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171Y1 - Container cap assembly - Google Patents

Container cap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171Y1
KR200437171Y1 KR2020070000094U KR20070000094U KR200437171Y1 KR 200437171 Y1 KR200437171 Y1 KR 200437171Y1 KR 2020070000094 U KR2020070000094 U KR 2020070000094U KR 20070000094 U KR20070000094 U KR 20070000094U KR 200437171 Y1 KR200437171 Y1 KR 200437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inner cap
locking
ca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0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정훈
이원우
이성준
이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070000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17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17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용기 캡 조립체는, 불필요하게 아웃 캡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용기 캡 조립체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내장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토출구에 일측으로 결합되고 내부에 토출통로를 형성하는 커넥팅파이프, 상기 커넥팅파이프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유동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커넥팅파이프의 반대 측에 솔을 구비하는 인너캡, 상기 용기 상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의 다른 일측에 대응하는, 상기 인너캡에 형성되는 잠금구멍,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인너캡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인너캡에 결합되어 상기 솔을 덮는 아웃캡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iner cap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ut cap from being opened unnecessarily and the contents being discharged. The container cap assembly has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 container containing the contents, a connecting pip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tainer and forming a discharge passage therein,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ipe, and having a flow therein. An inner cap defining a passage and having a sole on an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ng pipe, a locking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ontainer, and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inner cap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elastic member and the inner cap, and an out cap coupled to the inner cap to cover the sole.

용기, 캡, 연결부재, 잠금부재, 결합테, 인너캡, 아웃캡, 실링 Container, cap, connecting member, locking member, joining frame, inner cap, out cap, sealing

Description

용기 캡 조립체 {CONTAINER CAP ASSEMBLY}Container Cap Assembly {CONTAINER CAP ASSEMBLY}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캡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용기 캡 조립체를 조립하여 Ⅱ-Ⅱ 선을 따라 자른 잠금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ed state of the container cap assembly of FIG. 1 assembled and taken along line II-II. FIG.

도3은 도1의 용기 캡 조립체를 조립하여 Ⅲ-Ⅲ 선을 따라 자른 잠금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ed state of the container cap assembly of FIG. 1 assembled and taken along line III-III. FIG.

도4는 도2에 따른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of the open state according to FIG.

도5는 도3에 따른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of the open state according to FIG.

도6은 잠금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화하는 잠금부재 및 탄성부재의 작동 상태도이다.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that change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open stat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용기 20 : 커넥팅파이프10 container 20 connecting pipe

30 : 인너캡 40 : 아웃캡30: inner cap 40: out cap

50 : 결합테 60 : 잠금부재50: combined frame 60: locking member

70 : 탄성부재 80 : 연결부재70: elastic member 80: connecting member

11: 토출구 12 : 결함홈11: outlet 12: defective groove

21 : 토출통로 22 : 안내돌기21: discharge passage 22: guide projection

23 : 팁 31 : 결합부23 tip 31: coupling

32 : 홈 33 : 유동통로32: groove 33: flow path

34 : 솔 35 : 솔통34: Brush 35: Brush

36 : 실링 37 : 잠금구멍36: sealing 37: locking hole

38 : 단속구멍 41 : 잠금홈38: intermittent hole 41: locking groove

51 : 결합돌기테 52 : 관통구멍51: engaging projection frame 52: through hole

61 : 걸림돌기 62 : 누름돌기61: jamming projection 62: push projection

S : 내부 공간S: interior space

본 고안은 용기 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하게 아웃캡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기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ap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cap assembly that is unnecessarily open the outcap and prevents the contents to be discharged.

일반적으로 에멀젼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내용물, 예를 들면, 화장품을 내장하는데 용기가 사용된다. 용기는 캡과 결합되어 내용물을 내장하게 되는데, 용기와 캡의 결합 구조에 따라 나사 타입과 원터치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Generally a container is used to contain the contents of the emulsion or paste, such as cosmetics. The container is combined with the cap to embed the contents. The container may be divided into a screw type and a one-touch type 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and the cap.

나사 타입은 용기 끝에 좁은 토출구를 구비하고, 이 토출구의 외주에 나사를 형성하며 이에 대응하는 캡의 내주에 나사를 형성하고, 이 토출구에 캡을 나사 결합시켜 용기 내에 내용물을 보관하고, 나사를 풀어서 내용물을 토출시키게 한다. 이 나사 타입은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캡을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진 다.The screw type has a narrow discharge port at the end of the container, forms a screw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and forms a screw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rresponding cap, and screwes the cap to the discharge port to store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and loosen the screw. Discharge the contents. This screw type has the trouble of turning the cap to use the contents.

원터치 타입은 나사 타입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용기 끝에 구비되는 좁은 토출구 외주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에 대응하는 캡의 내주에 홈을 형성하여, 캡을 누름으로써 홈과 돌기를 분리시켜 내용물을 토출시키게 한다. 이 원터치 타입은 용기와 캡의 체결력이 약하기 때문에 용기에 불필요하게 압력이 가해진 경우 토출구로부터 캡이 빠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내용물을 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One-touch type eliminates the hassle of screw type, and forms a proj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arrow discharge port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tainer, and forms a groove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p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and separates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by pressing the cap. Discharge the contents. This one-touch type has a problem in that the cap is pulled out from the discharge port when the container is unnecessarily pressured because 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ap is weak, thereby unnecessarily ejecting the contents.

원터치 타입은 용기에 직접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를 캡의 홈과 결합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용기에 인너캡을 결합하고 이 인너캡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를 아웃캡의 홈과 결합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The one-touch type can form a protrusion directly on the container and combine the protrusion with the groove of the cap, which combines the inner cap with the container, forms the protrusion with the inner cap, and combines the protrusion with the groove of the outcap. It can also be structured.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불필요하게 아웃 캡이 개방되고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기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ntainer cap assembly which prevents the out cap from being opened unnecessarily and the contents being discharg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캡 조립체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내장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토출구에 일측으로 결합되고 내부에 토출통로를 형성하는 커넥팅파이프, 상기 커넥팅파이프의 다른 일측(예를 들면, 상기 용기의 토출구에 결합되지 않은 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유동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커넥팅파이프의 반대 측에 솔을 구비하는 인너캡, 상기 용기 상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의 다른 일측(예를 들면, 상기 용기 상에 연결되지 않는 측)에 대응하는, 상기 인너캡에 형성되는 잠금구멍,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인너캡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인너캡에 결합되어 상기 솔을 덮는 아웃캡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ainer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contents, a connecting pip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tainer and forming a discharge passage therein, the connecting pipe An inner cap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eg, a side not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tainer), forming a flow passage therein, and having a brush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ng pipe, the one side on the container The locking member to be connected,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for example, the side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container), the locking hole formed in the inner cap, the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the elastic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member and the inner cap; And an out cap coupled to the inner cap to cover the sole.

상기 커넥팅파이프는 상기 토출구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파이프는 상기 인너캡의 하방에 구비되는 결합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에 결합되는 안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ipe may be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by interference fit. The connecting pipe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coupled to a groove formed in a length direction in a coupling portion provided below the inner cap.

상기 인너캡은, 상기 결합부의 상방에서 상기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의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솔을 고정시키는 솔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캡은 상기 아웃캡의 개방측 끝부분 내주면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실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cap may include a passage portion forming the flow passage above the coupling portion, and a brush barrel provid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passage portion to fix the brush. The inner cap may include a seal provided corresponding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 end portion of the out cap.

상기 아웃캡은 상기 인너캡의 잠금구멍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잠금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cap may include a locking groove formed to face the locking hole of the inner cap.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캡 조립체는 상기 용기와 상기 인너캡을 연결시키는 결합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upling frame for connecting the container and the inner cap.

상기 결합테는 상기 용기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테는 상기 잠금부재의 일측(예를 들면, 상기 용기 상에 연결되지 않는 측)에 대응하는 관통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frame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container. The coupling frame may include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eg, a side not connected to the container).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잠금구멍에 삽입/인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테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인입/인출되며 상 기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누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 out of the locking hole, and a pressing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below the locking protrusion and drawn / drawn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frame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have.

상기 탄성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인너캡의 내측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in plural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cap.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in nature and not restrictiv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캡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 캡 조립체는 용기(10), 커넥팅파이프(20), 인너캡(30), 아웃캡(40), 결합테(50), 잠금부재(60), 탄성부재(70) 및 연결부재(80)를 포함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container cap assembly includes a container 10, a connecting pipe 20, an inner cap 30, an out cap 40, a coupling frame 50, a locking member 60, an elastic member 70 and Connection member 80 is included.

용기(10)는 내용물을 내장하고 외부에 압력을 가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일측에 토출구(11)를 구비한다. 또한 용기(10)는 결합테(5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함홈(12)을 구비한다. 이 결합홈(12)은 용기(10)의 상단 측면 둘레를 따라 가면서 형성되어 있다.The container 10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ntents by embedding the contents and applying pressure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port 11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In addition, the container 10 is provided with a defect groove 12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frame (50). The coupling groove 12 is form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10).

커넥팅파이프(20)는 용기(10)의 토출구(11)에 삽입 결합되고, 내부에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통로(21)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팅파이프(20)는 용기(10) 내의 내용물을 인너캡(30)으로 토출시키도록 인너캡(30)과 용기(10)를 연결시킨다. 즉, 용기(10)의 토출구(11)와 커넥팅파이프(20)의 토출통로(21)는 서로 연통되어, 내용물의 토출 경로를 형성한다(도2 및 도3 참조).The connecting pipe 2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11 of the container 10 and has a discharge passage 21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herein. The connecting pipe 20 connects the inner cap 30 and the container 10 to discharge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10 to the inner cap 30. That is, the discharge port 11 of the container 10 and the discharge passage 21 of the connecting pipe 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discharge path of the contents (see FIGS. 2 and 3).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커넥팅파이프(20)에서, 일측은 토출구(11)에 억기끼움으로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인너캡(30)의 하방에 결합된다. 이때, 커넥팅파이프(20)는 인너캡(30) 측에 안내돌기(22)를 구비한다. 안내돌기(22)는 커넥팅파이프(20) 둘레를 따라 1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 안내돌기(22)는 인너캡(30)을 커넥팅파이프(20) 상에서 커넥팅파이프(20)의 길이 방향(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승강)시킬 수 있게 한다.2 and 3, in the connecting pipe 20, one side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11 in a press fit,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ap (3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pe 20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22 on the inner cap 30 side. One or more guide protrusions 22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ipe 20. The guide protrusion 22 allows the inner cap 30 to move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drawing) of the connecting pipe 20 on the connecting pipe 20.

따라서 인너캡(30)은 안내돌기(22)에 대응하여, 하방에 결합부(31)를 구비하고, 이 결합부(31)는 내주면에 결합부(3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32)을 구비한다. 홈(32)은 안내돌기(22)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Accordingly, the inner cap 30 corresponds to the guide protrusion 22 and has a coupling portion 31 below, and the coupling portion 3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3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32. ). The groove 32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guide protrusions 22.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인너캡(30)은 커넥팅파이프(20)에 결합되어 내부에 유동통로(33)을 형성하며, 커넥팅파이프(20)의 반대 측에 솔(34)을 구비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inner cap 3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ipe 20 to form a flow passage 33 therein, and has a sole 34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ng pipe 20.

이 유동통로(33)는 커넥팅파이프(20) 토출통로(21)에 단속적으로 연결된다. 즉 용기(10)의 토출구(11)와 커넥팅파이프(20)의 토출통로(21) 및 인너캡(30)의 유동통로(33)는 단속적으로 서로 연통되어 내용물의 토출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도2 및 도3 참조).The flow passage 33 is intermittent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21 of the connecting pipe 20. That is, the discharge port 11 of the container 10, the discharge passage 21 of the connecting pipe 20 and the flow passage 33 of the inner cap 30 are intermitt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discharge path of the contents (Fig. 2 and FIG. 3).

예를 들면, 인너캡(30)은 결합부(31)의 상방에서 유동통로(33)를 형성하는 통로부(33a)와, 통로부(33a)의 외곽에 구비되어 솔(34)을 고정시키는 솔통(35)를 구비한다. 통로부(33a)의 유동통로(33) 크기와 솔(34)을 구비하는 솔통(35)의 크기는 토출되는 내용물의 입자 및 점도를 고려하여 유동통로(33)로 토출되는 내용물이 솔(34)의 전 영역에 충분히 공급 확산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된다.For example, the inner cap 3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ssage portion 33a and the passage portion 33a forming the flow passage 33 above the coupling portion 31 to fix the sole 34. A brush barrel 35 is provided. The size of the flow passage 33 of the passage portion 33a and the size of the brush barrel 35 including the sole 34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les and viscosity of the discharged contents. It is set in the range which can fully supply and spread to all the areas of).

솔통(35)은 상대적으로 좁은 폭과 긴 길이를 가지므로 솔(34)이 납작한 형상을 가지게 한다. 이 납작한 형상의 솔(34)은 1회 솔질로 내용물의 도포 면적을 넓힐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납작 형상의 솔(34)은 자외선차단 크림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brush barrel 35 has a relatively narrow width and long length so that the brush 34 has a flat shape. This flat brush 34 makes it possible to widen the application area of the contents by brushing once. For example, a flat brush 34 can be used for the sunscreen cream.

인너캡(30)은 상기와 같이 커넥팅파이프(20)에 결합되고, 또한 커넥팅파이프(20)를 덮는다. 또한 인너캡(30)의 외측에는 아웃캡(40)이 결합된다. 아웃캡(40)은 용기(10)의 반대 측에서 인너캡(30)에 결합되어, 솔(34) 및 솔통(35) 부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킨다.The inner cap 3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ipe 20 as described above, and also covers the connecting pipe 20. In addition, the outer cap 40 is coupled to the outer cap 30. The out cap 40 is coupled to the inner cap 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iner 10 to block the sole 34 and the brush barrel 35 from the outside.

솔통(35)에 구비되는 솔(34)은 내용물을 머금고 있으므로 이 내용물 및 솔(34)이 건조 및 경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인너캡(30)은 실링(36)을 구비한다.Since the sole 34 provided in the brush barrel 35 contains the content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contents and the phenomenon that the sole 34 is dried and cured. To this end, the inner cap 30 has a seal 36.

실링(36)은 아웃캡(40)의 개방측 끝부분 내주면에 대응하는 인너캡(30)의 외주에 구비된다. 따라서 실링(36)은 아웃캡(40)와 인너캡(30)으로 한정되는 내부 공간(S)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킨다(도2 및 도3 참조). 따라서 이 내부 공간(S)에 노출된 솔(34)에 흡수되어 있는 내용물은 경화되지 않고 용기(10)에서 토출된 에멀젼 또는 페이스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sealing 36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cap 30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 end of the out cap 40. Therefore, the sealing 36 blocks the internal space S defined by the out cap 40 and the inner cap 30 from the outside (see FIGS. 2 and 3). Therefore, the contents absorbed in the sole 34 exposed to the internal space S are not cured but maintain the emulsion or paste state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0.

아웃캡(40)은 상기와 같이 인너캡(30)에 결합되어 솔(34)을 덮어준다. 즉 인너캡(30)과 아웃캡(40)은 결합 상태에서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이 중첩되는 부분에서, 인너캡(30)은 잠금구멍(37)을 형성하고, 아웃캡(40)은 이 잠금 구멍(37)에 마주하여 잠금홈(41)을 형성하고 있다(도2 및 도4 참조).Out cap 40 is coupled to the inner cap 30 as described above to cover the sole 34. That is, the inner cap 30 and the out cap 40 form a portion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engaged state. In this overlapping portion, the inner cap 30 forms the locking hole 37, and the out cap 40 forms the locking groove 41 facing the locking hole 37 (FIGS. 2 and FIG. 4).

결합테(50)는 토출구(11)의 외측에서 용기(10)에 결합되어, 잠금부재(60)와 함께 용기(10)와 인너캡(30)을 서로 결합시킨다. 결합테(50)와 용기(10)에 결합을 위하여, 결합테(50)는 결합돌기테(51)를 구비한다. 이 결합돌기테(51)는 용기(10)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2)에 결합된다(도2 및 도3 참조).The coupling frame 5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10 at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ort 11 to couple the container 10 and the inner cap 30 together with the locking member 60. For coupling to the coupling frame 50 and the container 10, the coupling frame 5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frame 51. The coupling protrusion 51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2 formed in the container 10 (see Figs. 2 and 3).

다시 도1을 참조하면, 결합테(50)는 잠금부재(60)의 일측에 대응하여 잠금부재(60)와 결합되는 관통구멍(52)을 구비한다. 관통구멍(52)은 잠금부재(60)의 위치 및 개수에 상응하는 위치에 및 개수로 구비된다. 도1에서 관통구멍(52)은 결합테(50)의 전후방 양측에 구비되고, 잠금부재(60)도 관통구멍(52)에 대응하여 전후방 양측에 구비되어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coupling frame 50 has a through hole 52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6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60. The through holes 52 are provided in the number an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locking member 60. 1, the through holes 52 are provided at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upling frame 50, and the locking member 60 is also provided at both front and rear side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52.

이 잠금부재(60)는 토출구(11)와 결합테(50) 사이에서 용기(10) 상에서 양측에 구비된다. 각 잠금부재(60)는 일측을 용기(10)에 연결하여 형성된다.The locking member 6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10 between the discharge port 11 and the coupling frame 50. Each locking member 60 is formed by connecting one side to the container (10).

예를 들면, 잠금부재(60)는 걸림돌기(61)와 누름돌기(6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걸림돌기(61)는 인너캡(30)의 잠금구멍(37)에 삽입/인출 가능하도록 잠금구멍(37)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누름돌기(62)는 걸림돌기(6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61)의 하방에 걸림돌기(61)와 일체로 형성된다(도2 및 도4 참조).For example, the locking member 60 is formed to include a locking projection 61 and the pressing projection (62). The locking projection 61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hole 37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61 can be inserted / drawn into the locking hole 37 of the inner cap 30. The pressing projection 6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cking projection 61 below the locking projection 61 so as to operate the locking projection 61 (see Figs. 2 and 4).

도1을 참조하면 누름돌기(62)는 결합테(50)의 관통구멍(52)을 통하여 인입/인출 작동되도록 탄성부재(70)에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ush protrusion 62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70 through the through-hole 52 of the coupling frame 50 so as to pull in and pull out.

사용자가 누름돌기(62)를 누르면, 누름돌기(62)는 탄성부재(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결합테(50)의 관통구멍(52) 안으로 인입되면서(도2에서 도3의 상태), 동시에 누름돌기(62)와 일체를 이루는 걸림돌기(61)는 인너캡(30)의 잠금구멍(37)으로부터 인출된다(도4 및 도6의 가상선 상태 참조).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protrusion 62, the push protrusion 6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2 of the coupling frame 50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0 (the state of FIG. 2 in FIG. 2).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protrusion 61 integral with the pressing protrusion 62 is drawn out from the locking hole 37 of the inner cap 30 (see the imaginary line state of Figs. 4 and 6).

또한, 사용자가 누름돌기(62)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누름돌기(62)는 탄성부재(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결합테(50)의 관통구멍(52) 밖으로 인출되면서(도3에서 도2의 상태), 동시에 누름돌기(62)와 일체를 이루는 걸림돌기(61)는 인너캡(30)의 잠금구멍(37)으로 삽입된다(도2 및 도6의 실선 상태 참조).In addi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protrusion 62, the pressing protrusion 62 is drawn out of the through hole 52 of the coupling frame 5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0 (in FIG. 3). 2), and at the same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61 integrally with the pressing projection 6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37 of the inner cap 30 (see the solid line state of Figures 2 and 6).

이와 같이 탄성부재(70)는 잠금부재(60)에 연결되고, 탄성부재(70)는 용기(10) 상에서 탄성 작용하도록 그 일측을 용기(10) 상에 고정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70)는 타원형 용기(10) 상면에서 장축 방향 양측에 고정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탄력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member 7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60, and the elastic member 70 is fix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10 to elastically act on the container 10.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70 can be seen that is fixed on both sides in the long axis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liptical container (10). The elastic member 70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having elasticity.

한편, 연결부재(80)는 탄성부재(70)와 인너캡(30)을 서로 연결한다. 연결부재(80)는 인너캡(30) 및 탄성부재(70) 중 적어도 일측과는 고정 연결된다. 도1에서 연결부재(80)는 인너캡(30)에 고정 연결되고 탄성부재(70)와 분리되어 있다. 누름돌기(62)의 누름 조작시 탄성부재(70)의 탄성 변형시 연결부재(80)는 평면 방향으로 밀리고(도6 참조), 더 이상 밀릴 곳이 없으면 상방으로 밀리게 된다(도4 및 도5 참조).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mber 80 connects the elastic member 70 and the inner cap 30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80 is fixedly connect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cap 30 and the elastic member 70. In FIG. 1, the connecting member 8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inner cap 30 and separated from the elastic member 70. Whe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70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projection 62, the connecting member 80 is pushed in the plane direction (see Fig. 6), if there is no place to be pushed further upwards (Fig. 4 and Fig. 5).

연결부재(80)는 누름돌기(62) 및 탄성부재(70)의 조작력에 의하여, 인너캡(30)을 개방시키는 작용력을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인너캡(30)의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어 인너캡(30)을 안정된 상태로 밀어 올린다.The connection member 80 is a portion that transmits the action force for opening the inner cap 30 by the operation force of the push protrusion 62 and the elastic member 70, and is formed in a plurality of inner caps 30 to the inner Push up the cap 30 to a stable state.

한편,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캡(30)의 유동통로(33) 하측에는 개폐가 단속되는 단속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속구멍(38)에 대응하는 컨넥팅파이프(20)의 토출구(11)에는 단속구멍(38)을 개폐하는 팁(23)이 구비되어 있다. 커넥팅파이프(20)의 팁(23)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인너캡(30)의 유동총로(33)의 단속구멍(38)은 승강 작용한다. 이로써 단속구멍(38)은 팁(23)에 의하여 개폐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lower side of the flow passage 33 of the inner cap 30 is formed with an intermittent hole 38 for intermittent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11 of the connecting pipe 20 corresponding to the intermittent hole 38 is provided with a tip 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mittent hole 38. The tip 23 of the connecting pipe 20 remains fixed, and the intermittent holes 38 of the flow passage 33 of the inner cap 30 move up and down. As a result, the intermittent hole 38 is opened and closed by the tip 23.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도2 및 도3을 참조한다. 아웃캡(40)를 인너캡(30)에 눌러 결합시키면, 실링(36)에 의하여 아웃캡(40)과 인너캡(30)은 기밀 구조를 유지한다.To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first, reference is made to FIGS. 2 and 3. When the outer cap 40 is coupled to the inner cap 30 by pressing, the outer cap 40 and the inner cap 30 are maintained by the sealing 36.

그리고 인너캡(30) 결합부(31)는 내측의 홈(32)으로 결합되는 커넥팅파이프(20)의 돌기(22)를 타고 하강한다. 이때 인너캡(30)의 단속구멍(38)은 컨넥팅파이프(20)의 팁(23)에 의하여 차단된다. 내용물(M)은 커넥팅파이프(20)의 토출통로(21) 내에 머물러 있게 된다.And the inner cap 30 coupling portion 31 descends by riding the projection 22 of the connecting pipe 20 which is coupled to the inner groove (32). At this time, the intermittent hole 38 of the inner cap 30 is blocked by the tip 23 of the connecting pipe 20. The contents M remain in the discharge passage 21 of the connecting pipe 20.

또한, 잠금부재(60)의 걸림돌기(61)는 인너캡(30)의 잠금구멍(37)을 관통하여 아웃캡(40)의 잠금홈(41)에 결합된다. 이때, 잠금부재(60)의 누름돌기(62)는 결합테(50)의 관통구(52)를 통하여 인출되어, 체결 구조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projection 61 of the locking member 60 passes through the locking hole 37 of the inner cap 30 and is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41 of the out cap 40. At this time, the pressing protrusion 62 of the locking member 60 is drawn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52 of the coupling frame 50 to form a fastening structure.

따라서 아웃캡(40)이 인너캡(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도 않으며, 아웃캡(40)이 인너캡(3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내용물(M)은 잠금구멍(37)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분출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out cap 4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cap 30, and even when the out cap 40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ap 30, the contents M do not pass through the lock hole 37. Therefore, it is not ejected unnecessarily.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 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캡 조립체는, 용기의 토출구에 커넥팅파이프를 개재하여 인너캡을 결합하고, 결합테를 개재하여 용기와 인너캡을 결합하며, 용기 상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잠금부재를 구비하고,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탄성부재를 인너캡에 연결하여, 잠금부재를 인너캡의 잠금구멍으로부터 인출 또는 잠금구명에 삽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us, the container ca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ap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tainer via a connecting pipe, the container and the inner cap through the coupling frame, the locking member via the elastic member on the container It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elastic member to the inner cap via the connecting member, and to insert the locking member from the locking hole of the inner cap to be drawn out or inserted into the lock life.

잠금부재가 인너캡의 잠금구멍으로부터 인출될 때, 인너캡이 커넥팅파이프를 따라 상승되어, 용기와 커넥팅파이프, 인너캡 및 솔이 연통되고, 이 연통 경로를 따라 내용물이 토출된다. 반대로, 잠금부재가 인너캡의 잠금구멍에 삽입될 때, 인너캡이 커넥팅파이프를 따라 하강되어, 커넥팅파이프와 인너캡 사이가 차단되어 내용물의 토출이 차단된다.When the locking member is withdrawn from the locking hole of the inner cap, the inner cap is raised along the connecting pipe so that the container, the connecting pipe, the inner cap and the sole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long this communication path. On the contrary, when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of the inner cap, the inner cap is lowered along the connecting pip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pipe and the inner cap is blocked to block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따라서 이 용기 캡 조립체에 의하면, 아웃캡의 개방과 관계없이, 잠금부재를 조작하여 인너캡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만 내용물이 토출되게 하여,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tainer cap assembly, the contents are discharged only when the inner cap is raised by operating the locking member regardless of the opening of the outcap, thereby preventing the contents from being unnecessarily discharged.

또한, 인너캡과 아웃캡 사이에 실링을 구비하하여 기밀 구조를 유지하므로 인너캡에 구비되는 솔이 포함된 내용물은 장시간동안 에멀젼 또는 페이스트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seal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p and the out cap to maintain an airtight structure, the contents including the sole provided in the inner cap have an effect of maintaining an emulsion or paste state for a long time.

Claims (12)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용물을 내장하는 용기;A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nd containing contents therein; 상기 용기의 토출구에 일측으로 결합되고, 내부에 토출통로를 형성하는 커넥팅파이프;A connecting pip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tainer and forming a discharge passage therein; 상기 커넥팅파이프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유동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커넥팅파이프의 반대 측에 솔을 구비하는 인너캡;An inner cap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ipe, forming a flow passage therein, and having a sole on an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ng pipe; 상기 용기 상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잠금부재;A locking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ontainer; 상기 잠금부재의 다른 일측에 대응하는, 상기 인너캡에 형성되는 잠금구멍;A locking hole formed in the inner cap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상기 잠금부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인너캡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elastic member and the inner cap; And 상기 인너캡에 결합되어 상기 솔을 덮고 있는 아웃캡을 포함하는 용기 캡 조립체.A container cap assembly comprising an out cap coupled to the inner cap and covering the sol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커넥팅파이프는 상기 토출구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용기 캡 조립체.The connecting pipe is the container cap assem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by force.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커넥팅파이프는 상기 인너캡의 하방에 구비되는 결합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에 결합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용기 캡 조립체.The connecting pipe is a container cap assembly including a guide protrusion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coupling portion provided below the inner cap.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인너캡은,The inner cap, 상기 결합부의 상방에서 상기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통로부와,A passage portion forming the flow passage above the coupling portion; 상기 통로부의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솔을 고정시키는 솔통을 포함하는 용기 캡 조립체.Container cap assemb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ssage portion comprising a brush barrel for fixing the brush.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너캡은 상기 아웃캡의 개방측 끝부분 내주면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실링을 포함하는 용기 캡 조립체.The inner cap is a container cap assembly comprising a sealing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 end end of the out cap.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아웃캡은 상기 인너캡의 잠금구멍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잠금홈을 포함하는 용기 캡 조립체.The out cap is a container cap assembly comprising a locking groove formed to face the locking hole of the inner cap.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용기와 상기 인너캡을 연결시키는 결합테를 포함하는 용기 캡 조립체.Container cap assembly comprising a coupling frame for connecting the container and the inner cap. 제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결합테는 상기 용기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테를 포함하 는 용기 캡 조립체.The coupling frame is a container cap assembly comprising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container.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결합테는 상기 잠금부재의 일측에 대응하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용기 캡 조립체.The coupling frame is a container cap assembly includ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제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잠금부재는,The locking member, 상기 잠금구멍에 삽입/인출되는 걸림돌기와A locking projection inserted into / out of the locking hole; 상기 걸림돌기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테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인입/인출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누름돌기를 포함하는 용기 캡 조립체.A container cap assembly including a pusher which is integrally formed below the locking protrusion and is pulled in /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frame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탄성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되는 용기 캡 조립체.The elastic member is a container cap assembly formed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인너캡의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용기 캡 조립체.The connect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container cap assemb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cap.
KR2020070000094U 2007-01-03 2007-01-03 Container cap assembly KR2004371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94U KR200437171Y1 (en) 2007-01-03 2007-01-03 Container cap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94U KR200437171Y1 (en) 2007-01-03 2007-01-03 Container cap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171Y1 true KR200437171Y1 (en) 2007-11-08

Family

ID=4163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094U KR200437171Y1 (en) 2007-01-03 2007-01-03 Container cap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17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9323B1 (en) Cosmetic device
KR100949320B1 (en) Cosmetics case
JP2009269675A (en) Piston for use in cartridge and cartridge
JP2009509797A (en) Ink bottle cap assembly
JP6776044B2 (en) Discharge cap
KR101760627B1 (en) Lip gross vessel
CA2291491C (en) Cartridge stopper with a valve function
US20060263141A1 (en) Liquid dispenser
CN109922889A (en) self-closing output head
CN107427849B (en) Spray head and flusher
CN101678182A (en) Protection hood for a fluid product dispensing head
KR200437171Y1 (en) Container cap assembly
JP4813354B2 (en) Fluid dispenser head
CN102271930B (en) Writing implement, and cap with inner grooves for a writing implement
KR200449272Y1 (en) CheckValve for Injection of Grouting
US20010035432A1 (en) Dropper assembly
US6968981B2 (en) Dispenser for free-flowing products
US20040001127A1 (en) Ink cartridge sealing member
JP4248992B2 (en) Pet shampoo brush
KR102054877B1 (en)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application member and contents are separated
TWI771457B (en) Writing-brush pen
KR101727029B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 fixing means for separation prevention of rubber discharging pad
KR100801248B1 (en) An ink-pad case for construction
JP5322807B2 (en) Discharge container
CN214566955U (en) One-key opening typ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