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355Y1 -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355Y1
KR200438355Y1 KR2020070000530U KR20070000530U KR200438355Y1 KR 200438355 Y1 KR200438355 Y1 KR 200438355Y1 KR 2020070000530 U KR2020070000530 U KR 2020070000530U KR 20070000530 U KR20070000530 U KR 20070000530U KR 200438355 Y1 KR200438355 Y1 KR 200438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storage container
raw material
ope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53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연호
최환주
Original Assignee
장연호
최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연호, 최환주 filed Critical 장연호
Priority to KR2020070000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35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35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예를 들어, 업소 등의 실내에 배치되는 소용량의 자동판매기에서 분말원료나 일회용 컵의 재충진이 편리한 자동판매기가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vending machine for convenient refilling of a powder raw material or a disposable cup is provided in a small capacity vending machine disposed in a room such as a business.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3 및 도 4 에서와 같이, 분말의 음료원료를 물과 함께 투출하기 위한 장치가 수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케이스(1)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0)와, 상기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판매기를 통해 소모되는 소모품이 저장되며 상기 소모품을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22)가 상기 개구부(20)를 통해 케이스(1)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소모품 저장용기(24)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opening 20 formed on the case (1) of the vending machine is accommodated is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material of the powder with water, and the case ( 1) The consumables storage container 24 installed therein is stored and consumed through the vending machine, and the inlet 22 for injecting the consumables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 through the opening 20. Is made of.

여기서, 소모품 저장용기(24)는 분말의 음료원료를 저장하기 위한 원료저장용기(8) 또는 일회용 컵을 저장하기 위한 컵저장용기(9)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구(22)는 상기 케이스(1)의 개구부(20)에 관통되어 원료저장용기(8) 또는 컵저장용기(9)의 용기본체 상부에 연결되는 가이드관(26)이 형성되며, 기이드관(26)의 입구에 상기 개구부(20)의 상방에 걸쳐지면서 개구부(20)를 밀폐시키는 밀폐캡(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캡(28)에는 개폐가능한 뚜껑(30)이 더 형성될 수 있된다.Here,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24 is a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for storing a beverage material of powder or a cup storage container 9 for storing a disposable cup, specifically, the inlet 22 is the case (1). A guide tube 26 penetrates through the opening portion 20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or the container body of the cup storage container 9, and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guide tube 26. A sealing cap 28 is formed to seal the opening 20 while extending over 20. And, the closing cap 28 may be further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lid 30.

자동판매기, 미니판매기, 소모품, 저장용기, 노출, 외부투입. Vending machine, mini vending machine, consumables, storage container, exposure, external input.

Description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Vending Machine {Vending Machine}

도 1 은 종래 자동판매기의 외관설명도,1 is a view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도 2 는 종래 자동판매기의 측단면설명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나타낸 사시설명도,3 is a facility name showing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장치를 나타낸 측단면설명도이다.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케이스, 2 - 도어,1-case, 2-door,

8 - 원료저장용기, 9 - 컵저장용기,8-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9-cup storage container,

20 - 개구부, 22 - 투입구,20-opening, 22-inlet,

24 - 소모품저장용기, 26 - 가이드관,24-consumables container, 26-guide tube,

28 - 밀폐캡, 30 - 뚜껑,28-sealing cap, 30-lid,

32 - 관망창.32-observation window.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기로는 소용량을 담당하는 미니자판기에서 케이스 외부로부터 분말의 음료원료나 일회용 컵의 재충진이 가능 토록 하여 소모품의 재충진이 편리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ding machine for convenient refilling of consumables by enabling the refilling of powdered beverage ingredients or disposable cups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in a mini vending machine in charge of a small capacity.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사용자(구매자)가 직접조작함으로 인하여, 소비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원이 필요 없고,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구비되어진다.In general, the vending machine is provided by the user (buyer) to operate directly, so that no salesperson is required to sell the consumables and occupy a minimum space.

따라서,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지하철이나 공원 또는 공공건물 등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설치되거나, 요식업소 등에서는 식사 후 음료수가 제공될 수 있도록 소용량의 것이 구비되어 진다.Therefore, the vending machine is installed in a place with a large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s such as subways, parks or public buildings, or is provided with a small capacity so that beverages can be provided after meals in restaurants.

특히, 요식업소 등에 설치되는 소용량의 자동판매기는 예시도면 도 1 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커피 등과 같은 분말의 음료원료를 온수에 용융시켜 투출하기 위하여, 그 외형은 소형의 케이스(1)에 자동판매장치를 내장하기 위한 도어(2)가 구비되고, 도어(2) 전면으로는 음료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버튼(3)들이 구비된다.In particular, a small-capacity vending machine installed in a restaurant or the like, as shown in Figure 1, in order to dissolve the beverage material of powder, such as coffee, etc. in hot water, the appearance is automatically applied to the small case (1) A door 2 for embedding a vending device is provided, and operation buttons 3 for selecting a beverage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door 2.

도시된 것은 급수장치로서 생수통(급수통:미도시)이 장착되어 저장된 물을 낙하시키도록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생수통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급수관과 정수기가 함께 구비된다.The illustrated figure shows that a water bottle (water bottle: not shown) is provided as a water supply device to drop the stored water, and when the bottle is not provided,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purifier are provided together.

급수통이 구비되는 경우, 저장된 물을 낙하시켜 자동판매기에 물이 공급되도록 이를 지지하는 링형상의 지지구(4)가 형성되며, 도시된 것은 냉온수를 투출하기 위한 냉온수투출장치와 자동판매기가 조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냉온수 노즐(5)과 컵투출구(6)가 함께 구비되어 있다.When a water tank is provided, a ring-shaped support 4 is formed to drop the stored water so that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vending machine. As shown, the cold / hot water nozzle 5 and the cup discharge port 6 are provided together.

이러한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에서 소모품을 저장하여 투출하기 위한 소모품 저장용기(7)가 장착되며, 소모품 저장용기(7)는 분말원료가 충진되는 원료저장용기(8)와 일회용 컵이 충진되는 컵저장용기(9)가 일반적이다.A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7 for storing and discharging consumables is mounted in a device install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and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7 is filled with a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filled with powder raw materials and a disposable cup. Cup storage container 9 is generally used.

상기 원료저장용기(8)는 분말원료를 충진하여 투출하기 위한 호퍼형식의 것이 설치되며, 원료저장용기(8)의 측방에 이웃되어 생수통에서 공급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10)가 배치된다.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is a hopper type for filling and discharging the powder raw material is installed, the water tank 10 for sto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bottled water adjacent to the side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is disposed do.

그리고, 상기 원료저장용기(8) 하부에는 상기 물탱크(10)에서 공급된 물과 원료저장용기에서 투출된 분말원료를 혼합하여 노즐로 배출하는 혼합기(11)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mixer 11 is installed below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to mix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10 and powder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to the nozzle.

이때, 상기 물탱크(10)는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온수통(12) 또는 냉수통(13)이 혼합기(11) 사이에 매개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통(12) 또는 냉수통(13)은 별도의 공급라인으로 냉수와 온수 자체를 추출하기 위한 냉온수노즐(5)에 연결되며, 온수와 냉수를 위한 냉각기와 가열기(미도시)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water tank 10 may be mediated between the mixer 11, the hot water tank 12 or the cold water tank 13 to supply hot water or cold water. The hot water tank 12 or the cold water tank 13 is connected to a cold / hot water nozzle 5 for extracting cold water and hot water itself as a separate supply line, and is provided with a cooler and a heater (not shown) for hot water and cold water. do.

한편, 도어(2) 측에는 컵저장용기(9)가 설치되어 자연낙하식으로 투출되도록 구비되고, 그 하부에 설치된 컵드롭장치는 낱개별로 컵을 투출하도록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2 side is provided with a cup storage container (9) is installed to be discharged in a natural drop-type, the cup drop device installed at the bottom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cups individually.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2) 전면에 설치된 조작버튼(3)을 조작하여 원하는 음료수를 선택하게 되면, 컵투출구(6)로 컵이 낙하되고 그 후로 분말원료가 용융된 음료수가 컵의 용량에 맞추어 투출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beverage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3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door 2, the cup is dropped into the cup outlet 6 and then the beverage in which the powdered material is melted is adjusted to the capacity of the cup. It is discharged.

그러나,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원료나 컵의 재충진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소용량의 자동판매기에서 특히 발생된다.However, this vending machine has a problem in that refilling of raw materials or cups is inconvenient. This is especially true of small capacity vending machines.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도시된 소용량의 자동판매기는 요식업체의 출입구에 비치되어 식사 후 손님 스스로 냉온수를 마시거나 커피 등 의 음료수를 마실 때 사용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small vending machine show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restaurant to be used when a customer drinks cold or hot water or drinks such as coffee after eating.

이러한 소용량의 자동판매기는 컴팩트한 형상을 가지지만, 그 내부에는 자동판매를 위한 장치들이 밀집되게 장착되어 있다.This small capacity vending machine has a compact shape, but the devices for the vending are densely mounted therein.

상기 음식점인 경우, 그리고 손님의 유동으로 번잡하게 되는 경우, 원료분말이나 컵의 재충진 주기는 빨라지게 되며, 이것은 식당주나 종업원이 담당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restaurant, and when it is crowded by the flow of the customer, the refilling cycle of the raw powder or cup is faster, which is in charge of the restaurant owner or employee.

상기 원료분말의 재충진을 도 2 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원료저장용기(8)는 케이스(1)에 내장되며, 도어(2)를 개방한 다음 그 탈거가 가능하다.Referring to the refilling of the raw material powder based on Figure 2, as described above,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is built in the case 1, the door 2 is opened and then can be removed.

먼저, 원료저장용기(8)에는 그 내부에 스크류 이송구(14)와 함께 교반구(15)가 내장되어 있다. 스크류 이송구(14)는 호퍼식인 원료저장용기(8)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부의 분말을 외부로 배출이송시키는 장치이며, 회전에 따른 토출량이 일정하다.First,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has a built-in stirring port 15 together with a screw feed port 14 therein. The screw feed port 14 is a device which is disposed under the hopper-typ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to discharge the lower powder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amount according to the rotation is constant.

그리고, 교반구(15)는 스크류 이송구(14)와 맞물려 회전되며, 원료저장용기(8) 내부에서 분발원료를 섞이게 하여 스크류 이송구(14)로 분말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장치이다.And, the stirring port 15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screw feed port 14, is a device for the powder to be easily supplied to the screw feed port 14 by mixing the powdered raw material inside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상기 원료저장용기(8)에는 상기 스크류 이송구(14)에 의해 이송되는 분말원료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이 배출구의 이웃되어 가이드 컵(16)이 설치된다.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to discharge the powder raw material conveyed by the screw transfer port 14, the guide cup 16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가이드 컵(16)은 깔대기 형상으로 배출된 원료를 수집하여 하방으로 낙하시 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컵(16)은 원료저장용기의 전방에서 케이스(1) 내부에 형성된 선반(17)에 끼워지게 장착되며, 여기로부터 혼합장치로 낙하이송이 수행된다.The guide cup 16 collects the discharged raw material in a funnel shape and serves to drop downward. The guide cup 16 is mounted to fit on the shelf 17 formed inside the case 1 at the front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from which dropping is carried out to the mixing apparatus.

따라서, 사용자는 분말원료를 재충진시키기 위하여, 도어(2)를 열고 가이드 컵(16)을 선반(17)에서 분리시킨 다음, 원료저장용기(8)를 밖으로 꺼내어 뚜껑을 열고 원료를 충진시킨 후에, 다시 재장착을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opens the door 2 and separates the guide cup 16 from the shelf 17 in order to refill the powder raw material, and then takes out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to open the lid and fills the raw material. Then, it will be remounted.

이때, 재장착은 상기된 스크류 이송구(14)와 구동장치의 회동축이 맞물리게 장착되어야 하며, 용이한 장착을 위해 별도의 커플러(18)가 매개된다. 커플러는 일반적으로 회전축에 일자 또는 십자형의 결합핀이 설치되고, 스크류 이송구(14)에는 이 핀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비교적 간단하게 축의 결합이 수행된다.At this time, the remounting is to be mounted to the screw shaft 14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unit to be engaged, the separate coupler 18 is mediated for easy mounting. Couplers are generally provided with a coupling pin of a straight or cross shape on the rotating shaft, the screw feed port 14 is form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pin is fitted, the coupling of the shaft is relatively simple.

이러한 상황에서 작업자는 원료의 재충진에 상당한 불편함이 뒤따르며, 특히 요식업체에서 손님의 유동이 많을 경우, 즉 번잡한 영업시기에 상당한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In this situation, the worker is accompanied by a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refilling the raw material, especially when there is a large flow of customers in the catering establishment, that is, in the busy business hours.

즉, 번잡시기에 음료용기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종업원은 도어를 열고 원료저장용기(8)를 밖으로 꺼낸 다음, 원료를 충진시켜 다시 결합하여야 하며, 이러한 작업 자체가 불편함을 끼치게 된다.That is, when the supply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interrupted at the time of trouble, the employee opens the door and takes out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and then refills the raw material, and this work itself becomes inconvenient.

또한, 원료저장용기(8)의 배출구는 개방된 상태인데 급하게 작업할 경우 잔여된 분말을 케이스 내부로 흘리거나 밖으로 흘려 오염시킬 우려가 크고, 재장착시에 커플러 맞물리지 않은 경우 스크류 이송구가 회전되지 않아 분말원료가 토출되지 않게 된다. In addition, the outlet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is open, but there is a high risk of spilling the remaining powder into or out of the case when urgent work, the screw feed port is not rotated if the coupler is not engaged when remounting Therefore, the powder raw material is not discharged.

실제로 스크류 이송구의 회전불량으로 자동판매기 업체로의 문의는 자주 발생되는 사항이며, 이것은 특히 소용량의 자판기에서 컴팩트가 배치된 장치에서 결합핀과 결착구의 결합상태를 충분히 확인하기 어렵고, 특히 상기 번잡한 영업시기에서의 급한 작업이 주원인으로 되어 있다.In fact, it is difficult to inquire the vending machine company due to the poor rotation of the screw feeder, which is difficult to check the coupling state of the coupling pin and the fastener, especially in the small-sized vending machine. Urgent work in time is the main cause.

이러한 이유에서 소용량의 자동판매기에서 원료의 재충진 작업은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이고, 상기 컵의 재충진 역시 마찬가지이다.For this reason, refilling of raw materials is a problem to be improved in small-volume vending machines, and the refilling of the cups is the same.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업소에 배치되는 소용량의 자동판매기에서 분말원료나 일회용 컵의 재충진이 편리한 자동판매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n particula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for convenient refilling of powder raw materials or disposable cups in a small capacity vending machine placed in a business.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분말의 음료원료를 물과 함께 투출하기 위한 장치가 내장되는 자동판매기에서, 자동판매기의 케이스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자동판매기를 통해 소모되는 소모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에서 그 충진을 위한 투입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게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 vending machine in which a device for discharging a powdered beverage raw material together with water is forme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case of the vending machine, and the consumables consumed through the vending machine are stored through the opening. The inlet for its filling in the container is mounted to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여기서, 소모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는 분말의 원료를 저장하기 위한 원료저장용기와 일회용 컵을 저장하기 위한 컵저장용기이다.Here, the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consumables is a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raw material of the powder and a cup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disposable cup.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본 고안을 통해 도어의 개방과 용기의 탈거 없이 케이스 외부에서 분말원료나 종이컵을 충진시켜 소모품의 재충진이 간단하게 수행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simply refill the consumables by filling the powder or paper cup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without opening the door and removing the container.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 Other objects, features, and operational advantages, including the purpose, working effect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그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며,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For refere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among various possible example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e embodiments. Change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equivalent.

예시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나타낸 사시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장치를 나타낸 측단면설명도이다.Exemplary drawings Figure 3 is a private facility show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분말의 음료원료를 물과 함께 투출하기 위한 장치가 수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케이스(1)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0)와, 상기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판매기를 통해 소모되는 소모품이 저장되며 상기 소모품을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22)가 상기 개구부(20)를 통해 케이스(1)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소모품 저장용기(24)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ing 20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 of the vending machine that accommodates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powdered beverage raw material with water, and the consumables installed in the case (1) and consumed through the vending machine This is a vending machine made of a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24 is stored and the inlet 22 for injecting the consumables is mount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 through the opening 20.

여기서, 소모품 저장용기(24)는 분말의 음료원료를 저장하기 위한 원료저장용기(8) 또는 일회용 컵을 저장하기 위한 컵저장용기(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2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for storing the beverage material of the powder or the cup storage container 9 for storing the disposable cup.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구(22)는 상기 케이스(1)의 개구부(20)에 관통되어 원 료저장용기(8) 또는 컵저장용기(9)의 용기본체 상부에 연결되는 가이드관(26)이 형성되며, 기이드관(26)의 입구에 상기 개구부(20)의 상방에 걸쳐지면서 개구부(20)를 밀폐시키는 밀폐캡(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inlet 22 is penetrated through the opening 20 of the case 1 is formed with a guide tube 26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or the cup storage container (9)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cap 28 for sealing the opening 20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guide pipe 26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20.

상기 밀폐캡(28)에는 개폐가능한 뚜껑(3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osing cap 2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d 30 is further formed.

여기서, 상기 뚜껑(30)은 소모품의 충진량 관찰이 가능하게 투명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id 30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transparent window to observe the fill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또한, 컵저장용기(9) 측의 케이스(1) 또는 도어(2)에는 컵의 충진량이 관찰되게 상하로 슬릿형상의 관망창(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e 1 or the door 2 on the side of the cup storage container 9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tube network window 32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lling amount of the cup is observed.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특히 업소에 배치되는 소용량의 자동판매기에서 분말원료나 일회용 컵의 재충진이 편리한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ding machine that is convenient for refilling of powder raw materials or disposable cups, especially in small-volume vending machines placed in a business.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분말의 음료원료를 물과 함께 투출하기 위한 장치가 내장되는 자동판매기의 케이스(1) 상부에 개구부(20)가 형성되고, 자동판매기에서 소모되는 소모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에서 그 충진을 위한 투입구(22)가 상기 개구부(20)를 통해 노출되게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n opening 20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 of the vending machine in which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powdered beverage raw material together with water is formed in the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consumables consumed in the vending machine are stored. The inlet 22 for filling is mounted to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0.

이러한 본 고안은 소위 "미니자판기"라 불리우는 소용량의 자동판매기에서 상대적으로 대형 자동판매기와 그 설치환경이 다른 것에서 출발된다. 즉, 대형 자동판매기는 거리에 설치되어 불특정인을 대상으로 판매가 수행되지만, 소용량 자동판매기는 실내에 설치되며 음식점과 같은 업소에서 손님이라는 특정인을 서비스 공급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a relatively large vending machine called a "mini vending machine" and relatively different from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large vending machine. In other words, a large vending machine is installed on the street and is sold to an unspecified person, but a small capacity vending machine is installed indoors and is intended for service supply to a specific person, such as a customer, in a business such as a restaurant.

이러한 점에서 대형 자동판매기는 기후 또는 물리적 파손으로부터 장치를 보 호하고 내부의 오염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강도의 케이스와 잠금장치를 통해 내부 기기를 보호하고 있다.In this respect, large vending machines protect internal devices with cases and locks of sufficient strength to protect the device from weather or physical damage and to prevent internal contamination.

반면, 소용량 자동판매기는 대형 자동판매기에 비해 기후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비교적 관리자(식당 종업원 등)의 주위에 항상 배치되고, 서비스 공급 대상도 손님이라는 특정관계에 있으므로, 의도적인 파손이나 내부의 오염 우려가 적게 된다.On the other hand, small-sized vending machines are not affected by climate change much compared to large vending machines. They are always placed around managers (restaurants, etc.), and the service supply targets customers. There is less fear of internal contamination.

이러한 상황에서 단순히 자동판매기의 일관된 외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그 컴팩트한 기기 배치에 의해 분말원료의 재충진은 원료저장용기의 탈착을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케이스를 통해 내부장치를 포위시키는 것은 전기된 바와 같이 장치의 사용에서 큰 불편함을 초래시키고 있는 것이다.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simply maintain a consistent appearance of the vending machine, while the refilling of the powder material by its compact device arrangement requires the removal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the enclosing of the internal device through the case is described above. Likewise, the use of the device causes great inconvenience.

따라서, 본 고안은 재충진을 요구하는 소모품 저장용기(24)를 자동 혼합배출을 수행하는 장치의 내부에서 케이스의 외부까지 연결시켜 소모품 저장용기(24)로의 재충진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consumables storage container 24 requiring refill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from the inside of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automatic mixing discharge, so that the refilling of the consumables storage container 24 is easily performed.

상기 소모품 저장용기(24)는 원료저장용기와 컵저장용기 및 여기에 연결된 투입구(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모품 저장용기(24)는 케이스(1)에 내장되면서, 소모품을 재충진시키기 위한 투입구(22) 부분이 케이스(1)에 노출되게 장착된다.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24 includes a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a cup storage container, and an inlet 22 connected thereto.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24 is mounted in the case 1, and a portion of the inlet 22 for refilling the consumable is exposed to the case 1.

구체적으로는 소모품 저장용기의 상부로서 투입구(22)의 일부가 개구부(20)를 통해 노출되게 장착된다. 상부 일부는 밀폐캡(28) 상방의 부분이며, 밀폐캡(28)을 탈거시키기 위하여 파지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높이를 갖게 돌출되게 노출될 정도이면 충분하다.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inlet 22 is mounted to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0 as an upper portion of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The upper portion is a portion above the closure cap 28 and is sufficient to be protruded to have a height that provides a space that can be gripped to remove the closure cap 28.

즉, 투입구(22)는 가이드관(26)과 밀폐캡(28)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관(26)은 개구부(20)와 용기본체를 연결하여 외부로부터의 투입라인을 형성한다.That is, the inlet 22 is made of a guide tube 26 and the closing cap 28, the guide tube 26 connects the opening 20 and the container body to form an input line from the outside.

그리고, 밀폐캡(28)은 탈착뚜껑으로서 개구부(20)을 개방 또는 폐쇄하며, 상기 밀폐캡(28)에는 개폐가능한 뚜껑(30)이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sing cap 28 opens or closes the opening 20 as a detachable lid, and the closing cap 28 may be equipp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lid 30.

도시된 것에서 원료저장용기(8)의 투입구(22)는 밀폐캡(28)에 개폐가능한 뚜껑(30)이 장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컵저장용기(9)의 투입구(22)는 밀폐캡(28)으로만 마감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In the illustrated inlet 22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shows that the lid 30 is opened and closed on the closing cap 28, the inlet 22 of the cup storage container 9 is a closed cap 28. ) Only shows that it is finished.

한편, 소모품 저장용기(24)를 투입구(22)와 분리되게 마련시킨 것은 소모품 저장용기(24)가 자동판매기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24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inlet 22 is to allow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24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vending machine.

즉, 소모품 저장용기 자체를 개구부(20)에 관통시켜 장착시킬 경우, 개구부에 관통시키기 위한 연장된 부분에 의해 도어를 열고, 소모품 저장용기를 개구부에 밀어넣은 다음 전술된 스크류 이송구의 회전축을 맞물리게 장착시키는 것이 불편하다.That is, when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itself is mounted through the opening 20, the door is opened by an extended portion for penetrating the opening,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is pushed into the opening,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screw feed hole described above is engaged. It is inconvenient to let.

이것은 소모품 저장용기가 개구부에 관통될 만큼 연장되는 경우, 측방의 이동방향에서 케이스와 간섭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is extended to penetrate the opening, it interferes with the case in the lateral movement direction.

따라서, 종래의 소모품 저장용기 그 자체를 이용하되, 이것에서 뚜껑의 역할을 수행하는 투입구(22)을 제외시켜, 케이스에 노출되게 연장될 부분으로 담당시키고, 이를 분리하여 케이스(1) 외부로부터 소모품의 투입이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by using the conventional consumables storage itself, except for the inlet 22 which serves as a lid from this, the charge to the portion to be exposed to the case to be extended, separated from the consumables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 The input of is to be performed.

한편, 상기 투입구에서 밀폐캡(28)은 개구부로의 삽입시 개구부로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간섭부재이자, 저장용기본체 또는 개구부를 통한 케이스 내부로의 오염물질 침투를 방어하는 역할을 병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losing cap 28 in the inlet is an interference member for fix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to the opening when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serves to protect the contaminant penetration into the case through the storage base or the opening in parallel. .

상기 소모품 저장용기에서 원료저장용기(8)에 연장되는 투입구(22)는 저장용기본체와 그 단면상으로 연장될 필요까지는 없고, 단지 분말원료를 충진시킬 정도의 투입구 또는 관망 가능하게 외부조명을 수용시킬 정도의 크기만으로 형성되면 충분하다.The inlet 22 extending from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to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does not need to extend over the storage main body and its cross-section, and only accommodates the external lighting to allow the inlet or pipe network to fill the powder raw material. It is enough to form only the size of the degree.

여기서, 외부조명을 수용시킬 정도의 크기라는 것은 분말원료만을 투입시킬 정도로 협소한 경우, 저장용기본체로의 충진량을 확인하기 불편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외부의 조명에 의해 저장용기본체 내부가 확인가능한 정도의 넓이를 확보한 것을 의미한다.Here, the size enough to accommodate the external lighting is inconvenient to check the filling amount to the storage base when it is narrow enough to put only the powder raw material, the interior of the storage base can be confirmed by the external lighting to confirm this It means to secure the width of the degree.

또한, 이것은 전기된 바와 같이 케이스 상부로 급수통(미도시)이 장착될 경우, 급수통을 지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지지구와의 간섭을 회피시키며, 또한 장착된 급수통과의 간섭도 회피시키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is is to avoid interference with a ring-shaped support for supporting the water bottle when the water bottle (not shown) is mounted on the case as described above, and also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water bottle mounted .

이러할 경우, 원료저장용기(8)의 저장용기본체는 그 상방에서 투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폐쇄되며, 개방된 부분으로 가이드관(26)이 삽입되어 밀폐되게 마련된다.In this case, the storage base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is closed except for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from the upper side, the guide tube 26 is inserted into the open portion is provided to be sealed.

상기 소모품 저장용기에서 원료저장용기에 연장되는 가이드관(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원료저장용기가 장착될 경우,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원료저장용기마다 복수로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guide tube 26 extending from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to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may be provided integrally when a plurality of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s are mounted as shown, or may b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상기 일체형의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을 이루어 개구부에 걸쳐지는 밀폐캡(28)을 공용으로 하여 여기에 가이드관(26)이 별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며, 여기에 형성되는 뚜껑(30) 역시 개별로 형성된다.The one-piece type shows that the guide tube 26 is formed separately by using the sealing cap 28 to form an outer por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lid 30 formed here is also formed separately. do.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저장용기본체마다 이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고 이 개구부마다 개별로 밀폐캡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것이다.In the case of separately provided, open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torage bases may be formed, and sealing caps may be formed separately for the openings.

한편, 컵저장용기(9)는 분말원료와 달리 컵자체가 투입되므로, 컵저장용기의 형상 자체로 연장되는 투입구(22)의 형상을 갖게된다.On the other hand, the cup storage container 9 has a shape of the inlet 22 extending into the shape of the cup storage container itself, unlike the powder raw material, unlike the powder raw material.

그리고, 컵저장용기(9)는 도어(2)의 내측에 장착되므로, 컵의 충진량을 관찰하기 위하여 관망창(32)이 도어(2) 또는 케이스(1)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관망창(32)의 컵저장용기(9)의 형상에 따라 긴 슬릿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cup storage container 9 is mounted inside the door 2,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e window 32 is formed in the door 2 or the case 1 to observe the filling amount of the cup. It is formed in a long slit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up storage container 9 of the pipe network window (32).

이러한 본 고안에 따라, 작업자는 밀폐캡 또는 뚜껑을 개방시킨 다음, 재충진이 필요한 저장용기본체로 소모품을 충진시키면 간단하게 재충진이 수행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simply opens the sealing cap or lid, and then refilling is simply performed by filling the consumables with a storage base that requires refilling.

이러한 재충진은 특히 원료저장용기(8)에서는 종래에 비할 때, 도어의 개방과 가이드컵의 분리와 원료저장용기의 탈거 공정이 삭제되어 매우 간편해 진다.This refilling is particularly simple in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since the opening of the door, the separation of the guide cup, and the removal process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are eliminat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아울러, 원료저장용기의 탈거가 없으므로, 탈거시 잔여된 분말원료를 흘릴 염려가 없고, 재장착시 커플러의 결합유무를 관찰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removal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there is no fear of spilling the remaining powder material during removal, and there is no need to observe the coupling of the coupler when remounting.

한편, 저장용기 본체 또는 자동판매기 내부 부품의 청소 등을 위해 소모품 저장용기를 탈거할 경우, 투입구(22)를 들어올려 탈거시키면 케이스(2)를 관통하여 연장된 소모품 저장용기와 케이스와의 간섭이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removing the consumables storage container for cleaning the main body of the storage container or the internal parts of the vending machine, lifting and removing the inlet 22 remove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consumables storage container extending through the case 2 and the case. Is released.

다음으로, 도어를 열고 저장용기본체를 탈거하면 간단한 탈거가 수행되며, 장착은 반대순이다.Next, opening the door and removing the storage base, a simple removal is performed, and the mounting is reversed.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소모품 저장용기가 연장되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고, 이를 통해 분말원료나 일회용 컵의 재충진이 수행됨으로써, 소모품의 충진이 간편하고 궁극적으로는 소용량 자동판매기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is extended and mount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thus refilling of the powder raw material or the disposable cup is performed, so that the filling of the consumable is simple and ultimately, The merchandise is improved.

Claims (5)

분말의 음료원료를 물과 함께 투출하기 위한 장치가 수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케이스(1)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0)와, 상기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판매기를 통해 소모되는 소모품이 저장되며 소모품을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22)가 상기 개구부(20)를 통해 케이스(1)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게 장착된 소모품 저장용기(24)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An opening 20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 of the vending machine that accommodates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powdered beverage raw material together with water, and the consumables installed inside the case 1 and consumed through the vending machine are stored. A vending machine including a consumable storage container (24) mounted to be exposed to extend through the opening (20) to the outside of the case (1) through the opening (20). 제 1 항에 있어서, 투입구(22)는 상기 케이스(1)의 개구부(20)에 관통되어 원료저장용기(8) 또는 컵저장용기(9)의 용기본체 상부에 연결되는 가이드관(26)이 형성되며, 기이드관(26)의 입구에 상기 개구부(20)의 상방에 걸쳐지면서 개구부(20)를 밀폐시키는 밀폐캡(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The guide tube 26 of claim 1, wherein the inlet port 22 penetrates through the opening 20 of the case 1 and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of the raw material storage container 8 or the cup storage container 9. Is formed, th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cap 28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guide pipe 26 to cover the opening 20 whil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20. 제 2 항에 있어서, 밀폐캡(28)에는 개폐가능한 뚜껑(3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3.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ing cap (28)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able lid (30). 제 3 항에 있어서, 뚜껑(30)은 소모품의 충진량 관찰이 가능하게 투명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id (30) is formed of a transparent window to observe the fill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2)에는 컵자장용기(9)에 충진된 컵의 충진량이 관찰되게 상하로 슬릿형상의 관망창(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2) is formed with a slit-shaped network window (32) up and down to observe the filling amount of the cup filled in the cup magnetic container (9).
KR2020070000530U 2007-01-11 2007-01-11 Vending Machine KR20043835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530U KR200438355Y1 (en) 2007-01-11 2007-01-11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530U KR200438355Y1 (en) 2007-01-11 2007-01-11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355Y1 true KR200438355Y1 (en) 2008-02-12

Family

ID=4133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530U KR200438355Y1 (en) 2007-01-11 2007-01-11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35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1027C2 (en) Coffee beverage preparation system, coffee beans package cartridge for usage with said system, beverage preparation method, coffee making method, cartridge for coffee bean material, coffee bean material supplying method
CA2842936C (en) Beverage dispenser with improved refilling operation
US6039220A (en) Low profile ice dispenser
JP2011167393A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WO2011043784A1 (en) A cylindrical piston assisted blending vessel
EP2008554A9 (en) System for storing and dosing a powder
TW201417719A (en) Modular blending system
US20160185587A1 (en) Beverage supply apparatus
KR200438355Y1 (en) Vending Machine
IT9020826A1 (en) BOTTLE DRINK CONTAINER
EP0818170B1 (en) Coffee-mill dispensing device
JP2011167394A (en) Milk foamer and beverage making apparatus
JP5595752B2 (en)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JP7493025B2 (en) Beverage brewing equipment
CN106455851B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equipped with a refillable multi-dose container
JP2008167849A (en) Beverage feeder
JP5376022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US2558062A (en) Hot drink machine
EP3758563B1 (en) Device for dosing and pouring an amount of ground coffee powder into a coffee filter of a coffee-making apparatus
US1934445A (en) Drink mixer
JP5098822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3785346B2 (en) Raw material liquid pouring device and beverage providing device
EP1107201B1 (en) Automatic beverage vending apparatus with improved arrangement for displacing the dispensing spouts
JP2011167395A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JP3113485U (en) Coffee powder suppl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