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498Y1 -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 - Google Patents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498Y1
KR200438498Y1 KR2020070005140U KR20070005140U KR200438498Y1 KR 200438498 Y1 KR200438498 Y1 KR 200438498Y1 KR 2020070005140 U KR2020070005140 U KR 2020070005140U KR 20070005140 U KR20070005140 U KR 20070005140U KR 200438498 Y1 KR200438498 Y1 KR 200438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lutch
lever
drive gear
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이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희 filed Critical 이덕희
Priority to KR2020070005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7/00Affixing tags
    • B65C7/001Affixing tags using pins having at least one sharp point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01/00Portable tools for labelling or tagging, associated with holders when in use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체(1)에 지지축(1x)과 스프링(1s)으로 설치된 레버(1v)를 조작하면, 레버(1v)의 선형기어(1g)와 연동(連動)되는 클러치기어(2) 및 구동기어(3)의 구동에 의해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택 부착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2)와 구동기어(3)의 각 대향면에 180도의 좌우 양측에 경사진 클러치돌조(2t)(3t)를 반지름 방향으로 각각 형성하고 구동기어(3)의 내면측에 형성된 환상돌조(3a)의 원주위에서 상기 클러치돌조(3t)와 같은 방향의 180도 좌우 양측에 록킹홈(3u)을 각각 형성하여, 구동기어(3)의 180도 회전에서 레버(1v)의 선형기어(1g)에 형성한 돌기(1t)가 구동기어(3)의 록킹홈(3u)에 결합되어 180도 회전각도에서 제동되게 구성하였다. 구동기어의 정확한 180도 회전각도의 유지로 인하여 이에 연결된 모든 택 부착기구의 행정동작을 확실하게 보장하여 택 부착기의 기능적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택 부착기, 레버, 선형기어, 클러치기어, 구동기어, 록킹홈, 돌기,

Description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CLUTCH DEVICE OF TAG FASTENER}
도1은 본 고안의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의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동 요부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구동기어와 클러치기어의 분리한 정면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구동기어와 클러치기어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구동기어와 클러치기어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기체 1g : 선형기어 1p : 제지돌기 1v : 레버
1s : 스프링 1x : 지지축
2 : 클러치기어 2s : 스프링 2t : 클러치돌기 2x : 지지축
3 : 구동기어, 3a : 환상돌조 3t : 클러치돌기 3u : 록킹 홈
본 고안은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버의 한번 작동으로 택의 부착동작이 완료되며, 레버의 한 동작으로 구동기어가 정확하게 180도 회전하여 제동되게 한 것이다.
종래 재봉실로 물품에 택(Tag)을 부착하는 택 부착기(Tag fastener)의 선행기술의 예를 들면, 일본실용신안공보 소 57-41124 (1982.9.9.공고), 일본특허공보 소 57-44533 (1982.9.12.공고),일본특허공보 소 57-48457 (1982.10.16.공고) 일본특허공보 소 59-5315 (1984.2.3.공고), 일본실용신안공보 소63-44332 (1988.11.17공고),일본실용신안공보 소63-44333 (1986.11.17 공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3-294337(1989.12.1.공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 1-267142 (1989.10.25 공개) 등에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여러 가지 수단이 개시(開示)되어 있다.
상기한 택 부착기(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것에 한함)는 택을 부착하는 바늘에 재봉실을 공급하는 실 공급기구와, 공급된 실을 걸어 당기어 고리를 이루는 고리기구와, 실 고리의 끝을 매듭기에 대어주는 실접속기구와, 실접속기구가 대어준 실 고리의 끝을 매듭지는 매듭기구와, 매듭짓는 동안 실공급기구의 실을 풀리지 않게 잡고 있는 실잡이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기구는 레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게 되어 있으며, 부착기의 레버를 한번 당기면 레버의 1차 동작에 의해 구동기어가 150도 회전하는 구동력에 의해 부착기의 실공급기구가 작동하여 실이 공급되고 고리기구의 작동으로 공급된 실을 당기어 고리를 형성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당겼던 레버를 놓고 다시 레버를 당기면 레버의 2차 동작에 의해 구동기어가 30도 회전하는 구동력에 의해 실접속기구가 작동되어 고리를 매듭기에 대어주고 매듭기구의 작동으로 고리의 매듭을 짓고 연결된 실을 절단하는 동작이 이루어져서 택의 부착동작이 종료된다.
그러나 구동기어와 클러치기어가 2차에 걸쳐 150도 및 30도 각도로 나누어 180도를 회전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대단히 복잡할 뿐 아니라 구동기어의 설정된 회전각도에서 제동하는 기구가 없고 레버에 의해 구동기어의 회전각도를 한정하게 되어 있어, 레버를 설정된 정확한 범위로 작동시키지 않으면 구동기어의 회전각이 크거나 작게 되어 이에 연결된 다른 기구들의 행정이 완료되기 전에 다음 행정이 중복되는 등 택이 부착되지 않고 기체 내부에서 실이 엉키며, 그때마다 엉킬 실을 뜯어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고 레버를 한번 작동하여 택을 부착하기 위하여, 기체에 설치된 레버를 조작하면, 레버의 선형기어와 연동되는 클러치기어 및 구동기어의 구동에 의해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게 된 부착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와 대접된 구동기어의 각 대향면에서 180도의 좌우 양측에 경사진 클러치돌조를 반지름 방향으로 각각 형성하고 구동기어의 내면측에 형성된 환상돌조의 원주위에서 상기 클러치돌조와 같은 방향의 180도 좌우 양측에 록킹홈을 각각 형성하여, 구동기어의 180도 회전각도에서 선형기어의 돌기가 록킹홈에 걸리어 제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레버를 한번 당기면 클러치기어와 구동기어가 클러치돌조의 결합으로 연동되는 동시 구동기어의 180도 회전에서 레버의 선형기어에 형성한 돌기가 구동기어의 록킹홈에 결합되어 180도 회전각도에서 제동되고, 구동기어의 정확한 180도 회전각도의 유지로 인하여 이에 연결된 모든 택 부착기구의 행정동작을 확실하게 보장하여 택 부착기의 기능적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택 부착기의 레버를 한번 당기어 택을 부착하기 때문에 종래 2번 레버를 당기던 것에 비하여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레버의 단동작으로 모든 기구의 행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종래 레버의 2번 당기던 작동의 불정확성으로 인하여 각 기구의 행정이 도중에 다시 중복되거나 실이 엉키는 등의 폐단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레버를 당길 때 구동기어의 180도 회전각도에서 선형기어에 형성된 돌기가 구동기어에 형성된 록킹홈에 끼여서 제동하기 때문에 구동기어는 정확하게 180도 회전각이 유지되어 이에 연결된 모든 기구의 행정동작이 확실하고 부착기의 기능적 신뢰성이 매우 높아진다.
택 부착기의 클러치기구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의 우려가 적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유효하게 택을 부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x)과 스프링(1s)으로 설치된 레버(1v)를 조작하면, 레버(1v)의 선형기어(1g)와 연동되는 클러치기어(2) 및 구동기어(3)의 구동에 의해 모든 기구의 작동으로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게 된 부착기에 있어서,
도2 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기어(2)와, 이에 대접(對接)되는 구동기어(3)의 각 대향면에 경사진 클러치돌조(2t)(3t)를 180도 좌우 양측의 반지름 방향으로 각각 형성하고 구동기어(3)의 내면측에 형성된 환상돌조(3a)의 원주위에서 상기 클러치돌조(3t)와 같은 방향의 180도 좌우 양측에 록킹홈(3u)을 각각 형성 하여 지지축(2x)과 스프링(2s)으로 설치된 클러치기어(2)와 연동되는 구동기어(3)가 180도 회전(1/2회전)에서 레버(1v)의 선형기어(1g)에 형성한 돌기(1t)가 구동기어(3)의 록킹홈(3u)에 결합되어 제동되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1,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기체(1)의 레버(1v)를 한번 당기면, 레버(1v)의 동작에 따라 선형기어(1g)와 연동되는 상기 클러치기어(2)와 구동기어(3)의 클러치돌조(2t)(3t)끼리 일방향 회전시에 결합되어 구동기어(3)가 회전된다. 구동기어(3)가 180도 회전각도에서 선형기어(1g)에 형성된 돌기(1t)가 구동기어(3)의 록킹홈(3u)에 결합되어 록킹된다. 이 상태에서는 구동기어(3)는 회동되지 않고 제동되고 레버(1v)도 그 이상 당겨지지 않는다. 구동기어(3)가 180도 회전하는 동안 구동기어와 연결된 모든 택 부착기구들이 각각 행정이 이루어져서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다. 텍이 부착되는 기구의 동작은 인용문헌에서 공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요부가 아니므로 택의 부착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레버(1v)의 당김을 풀면, 레버(1v)는 스프링(1s)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벌어지어 기체(1)에 형성된 제지돌기(1p)에 제지(制止)된다. 레버(1v)의 복귀시에는 선형기어(1g)가 역회전되어 클러치기어(2)도 함께 역회전되나 이 때에는 클러치기어(2)의 클러치돌조(2t)와 구동기어(3)의 클러치돌조(3t)의 경사면으로 인하여 해리되어 클러치기어(2)만 공회전되고 구동기어(3)는 다른 기구들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역회전 없이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레버(1v)를 당기면 처음 동작과 동일하게 클러치기어(2)와 클러치 된 구동기어(3)가 180도 회전되어 선형기어(1g)의 돌기(1t)가 구동기어(3)의 두번째의 록킹홈(3u)에 걸리어 록킹되어 정확하게 180도 회전 각도에서 제동된다. 구동기어의 회전으로 인한 택 부착기구의 동작은 상기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서 기체의 레버는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만 좌우로 작동되고 더욱이 한번의 당김동작에 의해 택을 부착할 수 있으므로 레버의 오동작이 없이 간편한 레버조작으로 확실하게 택을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택 부착기의 레버를 한번 당기어 택을 부착하기 때문에 종래 2번 레버를 당기던 것에 비하여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레버의 단동작으로 모든 기구의 행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종래 레버를 2번 당기던 작동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각 기구의 행정이 도중에 중복되거나 실이 엉키는 등의 폐단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레버를 당길 때 구동기어의 180도 회전각도에서 선형기어에 형성된 돌기가 구동기어에 형성된 록킹홈에 끼여서 제동하기 때문에 구동기어는 정확하게 180도 회전각이 유지되어 구동기구에 의해 작동되는 모든 부착기구의 행정이 확실하게 종료될 수 있어, 택 부착기의 기능적 신뢰성이 매우 높아진다.
택 부착기의 클러치기구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의 우려가 적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유효하게 재봉실로 택을 부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체(1)에 지지축(1x)과 스프링(1s)으로 설치된 레버(1v)를 조작하면, 레버(1v)의 선형기어(1g)와 연동되는 클러치기어(2) 및 구동기어(3)의 구동에 의해 모든 부착기구의 작동에 의해 재봉실로 택을 부착하는 택 부착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2)와, 이에 대접되는 구동기어(3)의 각 대향면에 경사진 클러치돌조(2t)(3t)를 180도 반지름 방향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하고 구동기어(3)의 내면측에 형성된 환상돌조(3a)의 원주위에서 상기 클러치돌조(3t)와 같은 방향의 180도 좌우 양측 위치에 록킹홈(3u)을 각각 형성하여, 지지축(2x)과 스프링(2s)으로 설치된 클러치기어(2)와 연동되는 구동기어(3)가 180도 회전각도에서 레버(1v)의 선형기어(1g)에 형성한 돌기(1t)가 구동기어(3)의 록킹홈(3u)에 결합되어 제동되게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
KR2020070005140U 2007-03-29 2007-03-29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 KR200438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40U KR200438498Y1 (ko) 2007-03-29 2007-03-29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40U KR200438498Y1 (ko) 2007-03-29 2007-03-29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498Y1 true KR200438498Y1 (ko) 2008-02-20

Family

ID=4134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140U KR200438498Y1 (ko) 2007-03-29 2007-03-29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7407A (ko) 2022-08-23 2024-03-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부 조직 봉합용 핀 및 이를 활용한 봉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7407A (ko) 2022-08-23 2024-03-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부 조직 봉합용 핀 및 이를 활용한 봉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38529A1 (en)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JP7394431B2 (ja) 一体化されたクロージャー装置部品および方法
JP7111834B2 (ja) 締結装置
US20190320763A1 (en) Shoelace Folding and Releasing Device
JP2018118075A (ja) 紐締め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リール
KR200438498Y1 (ko) 택 부착기의 클러치장치
KR102368288B1 (ko) 고정 디바이스
US4074645A (en) Controlled braking device for the gripper-thread bobbin of a double lock-stitch sewing machine
JP5592722B2 (ja) 動物用の連結具
TW201912872A (zh) 縫紉針夾持裝置
JP2005296612A (ja) ミシンのパッカリング防止釜装置
JP2008057166A (ja) 電気錠のクラッチ機構
US4096812A (en) Clutch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KR20080088134A (ko) 택 부착기의 작동구
US117708A (en) Improvement in sewing-machines
JP2007152076A (ja) 環縫いミシン
JP3073062U (ja) 紐用留め具
US9150992B2 (en) Sewing machine with a drive-selection device capable of positioning an upper thread wiper when in a non-drive position
JPS58220855A (ja) ピツクフアインダのクラツチ制動装置
TWI747681B (zh) 緊固裝置
CN215648367U (zh) 绑绳器具
EP4321050A1 (en) Fastening device
EP4292969A1 (en) Fastening device and tie cord winding/unwinding method
EP4136999A1 (en) Fastening device
US161478A (en) Improvement in sewing-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