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01Y1 - 미소차압계 - Google Patents

미소차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501Y1
KR200439501Y1 KR2020070014309U KR20070014309U KR200439501Y1 KR 200439501 Y1 KR200439501 Y1 KR 200439501Y1 KR 2020070014309 U KR2020070014309 U KR 2020070014309U KR 20070014309 U KR20070014309 U KR 20070014309U KR 200439501 Y1 KR200439501 Y1 KR 200439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nsing piece
fixed
differential pressur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복
전남성
Original Assignee
명성효다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효다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효다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4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5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01L13/02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using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or pistons as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소차압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에 덮개가 구비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공간에 지지되어 전면에 압력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 압력표시판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고압축 유입구와 저압축 유입구에서 들어온 압력을 감지하도록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탄성격벽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격벽의 팽창방향에 따라 유동하는 감지편과, 상기 감지편에 접촉하여 감지편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무브먼트수단과, 상기 무브먼트수단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압력표시판의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미소차압계에 관한 것이다.
Figure R2020070014309
차압계, 무브먼트수단, 탄성격벽, 접촉부재

Description

미소차압계{Low differential pressure gauge}
본 고안은 공압기구의 입구단 및 출구단에 연결되어 양단의 압력차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미소차압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차에 의한 탄성격벽의 직선변위가 무브먼터수단의 접촉방식에 의해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미소차압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압라인 또는 가스라인 등의 유체라인에는 각종 공압기구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들 중 대표적인 것들로는 밸브, 필터, 또는 스트레이너 등(이하 "공압기구"라 통칭한다.)을 들 수 있다.
유체라인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는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고, 관로의 내부에는 스케일이 생성됨으로써, 시일이 지남에 따라 수분에 의한 물 때, 이물질 또는 스케일 등이 공압기구 내부의 유로를 막게 되어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일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산라인의 경우 기계 장치의 각 구동파트에서 요구되는 소정의 압력 및 유량을 얻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됨으로써, 생산라인가동이 중단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된다.
공압기구 내부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공압기구의 출구단과 입구단과의 압력차는 거의 차이가 나지 않지만, 이물질이 존재할 경우에는 흐름저항에 의하여 출구단의 압력은 입구단의 압력보다 낮아지며, 이와 같이 출구단과 입구단의 압력차가 소정의 값 이상일 경우에 생산라인에 설치된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환함으로써, 유체라인에서 요구되는 소정의 압력 및 유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압기구라인의 청소시기 또는 필터의 교환시기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공압기구의 출구단과 입구단과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공압기구의 출구단과 입구단에 모두 압력계를 설치하여 양쪽 압력계에 나타나는 압력을 비교함으로써 양단의 차압을 측정하였다.
하지만 이 방법에 있어서는, 양쪽의 압력을 비교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수많이 설치된 각 공압기구마다 2개의 압력계가 필요함에 따른 압력계 설치비용의 증가는 물론 압력계들의 설치공간확보 정확도 등의 문제가 대두됨으로서 하나의 측정계기만으로도 차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소차압계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차압계 중에서 다이어프램의 팽창에 의해 구동플레이트가 유동되고, 구동플레이트에 구비된 자석의 자력이 스크류축의 나사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작용하여 스크류축이 회동하고 스크류의 회동에 의해 지시침이 선회함으로써 차압만큼의 눈금을 지시하게 되는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차압계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차압계에 있어서는,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스크류축이 회동시켜 지시침을 선회시키는 구조에 의해 점차 자석의 자력이 감소하게 되어 차압계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측정이 비접촉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압력차에 의한 탄성격벽의 직선변위가 무브먼터수단의 접촉방식에 의해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미소차압계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방에 덮개가 구비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공간에 지지되어 전면에 압력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 압력표시판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고압축 유입구와 저압축 유입구에서 들어온 압력을 감지하도록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탄성격벽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격벽의 팽창방향에 따라 유동하는 감지편과, 상기 감지편에 접촉하여 감지편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무브먼트수단과, 상기 무브먼트수단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압력표시판의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격벽과 상기 감지편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은 상기 탄성격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감지편에 고정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둘레에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탄성격벽의 상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감지편의 저면을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브먼트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부에 한 쌍의 고정축을 돌출 형성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축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편에 접촉되어 상기 감지편의 상하운동을 전달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에 전달된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감지편의 유동에 따라 상기 지시침을 회전시키는 전환부재와, 상기 전환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환부재의 회전을 일정구간 단속하는 단속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축에 각각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감지편에 접촉되는 접촉바와, 상기 회전봉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환부재에 접촉되는 전달바와, 상기 전달바의 유동을 제한하여 상기 회전봉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제한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바의 둘레에는 조정링이 형성되어 상기 조정링이 감지편에 접촉되어 상하운동을 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한부재는 상기 고정축을 가로질러 연결된 제한편과, 상 기 제한편에 형성되어 상기 전달바가 삽입되어 전달바의 유동을 일정구간 제한하는 제한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끝단이 연결되어 회동되고 선단에는 기어치를 형성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랙기어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일체로 이루어져 피니언기어의 회동에 의해 상기 지시침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지시축과, 상기 지시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시축의 회전을 복원시키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환부재를 일정구간 단속하는 한 쌍의 멈춤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소차압계에 의하면 압력차에 의한 탄성격벽의 직선변위가 무브먼터수단의 직접 접촉방식에 의해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시침이 케이싱의 중앙에 위치되며, 압력표시판은 대략 전원형상으로 광각(270°)에 의해 시인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달바의 유동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재와 상기 랙기어의 회동을 일정구간 단속하는 단속부재를 구비하여 급격한 압력차에 의해 발생되는 오작동 및 부품의 결합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미소차압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소차압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소차압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소차압계의 무브먼트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소차압계의 무브먼트수단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소차압계(100)는 전방에 덮개(112)가 구비되고, 내부공간(114)을 형성하며, 내부에 지지되어 전면에 압력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 압력표시판(115)을 구비한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공간(114)에 구비되어 고압측 유입구(116)와 저압측 유입구(118)에서 들어온 압력을 감지하도록 내부공간(114)을 구획하는 탄성격벽(130)과, 상기 케이싱(110)의 일측 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격벽(130)의 팽창방향에 따라 유동하는 감지편(140)과, 상기 감지편(140)에 접촉하여 감지편(140)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무브먼트수단(200)과, 상기 무브먼트수단(200)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압력표시판(115)의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표시판(115)은 대략 전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공간 중 상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0)의 전방에는 덮개(112)가 구비되는데, 내부를 밀폐하기 위해 케이싱(110)의 입구부와 덮개(112) 사이에 밀폐링(113)이 개재되고, 외측에서 나사 결합되는 체결링(12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탄성격벽(130)과 상기 감지편(140)은 연결부재(16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60)는 일단은 상기 탄성격벽(1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감지편(140)에 고정되는 연결축(162)과, 상기 연결축(162)의 둘레에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탄성격벽(130)의 상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감지편(1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브먼트수단(200)은 상기 케이싱(110)의 내측에 고정되는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에 고정되고, 하부에 한 쌍의 고정축(222)을 돌출 형성한 고정플레이트(22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220)의 고정축(222)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편(140)에 접촉되어 상기 감지편(140)의 상하운동을 전달하는 접촉부재(230)와, 상기 접촉부재(230)에 전달된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감지편(140)의 유동에 따라 상기 지시침(150)을 회전시키는 전환부재(250)와, 상기 전환부재(250) 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220) 하면에 형성되어 전환부재(250)의 회전을 일정구간 단속하는 단속부재(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10)은 '??'자 형상으로 일측 양 끝단이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 일측에 볼트 결합되고, 타측에는 영점조정볼트(212)가 결합된다.
상기 영점조정볼트(212)의 끝단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공간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영점조정볼트(2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210)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23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20)의 고정축(222)에 각각 구비된 회전축(232)과, 상기 회전축(232)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23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봉(234)과, 상기 회전봉(234)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감지편(140)에 접촉되는 접촉바(236)와, 상기 회전봉(234)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환부재(250)에 접촉되는 전달바(238)와, 상기 전달바(238)의 유동을 제한하여 상기 회전봉(234)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축(232)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제한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232)은 한 쌍의 고정축(222)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3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축(222)에 나사 결합되되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234)은 양단이 상기 회전축(232)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32) 중 나사 결합된 회전축(232)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회전봉(234)에 마찰을 조절하여 상기 탄성격벽(130)의 압력 정도에 따른 반응 정도를 조정 가능하다.
상기 접촉바(236)에는 조정링(237)이 끼워져 상기 감지편(140)에 접촉되며 상하운동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한부재(240)는 상기 고정축(222)을 가로질러 연결된 제한편(242)과, 상기 제한편(242)에 형성되어 상기 전달바(238)가 삽입되어 전달바(238)의 유동을 일정구간 제한하는 제한홀(24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환부재(25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20)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회동축(251)과, 상기 회동축(251)에 끝단이 연결되어 회동되고 선단에는 기어치를 형성한 랙기어(252)와, 상기 랙기어(252)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랙기어(252)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254)와, 상기 피니언기어(254)와 일체로 이루어져 피니언기어(254)의 회동에 의해 상기 지시침(15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220)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지시축(256)과, 상기 지시축(256)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축(222)에 연결되어 상기 지시축(256)의 회전을 복원시키는 태엽스프링(25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속부재(26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20)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환부재(250)를 일정구간 단속하는 한 쌍의 멈춤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랙기어(252)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속부재(260)인 멈춤돌기는 상기 랙기어(252)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미소차압계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소차압계(100)를 공압기구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지시침(150)이 영점에 맞는지 확인하고 지시침(150)이 영점에 맞지 않을 경우 영점조정볼트(212)로 영점조정을 행한다.
상기 영점조정볼트(212)를 회전시키면, 상기 영점조정볼트(212)와 나사결합된 프레임(210)의 일단이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감지편(140)과 접촉바(236)의 유격이 발생되고 상기 접속바(236)에 형성된 조정링(237)에 의해 하향하는 접촉바(236)의 유동에 의해 상기 전환부재(250)가 상기 지시침(150)을 회동시켜 조정된다.
즉, 상기 지시침(150)에 대한 영점조정은 영점조정볼트(212)의 회전량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압기구의 입구단에 고압측 유입구(116)를 연결하고, 공압기구의 출력단에는 저압측 유입구(118)를 연결하여 차압계(1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공간(114)은 탄성격벽(130)에 의해 고압측 유입구(116)와 연결된 고압실과 저압축 유입구(118)와 연결된 저압실로 구획된다.
상기 공압기구의 입구단을 흐르는 유체가 고압측 유입구(116)를 통과하여 고압실에 유입됨으로써, 고압실에는 공압기구의 입구단 유체압력이 작용하고, 공압기구의 출력단을 흐르는 유체는 저압측 유입구(118)를 통과하여 저압실에 유입됨으로써, 저압실에는 공압기구의 출구단 유체압력이 작용한다.
이때, 공압기구의 내부가 막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압실에 작용하는 압력과 저압실에 작용하는 압력이 거의 같아 상기 탄성격벽(130)이 평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지시침(150)이 선회량에는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반면에 공압기구의 내부에 이물질 또는 스케일 등이 발생할 경우 유로가 막혀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압실에 큰 유체압력이 작용하여 저압실과 압력차가 크게 발생한다.
상기 고압실과 저압실의 압력차가 발생하면 탄성격벽(130)은 저압실 측으로 밀려 팽창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재(160)에 의해 감지편(140)이 탄성격벽(130) 측으로 견인되어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감지편(140)에 직접 접촉된 접촉바(236)가 접촉바(236)의 조정링(237)에 의해 하향하고 상기 접촉바(236)가 하향함에 따라 회전봉(234)이 회전축(23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전달바(238) 또한 이동된다.
상기 전달바(238)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달바(238)와 접촉된 랙기어(252)가 회전축(232)을 중심으로 전달바(238)의 이동량 만큼 회전하고 랙기어(252)와 치합된 피니언기어(254)가 회전하며, 상기 피니언기어(254)와 일체로 이루어진 지시축(256)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시침(150)을 회전시켜 압력표시판(115)에 표시하게 된다.
이로서, 상기 지시침(150)이 지시하는 눈금을 통하여 고압실과 저압실과의 차압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압력손실이 커 유체라인에서 요구되어 소정의 압력 및 유량을 얻지 못할 경우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되어 라인가동이 중단될 뿐만 아니라 유체공급압력을 더 크게 높여야 하므로 공압라인 가동비용이 상승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압계의 차압을 주기적으로 확 인하여 차압이 큰 공압기구는 이를 수리하거나 교체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소차압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소차압계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소차압계의 무브먼트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소차압계의 무브먼트수단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압계 110 : 케이싱
112 : 덮개 113 : 밀폐링
114 : 내부공간 115 : 압력표시판
116 : 고압측 유입구 118 : 저압측 유입구
120 : 체결링 130 : 탄성격벽
140 : 감지편 150 : 지시침
160 : 연결부재 162 : 연결축
164 : 스프링 200 : 무브먼트수단
210 : 프레임 212 : 영점조정볼트
220 : 고정플레이트 222 : 고정축
230 : 접촉부재 232 : 회전축
234 : 회전봉 236 : 접촉바
237 : 조정링 238 : 전달바
240 : 회전제한부재 242 : 제한편
244 : 제한홀 250 : 전환부재
251 : 회동축 252 : 랙기어
254 : 피니언기어 256 : 지시축
258 : 테엽스프링 260 : 단속부재

Claims (9)

  1. 전방에 덮개가 구비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공간에 지지되어 전면에 압력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 압력표시판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고압축 유입구와 저압축 유입구에서 들어온 압력을 감지하도록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탄성격벽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격벽의 팽창방향에 따라 유동하는 감지편과;
    상기 감지편에 접촉하여 감지편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무브먼트수단과;
    상기 무브먼트수단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압력표시판의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무브먼트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부에 한 쌍의 고정축을 돌출 형성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축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편에 접촉되어 상기 감지편의 상하운동을 전달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에 전달된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감지편의 유동에 따라 상기 지시침을 회전시키는 전환부재와;
    상기 전환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어 전환부재의 회전을 일정구간 단속하는 단속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차압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격벽과 상기 감지편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차압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은 상기 탄성격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감지편에 고정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둘레에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탄성격벽의 상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감지편의 저면을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차압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축에 각각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감지편에 접촉되는 접촉바와;
    상기 회전봉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환부재에 접촉되는 전달바와;
    상기 전달바의 유동을 제한하여 상기 회전봉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제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차압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바의 둘레에는 조정링이 형성되어 상기 조정링이 상기 감지편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차압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재는 상기 고정축을 가로질러 연결된 제한편과;
    상기 제한편에 형성되어 상기 전달바가 삽입되어 전달바의 유동을 일정구간 제한하는 제한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차압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끝단이 연결되어 회동되고 선단에는 기어치를 형성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랙기어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일체로 이루어져 피니언기어의 회동에 의해 상기 지시침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지시축과;
    상기 지시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시축의 회전을 복원시키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차압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환부재를 일정구간 단속하는 한 쌍의 멈춤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차압계.
KR2020070014309U 2007-08-29 2007-08-29 미소차압계 KR200439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309U KR200439501Y1 (ko) 2007-08-29 2007-08-29 미소차압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309U KR200439501Y1 (ko) 2007-08-29 2007-08-29 미소차압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501Y1 true KR200439501Y1 (ko) 2008-04-17

Family

ID=4134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309U KR200439501Y1 (ko) 2007-08-29 2007-08-29 미소차압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5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99B1 (ko) 2019-12-31 2020-07-30 예민해 매립형 차압계 매립용 고정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99B1 (ko) 2019-12-31 2020-07-30 예민해 매립형 차압계 매립용 고정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79069A (en) Pressure responsive device
US20140345516A1 (en) Mass velocity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visual verification of fluid velocity
KR102047579B1 (ko) 유량계
JP4183096B2 (ja) サーボ型容積流量計における被測定流体の流れと差圧検出とに係る経路構造
CN113531188B (zh) 一种精确控制流量的波纹管调节阀
JP4246237B2 (ja) ポンプユニット式サーボ型容積流量計
KR200439501Y1 (ko) 미소차압계
US2365573A (en) Means for measuring pressure differentials
KR101810976B1 (ko) 온압 보정 일체형 가스미터기
JPH0519085B2 (ko)
KR101428773B1 (ko) 정밀 측정도 향상을 위한 차압계
CN106761676B (zh) 一种杠杆式流量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JP5184440B2 (ja) 流量計
RU2365878C2 (ru) Измеритель расхода жидкости переменного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JPH11201310A (ja) 流量測定機能付き逆止弁
KR100291603B1 (ko) 차압계
US3452169A (en) Flow measuring device
CN215292780U (zh) 幅材成形机的压力系统
RU168398U1 (ru) Измеритель расхода жидкости переменного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CN220542148U (zh) 一种流量计
KR100805168B1 (ko) 가스미터 교정 시스템
CN219656933U (zh) 一种流向、流速及液位一体式检测装置
CN215653601U (zh) 流量计及消防水流量、压力测量装置
CN220525304U (zh) 一种适用于石墨密封结构的测试装置
RU2697420C1 (ru) Индикатор засорения газового фильт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