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957Y1 -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 Google Patents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957Y1
KR200437957Y1 KR2020070016023U KR20070016023U KR200437957Y1 KR 200437957 Y1 KR200437957 Y1 KR 200437957Y1 KR 2020070016023 U KR2020070016023 U KR 2020070016023U KR 20070016023 U KR20070016023 U KR 20070016023U KR 200437957 Y1 KR200437957 Y1 KR 200437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x
assembly plate
enclosure
size
outdoo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리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리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리계전
Priority to KR2020070016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1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resin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외 자립형 분전함의 외함에 들어가는 조립판의 크기에 비례하여 규격을 크게 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내부의 공간을 활용하여 추가로 조립판을 설치하여 더 많은 수의 전기기기 부품을 설치하거나 분전함의 부피를 줄여 시설 점유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조립판의 크기에 상응하여 그 깊이가 깊게 제작된 외함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의 전기기기들을 보호하기 위한 외함을 포함하고 있는 옥외 자립형 분전함에 있어서, 분전함의 외함 내부의 전,후면 중간에 조립판의 주연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상,하 및 좌,우로 돌출된 고정 수단을 형성하고, 이에 각종 기기를 조립하거나 추후 조립할 수 있는 전면 조립판과 후면 조립판을 동시에 고정하고, 각 조립판의 전방으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전면 조립판과 후면 조립판을 이용하여 더 많은 수의 전기기기 부품을 설치하거나 분전함의 규격을 기존의 1/2정도로 줄여 분전함의 부피를 반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된 자립 분전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시설 점유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분전함 시공을 위한 기초 공사가 간소화되어 시공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옥외, 자립분전함

Description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Outdoors Stand-alone Distribution Panel having Component on front and back side}
본 고안은 옥외 자립형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외 자립형 분전함의 외함에 들어가는 조립판의 크기에 비례하여 낭비되는 분전함 내부의 공간을 활용하여 조립판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더 많은 수의 전기기기 부품을 설치하거나, 분전함의 부피를 줄여 줌으로써, 시설 점유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분전함은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외함(100)에 배선 용차단기, 전자개폐기 등 전기기기(600)들을 부착한 구조의 것으로서 전기 배전 또는 전동기 기동용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며, 설치 위치에 따라 옥내용과 옥외용으로 구분할 수 있고 설치 방법에 따라 자립형과 벽부형의 구조가 있다.
이러한 분전함은 도 1,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전기기기들(600)을 햇빛이나 먼지바람, 비나 눈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외함(100)과 과전류 차단기, 누전 차단기를 위시한 각종 전기기기들(600)을 조립하여 고정 취부된 조립판(200)과 전기기기의 유지보수점검과 전기기기의 조작을 위한 경첩(700)이 부착된 개폐가 가능한 구조의 문(50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분전함의 규격을 결정하는 것은 주로 내부에 설치되는 조립판(200)의 크기 및 기계적 강도 등의 요소이다.
이와 같은 옥외 자립형의 구조를 살펴보면, 뒷면에 조립판 고정용 볼트(400)를 고정하고 이 고정용 볼트(400)에 조립판(200)의 고정공을 삽입하여 고정용 너트(300)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조립판(200)의 규격에 비례하여 분전함 외함(100)의 높이 및 깊이, 폭 등 크기를 증가시켜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여야 하므로, 도 2의 도면 부호 'D'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불가피하게 사용되지 않는 잉여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함의 내부 공간에 조 립판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내부 잉여 공간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되도록 한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의 전기기기들을 보호하기 위한 외함을 포함하고 있는 옥외의 자립형 분전함에 있어서, 분전함의 외함 내부의 전, 후면 중간에 조립판의 주연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상, 하 및 좌, 우로 돌출된 고정 수단을 형성하고, 이에 각종 기기를 조립하거나 추후 조립할 수 있는 전면 조립판과 후면 조립판을 동시에 고정하고, 양측 조립판 전면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커버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하여서 된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종전에 하나의 조립판으로 구성된 분전함과는 달리 두 개의 조립판이 구비되는 것이어서, 더욱 많은 수의 전기기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전면 조립판과 후면 조립판에 조립하여야 할 전기기기를 분산 배치함으로써, 조립판 자체의 규격을 기존의 1/2 정도로 줄여 분전함의 규격을 대폭 줄여 제작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분전함은 필요한 경우에는 충분한 수의 전기기기를 내장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전기기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분전함의 경우에는 조립판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된 자립분전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시설 점유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고, 분전함 시공을 위한 기초 공사가 간소화되어 시공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한 경우에는 전면 조립판 또는 후면 조립판 중 어느 하나의 조립판만 기기를 배치하고 나머지 조립판은 남겨 두었다가 추후 시설 보완 필요시 나머지 조립판에 추가로 전기기기를 배치하여 설비 보완으로 인한 분전함의 증설이 불필요하도록 함으로써 시설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4에 본 고안에 의한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를 도시하였으며,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함(10)과 외함(10) 내부의 전,후면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고정 수단(40)과 이에 고정되는 전면 조립판(20)과 후면 조립판(30), 그리고 전면 커버(50)와 후면 커버(51)로 구성 되어 있다.
전술한 외함(10)은 햇빛이나 먼지바람, 비나 눈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자립분전함 내부의 전기기기들(60)을 보호하며, 자립분전함의 몸체로써 외형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로 만들어져 있으며, 크기는 내부의 조립판 의 규격을 감안하여 설계된다.
아울러, 고정 수단(40)은 외함(10) 내부의 전, 후면 중간에 상, 하 및 좌, 우로 돌출되어 조립판의 주연부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고정 수단(40)의 위치는 도면에서처럼 외함(10) 내부의 전, 후면 중간에 상, 하 및 좌, 우로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고 외함(10) 내부의 전, 후면 중간에 해당하는 면의 네 모퉁이에 위치 할 수 있으며, 좌측 2개, 우측 2개 또는 상측 2개, 하측 2개가 쌍으로 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수단(40)을 도 5의 분리사시도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립판을 고정수단(40)에 고정 시키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면 조립판(20)과 후면 조립판(30)을 같은 볼트와 너트로 고정 시킬 수 있고, 전면 조립판(20)과 후면 조립판(30)을 각각 다른 볼트와 너트로 각각 고정 시킬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에 의한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의 조립 완성 상태를 도 6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조립판의 가로, 세로의 크기에 따라 외함(10)의 높이, 깊이, 폭을 상응하여 설계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종래 분전함의 횡단면도인 도 1과 종래 분전함의 종단면도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판의 전면에서부터 전면 커버(50)까지의 불필요한 여유 공간(D)에 추가로 조립판이 설치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도 4로 보인 바와 같이,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불필요한 여유공간(D)을 최소화된 여유 공간(D1, D2)으로 축소하고, 나머지 공간을 추가 설치된 조립판을 위한 공간으로 전환시켜, 외함(10)의 내부 공간 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함(10)의 크기가 같은 조건에서 종래 분전함 보다 전기기기(60)들을 고정 치부할 수 있는 조립판의 표면적이 2배가량 되므로 더 많은 전기기기(60)들을 고정 취부할 수 있고, 한쪽 조립판만 사용하고 추후 증설이 필요할 때 나머지 조립판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에는 전면 조립판(20)과 후면 조립판(30)에 조립하여야 할 전기기기(60)들을 분산 배치함으로써 전면 조립판(20)과 후면 조립판(30)의 규격을 기존의 1/2 정도로 줄여 분전함의 부피를 반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분전함이 동일한 부피를 유지하는 조건에서 2배 가량 더 많은 전기기기(60)들을 고정 취부 할 수도 있고, 추후 증설용으로 남겨 두었다가 증설이 필요한 상황 발생시 분전함을 새로이 설치하는 대신 남겨둔 조립판에 전기기기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추가 시설비용을 파격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양측 조립판(20, 30)에 전기기기를 분산 설치할 수 있어서, 조립판의 규격을 반감시킬 수 있으므로, 분전함의 부피를 크게 줄여 시설 점유 면적을 최소화 하여 분전함 시공을 위한 기초 공사도 간소화 시키고, 시공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도 3내지 도 6에와 같이 전술한 외함 측부에 경첩(70)이 설치되고, 이에 전, 후면 커버(50, 51)가 부착되어 이를 개폐시킴으로써 전기기기(60)의 유지, 보수, 점검과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전술한 전, 후면 조립판(20, 30) 각각의 전방에 있는 외함(10)의 양쪽 일면의 상측에 경첩(70)을 설치하고 이에 전,후면 커버(50, 51)를 부착하여 상 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8에서와 같이, 전술한 외함(10)의 양쪽 일면의 하측에 경첩(70)을 설치하고 이에 전, 후면 커버(50, 51)를 부착하여 하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분전함의 횡단면도.
도 2는 종래 분전함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해 전,후면 커버가 상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해 전,후면 커버가 하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의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함 20 : 전면 조립판
30 : 후면 조립판 40 : 고정 수단
50 : 전면 커버 51 : 후면 커버
60 : 전기기기 70 : 경첩
100 : 외함 200 : 조립판
300 : 고정용 너트 400 : 고정용 볼트
500 : 문 600 : 전기기기
700 : 경첩

Claims (5)

  1.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의 구성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로 된 외함의 내부 공간에 전기기기가 조립된 조립판 및 문이 구비된 공지의 옥외 자립형 분전함에 있어서,
    외함 내부의 전, 후면 중간에 조립판의 주연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을 형성하고,
    전술한 고정수단에 각종 기기를 조립하거나 추후 조립할 수 있는 전면 조립판과 후면 조립판을 고정하며,
    전면 조립판과 후면 조립판의 전방으로 있는 외함의 양 일면에 각각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결합하여서 된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고정 수단은 분전함 내부의 전,후면 중간의 상,하 및 좌,우로 돌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분전함의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는 전술한 전, 후면 조립판 각각의 전방에 있는 외함의 양쪽 일면에서 일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4. 청구항 2에 있어서,
    분전함의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는 전술한 전, 후면 조립판 각각의 전방에 있는 외함의 양쪽 일면에서 상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5. 청구항 2에 있어서,
    분전함의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는 전술한 전, 후면 조립판 각각의 전방에 있는 외함의 양쪽 일면에서 하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KR2020070016023U 2007-10-01 2007-10-01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KR200437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023U KR200437957Y1 (ko) 2007-10-01 2007-10-01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023U KR200437957Y1 (ko) 2007-10-01 2007-10-01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957Y1 true KR200437957Y1 (ko) 2008-01-09

Family

ID=4134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023U KR200437957Y1 (ko) 2007-10-01 2007-10-01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9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63B1 (ko) 2013-01-07 2013-03-19 애니콤정보통신 주식회사 양극 버스바와 음극 버스바 격리형 직류전원 분전반
JP2020114072A (ja) * 2019-01-09 2020-07-27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太陽光発電用点検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63B1 (ko) 2013-01-07 2013-03-19 애니콤정보통신 주식회사 양극 버스바와 음극 버스바 격리형 직류전원 분전반
JP2020114072A (ja) * 2019-01-09 2020-07-27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太陽光発電用点検盤
JP7204494B2 (ja) 2019-01-09 2023-01-16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太陽光発電用点検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83611B (zh) 带有至少两个接线盒的外壳构造
JP3556230B2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
PL204649B1 (pl) Sposób rozszerzania przestrzeni montażowej ustawionej na wolnym powietrzu szafki rozdzielczej oraz zestaw montażowy dla nowej jednostki szafki rozdzielczej
JP4959426B2 (ja) 制御盤
CN105680345B (zh) 一种前接线盘柜
KR200437957Y1 (ko) 전후면 기기 취부형 옥외 자립분전함
WO2004090916A3 (en) Flush-to-grade vault with wall-mounted cross-connect panels
AU2002247632B2 (en) Ki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ctric power cabinet for an outdoor area
CN100491674C (zh) 城市变电中心
UA46041C2 (uk) Корпус, використовуваний на відкритому повітрі, та порожнинні профільні шини для його збирання
KR100691748B1 (ko)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배전함
KR101817623B1 (ko) 조립식 전기 컨트롤 박스
RU2282923C1 (ru) Шкаф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электроаппаратуры (варианты)
CN101945551A (zh) 具有开启式安装板的电器箱柜
CN211958427U (zh) 一种防水且散热良好的配电箱
JP5751000B2 (ja) 配電盤
KR100467059B1 (ko) 상가용 분전반
CN220306753U (zh) 一种降噪箱式变电站低压柜
CN210053073U (zh) 一种箱变专用轻质化铝合金通风栅
CN219739576U (zh) 一种模块化配电柜
CN218941471U (zh) 一种水处理控制器
CN204205339U (zh) 便于管理的计量箱
KR200302987Y1 (ko) 상가용 분전반
KR200336296Y1 (ko) 가로형 양방향 옥외 분전반
CN219067662U (zh) 一种稳定可靠的铠装移开式智能开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