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473Y1 -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473Y1
KR200438473Y1 KR2020060029538U KR20060029538U KR200438473Y1 KR 200438473 Y1 KR200438473 Y1 KR 200438473Y1 KR 2020060029538 U KR2020060029538 U KR 2020060029538U KR 20060029538 U KR20060029538 U KR 20060029538U KR 200438473 Y1 KR200438473 Y1 KR 200438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pile
driving
pile
l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용
Original Assignee
김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용 filed Critical 김지용
Priority to KR2020060029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4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강관 말뚝의 항타 시 강관 말뚝 거치장치 또는 이웃 말뚝이 항타 장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보조 강관을 강관 말뚝의 상단에 용접하고, 항타가 완료되면 다시 용접부를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항타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강관 말뚝의 상단에서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DRIVING STEEL PIPE PILE}
도 1은 종래의 항타 장비를 나타낸 개략 형태설명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강관 말뚝 거치장치에 의해 고정된 강관 말뚝을 위에서 항타 장비로 항타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상기 강관 말뚝을 X형태로 항타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강관 말뚝을 다수 연속접속하여 항타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종래 강관 말뚝의 상부에 보조 강관을 용접 결합한 종래의 말뚝 용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의 강관말뚝에의 삽입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 10. 리더 파이프(Leader Pipe)
11. 걸이 및 지지보 12. 지지보
20.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 21. 테이퍼부
110. 항타 장비 111. 함마 본체
112. 슬리브(Sleeve) 또는 캡(Cap) 120. 강관 말뚝
121. 보조 강관 130. 강관 말뚝 거치장치
140. 바지선(Barge)
본 고안은 강관말뚝 항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 말뚝의 항타시 강관말뚝 거치장치 또는 이웃 말뚝이 항타 장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보조 강관을 강관 말뚝의 상단에 용접하고, 항타가 완료되면 다시 용접부를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항타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강관 말뚝의 상단에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관 말뚝을 항타하기 위한 항타 장비(110)로는 유압함마, 디젤함마, 에어 및 스팀함마가 있으며, 상기 항타 장비(110)는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함마 본체(111)와 이 함마 본체(111)의 하단에 장착된 슬리브(Sleeve) 또는 캡(Cap)(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 또는 캡(112)은 그 내부에 강관 말뚝(1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항타 장비(110)를 강관 말뚝(120)의 상부에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항타 장비(110)는 강관 말뚝(120)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이 항타 장비(110)의 함마 본체(111)에서 발생되는 타격력에 의해 강관 말뚝(120)이 지중에 삽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강관 말뚝(120)을 도 3에서와 같이 해저면에 항타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강관 말뚝(120)의 상부를 고정하여 강관 말뚝(120)을 원하는 정위치에서 항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강관 말뚝 거치장치(130)를 이용한다.
상기 강관 말뚝 거치장치(130)로는 바지선(Barge)(140)의 전면에 장착되는 가이드프레임(Guideframe)이나, 핀(Pin) 파일을 통해 해상에 설치되는 파일 재킷(Pile Jacket)이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강관 말뚝 거치장치(130)를 통해 고정된 강관 말뚝(120)을 항타 장비(110)를 이용하여 지중의 일정 심도까지 항타하다 보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항타 장비(110)의 슬리브 또는 캡(112)이 상기 강관 말뚝 거치장치(130)에 걸리게 되어 더이상 항타 작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X형 항타 또는 강관연속연결 항타를 실시할 때에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일정 심도까지 강관 말뚝(120)의 항타가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항타 장비(110)의 슬리브 또는 캡(112)이 이웃 말뚝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항타 작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강관 말뚝 거치장치(110)에 구애받지 않고 목표한 심도까지 강 관 말뚝(120)을 항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강관 말뚝(120)의 상단에 별도의 보조 강관(121)을 용접하여 강관 말뚝(120)의 길이를 연장시킨 후 상기 보조 강관(121)의 상단에 항타 장비(110)를 거치하여 강관 말뚝(120)을 목표한 심도까지 항타 한 다음 상기 강관 말뚝(120)과 보조 강관(121)의 용접부를 절단하는 작업을 하여 왔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강관 말뚝(120)에 보조강관(121)을 용접하였다가 항타후 그 용접부를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공사기간이 지연될 뿐 아니라 공사비용도 증가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별도의 보조 강관을 강관 말뚝에 용접하고, 항타가 완료되면 다시 용접부를 절단해야 하는 수고 없이 강관 말뚝 거치장치 또는 이웃 말뚝에 구애받지 않고 목표한 심도까지 거침없이 항타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강관 말뚝의 상단에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항타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리더 파이프(Leader Pipe)와,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더 파이프의 상단에는 항타 장비가 거치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 파이프는 강관 말뚝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 7~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1)는, 상부 내면에 걸이 및 지지보(11)가 형성되고 하부 내면에도 지지보(12)가 형성된 리더 파이프(Leader Pipe)(10)와, 상기 리더 파이프(10)의 하단에 이음형성되고 강관 말뚝(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 및 지지보(11)와 지지보(12)는 상기 리더 파이프(10)의 보강을 위하여 X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리더 파이프(10)의 외경은 도 8에서와 같이 강관 말뚝(12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파이프(20)의 외경은 강관 말뚝(120)의 내경에 접속되고 중간 끼워 맞춤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그 가이드 파이프(20)의 하단에는 테이퍼부(21)가 형성되어 가이드 파이프(20)를 강관 말뚝(120)에 삽입하기가 용이하다.
이하,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을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이드프레임 또는 파일 재킷과 같은 강관 말뚝 거치장치(130)를 이용한 항타 또는 X형 항타 또는 강관연속연결 항타 등을 실시할 때 강관 말뚝(120)의 상부에 항타 장비(110)를 거치하여 일정 심도까지 강관말뚝 항타를 실시한다.
다음, 상기 강관 말뚝(120)에서 항타 장비(110)를 해체한 후, 상기 강관 말뚝(120)의 상단에 본 고안상의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1)를 도 7에서와 같이 삽입하여 결속시킨 다음 그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1)의 상단에 다시 항타 장비(110)를 거치하여 항타를 다시 시작한다.
위와 같이 하게 되면 강관 말뚝(120)을 도 3에 도시된 강관 말뚝 거치장치(130) 또는 도 5에서 도시된 이웃 말뚝에 구애받지 않고도 원하는 심도까지 항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위와 같이 하나의 강관 말뚝(120)에 대한 항타가 완료되면 본 고안상의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1)를 강관 말뚝(120)으로부터 분리하여(도 7 참조) 이 연결장치를 또다른 강관 말뚝(120)에 결속시켜 항타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연속 과정을 통해 지체 없이 원활히 다수 강관 말뚝(120)의 항타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상의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에 의해서, 강관 말뚝 거치장치 또는 이웃 말뚝에 구애받지 않고 목표한 심도까지 용이하게 강관 말뚝의 항타를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 고안상의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는 강관 말뚝으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하여 작업의 지체 없이 다수 강관 말뚝의 항타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항타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강관 상부 내면에 걸이 및 지지보(11)가 형성되고 하부 내면에도 지지보(12)가 형성된 리더 파이프(Leader Pipe)(10)와, 상기 리더 파이프(10)의 하단에 이음형성되고 강관 말뚝(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더 파이프(10)의 외경은 강관 말뚝(12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파이프(20)의 외경은 강관 말뚝(120)의 내경에 접속되고 중간 끼워 맞춤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파이프(20)의 하단에는 테이퍼부(21)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강관말뚝으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하고 상기 강관말뚝의 거치장치 또는 이웃말뚝에 구애받지 않고 목표심도까지 용이하게 강관말뚝의 항타를 연속적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
KR2020060029538U 2006-11-13 2006-11-13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 KR200438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538U KR200438473Y1 (ko) 2006-11-13 2006-11-13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538U KR200438473Y1 (ko) 2006-11-13 2006-11-13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473Y1 true KR200438473Y1 (ko) 2008-02-19

Family

ID=4134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538U KR200438473Y1 (ko) 2006-11-13 2006-11-13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4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886B1 (ko) * 2012-11-28 2015-04-16 (주)현타 두께가 상이한 강재로 이루어진 연속 강관 말뚝
KR20150146031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정식 해양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886B1 (ko) * 2012-11-28 2015-04-16 (주)현타 두께가 상이한 강재로 이루어진 연속 강관 말뚝
KR20150146031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정식 해양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652378B1 (ko) * 2014-06-20 2016-08-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정식 해양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473Y1 (ko) 강관 말뚝 항타 연결장치
JP5422048B2 (ja) 杭及びその形成方法
CN212200391U (zh) 一种基坑护桩
JP6830793B2 (ja) 支柱用基礎部材およびその支柱用基礎部材を地中に打ち込む際に用いる打ち込み治具
CN112281866A (zh) 腰梁和支护桩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JP6709087B2 (ja) 杭圧入引抜機
JP2007169951A (ja) 連結鋼管矢板の推進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推進工法
US10472791B1 (en) Removing submerged piles of offshore production platforms
JP6341027B2 (ja) 床版拡幅工法
CN201280734Y (zh) 破碎锤和破碎锤的保护外壳
WO2004011327A1 (en) Sheet anchor
JP5093469B2 (ja) 杭引抜装置
CN102821916B (zh) 对器具和涉及器具的改进
JP7137971B2 (ja) 杭部材支持具及び杭打機
JP5896082B2 (ja) 鋼矢板の地中変形防止装置及び地中変形防止方法、及び連続壁の地中変形防止装置
KR100895518B1 (ko) 보조항타공법의 파일두부보강용 보조항타캡
CN211708528U (zh) 一种拱肋焊接辅助装置
JP3218282U (ja) 支柱ハンマー
FI123589B (fi) Paalutusmenetelmä
CN220579969U (zh) 一种混凝土施工用连接装置
JP3906929B2 (ja) ボックス掘進機
CN217438934U (zh) 一种打桩渐进式套筒桩帽装置
JP4354373B2 (ja) 傾斜したコンクリート杭の打設工法
JP2006207254A (ja) ヤットコ鋼矢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鋼矢板の打設方法
JPH07103559B2 (ja) 鋼管杭の打設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