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449Y1 - 농작물 운반차 - Google Patents

농작물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449Y1
KR200438449Y1 KR2020070008140U KR20070008140U KR200438449Y1 KR 200438449 Y1 KR200438449 Y1 KR 200438449Y1 KR 2020070008140 U KR2020070008140 U KR 2020070008140U KR 20070008140 U KR20070008140 U KR 20070008140U KR 200438449 Y1 KR200438449 Y1 KR 200438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wheel
wheel
brake
transport vehicl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원
Priority to KR2020070008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4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4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three-wheeled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선부에서 주행이 용이하고, 용이하게 제동이 가능하며, 정지시 의도하지 않은 출발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물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운반차는 내부에 피운반물을 수용하도록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의 일측에 상향 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11)와, 상부면이 상기 적재함(10)의 하부면 양측부에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10)의 간격으로 두고 하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륜 브라켓(21)과, 상기 각 주행륜 브라켓(21)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R)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륜(20)을 포함한다.
과일, 농작물, 운반, 적재함, 제동, 정지 유지, 주행륜, 브라켓, 안내륜

Description

농작물 운반차 { Carrier for the crops }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운반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운반차의 주행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운반차의 안내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운반차의 제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운반차의 정지유지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운반차의 정지유지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적재함 11 : 손잡이
12 : 난간 20 : 주행륜
21 : 주행륜 브라켓 22 : 연결바
23 : 정지륜 30 : 안내륜
31 : 안내륜 브라켓 41 : 제동레버
42 : 제동와이어 43 : 제동자
44 : 제동링크 50 : 시동레버
51a : 걸림턱 51b : 스프링
52 : 스토퍼 53 : 시동와이어
54 : 정지자 55 : 탄성부재
R : 레일
본 고안은 과수원 등에서 사용되는 농작물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선부에서 주행이 용이하고, 용이하게 제동이 가능하며, 정지시 의도하지 않은 출발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물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 농장, 하우스 등에서는 수확한 수확물 또는 각종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서 레일상에서 이동하는 운반장치를 마련하여 사용한다.
과수원, 농장, 하우스 등과 같은 현장은 설비의 기계화가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일일이 수작업으로 과일과 같은 수확물을 채취하여 운반하게 된다.
일부,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면을 주행하는 운반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과수원, 농장,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현장은 특성상 지표면이 포장이 되지않고 다져지지 않은 토사이므로, 상기와 같은 운반장치의 바퀴가 직접 지면에 닿은 채로 구동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표면이 운반장치의 주행에 따라 패이거나 유실됨으로써 작업환경이 나빠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표면에 별도의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운반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레일상에서 주행하는 운반장치라 하더라도, 곡선부에서의 주행이 원활하지 않고, 제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경사지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은 계속해서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곡선부에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는 농작물 운반차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농작물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정지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출발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물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농작물 운반차는, 내부에 피운반물을 수용하도록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상향 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와,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적재함 하부면 양측에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적재함의 하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륜 브라켓과, 상기 각 주행륜 브라켓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륜을 포함한다.
여기서, 쌍으로 구비된 상기 주행륜 브라켓을 연동시키기 위해, 양단이 각각 상기 주행륜 브라켓에 각각 링크연결되는 연결바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하부면에 상단이 간격을 두고 체결되고 하부는 하단이 레일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안내륜 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안내륜 브라켓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레일 상에 서로 정해진 각도로 벌어져 주행하는 한 쌍의 안내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레버와, 상기 주행륜 브라켓의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링크와, 상기 주행륜 브라켓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제동링크의 일단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주행륜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동자와, 일단은 상기 제동레버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동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동레버의 회전시 상기 제동자를 주행륜에 접촉시키는 제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치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주행륜과 동축으로 구비되는 정지륜과,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에 탄력지지되어 구비되는 시동레버와, 하단에 외측으로 연속적으로 치가 돌출되어 상기 정지륜가 선택적으로 치합되고, 상기 주행륜 브라켓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정지자와, 상기 정지자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일단은 상기 시동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정지자의 상단에 연결되는 시동와이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농작물 운반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운반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작물 운반차의 주행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농작물 운반차의 안내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농작물 운반차의 제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농작물 운반차의 정지유지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운반차는 내부에 피운반물을 수용하는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륜(20)과, 주행 시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륜(30)과, 레버 작동에 의해서 상기 주행륜(20)을 정지시키는 제동수단과, 정지상태에서 상기 주행륜(20)의 회전상태를 구속하는 정지유지수단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은 정해진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된 레일(R)위를 주행하면서, 수확된 과일, 채소 또는 각종 장비와 같은 피운반물을 내부에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적재함(10)은 피운반물의 추락을 방 지하기 위해서 난간(12) 또는 측벽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는 적재함(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이용하여 당기거나 밀도록 한다.
손잡이(11)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단이 적재함(10) 또는 적재함(10)에 구비된 난간(12)에 체결되고, 폐쇄된 타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행륜(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륜 브라켓(21)을 통하여 적재함(10)에 구비된다.
주행륜(20)은 레일(R)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재함(1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레일(R)상에서 적재함(10)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주행륜(20)은 레일(R)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일(R)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예의 하나로, 레일(R)의 단면이 원형이라면, 주행륜(20)은 둘레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주행륜(20)은 레일(R)상에서 용이하게 주행하되,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주행륜(20)은 적재함(10)의 하부면에 구비된 주행륜 브라켓(21)을 통하여 적재함(10)에 구비된다.
주행륜 브라켓(21)은 판재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면은 상기 적재함(10)의 하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측부에 주행륜(2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주행륜 브라켓(21)은 곡선으로 설치된 레일(R)상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적재함(10)과 주행륜(2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주행륜(20)이 적재함(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각 주행륜 브라켓(21)에 구비되는 주행륜(20)의 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주행륜 브라켓(21)에 구비되는 주행륜(20)의 수를 변경하여 구비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연결바(22)를 구비하여 적재함(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주행륜 브라켓(21)을 연동시켜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행륜 브라켓(21)이 적재함(10)에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바,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만약 주행륜 브라켓(2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더 이상 주행륜(20)은 레일(R)위를 주행할 수 없고 레일(R)로부터 탈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주행륜 브라켓(21)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레일(R) 상에서 주행륜(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22)의 양단에 연결되어 적재함(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주행륜 브라켓(21)에 각각 주행륜(20)이 구비된 것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적재함(10)의 하부면에 구비된다.
이때, 주행륜(20)은 적재함(10)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적재함(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륜(3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레일(R)을 주행중인 농작물 운반차가 레일(R)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정해진 각도만큼 벌어진 상태로 적재함(10)의 하부면에 체결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안내륜(30)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각각의 안내륜(30)이 벌어져 서로 정해진 각도를 두고 레일(R)상을 주행하도록 적재함(10)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한 쌍의 바퀴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되, 서로 'V'자 형상으로 벌어진 상태로 각각 레일(R)상을 주행하게 됨으로써,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기 각 안내륜(30)이 지지함으로써, 레일(R)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내륜(30)이 적재함(1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안내륜 브라켓(31)을 구비한다. 안내륜 브라켓(31)은 상단이 적재함(10)의 하부면에 체결되고, 하단이 레일을 향하도록 하부가 절곡되어, 상기 안내륜(30)이 각각 각도를 유지한 채 레일(R)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동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동레버(41)와, 상기 주행륜(20)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압착되는 제동자(43)와, 일단이 상기 제동자(43)의 상단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주행륜 브라켓(21)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링크(44)와, 양단이 상기 제동레버(41)와 제동링크(44)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동와이어(42)를 포함한다.
제동레버(41)는 상기 손잡이(1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제동레버(41)는 상단이 상기 손잡이(11)의 상단과 평행하게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11)의 상단과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하고, 측면이 상기 손잡이(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잡이(11)와 제동레버(41)를 동시에 파지함으로써, 제동레버(41)가 작동하도록 한다.
제동자(43)는 하단이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주행륜(20)에 밀착되면 마찰에 의해서 주행륜(20)을 제동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제동자(43)는 주행륜 브라켓(2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제동자(43)가 상승하면 주행륜(20)과 이격되어 주행륜(2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하강되면 주행륜(20)의 외측에 밀착되어 주행륜(2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제동링크(44)는 주행륜 브라켓(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제동자(43)의 상단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제동자(43)가 제동링크(44)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도록 한다.
제동와이어(42)는 상기 제동레버(41)와 제동링크(44)를 연결하여, 제동레버(41)를 조작하면, 제동자(43)가 하강하여 주행륜(20)에 밀착되도록 한다. 제동와이어(42)는 양단이 제동링크(44)의 타단과 제동레버(41)의 하단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제동레버(41)를 잡아당기면, 제동와이어(42)가 제동링크(44)를 작동시켜 제동자(43)가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제동자(43)와 주행륜(20)을 밀착시켜 주행륜(20)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주행시에는 제동자(43)와 주행륜(20)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동자(4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동부위에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등을 구비하여 제동자(43)를 주행륜(2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농작물 운반차가 주로 사용되는 곳의 하나인 과수원은 구릉과 같은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과일과 같이 수확한 농작물, 각종 장 비 등과 같은 피운반물을 적재함의 내부로 적재하거나, 내리는 경우, 농작물 운반차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지유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지유지수단()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농작물 운반차가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정지유지수단은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치가 돌출되고 주행륜(20)과 동축으로 구비되는 정지륜(23)과, 상기 손잡이(1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시동레버(51)와,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정지륜(23)에 치합되도록 탄력지지되어 구비되는 정지자(54)와, 양단이 시동레버(51)의 하단과 정지자(54)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기 정지자(54)를 상승시키는 시동와이어(53)를 포함한다.
정지륜(23)은 외측에 연속적으로 치(齒)가 돌출되어 주행륜(20)과 동축으로 형성된다. 정지륜(23)의 외측에 형성된 치는 정지륜(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정지자(54)와 치합되도록 한다. 이때, 정지륜(23)은 동축인 주행륜(2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륜(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모든 주행륜(20)에 정지륜(23)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일부 주행륜(20)에만 정지륜(23)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시동레버(51)는 상기 손잡이(1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시동레버(51)는 손잡이(11)의 일측에 시동레버(51)의 중간부분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부는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하고, 하단은 시동와이어(53)가 연결된다.
또한, 시동레버(51)는 스프링 등에 의하여 탄력지지되어 사용자가 조작하거 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11)와 평행해진다. 즉,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손잡이(11)와 시동레버(51) 사이에 압축스프링(51b)의 양단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상기 압축스프링(51b)이 시동레버(51)를 당기도록 하여, 시동레버(51)가 직립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시동레버(51)는 손잡이(11)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스토퍼(52)를 마련한다. 예컨대, 주행중에는 시동레버(51)를 손잡이(11)로부터 이격시켜야 하는데, 상기 압축스프링(51b)에 의해 시동레버(51)는 손잡이(11)로 당겨진다. 이때, 상기 스토퍼(52)를 개재함으로써 시동레버(51)가 손잡이(11)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스토퍼(52)는 일단이 손잡이(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52)의 타단이 시동레버(51)의 측면을 지지도록 함으로써, 시동레버(51)가 손잡이(11)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시동레버(51)에는 스토퍼(52)의 타단을 구속하기 위해 걸림턱(51a)이 형성되어, 스토퍼(52)의 타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지자(54)는 주행륜 브라켓(2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되, 탄성부재(55), 예컨대 압축된 코일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정지자(54)는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탄력지지된다.
정지자(54)는 하부가 둘레에 상기 정지륜(23)에 형성된 치에 치합하는 치가 형성된 디스크 또는 원통형의 형성되고, 상부가 바(bar)의 형태로 형성된다. 정지자(54)는 하부가 상기 정지륜(23)과 선택적으로 치합됨으로써, 치합된 상태에서는 정지륜(23)의 회전을 방지하고, 이격된 상태에서는 정지륜(23)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농작물 운반차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농작물 운반차는 주행하기 전에 구속된 주행륜(20)을 해제하여야 한다. 정지된 상태에서는 정지자(54)와 정지륜(23)이 서로 치합된 상태이므로, 정지륜(23)은 회전할 수 없고, 정지륜(23)과 동축인 주행륜(20)도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비록, 적재함(10)의 하부에는 다수의 주행륜(20), 안내륜(30)이 구비되지만, 이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륜(20)이 정지자(54)에 의해서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정지상태인 농작물 운반차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구속된 주행륜(20)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시동레버(51)를 밀어서 정지자(54)를 상승시키도록 한다. 시동레버(51)를 회전시켜 손잡이(11)로부터 멀어지게 하면, 즉 손잡이(11)와 시동레버(51)의 사잇각이 커지도록 하면, 시동와이어(53)가 상기 정지자(54)를 당겨서, 정지자(54)를 상승시킨다.
압축된 탄성부재(55)에 의해서 정지륜(23)이 치합되도록 탄력지지된 정지자(54)를 시동와이어(53)를 이용하여 상승시키면, 정지자(54)는 정지륜(23)과 이격되어 정지륜(23)과, 정지륜(23)과 동축인 주행륜(20)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동레버(51)를 밀면, 정지자(54)와 정지륜(23)이 이격되어 주행륜(20)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주행시 정지자(54)와 정지륜(23)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토퍼(52)가 시동레버(51)의 걸림턱(51a)이 걸리도록 하여 시동레버(51)가 손잡이(11)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스토퍼(52)가 걸림턱(51a)에 걸리도록 하면, 손잡이(11)에 탄력지지되도록 구비된 시동레버(51)가 더 이상 손잡이(11)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정지자(54)와 정지륜(23)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계속해서 주행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주행륜(20)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농작물 운반차를 밀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주행중에는 지면에 설치된 레일(R) 위를 주행륜(20) 및 안내륜(30)이 주행하게된다.
만약, 곡선부분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재함(10)에 대하여 주행륜 브라켓(21)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주행륜 브라켓(21)이 주행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레일(R)에 대하여 주행륜(20)이 밀착됨으로써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한편, 주행륜 브라켓(21)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바, 경우에 따라서는 좌측과 우측에 있는 주행륜 브라켓(2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려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연결바(22)에 의해서 양측에 마련된 주행륜 브라켓(21)이 링크연결되어 있으므로, 좌우측 주행륜 브라켓(21)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이므로, 레일(R)의 곡선부에서 주행륜 브라켓(21)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안내륜(30)은 레일(R)을 측방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농작 물 운반차가 레일(R)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안내륜(30)이 서로 정해진 각도로 벌어진 상태로 구비되어 레일(R)상에 위치하여,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상기 안내륜(30)이 레일(R)을 지지하므로, 탈선을 방지한다.
한편,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었거나 감속하기 위해, 주행중인 농작물 운반차를 멈추게 하려면 제동수단을 작동시켜, 정지시킨다.
사용자는 손잡이(11)와 나란하게 구비된 제동레버(41)를 파지하여 제동레버(41)가 제동와이어(42)를 당기도록 한다. 제동와이어(42)가 당겨지면, 제동와이어(42)는 제동링크(44)를 통하여 제동자(43)를 하강시켜, 제동자(43)가 주행륜(20)에 밀착되도록 한다.
제동자(43)와 주행륜(20)이 밀착되면, 마찰에 의해 주행륜(20)은 더 이상 주행하지 못하고 감속되어 농작물 운반차는 정지상태가 된다.
농작물 운반차가 정지되면, 사용자는 다시 정지유지수단을 이용하여, 정지륜(23)을 구속시킨다.
즉, 농작물 운반차가 정지된 상태에서 시동레버(51)를 손잡이(11)이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있는 스토퍼(52)는 선회시켜 시동레버(51)가 회전가능해 지도록 한다.
시동레버(51)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면, 정지자(54)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55)가 정지자(54)를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정지자(54)와 정지륜(23)이 치합되어 초기의 상태, 즉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농작물 운반차가 완전히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과수로부터 과일을 수확하여 적재함(10)에 적재하거나, 반대로 적재된 과일을 적재함(10)으로부터 내릴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과수원에서 과일을 운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여타의 피운반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농작물 운반차에 따르면, 주행륜이 적재함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므로, 곡선부의 주행시 안정적으로 곡선부를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륜이 연결바에 의해서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가능한 주행륜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농작물 운반차가 레일에서 탈선하지 않는다.
그리고, 간단하게 제동레버를 당기는 것만으로 주행륜을 구속함으로써, 신속하게 농작물 운반차를 정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정지된 상태에서는 주행륜이 구속되어 주행할 수 없으므로, 경사지 등에서 피운반물을 적재하거나, 내리는 경우, 의도하지 않게 농작물 운반차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5)

  1. 내부에 피운반물을 수용하도록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상향 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와,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적재함 하부면 양측에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적재함의 하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륜 브라켓과,
    상기 각 주행륜 브라켓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륜과,
    상기 적재함의 하부면에 상단이 간격을 두고 체결되고 하부는 하단이 레일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안내륜 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안내륜 브라켓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레일 상에 서로 정해진 각도로 벌어져 주행하는 한 쌍의 안내륜을 포함하는 농작물 운반차.
  2. 제1항에 있어서,
    쌍으로 구비된 상기 주행륜 브라켓을 연동시키기 위해, 양단이 각각 상기 주행륜 브라켓에 각각 링크연결되는 연결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운반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레버와,
    상기 주행륜 브라켓의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링크와,
    상기 주행륜 브라켓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제동링크의 일단에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주행륜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제동자와,
    일단은 상기 제동레버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동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동레버의 회전시 상기 제동자를 주행륜에 접촉시키는 제동와이어가 더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운반차.
  5. 제1항에 있어서,
    외측면에 연속적으로 치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주행륜과 동축으로 구비되는 정지륜과,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에 탄력지지되어 구비되는 시동레버와,
    하단에 외측으로 연속적으로 치가 돌출되어 상기 정지륜가 선택적으로 치합되고, 상기 주행륜 브라켓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정지자와,
    상기 정지자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일단은 상기 시동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정지자의 상단에 연결되는 시동와이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운반차.
KR2020070008140U 2007-05-17 2007-05-17 농작물 운반차 KR200438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140U KR200438449Y1 (ko) 2007-05-17 2007-05-17 농작물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140U KR200438449Y1 (ko) 2007-05-17 2007-05-17 농작물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449Y1 true KR200438449Y1 (ko) 2008-02-19

Family

ID=4134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140U KR200438449Y1 (ko) 2007-05-17 2007-05-17 농작물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4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7768A (zh) * 2010-12-24 2011-06-29 华中农业大学 一种牵引式单轨道果园运输机
CN101720601B (zh) * 2009-12-07 2011-11-02 华中农业大学 自走式双轨道果园运输机
CN102730034A (zh) * 2012-07-11 2012-10-17 无锡市福曼科技有限公司 一种地面输送小车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0601B (zh) * 2009-12-07 2011-11-02 华中农业大学 自走式双轨道果园运输机
CN102107768A (zh) * 2010-12-24 2011-06-29 华中农业大学 一种牵引式单轨道果园运输机
CN102730034A (zh) * 2012-07-11 2012-10-17 无锡市福曼科技有限公司 一种地面输送小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0696B2 (en) Order picking system
US5350270A (en) Pickface conveyor
CA2942429C (en) Trailer-train trailer with carrying frame for a material transport cart
EP3609814A1 (fr) Système de préparation de commandes
KR200438449Y1 (ko) 농작물 운반차
US11312286B2 (en) Interchanging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terchanging load units
US20130112103A1 (en) Turn wheel for supporting a curved portion of a load-transporting cable
JPS6146368B2 (ko)
CN101654215A (zh) 一种货架升降机及自卸翻转装置
CN109279291A (zh) 一种山地轨道运输系统
CN201530704U (zh) 货架升降机及自卸翻转装置
US6216826B1 (en) Bank hoist braking apparatus
US5142991A (en) Inclined rail trolley safety device with lever operated cable shieve for taking up slack in the cable to control trolley drive
JP3475276B2 (ja) 棚荷役装置
EP1488688A1 (en) Plant pot support
US740475A (en) Hoisting device for sacks, boxes, &c.
US1697356A (en) Apparatus for handling mine cars
US2765931A (en) Machine for handling multi-layer paper bag packages
KR20130042070A (ko) 돈사에서 폐사된 돼지의 처리 및 다목적 이동장치
US1234849A (en) Elevated-conveyer carriage.
JP3153561U (ja) 箱昇降運搬車
US2868350A (en) Double tier can conveyor
US1170638A (en) Loading apparatus.
US615619A (en) Elevator
US635626A (en) Box for cereals and means for hand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