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498Y1 -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498Y1
KR200439498Y1 KR2020070014832U KR20070014832U KR200439498Y1 KR 200439498 Y1 KR200439498 Y1 KR 200439498Y1 KR 2020070014832 U KR2020070014832 U KR 2020070014832U KR 20070014832 U KR20070014832 U KR 20070014832U KR 200439498 Y1 KR200439498 Y1 KR 200439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ata
wireless headset
band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영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20070014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4G99/006Electronic time-pieces using a microcomputer, e.g. for multi-function c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타입의 무선 헤드셋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고, 이에 착신 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몸체, 상기 착신 호가 연결되면,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수화기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밴드, 및 상기 몸체의 타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송화기 역할을 수행하는 제2 밴드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은 상황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 단말기, 손목시계, 무선 헤드셋, 근거리 무선통신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wireless headset of wrist watch type for cooperating with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황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교환기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즉시 상대방에게 무선 호출 및 무선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를 일컫는다.
사용자는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주머니나 가방 등에 넣어두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사용자는 혼잡한 상황 예를 들면, 탑승객이 많은 혼잡한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때 착신 호나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더라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혼잡한 상황에서 착신 호나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고 있음을 감지하더라도, 사용자는 주머니나 가방 속에 있는 이동 단말기를 꺼내야지만 이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사용한 후에는 다시 이를 주머니나 가방 속에 넣어 두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는 형태 예를 들면, 손목시계 형태 등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이동 단말기 전체 기능을 손목시계에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에 당연히 손목시계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오히려 착용 상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무선 헤드셋을 손목시계에 구비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 또한 무선 헤드셋을 필요할 때마다 탈부착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분실의 위험이 있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몸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탑재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으로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신 호가 수신될 때 손목시계 타입의 무선 헤드셋을 위한 시계 줄을 동일 선상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펴서 이를 이동 단말기의 송/수화기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한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타입의 무선 헤드셋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고, 이에 착신 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몸체, 상기 착신 호가 연결되면,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수화기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밴드, 및 상기 몸체의 타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송화기 역할을 수행하는 제2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은 사용자의 몸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탑재한 손목시계 타입의 무선 헤드셋으로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착신 호가 수신될 때 손목시계 타입의 무선 헤드셋을 위한 시계 줄을 동일 선상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펴서 이를 이동 단말기의 송/수화기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기능이 다양한 이동 단말기의 크기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기 때문에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둔 이동 단말기를 꺼내지 않고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즉, 본 고안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탑재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으로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10) 및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1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이를 통해 기본적으로 전화 통화나 문자 메시지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무선 헤드셋(120)에 연동할 수 있다.
무선 헤드셋(120)은 손목시계 타입으로 팔에 착용하여 시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헤드셋(120)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기능, UWB(Ultra Wide Band) 기능, 및 ZigBee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무선 헤드셋(120)은 수신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11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120)에 연동할 수 있는 장치로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노트북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헤드셋(120)은 손목시계 형태로 제작되어 항상 몸에 착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신되는 데이터 예를 들면, 착신 호, 문자 메시지, 및 현재 시간 등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특히, 무선 헤드셋(120)은 음성 호뿐만 아니라 영상 호도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사생활 보호/침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스피커 폰 기능을 사용하여 영상 통화를 하지 않더라도 이동 단말기로 상대방의 영상을 보고 자신의 영상을 제공하면서 무선 헤드셋으로는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의 앞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의 뒷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은 제1 밴드(210), 몸체(220), 및 제2 밴드(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20)는 근거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 연동할 수 있다. 몸체(220)는 디스플레이부(221)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 착신 호나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고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몸체(220)는 이를 오디오출력부(2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제1 밴드(210)는 몸체(220)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의 수화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밴드(230)는 몸체(220)의 타 측면에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의 송화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밴드(210) 및 제2 밴드(230)가 동일 선상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몸체의 기 설정된 영역에 기능키(22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밴드(310)는 상대 방으로부터 음성을 듣기 위한 음성 출력부(311)를 포함하고, 제2 밴드(330)는 자신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음성 입력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착신 호가 연결되면,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송수화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몸체(320)에 연결된 제1 밴드(310) 및 제2 밴드(330)가 사용자에 맞도록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밴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키를 누름에 따라, 제1 밴드(410) 및 제2 밴드(420)가 양쪽으로 퍼져서 송수화기가 됨으로써 전화기 형태의 무선 헤드셋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420)의 상부에 연결된 제1 밴드(410)는 사용자의 귀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몸체(420)의 하부에 연결된 제2 밴드(430)는 사용자의 입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1 밴드(410) 및 제2 밴드(430)는 동시에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 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헤드셋(12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은 디스플레이부(510), 오디오출력부(520), 입력부(530), 제1 조절부(540), 제어부(550), 제 2 조절부(560), 통신 모듈(570), 음성 출력부(580), 및 음성 입력부(5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570)은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570)은 블루투스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데이터를 입력 받아 이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각종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10)는 분석 결과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 중 제1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데이터는 이미지, 문자, 및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520)는 입력된 데이터 중 제2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데이터는 오디오를 의미할 수 있다.
입력부(530)는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신호가 연결되면, 제1 조절부(540) 및 제2 조절부(560)는 각각 제1 밴드 및 제2 밴드를 기 설정된 각도로 사용자에게 맞도록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음성 출력부(580) 및 음성 입력부(590)를 통해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도면은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의 앞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의 뒷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밴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헤드셋(12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이동 단말기
120: 무선 헤드셋
210, 310, 410: 제1 밴드
220, 320, 420: 몸체
230, 330, 430: 제2 밴드
510: 디스플레이부
520: 오디오출력부
530: 입력부
540: 제1 조절부
550: 제어부
560: 제2 조절부
570: 통신 모듈
580: 음성 출력부
590: 음성 입력부

Claims (9)

  1.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타입의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고, 이에 착신 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몸체;
    상기 착신 호가 연결되면,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수화기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밴드; 및
    상기 몸체의 타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송화기 역할을 수행하는 제2 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손목시계 타입으로 시계 기능을 수행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이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로 무선통신 기능은,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블루투스 기능, UWB(Ultra Wide Band) 기능, 및 ZigBee 기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데이터를 입력 받아 이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입력된 상기 데이터 중 제1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및
    입력된 상기 데이터 중 제2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착신 호가 연결되면,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 각각을 기 설정된 각도로 조절하는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착신 호가 연결되면,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가 동일 선상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이미지, 문자, 및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는 상기 착신 호의 연결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제1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120)에 연동할 수 있는 장치로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KR2020070014832U 2007-09-05 2007-09-05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 KR200439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832U KR200439498Y1 (ko) 2007-09-05 2007-09-05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832U KR200439498Y1 (ko) 2007-09-05 2007-09-05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498Y1 true KR200439498Y1 (ko) 2008-04-16

Family

ID=4134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832U KR200439498Y1 (ko) 2007-09-05 2007-09-05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49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297B1 (ko) * 2008-09-27 2012-04-26 정세린 블루투스 시계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75859B1 (ko) 2011-12-06 2013-06-18 류광희 다기능 블루투스 헤드셋
KR101467432B1 (ko) * 2013-07-24 2014-12-04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모바일단말기와 연동되는 보조단말기 및 모바일단말기와 보조단말기의 연동 방법
KR20160004018A (ko) * 2014-07-02 201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442525B2 (en) 2014-02-21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297B1 (ko) * 2008-09-27 2012-04-26 정세린 블루투스 시계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75859B1 (ko) 2011-12-06 2013-06-18 류광희 다기능 블루투스 헤드셋
KR101467432B1 (ko) * 2013-07-24 2014-12-04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모바일단말기와 연동되는 보조단말기 및 모바일단말기와 보조단말기의 연동 방법
US9442525B2 (en) 2014-02-21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s
KR20160004018A (ko) * 2014-07-02 201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43861B1 (ko) * 2014-07-02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401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генерации звука в ушной раковине
KR200439498Y1 (ko) 이동 단말기에 연동하기 위한 손목시계 형태의 무선 헤드셋
US10321218B2 (en)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WO2003084192A8 (en) A personal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parts and pronounced potential for self-expression
TW201427370A (zh) 手機保護殼及具有該保護殼
JP3090729U (ja) 筆記用ペン型セパレート送受話器
CN102237897A (zh) 利用一个蓝牙终端监听多个通信终端
KR101110424B1 (ko) 손목시계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CN103412476A (zh) 带蓝牙功能的手表
CN205721104U (zh) 一种以可拆卸显示屏作为蓝牙耳机的智能手表
KR100779145B1 (ko) 다기능 손목 시계
JP2013229840A (ja) 着脱式受話器を有するタブレット型携帯情報端末
CN203377919U (zh) 腕戴式触控智能电话
KR20160094053A (ko) 액세서리형 와치 디바이스
EP2341702A1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automatic power control
CN101888443B (zh) 一种有线和无线电话融合设备
JP2009111888A (ja) 近距離無線通信機能付き携帯端末を用いた携帯無線通信方法
KR20130001731U (ko) 손목시계형 헤드셋
KR200184934Y1 (ko)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CN207720125U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对讲机
CN202841295U (zh) 带有蓝牙功能的电话机
CN202798896U (zh) 一种在voip通话中实现视频控制的移动终端
KR200225458Y1 (ko) 필기구 겸용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200420561Y1 (ko) 휴대 단말기 구조
KR200194775Y1 (ko) 인형을 이용한 이어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