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367Y1 - 연성 튜브형 발광체 - Google Patents

연성 튜브형 발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367Y1
KR200438367Y1 KR2020077000001U KR20077000001U KR200438367Y1 KR 200438367 Y1 KR200438367 Y1 KR 200438367Y1 KR 2020077000001 U KR2020077000001 U KR 2020077000001U KR 20077000001 U KR20077000001 U KR 20077000001U KR 200438367 Y1 KR200438367 Y1 KR 200438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re
emitting diode
light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7000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938U (ko
Inventor
벤 판
Original Assignee
허 샨 라이드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 샨 라이드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엘티디. filed Critical 허 샨 라이드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to KR2020077000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367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3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2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 F21S4/26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of rope form, e.g. LED lighting ropes, or of tubular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불투명한 코어 와이어, 상기 코어 와이어 내에 제공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기 코어 와이어와 같은 길이를 갖는 반투명한 확산체, 및 상기 코어 와이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코어 와이어와 확산체를 모두 둘러싸는 피복층을 포함한다. 상기 확산체는 상기 피복층과 함께 동일한 길이로 압출성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균일하고 연속적인 발광 빛의 효과가 있고, 네온 발광체와 동등하며, 적은 비용으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성 튜브형 발광체{A flexible tubular light}
본 고안은 장식용 조명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이고 균일하며 천연색이고 부드러운 빛을 갖는 네온 발광체와 동등하고 개선된 연성 튜브형 발광체에 관한 것이다.
조명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가능한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조경, 상업 광고, 및 뒤뜰용 장식 등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잇점은,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가 자동 생산에 의하여 생산되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외력이 가해질 때 쉽게 휘어지고, 그 길이를 연장 및 단축하기 위하여 연결과 절단을 할 수 있으며, 충격에 내구적이고, 안전하며 안정적이고, 고객의 요구에 따라 장식적 패턴으로 설계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장식적 효과는 뛰어나고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연성 튜브형 발광체들의 단점은 자명한데, 이는 불연속적인 조명, 비균일한 광선에 관련된 것으로서 네온 발광체의 발광효과와는 상이한 것이다.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가 네온 발광체와 같은 연속성과 균일성을 갖지 못하는 것은,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 내의 조명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장착 및 배치된 소형-전구 또는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다수의 단일지점 발광체들이기 때문이다.
네온 발광체가 장식용 조명 요소로서 사용되는 이유는, 그것이 선명한 색상, 색상의 다양성, 균일한 분포, 그리고 부드러운 발광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네온 발광체들은 문, 간판, 게시판, 댄스 클럽, 바(bar), 선술집, 및 빌딩 외벽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네온 발광체의 치명적인 단점은, 전기 소비량이 많고, 그 전압이 높으며,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외부 유리 튜브가 쉽게 파손되며, 운송과 수리가 어렵고, 외형 변화를 위하여 휘어질 수 없으며, 절단될 수 없고, 설치와 수리를 위하여 전문적 기술자가 필요하며, 보존이 용이하지 않고, 안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여러해 동안 네온 발광체를 대체할 발광체를 찾아 왔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네온 발광체를 대체하기 위하여 연성 튜브형 발광체를 택하였다. 시장에는 플라스틱 연성 튜브형 발광체(또는 부드러운 네온 발광체로 불림)가 소개되었다. 상기 플라스틱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대량의 전기 소모율, 유지보수의 곤란성, 취약한 내구성, 및 높은 전압의 요구를 피하기 위하여 조명 요소로서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한다. 상기 개선사항으로 인하여, 상기 개선된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휘어질 수 있고, 연장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에 대한 요구에 적합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그러나, 인접한 발광다이오드들 간의 간격이 커서, 각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연속적이지 않은데, 이는 상기 개선된 연성 튜브형 발광체로 하여금 네온 발광체의 효과에는 미치지 못하게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외주에 반투명 커버가 부착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퍼뜨림으로써 네온 발광체와 같은 안개 효과를 창출하려 하였다. 그러나,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외주에 반투명 커버를 추가함으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었다. 또한 상기 반투명 커버의 추가 후에는,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가 휠 수 없게 되었고, 형상 변화에 대한 적합화 능력이 상실되었다.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진 다른 연성 튜브형 발광체가 시장에 소개되었는데, 이는 가열된 후에 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 빛은 부드러우며 연속적이고, 네온 발광체의 대체물로서 완벽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여전히 실온에서 취약한 내구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요소들 간에 전기 연결 매개물과 같은 부드러운 회로 보드를 채택하고 있고, 상기 회로 보드 상의 요소들의 위치고정을 위한 폐쇄 재료물을 충전시키기 위한 공정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제조 단계와 비용을 급격히 상승시킨다.
도 12 를 참조하면, 종래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연장된 플라스틱 코어(core; 110), 두 개의 와이어(wire; 120, 130), 내부에 다수의 전구(bulb; 160a, 160b, 160c)와 각 전구들(160a, 160b, 160c)을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170a, 170b)를 수용하는 다수의 종방향 홀(hole; 140) 또는 다수의 횡방향 홀(150a, 150b, 150c, 150d, 150e)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코어의 외측에 투명한 피복층(180)이 형성된다.
만일 상기 종래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코어가 상기 종방향 홀 내에 광원을 수용하고 상기 광원의 방향이 상기 코어의 축과 정렬되면, 상기 종래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수평형이라고 불린다. 만일 상기 종래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코어 가 상기 횡방향 홀 내에 광원을 수용하고 상기 광원의 방향이 상기 코어의 축에 수직으로 되면, 상기 종래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수직형이라고 불린다.
1986년 8월 19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제4,607,317호에는 "비(非)-네온 발광체"라 불리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전술된 수직형 연성 튜브형 발광체이다. 이것은 다른 어떤 현존하는 네온 발광체보다 안전성, 포장성, 설치성, 용도, 유지보수 특성 면에서 뛰어나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상기 점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연속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즉 이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여전히 발광다이오드의 점-효과(dotted effect)를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어떤 변형도 가해지지 않은 광원인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다.
2001년 2월 13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제6,186,645 B1호에는 연성 발광 시스템 및 장착 구조라고 불리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능력을 갖는 수평형 연성 튜브형 발광체이다. 그러나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은 충분히 부드럽게 되지 않았고, 따라서 시장에 있는 네온 발광체와 비교할 때, 여전히 부드럽고 연속적인 빛을 방출하지 못한다.
2003년 5월 20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제6,565,251 B2호에는 튜브형 장식 발광체 끈(string)이라 불리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개선된 수평형 연성 튜브형 발광체로서, 코어와 상기 코어 외측에 있는 피복부를 갖는다. 상기 코어와 피복부는 원형, 사각형, 타원형, 또는 파도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와 피복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공간이 한정될 수 있어서, 그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공간은 빛의 확산과 반사를 향상시키는 절연성 유체로 채워질 수 있다. 비록 이 연성 튜브형 발광체가 네온 발광체와 같이 부드럽고 연속적인 발광 효과를 방출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주장되고 있지만, 상기 빛이 어떻게 반사 및/또는 굴절되는가를 보이는 구체적 구성이 없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부드럽고 연속적인 빛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피복층을 이용한 개선된 연성 튜브형 발광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선된 연성 발광체는 그 길이를 연장 및 단축시키기 위하여 연결 및 절단될 수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부드러운 재료로 압출성형된 코어로서, 코어의 일측 내에 대향되게 수용된 두 개의 메인 와이어들과 코어의 타측 내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횡방향 홀들을 갖는 코어를 포함한다.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들은 연결 와이어들에 의하여 서로에 대해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류제한 저항체와 연결된다. 최초 및 최후의 연결 와이어들은 상기 메인 와이어에 연결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들, 연결 와이어들, 및 전류제한 저항체는 대응하는 횡방향 홀에 장착된다.
우유색의 반투명한 확산체는 미리 정해진 높이와 미리 정해진 폭을 가지고, 상기 코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상측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킨다.
피복층은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압출성형된 것이고, 상기 코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코어, 확산체, 및 발광다이오드를 덮는다. 상기 피복층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덮는 아치형의 상측 표면을 갖는다.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상기 와이어에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구동기를 더 갖는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기는 교류 대 직류 컨버터(AC to DC converter;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변환기) 또는 발광다이오드 전류 펄스 구동기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확산체는 압출성형되고, 상기 피복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우유색으로 반투명하고, PVC(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olyvinyl chloride)로 만들어지며, 상기 피복층과 일체로 형성되며, 종방향의 홀(hole)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코어는 발광다이오드의 상측에 대응하여 형성된 뒤집힌 사다리꼴의 요홈을 갖는다.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균일하고 연속적인 발광 빛의 효과가 있고, 네온 발광체와 동등하며, 적은 비용으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1 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 은 상기 코어 외측의 피복부 및 상기 코어 상측의 확산체의 형성을 도 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로부터의 발광 효과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B-B 선을 따라 취한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단면도이고;
도 7 은 압출성형 기계로부터 분출되는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로부터의 발광 효과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9 는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 은 도 9 에 도시된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1 은 본 고안의 코어 내측의 상이한 세 가지 구조를 도시하고;
도 12 는 종래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사시도이고;
도 13 은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적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 은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1 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 은 코어 외측의 피복부와 코어 상측 의 확산체의 형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제조 공정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두 개의 구리로 된 메인 와이어(main wire; 01a, 01b)는 압출성형 기계(미도시)를 통과한다. 상기 압출성형 기계는 자동으로 코어(02)를 연속적으로 압출성형한다. 상기 코어(02)는 부드럽고 불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데, 일반적으로는 부드럽고 불투명한 흰색 또는 다른 색의 PVC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인 와이어들은 상기 코어 내에 장착된다.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메인 와이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02)는, 내부에 발광다이오드(LED; 04a, 04b)를 각각 수용하기 위하여 코어(02)의 측부 내에 한정된 다수의 횡방향 홀들(03a, 03b, 03c, 03d)을 갖는다. 상기 메인 와이어들(01a, 01b)은 코어(02)의 다른 측부 내에 상기 횡방향 홀들(03a, 03b, 03c, 03d)에 대향되게 수용된다. 상기 횡방향 홀들은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원기둥(column)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횡방향 홀들(150a, 150b, 150c, 150d, 150e)과 전구의 리드(lead; 170a, 170b)들을 구비한 전구들(160a, 160b, 160c)은 상기 메인 와이어들(120, 130)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것에서는 상기 두 개의 메인 와이어들(01a, 01b)이 코어(02)의 일측에 있고 횡방향 홀들(03a, 03b, 03c, 03d)은 코어(02)의 타측에 있기 때문에,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가 휘어지는 때에 각 메인 와이어(01a, 1b)에 대한 신장력이 동일하고, 따라서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를 휠 때의 곤란성과 상기 메인 와이어들(01a, 01b)의 파손이 방지된다.
낮은 에너지 소비율, 낮은 온도, 높은 휘도, 및 발광다이오드의 작은 크기로 인하여,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 내의 발광다이오드 수가 증가되며, 인접한 발광다이오드들 간의 거리가 과열없이 단축되어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휘도가 네온 발광체를 능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발광다이오드의 직경은 3 내지 5mm 이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는 대략 200mcd(milli-candela)이다. 인접한 횡방향 홀들 간의 거리는 대략 1/2 인치이다.
상기 코어(02)가 형성되는 때, 상기 발광다이오드(04a, 04b)는 상기 코어(02) 내의 횡방향 홀(03a, 03c) 내에 수용된다. 다수의 횡방향 홀들(03b, 03d)은 인접한 발광다이오드들(04a, 04b) 사이에 있어서, 연결 와이어(05) 또는 전류 제한 저항체(06)을 수용한다. 상기 연결 와이어(05)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을 직렬 연결로 연결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직렬연결선의 최초 연결 와이어(07) 및 최후 연결 와이어(미도시)는 각각 상기 코어(02) 내의 메인 와이어(01a, 01b)에 연결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직렬연결선이 코어(02) 내에 채워진 때, 확산체(08)인 우유색의 반투명한 요소를 구비한 상기 코어(02)는 상기 압출성형 기계(20) 내의 관통홀(21)을 통과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투명한 PVC와 같은 부드러운 플라스틱(22)이 압출되어 상기 코어(02)와 확산체(08)를 덮고 코어(02)와 같은 길이를 갖는 피복층(14)을 형성한다. 상기 피복층(14)은 상기 확산체(08)와 발광다 이오드(04a, 04b)의 상측에 장착된 아치형의 표면을 가져서, 상기 네온 발광체의 발광 표면과 동등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코어(02)와 확산체(08)가 압출성형 기계(20)의 관통홀(21)을 통해 통과할 때, 상기 확산체(08)는 상기 발광다이오드(04)의 위에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04)는 상기 확산체(08)의 아래에 배치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체(08)의 중심선 아래에 있어야 한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이며, 불필요한 상세설명은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코어(02)는 불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들이 상기 코어 내의 횡방향 홀들에 장착된 때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코어(02)의 두 측부를 통과하여 방출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불투명한 코어는 발광다이오드(04)의 측광(sidelight)을 차폐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04)의 빛은 상기 확산체(08)를 통해서 상측으로부터만 방출될 수 있다.
상기 교시(teaching)로부터, 상기 확산체(08)의 폭과 높이는 발광다이오드의 휘도와 방출각도에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더 높은 휘도 또는 더 큰 방출각도를 가지면, 상기 확산체의 높이와 폭은 더 크게 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더 낮은 휘도 또는 더 작은 방출각도를 가지면, 상기 확산체의 높이와 폭은 더 작게 된다. 상기 확산체의 폭과 높이가 커질 수록,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발광체의 휘도는 약해지지만 점 발광 효과는 더 해소된다. 상기 확산체의 폭과 높이가 작아질 수록,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발광체의 휘도는 강해지지만 점 발광 효과는 덜 해소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발광다이오드는 3 내지 5mm 의 직경, 200mcd의 휘도, 및 45도의 방출각도를 갖는다. 상기 인접한 횡방향 홀들 간의 거리는 1/2인치이다. 상기 확산체(08)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4mm 의 높이(H) 및 8mm 의 폭(L)을 갖는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상기 피복층(14)에 의하여 굴절되고, 확산체(08)에 의하여 굴절 및 확산된다. 상기 인접한 발광다이오드들(04a, 04b, 04c, 04d)의 빛들의 주변부들은 겹쳐져서 겹침부분(12)을 형성한다. 상기 겹침부분(12)은 발광다이오드의 주변부 휘도를 향상시켜서 발광다이오드의 중앙부 휘도에 거의 같게 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피복층(14)의 아치형 상측 표면(10)인 발광다이오드(04)의 상측부는 네온 발광체와 같이 연속적이고 균일한 빛을 방출한다.
상기 피복층이 형성된 때, 상기 메인 와이어(01a, 01b)들은 전원 공급 케이블(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 부분은 플라스틱 껍질에 의하여 덮이는데, 이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부(12)를 형성한다. 상기 코어(02) 및 피복층(14)의 단부는 플라스틱 껍질에 의하여 덮이는데, 이는 플러그(13)를 형성한다. 이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이고, 불필요한 상세사항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발광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 구동기(15)가 주입되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케이블(11)에 형성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기는,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안정화시키고 발광다이오드의 반짝거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에 직류 전류를 제공하는 교류 대 직류 인버터(AC to DC inverter)일 수 있다. 상기 인버터는 정류를 위하여 일반적인 네 개의 다이오 드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보다 정교한 정류 구조를 포함한다. 이것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이고, 불필요한 상세사항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기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전류 펄스(current pulse)를 제공하여 발광다이오드의 광효율을 향상시키고 전원 비용을 감소시키는 전류 펄스 구동기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동일한 비용이 소요되는 때에 더 밝은 빛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휘도가 향상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가 도 5, 6, 및 7 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선이 상기 코어(02) 내에 채워지는 때에 상기 확산체는 미리 제조되어 있지 않다. 상기 확산 재료는 상기 피복 재료와 일체로 되고, 상기 코어(02)가 압출성형 기계(16) 내의 관통홀(17)을 통과할 때 상기 압출성형 기계(16)에 의하여 압출성형되는데, 이것은 상기 코어(02)의 상측에 확산체(09)를 형성하고 상기 코어(02)의 양 측부와 하측에 피복층(141)을 형성한다. 상기 피복층(141)과 확산체(09)를 만드는데에 사용되는 재료(19)는 부드럽고, 우유색을 띠며, 반투명한 플라스틱인데, 특히 부드럽고, 우유색을 띠며, 반투명한 피브이씨(PVC)이다. 상기 코어(02)의 상측에 있는 확산체(09)는 14mm 의 높이(H) 및 8mm 의 폭(L)을 갖는다.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빛은 상기 확산체(09)에 의하여 확산 및 굴절된다. 인접한 발광다이오드들(04a, 04b, 04c, 04d)의 빛의 주변부는 겹쳐져서 겹침영역(121)을 형성한다. 상기 겹침영역(12)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의 주변부 휘도를 발광다이오드들의 중앙영역과 거의 같게 향상시킨다.
도 9 및 도 10 에는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코어(02)의 상 측에 있는 확산체(090) 내에 축방향으로 통로(091)가 한정되어 재료가 절감된다. 상기 확산체(090) 및 피복층(141)은 일체로 되어 압출성형된다. 상기 통로(091) 내의 공기의 확산 효과가 상기 확산체에 비하여 열등하기 때문에,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기 코어(02)의 상측에 있는 확산체(090)의 높이(H1) 및폭(L1)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의 확산체(09)의 높이(H) 및 폭(L) 보다 커야 한다. 상기 통로(091)의 치수가 변함에 따라, 상기 확산체(090)의 높이(H1) 및 폭(L1)은 그에 따라 변해야 한다.
도 11 을 참조하면, 코어(020)는 코어(020)의 상측에 발광다이오드(04)에 대응하여 형성된 뒤집힌 사다리꼴의 요홈을 갖는다. 상기 코어(020) 내의 뒤집힌 사다리꼴의 요홈의 경사진 측부는 발광다이오드(04)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반사 및 집중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은 아치형의 상측면(10)으로부터만 방출될 수 있는데, 상기 상측면은 네온 발광체와 같이 연속적이고 부드러운 빛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세 개의 단면도(A1-A1, B1-B1, C1-C1)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13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네온 발광체와 동등하게 되어 "OPEN"이라는 단어의 형태를 갖도록 사용된다. 사용시,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는 각각 적합한 길이를 갖도록 적당하게 절단된다. 그리고 클램프(30)가 사용되어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부분들이 보드(board; 31)에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연성 튜브형 발광체의 상측면(10)으로부터 빛이 연속적이어서 부드럽고 연속적인 조명 효과를 방출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네온 발광체로부터 방출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나아가 단순한 생산 공정으로 인하여, 제조 비용이 낮고 대량 생산에 문제가 없다.
본 고안은 장식용 조명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연성 튜브형 발광체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부드러운 재료로 압출성형된 코어로서, 상기 코어는 코어의 일측 내에 대향되게 수용된 두 개의 메인 와이어들과 코어의 타측 내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횡방향 홀들을 가지고;
    연결 와이어들에 의하여 서로에 대해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류제한 저항체와 연결되어 발광다이오드 선을 형성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로서, 최초 및 최후의 연결 와이어들은 상기 메인 와이어 및 발광다이오드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와이어들 및 전류제한 저항체는 대응하는 횡방향 홀에 장착되며;
    높이와 폭을 갖는 우유색의 반투명한 확산체로서, 상기 확산체는 상기 코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상측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키고;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압출성형된 피복층으로서, 상기 피복층은 상기 코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코어, 확산체, 및 발광다이오드를 덮으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덮는 아치형의 상측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튜브형 발광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 케이블에 주입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튜브형 발광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기는 교류 대 직류 컨버터(AC to DC converter;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튜브형 발광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기는 발광다이오드 전류 펄스 구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튜브형 발광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체 및 피복층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튜브형 발광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체는 우유색이고, 반투명이며,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 polyvinylchloride)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튜브형 발광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체는 종방향의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튜브형 발광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코어의 상측에 발광다이오드에 대응하여 형성된 뒤집힌 사다리꼴의 요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튜브형 발광체.
KR2020077000001U 2007-04-09 2004-10-12 연성 튜브형 발광체 KR200438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7000001U KR200438367Y1 (ko) 2007-04-09 2004-10-12 연성 튜브형 발광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7000001U KR200438367Y1 (ko) 2007-04-09 2004-10-12 연성 튜브형 발광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38U KR20070000938U (ko) 2007-08-27
KR200438367Y1 true KR200438367Y1 (ko) 2008-02-12

Family

ID=4133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7000001U KR200438367Y1 (ko) 2007-04-09 2004-10-12 연성 튜브형 발광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3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782B1 (ko) * 2013-09-26 2015-06-19 공간찬넬주식회사 Led 조명 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782B1 (ko) * 2013-09-26 2015-06-19 공간찬넬주식회사 Led 조명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38U (ko) 200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723813Y (zh) 一种软管灯灯体改良结构
US20050122742A1 (en) Led lamp tube
US20020191386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simulation of neon lighting
WO2006125338A1 (fr) Structure amelioree d'une lampe a tube a gaz inerte dont la couleur peut changer
US10612758B2 (en) Linear LED lighting with on-board light guides
CN201420988Y (zh) 一种均光柔性霓虹灯
CN101122368A (zh) 一种耐弯折的柔性霓虹管灯
JP2008218160A (ja) Led照明器具
CN2753950Y (zh) 一种软管灯改良结构
WO2006081707A1 (en) A new type light hose
CN101532615A (zh) 一种管式柔性霓虹灯
KR200438367Y1 (ko) 연성 튜브형 발광체
CN201121808Y (zh) 一种耐弯折的柔性霓虹管灯
KR200421286Y1 (ko) 엘이디 램프의 구조
CN202674992U (zh) 一种改良结构的柔性霓虹灯
CN201110474Y (zh) 一种具有可调节发光色彩的柔性霓虹管灯
CN205424551U (zh) 一种改良结构的柔性霓虹灯条
WO2006081708A1 (fr) Cordon lumineux
CA2579466C (en) A flexible tubular light
ES1058367U (es) Cordon luminoso que usa un revestimiento para dispersar la luz de diodos emisores de luz para presentar el efecto de una luz de neon.
CN201209785Y (zh) 一种柔性灯条
CN113446533A (zh) 一种新型节能光纤光源
CN219264005U (zh) 270度发光的霓虹灯带
CN213752700U (zh) 一种带有柔性灯条的led灯管
CN210345082U (zh) 一种出光效果好的软管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