부재에 압력이 가해 지더라도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우산에 관한 것이다.
즉, 우산대 상단에 분할편으로 결합되는 고정축부가 구비되어 상부살통과 우산천을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봉이 삽입되는 구성의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회전우산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부의 축받침공간 바닥면과 이와 대응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봉의 축받침 저면은 그 중심이 바깥둘레보다 낮게 형성하여 수직으로 중심축선을 이루도록 한 구성과, 상기 고정축부의 상단면 내측에 띠형상의 접촉돌부가 소폭으로 형성되어 상부살통의 받침단면과 회전축봉의 받침단면 일부분이 받쳐져서 회전되게 한 구성으로 된 회전우산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우산, 우산살대, 산포, 회전축봉, 분할편

Description

회전우산{Rotation umbrella}
본 고안은 회전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산대에서 우산살대가 회전되는 회전우산에서 상부살통 상측에 설치되는 회전부재의 구성이 간단하면서 비바람이 우산천에 부딪혀서 회전부재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우산은 산포와 우산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비,바람이나 우산 상호간에 서로 부딪치게 되는 경우에 우산이 쉽게 파손되고 사용자가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우산대에서 우산살대가 회전되게 한 회전우산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상기의 일반 우산에서와 같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는 바,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167424호로 개시된 회전우산에서는 우산대의 상부측에 상부살통을 설치하고 그 하측에 중간살통과 하부살통을 설치하여 산포가 씌워진 주살 대와 보조살대를 서로 연결하고 우산대에서 회전되게 하여서 된 회전형 우산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우산대의 상부살통 설치부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가락지를 끼우고 이를 고정핀으로 우산대에 고정시켜 그 사이에 상부살통의 두께에 대응하는 제자리 회전부의 구성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또, 실용신안등록 제223039호로 개시된 회전우산에서는 상부살통 상단은 돌출 나사봉을 형성하여 우산천 고정캡을 결합케 하고 상부살통 하단은 걸림홈을 가진 회전축봉을 형성하여 분할편이 형성된 고정축부에 축설하되 고정축부 내측은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측 중앙은 걸림턱을 가진 축공을 형성하여 회전축봉을 축설하고 고정축부를 우산대상측에 끼워 우산대부분을 강제 압지시킨 협지돌기로 고정하여 상부살통과 우산천 고정캡이 함께 회전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상기 회전우산을 기반으로 보다 발전적으로 개량고안하여 완성도를 높인 회전우산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우산지주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축부에 상부살통의 회전축봉이 삽입된 회전부재의 구성으로 우산천을 포함한 우산살대가 회전되게 하는 회전우산에서 상부살통의 회전축봉이 항상 중심축 선상에서 놓여져서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회전부재의 회전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회전부재의 상측 우산천에 비나 눈 등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우산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우산대 상단에 분할편으로 결합되는 고정축부가 구비되어 상부살통과 우산천을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봉이 삽입되는 구성의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회전우산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부의 축받침공간 바닥면과 이와 대응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봉의 축받침 저면은 그 중심이 바깥둘레보다 낮게 형성하여 수직으로 중심축선을 이루도록 한 구성과, 상기 고정축부의 상단면에 띠형상의 접촉돌부가 소폭으로 형성되어 상부살통의 받침단면과 회전축봉의 받침단부 일부분이 받쳐져서 회전되게한 구성으로 된 회전우산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축선을 이루는 고정축부의 축받침공간 바닥면과 회전되는 회전축봉의 축받침 저면은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대응결합하는 구성으로 회전작용이 이루어 지도록 하거나, 또는 반구형 대신에 각형으로 형성하여 대응결합하는 구성으로 회전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회전우산은 우산천을 포함한 상부살통이 항상 중심축선 상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흔들림없이 안정되게 회전하는 회전우산을 제공함과 아울러 회전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우산천에 비나 눈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으로 편리하게 회전우산을 사용할 수 있고 제조한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분할편(20a)으로 결합되고 축받침공간(21)과 축구멍(23)이 형성되어 우산대(10)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축부(20)와, 상기 고정축부(20)에 상부살통(30)과 우산천(12)을 포함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회전축봉(40)이 삽입되는 구성의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회전우산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축부(20)의 축 받침공간(21) 바닥면과 이와 대응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봉(40)의 축받침(41) 저면은 그 중심이 바깥둘레보다 낮게 형성하여 수직으로 중심축선(22)(42)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그 중심축선(22)(44)을 따라 회전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과, 상기 고정축부(20)의 상단면(24)에 띠형상의 접촉돌부(25)가 소폭으로 형성되어 상부살통(30)의 받침단면(31)과 회전축봉(40)의 받침단면(43) 일부분이 받쳐져서 회전되게 한 구성으로 접촉저항을 최소화한 상태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중심축선(22)(42)을 이루는 고정축부(20)의 축받침공간(21) 바닥면과 회전축봉(40)의 축받침(41) 저면을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대응결합하는 구성으로 회전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중심축선(22)(42)을 이루는 고정축부(20)의 축받침공간(21) 바닥면과 회전축봉(40)의 축받침(41) 저면을 반구형 대신에 각형으로 형성하여 대응결합하는 구성으로 회전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봉(40)은 성형이 용이하도록 상부살통(30)과 분리된 구성으로 되어 회전축봉(40)을 상부살통(30)의 결합구멍(32)에 끼워 상부살통(30)과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되 회전축봉(40)의 상측에 결합나사봉(45)이 구비된 결합덮판(44)이 형성되어 결합덮판(44)에 의해 상부살통(30)에 긴밀히 밀착되어 일체감 을 갖고 결합나사봉(45)에는 우산천 고정캡(14)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축부(20)와 그 고정축부(20)에 결합되는 분할편(20a)의 측부 결합단부에 각각 결합홈(26) 및 결합돌기(26')가 각각 형성되어 대응결합하는 구성으로 긴밀한 결합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회전우산은 우산대(10) 상단에 분할편(20a)으로 결합되는 고정축부(20)에 상부살통(30)과 우산천(12)을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봉(40)이 삽입되어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고정축부(20)의 축받침공간(21) 바닥면과 이와 대응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봉(40)의 축받침(41) 저면은 그 중심이 바깥둘레보다 낮게 형성하여 수직으로 중심축선(22)(44)을 이루고 있으므로 그 중심축선(22)(42)에 의해 회전작용을 하는 회전축봉(40)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회전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축부(20)의 상단면(24)에 띠형상의 접촉돌부(25)가 소폭으로 형성되어 상부살통(30)의 받침단면(31)과 회전축봉(40)의 받침단면(43) 일부분만이 받쳐져서 회전되므로 종래에 전체면에 받쳐져서 회전되는 것에 비해 접촉저항이 크게 감소되므로 상측 우산천에 비나 눈 등이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원활한 회전력을 발휘하는 회전우산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회전축봉(40)은 성형이 용이하도록 상부살통(30)과 분리된 구성으로 되어 결합덮판(44)에 의해 상부살통(30)에 긴밀히 밀착되어 일체감을 갖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축부(20)와 그 고정축부(20)에 결합되는 분할편(20a)의 측부 결합단부에 각각 결합홈(26) 및 결합돌기(26')가 각각 형성되어 대응결합하는 구성으로 분할편(20a)을 긴밀한 결합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한 중심축선을 나타낸 전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우산대 20 : 고정축부
20a : 분할편 21 : 축받침공간
22 : 중심축선 23 : 축구멍
24 : 상단면 25 : 접촉돌부
26 : 결합홈 26' : 결합돌기
30 : 상부살통 31 : 받침단면
32 : 결합구멍 40 : 회전축봉
41 : 축받침 42 : 중심축선
43 : 받침단면 44 : 결합덮판
45 :결합나사봉

Claims (5)

  1. 우산대 상단에 분할편으로 결합되는 고정축부가 구비되어 상부살통과 우산천을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봉이 삽입되는 구성의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회전우산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부의 축받침공간 바닥면과 이와 대응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봉의 축받침 저면은 그 중심이 바깥둘레보다 낮게 형성하여 수직으로 중심축선을 각각 이루도록 한 구성과,
    상기 고정축부의 상단면 내측에 띠형상의 접촉돌부가 소폭으로 형성되어 상부살통의 받침단면과 회전축봉의 받침단면 일부분이 받쳐져서 회전되게 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선을 이루는 고정축부의 축받침공간 바닥면과 회전축봉의 축받침 저면을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대응결합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우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선을 이루는 고정축부의 축받침공간 바닥면과 회전축봉의 축받 침 저면을 각형으로 형성하여 대응결합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우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봉은 상부살통과 분리된 구성으로 상부살통의 결합구멍에 끼워져서 상부살통과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되,
    회전축봉의 상측에 결합나사봉이 구비된 결합덮판이 형성되어 결합덮판에 의해 상부살통에 긴밀히 밀착되게 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우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부와 그 고정축부에 결합되는 분할편의 측부 결합단부에 각각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대응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우산.
KR2020070011723U 2007-07-16 2007-07-16 회전우산 KR200440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723U KR200440528Y1 (ko) 2007-07-16 2007-07-16 회전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723U KR200440528Y1 (ko) 2007-07-16 2007-07-16 회전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528Y1 true KR200440528Y1 (ko) 2008-06-16

Family

ID=4365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723U KR200440528Y1 (ko) 2007-07-16 2007-07-16 회전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5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486B2 (en) Mop cleaning set
US8360085B2 (en) Top support structure of tent frame
US7178535B2 (en) Umbrella with improved hub
JP3150362U (ja) 組合せ式モップ
USD503272S1 (en) Umbrella hub
US9254029B2 (en) Swivel base for a training aid
KR200440528Y1 (ko) 회전우산
US20110247169A1 (en) Mop bucket
US8356381B2 (en) Structure for automatically rotating a spiral rod
CN210642844U (zh) 连接结构及带有该结构的手镯
CN211534281U (zh) 一种耐用牢固家居用高精度拖把铝管
CN104886892A (zh) 一种可牢固倚靠于墙壁的防盗伞
CN104055315B (zh) 拍摄设备的脚架
KR200451664Y1 (ko) 회전우산
CN209965434U (zh) 一种手杖的安装结构
USD479293S1 (en) Golf club shaft having structural taper and integral insert-adapter with extension shaft-sleeve therefor
CN201379523Y (zh) 拖把
JPH024314Y2 (ko)
CN203986653U (zh) 拍摄设备的脚架
JP3164430U (ja) 回転可能なフライパンカバー用取っ手
KR20110003438U (ko) 회전우산
KR100719175B1 (ko) 손잡이가 틸팅 된 우산
KR200153543Y1 (ko) 광고용 깃대 흡착식 고정구
KR200479738Y1 (ko) 스마트폰 홀더
USD523099S1 (en) Treadmill end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