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183Y1 - 침대의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침대의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183Y1
KR200437183Y1 KR2020070009417U KR20070009417U KR200437183Y1 KR 200437183 Y1 KR200437183 Y1 KR 200437183Y1 KR 2020070009417 U KR2020070009417 U KR 2020070009417U KR 20070009417 U KR20070009417 U KR 20070009417U KR 200437183 Y1 KR200437183 Y1 KR 200437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lifting
shaped
bars
b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학
Original Assignee
박연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학 filed Critical 박연학
Priority to KR2020070009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1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 프레임(5)의 저면에 승강 작동하는 승강수단(30)을 구비하되, 이는 상 하단에 로울러가 설치되어 레일(12)(22)을 따라 이동되는 X자형 작동 바(32)(32)를 대향 구비하고, X자형 작동 바(32)(32)의 전방에 작동 축(35) 양단을 힌지 연결된 상,하 작동링크(37)(37')를 회전 가능케 연결 구성하여 상기 작동 축을 쟈키(40)의 로드(42)에 연결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후 이동함에 따라 상기 X자형 작동 바(32)(32)가 중앙의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대향 이동하면서 승강 작동함과 함께, 상기 하부 레일(22)에 설치 구성되는 이동바퀴(25)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침대의 승강작동 및 승강 작동시에 수평유지, 이동바퀴에 의한 이동작동을 제공하여 작동 안전성과 함께 침대 하부의 청소 용이로 청결성 및 이동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침대, 승강, 리프팅, 승강수단, 청소, 이동, 쟈키, 이동바퀴, 절첩

Description

침대의 리프팅장치{LIFTING DEVICE OF BED}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스토퍼의 구성 예를 보여주는 요부 발췌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침대 프레임 10: 고정판
12, 22: 레일 25: 이동바퀴
30: 승강수단 31: 힌지 축
32: 작동 바 33: 로울러
35: 작동축 37,37': 작동링크
40: 쟈키 42: 로드
50: 스토퍼 44: 작동레버
45: 콘트롤박스 46; 스위치부
본 고안은 침대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 하부로 설치되는 승강수단의 X자형 작동 바가 중앙 힌지 축을 지점으로 일정하게 작동하면서 침대의 수평 유지, 승강 작동 및 이동바퀴에 의한 이동작동으로 작동 안전성과 함께 침대 하부의 청소 용이로 청결성 및 이동바퀴에 의한 이동성을 제공하는 침대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하부에 지지다리를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부로 안착되는 메트리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침대는 비교적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운반이나 이동이 가정 등에서 한번 설치된 위치에서 주로 고정형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한 침대를 오랜 시간 고정 사용하게 되면, 상기 침대 하부로 각종 먼지들이 쌓이게 되면서 실내 환경 및 건강상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침대 하부가 먼지가 쌓임을 알면서도 종래에는 이를 쉽게 청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침대가 설치된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를 주고자 하는 경우에도 침대의 무게가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자주 침대 배치의 변화를 줄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특허 제10-339486호에서는 미용 또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침대의 높이 조절을 가능케 하므로 사용용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개시된바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X형 지지 바를 복수의 공압실린더와 링크 구조에 의해 작동하므로서 구조가 복잡하고, 일반적인 범용 침대에 적용하여 설치 사용하기에는 상당히 구조적으로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미용 또는 의료용 침대는 가벼운 철재 프레임으로 제작되어 힌지 축이 중심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변위되면서 승강 작동하고, 수평 및 경사지게 승강되면서 작동되기 때문에 비교적 무게가 무겁게 제작되는 범용 침대에서는 적용이 더욱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범용 침대의 경우에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당연히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침대 하부로 설치되는 승강수단의 X자형 작동 바가 중앙 힌지 축을 지점으로 일정하게 작동하면서 침대의 수평 유지 및 승강 작동에 따른 안전성,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침대를 승강하여 침대 하부의 청소 용이로 청결성 및 이동바퀴에 의한 이동성을 제공하므로 사용 효율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침대 프레임의 하부에 지지다리가 구비된 침대를 승강 조절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의 중앙 하부로 고정판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의 하부로는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상부 레일과 상부 레일에 대해 일정 거리를 두고 하부 레일을 수평 설치하되, 상기 상 하부 레일과의 사이로는 교차 지점이 힌지 축으로 연결 지지된 X자형 작동 바를 대향되게 설치하며, 상기 X자형 작동 바의 전방 중앙으로는 일단 부가 수평의 작동 축에 의해 연결되고, 또 타단 부는 상기 X자형 작동 바에 대해 각각 힌지로 대향되게 연결 설치된 상,하 작동링크를 구비하되 상기 작동 축과 힌지 축으로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의 쟈키를 수평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쟈키의 선단부로 구비된 로드를 작동 축과의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로드가 상기 쟈키의 동작에 따라 신축되어 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링크가 절첩 조작되고 동시에 상기 X자형 작동 바가 중앙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하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침대 프레임이 승강 조작되도록 구성된 점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침대 리프팅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지지다리(6)를 갖는 침대 프레임(5)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는 고정 판(10) 하부로 침대를 승강 작동하는 승강수단(30)을 구비하되;
상기 승강수단(30)은 중앙의 힌지 축(31)으로 연결된 X자형 작동 바(32)(32)를 대향 구비하여 상기 X자형 작동 바(32)(32)의 상,하단에 설치되는 로울러(33)(33)가 평행 설치된 상,하 레일(12)(22)을 따라 안내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X자형 작동바(32)(32)의 전방 중앙에는 수평의 작동축(35) 양단에 상하로 힌지 연결된 상,하 작동링크(37)(37')를 회전 가능케 연결 구성하며,
상기 작동 축(35)의 중앙에는 쟈키(40)의 로드(42) 선단이 수평 연결되어 로드의 신축 작동에 따라 전후 이동하며 X자형 작동 바(32)(32)가 중앙의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대향 이동하면서 승강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 레일(22)에는 일 측면에 이동을 위한 이동바퀴(25)가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레일(12)에는 X자형 작동바(32)(32)의 상부 로울러(33)(33)가 중앙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일정 위치까지 이동 안내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50)가 설치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50)는 별도의 브라켓을 도 5에서와 같이 레일(12)상에 삽입하여 나사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하거나, 도 6에서와 같이 별도의 부품 설치 없이 상기 레일의 일부분을 절결 및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쟈키(40)는 X자형 작동 바(32)(32)의 중앙 힌지 축(31)상에 수평 설치하되, 후단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작동레버(44)를 갖는 수동식으로 마련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46)와 연결된 콘트롤박스(45)를 갖는 자동식으로 마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0)은 H자 형으로 제작하여 침대 프레임(5)의 저면 중앙에 설치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고정판(10)의 형태는 특정될 필요는 없고, 침대 프레임(5)의 설치 면에 맞추어 다양한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침대 하부를 청소하거나 침대 설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먼저, 평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프레임(5) 하부의 지지다리(6)가 지면에 맞닿게 설치되어 있어 침대 프레임(5)의 유동을 방지하는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침대 프레임(5)의 하부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침대 프레임(5) 저면에 설치된 승강수단(30)의 쟈키(40)를 작동한다.
이때, 상기 쟈키(40)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으로 조작하게 되는데, 수동식의 경우에 미도시 된 릴리스 밸브를 잠금 작동 후에 후방의 작동레버(44)를 작동하거나, 자동식의 경우에 스위치부(46)의 조작에 의한 콘트롤 박스(45)가 쟈키(4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상기 쟈키(40)를 작동하면, 쟈키(40)의 로드(42)가 전진되어 있던 상태에서 후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드(42)의 후퇴는 상기 로드(42)에 연결된 작동 축(35)을 후퇴시키고, 상기 작동축(35)과 X자형 작동 바(32)(32)에 힌지 연결된 상하 작동링크(37)(37')을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링크(37)(37')는 작동 축(35)을 중심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점차 수직으로 세워지는 작동을 행하게 되고, 이에 의해 X자형 작동 바(32)(32) 또한 중앙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승강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X자형 작동 바(32)(32)가 상승작동하면, 상기 작동 바(32)(32)의 상하단에 설치된 로울러(33)(33)가 상,하부 레일(12)(22)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X자형 작동 바(32)(32)가 설정된 높이까지 승강 작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 바(32)(32)의 상단 로울러(33)는 레일(12) 상에 설치된 좌우 스토퍼(50)에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X자형 작동바(32)(32) 상단 로울러(33)가 힌지 축(31)의 중앙에서 약간 편심되게 이동 안내된다 하더라도 상기 레일(12)상의 좌우 스토퍼(50)에 의해 로울러(33)가 지지되면서 X자형 작동 바(32)(32)의 중앙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침대 프레임을 승강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승강수단(30)의 X자형 작동 바(32)(32)의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침대 프레임(5)은 수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안전하게 승강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침대 프레임(5)을 승강 작동하면, 상기 프레임은 대략 지면에서 700~800mm 정도의 간격을 형성하므로 침대 프레임(5) 하부를 말끔히 청소하여 청결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침대 프레임(5)을 승강한 상태로 침대를 이동하여 청소를 더욱 효과적으로 행하거나 침대 프레임(5)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레일(22) 상에 설치된 이동바퀴(25)를 이용하여 침대를 간편하게 이동하여 재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모든 작업이 완료되어 침대 프레임(5)을 원위치 하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미도시 된 릴리스 밸브를 개방하면, 상기 침대프레임(5)의 자중에 의해 침대 프레임(5) 하부의 X자형 작동 바(32)(32)는 중앙의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절첩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 바(32)(32)에 연결된 상하 작동링크(37)(37')와, 쟈키(40)의 로드(42) 또한 원위치 복귀되면서 침대 프레임(5)의 지지다리(6)가 지면에 닿도록 절첩되어 원위치 상태로 복귀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침대 리프팅장치는 침대 하부로 설치되는 승강수단의 X자형 작동 바가 중앙 힌지 축을 지점으로 일정하게 이동 작동하면서 침대의 수평 유지, 승강 작동 및 이동바퀴에 의한 이동작동을 제공하여 작동 안전성과 함께 침대 하부의 청소 용이로 인한 청결성 유지 및 이동바퀴에 의한 이동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5)

  1. 침대 프레임(5)의 하부에 지지다리(6)가 구비된 침대를 승강 조절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침대 프레임(5)의 중앙 하부로 고정판(10)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의 하부로는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상부 레일(12)과 상부 레일에 대해 일정 거리를 두고 하부 레일(22)을 수평 설치하되, 상기 상 하부 레일과의 사이로는 교차 지점이 힌지 축(31)으로 연결 지지된 X자형 작동 바(32)(33)를 대향되게 설치하며, 상기 X자형 작동 바(32)(32)의 전방 중앙으로는 일단 부가 수평의 작동 축(35)에 의해 연결되고, 또 타단 부는 상기 X자형 작동 바(32)(32)에 대해 각각 힌지로 대향되게 연결 설치된 상,하 작동링크(37)(37')를 구비하되 상기 작동 축(35)과 힌지 축(31)으로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의 쟈키(40)를 수평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쟈키의 선단부로 구비된 로드(42)를 작동 축(35)과의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로드(42)가 상기 쟈키(40)의 동작에 따라 신축되어 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링크(37)(37')가 절첩 조작되고 동시에 상기 X자형 작동 바(32)(32)가 중앙의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상하 레일(12)(22)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침대 프레임(5)이 승강 조작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리프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70009417U 2007-06-08 2007-06-08 침대의 리프팅장치 KR200437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417U KR200437183Y1 (ko) 2007-06-08 2007-06-08 침대의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417U KR200437183Y1 (ko) 2007-06-08 2007-06-08 침대의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183Y1 true KR200437183Y1 (ko) 2007-11-13

Family

ID=4163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417U KR200437183Y1 (ko) 2007-06-08 2007-06-08 침대의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1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254B2 (en) Articulated bed
US5615451A (en) Roller assembly lift mechanism
KR102012189B1 (ko) 레이저 절단기의 판재 리프팅 및 정렬장치
RU2010109025A (ru) Средство отдирания опалубки для бетона от бетон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US20100107910A1 (en) Printing towers comprising at least two superimposed printing groups,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of such a printing tower
KR101967738B1 (ko) 보강구조를 갖는 전동침대
US2655387A (en) Table with retractable casters
DE102013102464B4 (de) Scherenhubtisch
US10463164B2 (en) Adjustable mattress foundation
CN106473451B (zh) 可控气弹簧升降桌
KR200437183Y1 (ko) 침대의 리프팅장치
CN214302784U (zh) 一种可倾斜活动架
CN208502202U (zh) 一种房屋建筑施工用升降平台
CN209689650U (zh) 一种建筑工程环境监控装置
KR102136894B1 (ko) 매트리스 커버 교체가 용이한 승하강 침대
US20130014675A1 (en) Height adjustable desktop apparatus
KR100286853B1 (ko) 차량정비용리프트
CN205030861U (zh) 床用升降机
GB2485676A (en) Pedal operated lever arrangement for lifting bed bases
KR101994946B1 (ko) 보강구조를 갖는 전동침대
KR100382030B1 (ko) 리프트장치
CN219909544U (zh) 一种安全省力型吊物孔二级提升盖板
CN220667428U (zh) 移动人字梯
JP2004113096A (ja) 葉たばこラックリフタ
CN220045382U (zh) 一种酒店用电动床底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