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407Y1 -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 - Google Patents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407Y1
KR200437407Y1 KR2020070013500U KR20070013500U KR200437407Y1 KR 200437407 Y1 KR200437407 Y1 KR 200437407Y1 KR 2020070013500 U KR2020070013500 U KR 2020070013500U KR 20070013500 U KR20070013500 U KR 20070013500U KR 200437407 Y1 KR200437407 Y1 KR 200437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cutting
screw
fork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일승
Original Assignee
권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일승 filed Critical 권일승
Priority to KR2020070013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8Holding or clamping devices for supporting fowl, venison, or other meat, or vegetables, during cooking or during subsequent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자나 고구마 등의 절단 물을 꼬챙이에 꽂아 튀김용으로 적합하도록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하기 위하여 절단 물 확인구, 투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구비된 함체(10)와; 상기 함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 단으로 구비된 회전 손잡이(24)에 의해 고정구(22)를 중심으로 하강 회전되도록 수나사(21)가 구비되고, 타 단으로는 절단 물을 찍어 고정하기 위한 포크(24)가 구비된 나사 축(20)과; 상기 나사 축의 승강 상태를 인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구를 중심으로 일방으로 회동자재 되고, 상기 나사 축의 수나사와 물림 또는 해제되는 반구형의 암나사(31)가 구비되어진 승강제어부재(30)와; 상기 나사 축의 포크 하단에 동 축 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나사 축에 의해 하강되는 절단 물을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커터(40); 및 상기 나사 축의 과도한 하강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포크에 의한 커터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포크에 고정된 절단 물이 마무리 절단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나사 축에 구비된 스토퍼(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감자, 고구마, 스크루 날개 절단, 꼬치, 튀김

Description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Skewer style fried food for cutting machine}
본 고안은 감자나 고구마 등의 각종 식품(이하, ‘절단 물’이라 한다)을 꼬챙이에 끼워 튀겨 먹을 수 있도록 스크루 날개 형태로 연속 절단하는 꼬치용 튀김 식품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지고 있는 감자나 고구마는 주로 쪄서 먹거나 또는 일정한 두께나 크기로 절단하여 프라이팬을 이용하여 전(煎) 형태로 지짐하여 먹거나, 기름에 튀겨서 먹는 것이 고작이었다. 특히, 기름에 튀겨서 먹는 경우에는 감자나 고구마를 길이 방향으로 잘게 세절(細切)하거나 얇게 썰어 고온의 기름에 튀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름에 튀겨 먹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덩어리 형태로 쪄서 먹는 경우에 비해서는 비교적 손에 들고 다니면서 먹는 것이 용이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요리 방법 역시 오래전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던 방식이어서 새로운 것이라 볼 수도 없다. 따라서, 감자나 고구마 역시, 상기한 종래 요리 방법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요리 방법을 채택하여 누구나가 간편하고 쉽게 먹을 수 있고, 또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요리방법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종래 감자나 고구마 등의 절단 물을 꼬챙이에 끼워 튀김 할 수 있도록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 되도록 하여 꼬치 식품으로 먹을 수 있도록 한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절단 물 확인구, 투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구비된 함체와; 상기 함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 단으로 구비된 회전 손잡이에 의해 고정구를 중심으로 하강 회전되도록 수나사가 구비되고, 타 단으로는 절단 물을 찍어 고정하기 위한 포크가 구비된 나사 축과; 상기 나사 축의 승강 상태를 인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구를 중심으로 일방으로 회동자재 되고, 상기 나사 축의 수나사와 물림 또는 해제되는 반구형의 암나사가 구비되어진 승강제어부재와; 상기 나사 축의 포크 하단에 동 축 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나사 축에 의해 하강되는 절단 물을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커터; 및 상기 나사 축의 과도한 하강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포크에 의한 커터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포크에 고정된 절단 물이 마무리 절단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나사 축에 구비된 스토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터의 직 하부로는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되는 절단물을 탄성적으로 받침하기 위한 받침 접시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승강제어부재는 이에 형성된 암나사가 나사 축 의 수나사에 대해 항상 물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탄력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승강제어부재는 안전수단에 의해 나사 축에 대한 승강제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안전수단은, 함체의 고정구에 형성되는 받침공과, 이 받침공에 대해 탄성부재로 받침되는 볼 및 상기 볼이 받침공의 외부로 완전히 빠지지 않고 일부만이 노출되도록 덮어주는 커버판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감자나 고구마 등의 각종 식품을 꼬챙이에 끼워 튀김 할 수 있도록 스크루 날개 형태로 연속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절단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소형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 비용의 절감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승강제어부재를 나사 축에 대해 임의적으로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나사 축의 상승 조작이 가능함으로써 절단 물의 절단에 따른 나사 축의 신속한 복귀 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나사 축의 과도한 하강 이동이 방지되어 포크에 의한 커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승강제어부재가 탄성부재로 탄력설치되어 있어, 평상시 상기 승강제어부재를 인위적으로 재침하지 않는 이상 이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 축의 수나사가 항상 물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특히 하강 이동 조작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루 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제어부재는 안전수단에 의해 일방으로 재침 및 복귀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하여 나사 축의 승강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감자나 고구마 등의 식품을 꼬챙이에 꽂아 기름에 튀겨 먹을 수 있도록,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꼬치용 튀김 식품 절단기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함체(10)로는, 상면으로 절단 물(1)의 포크 상태를 작업자가 편리하게 유관으로 확인하기 위한 절단 물 고정 확인구(12)가 형성되어 있고, 또 측면으로는 절단이 요구되는 절단 물을 집어넣기 위한 투입구(14) 및 절단이 완료된 절단 물을 끄집어내기 위한 배출구(16)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함체(10)의 내부로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나사 축(20)이 설치되어 있다. 나사 축(20)은 함체의 내부에 동 축 선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고정구들(22)에 의해 승강 조작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어 진다. 고정구들(22)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 수개로 배치하여 나사 축의 안정된 지지를 도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필요한 경우 하나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사 축(20)의 일단 부로는, 예컨대, 함체(1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으 로는 레버(23)의 일단이 분리 조립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이 레버의 타단으로는 나사 축(20)을 돌리기 위한 회전 손잡이(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 축(20)의 타단 부로는 절단 물(1)을 안전하게 찍어 고정하기 위한 포크(26)가 구비되어 있다. 포크(26)는 중앙 하부로 구비된 센터 핀(26a) 및 이의 가장자리로 절곡 형성되는 다수 개의 포크편들(26b)로 형성된다. 이때 센터 핀(26a)은 포크편들(26b) 보다 조금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포크(26)는 나사 축(20)에 대하여 일체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질 수 있다.
나사 축(20)은 수나사(21)에 맞물려지는 반 구형의 암나사(31)가 구비된 승강제어부재(30)에 의해 그 승강 조작이 제어되어 진다. 도 3을 더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하면, 승강제어부재(30)는 일 단부가 상기 고정구(22)에 대해 힌지 핀(32)으로 회동자재 되게 구성되고, 함체(10)의 조작공(1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 부로는 재침 조작용 손잡이(3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제어부재(30)는 탄성부재(36)로 탄력 설치하여 항상 암나사(31)가 나사 축(20)의 수나사(21)에 대해 물려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승강 제어 부재(30)를 도 3의 실선위치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나사 축(20)의 수나사(21)와 승강 제어부재(30)의 암나사(31)가 서로 물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 손잡이(24)의 회전 조작시 승강제어부재(30)에 의해 나사 축(20)의 승강 조작이 강제되지만, 도 3의 이점쇄선 위치로 재침하는 경우에는 나사 축(20)의 수나사(21)로부터 승강제어부재(30)의 암나사(31)가 벗어나기 때문에 나사 축(20)의 승강 제어 력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 제어 력의 해제는 나사 축(20)의 인위적인 상승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나사 축(20)의 하부로는 일정 거리를 두고 동 축선 상으로 절단 물(1)을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커터(40)가 브라켓(42)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커터(40)의 일방으로는 날부(4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날부(41)는 적어도 포크(26)에 구비된 센터 핀(26a)을 중심으로 이보다 더 연장되게 배치하여 절단 물(1)의 센터 부가 커터 날(42)에 의해 절단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커터(40)의 직 하부로는 받침 접시(5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받침 접시(50)는 커터(40)에 의해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되는 절단 물을 안전하게 받침하기 위한 것이며, 그 하부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52)로 받침하여 절단 물의 절단시에는 눌려지도록 하고, 절단이 완료되면 다시 복귀 받침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받침 접시(50)가 구비된 함체(10)의 내부로는 절단 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커버 체(54)를 구비하여 배출구(16)를 통한 절단 물(1)의 배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사 축(20)으로는 스토퍼(6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 스토퍼(60)는 절단 물(1)의 절단에 따른 나사 축(20)의 과도한 하강 이동 거리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절단 물(1)이 커터(50)에 의해 포크(26)의 센터 핀(26a)이 꼽아진 부분까지 절단이 완료되면 고정구(22)에 의해 걸려지도록 하여 나사 축(20)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 나사 축에 구비된 포크(26)로부터 커터(50)를 보호하게 됨과 동시에 나사 축(20)이 공 회전되게 하여 센터 핀(26a) 부분의 절단 물(1) 상단이 최종적으로 커터(40)에 의해 깔끔하게 절단 마무리되어 진다.
그리고, 스토퍼(60)가 당접되는 상측의 고정구(22)로는 나사 축(20)이 관통되는 부분에 베어링(22a)을 설치하여 이 베어링(22a)에 스토퍼(60)가 당접되도록 구성하여 고정구(22)의 손상 없이 나사 축(20)을 따라 일정 구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스토퍼(60)가 고정구(22)에 저지되어 나사 축(20)의 하강 회전은 저지되더라도 수나사(21)의 나선 각도에 의해 약 반 바퀴 정도가 더 회전하게되고 동시에 나사 축(20)의 나사부(21)가 승강제어부재(30)의 암나사(31)로부터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나사 축은 승강제어부재(30)와 무관하게 일정 구간 겉돌게 되고, 이러한 나사 축(20)의 공회전을 통해 포크(26)에 꽂아진 절단 물(1)은 그 상면, 즉 센터 핀(26a) 부분이 커터(40)에 의해 최종적으로 절단 제거되어 지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확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강제어부재(30)는 고정구(22)로 구비되는 안전수단(70)에 의해 회동 조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안전수단(70)은 고정구(22)에 형성되는 받침공(72)과, 이 받침공에 대해 탄성부재(74)로 받침되는 볼(76) 및 상기 볼이 받침공(72)의 외부로 완전히 빠지지 않고 일부만이 노출되도록 덮어주는 커버판(7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제어부재(30)는, 상기 안전수단(70)의 볼(76)이 탄성부재(74)에 의해 일부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 축(20)에 대한 물림 력을 해제하기 위해 일방으로 재침하는 경우에는 일단 부가 상 기 볼(76)을 누르면서 강제로 타고 넘어가게 되고, 상기 볼을 타고 넘어감과 동시에 볼은 다시 탄성부재(74)에 의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짐에 따라 강제로 복귀시키지 않는 이상 승강제어부재(30)는 상기 볼(76)에 의해 걸려져 원상 복귀가 저지되어 진다. 이러한 저지력의 유지는, 특히 포크(26)에 대한 절단 물(1)의 교체시 나사 축(20)을 인위적으로 상승시킬 때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다시 승강제어부재(30)를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재침 손잡이(34)를 나사 축(20) 방향으로 살짝 당겨주면, 탄성부재(36)의 반력에 의해 볼(76)을 다시 타고 넘어오면서 복귀 조작되어 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 물(1)을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한다.
먼저, 승강제어부재(30)를 나사 축(20)으로부터 떨어지게 일방으로 재침한 다음 나사 축(20)을 함체(10)의 상부로 최대한 상승시켜, 그 하단의 포크(26)가 커터(4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다. 상기한 나사 축(20)의 상승 조작이 완료되면, 일방으로 재침된 상태에 있는 승강제어부재(30)를 다시 원상복귀시켜 그 내주면으로 형성된 암나사(31)가 나사축(20)의 수나사(21)와 상호 물림되게 한다. 그러면, 나사 축(20)은 상기 승강제어부재(30)의 제어에 의해 회전 손잡이(24)를 강제로 돌리기 이전에는 임의적으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물론 승강제어부재(30)의 상기한 복귀 동작은 탄성부재(36)의 반력에 의해 신속한 복귀가 가능하게 될 수도 있고, 또 이와 더불어 안전수단(7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승강제어부재(30)를 손으로 일일이 잡고 있지 않더라도 일방으로의 재침 및 해제 동작이 자동 제어 될 수 있음은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상태에서 함체(10)의 절단물 투입구(14)를 통해 선별된 절단 물(1)을 한 손으로 잡고 집어넣어 나사 축(20)의 포크(24)에 꽂아 고정한다. 그러면, 절단 물(1)은 포크(26)의 센터 핀(26a) 및 가장자리로 형성된 포크편들(26b)에 의해 단단히 꽂아지게 된다. 이때 가급적 절단 물(1)의 중앙 부분이 센터 핀(26a)에 꽂아지도록 고정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만 절단 물(1)이 일방으로 기울어짐 없이 센터를 중심으로 안정되게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되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절단물 투입구(14)를 통해 포크(24)에 꽂아지는 과정은 함체(10)의 상면으로 형성된 절단물 고정 확인구(12)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절단물 고정 확인구(12)가 함체(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절단물 투입구(14)는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물 투입구(14)를 통해 포크(26)에 꽂아지는 절단 물(1)의 고정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관찰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 축(20)의 포크(26)에 대한 절단물(1)의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나사 축(20)으로 구비된 회전 손잡이(24)를 절단방향, 예를 들어 나사가 조여지는 시계방향으로 돌려준다. 그러면, 나사 축(20)은 수나사(21)가 승강제어부재(30)의 암나사(31)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그 하단의 포크(26)에 꽂아진 절단 물(1)은 중심 센터 축보다 더 연장되게 구비된 커터(40)의 날부(41)와 접촉되면서 그 하단부터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되어 진다. 그리고 커터(40)에 의해 스크루 날개 형태로 연속적으로 절단되는 절단 물(1)은 그 하부에 탄력 설치된 받침 접시(50)에 안정적으로 받침되어 지고, 이때 받침 접시(50)는 탄성부재(52)에 의해 탄성적으로 하강하면서 점차적으로 절단되는 절단 물(1)을 안정적으로 받침하게 된다.
이렇게 절단 물(1)의 상단, 예를 들어 포크(26)의 센터 핀(26a) 부분까지 커터(40)에 의해 절단이 완료되면, 나사 축(20)은 이에 형성된 스토퍼(60)에 의해 하강 이동이 저지된다. 즉, 회전 손잡이(24)를 계속해서 돌리더라도 상기 스토퍼(60)가 고정구(22)에 당접되는 순간 나사 축(20)에 형성된 수나사(21)의 나사산이 승강제어부재(30)에 형성된 암나사(31)의 나사산과 상호 접촉되어 지면서 상기 승강 제어부재(30)를 순간적으로 외 측으로 밀어내는 결과로 인해 나사 축(20)은 더 이상의 과도한 하강 이동이 저지되면서 약 반 바퀴 정도 겉돌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60)의 저지에 의해 나사 축(20)은 과도한 하강 이동 저지되어 절단물(1)의 절단 과정에서 포크(26)의 센터 핀(26a)이 커터(40)의 날부(41)와 직접 닿아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상기한 나사 축(20)의 일정 구간 공회전하는 것에 의해 포크(26)에 꽂아진 절단 물(1)의 절단 상면이 동시에 커터(40)의 날부(41)와 접촉 회전하면서 스크루 형태로 절단되는 부분과 연이어지게 최종적으로 절삭 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절단이 완료된 절단 물(1)을 함체(10)의 배출구(16)를 통해 받침 접시(50)로부터 빼내면 스크루 날개 형태로 연속 절단되는 절단 물(1)이 얻어지게 되고, 이를 꼬챙이에 끼워 기름에 튀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절단되는 절단 물(1)은 나사 축(20)의 수나사(21)의 나사 산 간격에 맞추어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되는 절단 물의 절단 두께가 항상 일정하게 된다.
또한, 나사 축(20)의 수나사(21) 간격이 다른 것을 교체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절단 두께를 갖는 절단 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승강제어부재(30)의 암나사(31) 역시 나사 축(20)의 수나사(21)와 일치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새로운 절단 물을 집어넣고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 나사 축(20)과 승강제어부재(30)를 조작하여 절단물(1)을 포크(24)에 고정한 다음 상기 나사 축을 돌려 회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튀김이 가능한 스크루 날개 형태의 절단 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절단되는 절단 물은 감자나 고구마를 비롯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된 당근, 소시지 등 튀김에 적합한 식품이라면 얼마든지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내의 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내의 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나사 축을 하강 이동시키면서 절단 물이 커터에 의해 절단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절단 물 10: 함체
12: 절단물 고정 확인구 14: 투입구
16: 배출구 20: 나사 축
21: 수나사 22: 고정구
24: 회전 손잡이 26: 포크
26a: 센터 핀 26b: 포크편들
30: 승강제어부재 31: 암나사
32: 힌지 핀 36, 52, 74: 탄성부재
40: 커터 41: 날부
50: 받침 접시 60: 스토퍼
70: 안전수단 72: 받침홈
76: 볼 78: 커버 판

Claims (5)

  1. 절단물 고정 확인구, 투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구비된 함체와;
    상기 함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 단으로 구비된 회전 손잡이에 의해 고정구를 중심으로 하강 회전되도록 수나사가 구비되고, 타 단으로는 절단 물을 찍어 고정하기 위한 포크가 구비된 나사 축과;
    상기 나사 축의 승강 상태를 인위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구를 중심으로 일방으로 회동자재 되고, 상기 나사 축의 수나사와 물림 또는 해제되는 반구형의 암나사가 구비되어진 승강제어부재와;
    상기 나사 축의 포크 하단에 동 축 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나사 축에 의해 하강되는 절단 물을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커터; 및
    상기 나사 축의 과도한 하강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포크에 의한 커터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포크에 고정된 절단 물이 마무리 절단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나사 축에 구비된 스토퍼;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용 튀김 식품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직 하부로는 스크루 날개 형태로 절단되는 절단물을 탄성적으로 받침하기 위한 받침접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용 튀김 식품 절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재는, 이에 형성된 암나사가 나사 축의 수나사에 대해 항상 안정된 물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탄력 설치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용 튀김 식품 절단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어부재는 안전수단에 의해 나사 축에 대한 승강제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 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용 튀김 식품 절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수단은, 고정구에 형성되는 받침공과, 이 받침공에 대해 탄성부재로 받침되는 볼 및 상기 볼이 받침공의 외부로 완전히 빠지지 않고 일부만이 노출되도록 덮어주는 커버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용 튀김 식품 절단기.
KR2020070013500U 2007-08-14 2007-08-14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 KR200437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500U KR200437407Y1 (ko) 2007-08-14 2007-08-14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500U KR200437407Y1 (ko) 2007-08-14 2007-08-14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407Y1 true KR200437407Y1 (ko) 2007-11-30

Family

ID=4163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500U KR200437407Y1 (ko) 2007-08-14 2007-08-14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4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747B1 (ko) 식품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80255971A1 (en) Air Fryer
US9049966B2 (en) Food processor
US20210106176A1 (en) Rotisserie turkey deep fryer
US11160421B2 (en) Hot air fryer cooking appliance
KR101773119B1 (ko) 조리장치
CA2036531C (en) Cooking apparatus for suspending a food product
JP6942638B2 (ja) 食品加工装置および方法
KR101199682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BR112017024036B1 (pt) Aparelho processador de alimentos
KR101262628B1 (ko) 코코넛을 위한 개봉 장치
KR20200002107U (ko) 채 썰기 장치
KR200437407Y1 (ko) 꼬치용 튀김식품 절단기
US10881247B2 (en) Food processing system and interchangeable actuated accessories
US20160101537A1 (en) Food Slicer Hand Guard
US4656936A (en) Fruit and vegetable peeler
JP2007290069A (ja) 食品用カッター
KR100871092B1 (ko) 양면 후라이팬
CN2558497Y (zh) 家用果蔬切割机
US20070251098A1 (en) Multi-function pizza tool
KR20130080378A (ko) 여러개의 모드를 갖는 다용도 슬라이서
KR20240052568A (ko) 식자재 절단장치
CN219948811U (zh) 包覆膜层掀开机构
CN218606188U (zh) 投料组件及包含其的投料锅盖
US10667532B2 (en) Chicken wing cutter and f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