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097Y1 -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097Y1
KR200437097Y1 KR2020060029531U KR20060029531U KR200437097Y1 KR 200437097 Y1 KR200437097 Y1 KR 200437097Y1 KR 2020060029531 U KR2020060029531 U KR 2020060029531U KR 20060029531 U KR20060029531 U KR 20060029531U KR 200437097 Y1 KR200437097 Y1 KR 200437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unit
button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석
배종순
Original Assignee
윤용석
배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석, 배종순 filed Critical 윤용석
Priority to KR2020060029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0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7/00Cleaning or disinfecting devices combined with refuse receptacles or refus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함께 공유함은 물론 음성과 시각적 효과를 이용해 서로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분리수거, 감량화 등 음식물쓰레기정책의 발전을 도모하고, 살균, 탈취 또는 발효 약품제를 수집단계에서 살포함으로써 후처리를 용이하게 하여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의 효율성을 높이며, 음식물쓰레기의 수거단계에서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종량(從量)하여 수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문을 구비하고,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중량이 측정되는 계량부; 상기 계량부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정보를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해주며,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중량이 측정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수집되며, 상기 계량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종량, 수집함, 계량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Container for collecting by specific duty food garbag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다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계량부
110: 자동문 115: 실린더
120: 계량기 130: 살포기
200: 제어부
203: 시작 버튼 205: 종료 버튼
210: 입력부 220: 제어 버튼부
221: 정보 표시버튼 222: 자동문 개폐버튼
223: 계량기 작동버튼 224: 수집함 이동버튼
225: 살포 버튼 226: 음성 송수신버튼
227: 용지 배출버튼 228: 호출 버튼
230: 정보 표시부 240: 음성 송수신부
250: 용지 배출부
300: 수집부
310: 수집함 320: 도어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수집단계에서 살균, 탈취 또는 발효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자원화를 위한 후처리를 용이하게 하며,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때 중량 측정을 통해 종량(從量)하여 수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리수거, 감량화 및 자원화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류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음식문화가 개발되고 있으며 경제성장에 의한 부유해진 현실 속에서 사람들이 먹다 남긴 음식물쓰레기가 많아짐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음식물쓰레기를 통합 수거하여 매립하거나 적정한 방법을 통해서 짐승의 먹이인 사료로 제조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관공서에서 판매 공급되는 일회용 봉투를 이용하여 수거하는 방식과, 아파트와 같은 주거 밀집지역에서는 다수개의 수거함을 이용해 통합 수거하는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수거 방식들 중 일회용 봉투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가정에서 나오는 음식물쓰레기가 소량이기 때문에 일일이 비닐봉투에 담아 분리 처리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일부 가정에서 일반쓰레기에 함께 버리는 사례가 빈번하며, 후처리작업 시 일회용봉투와 음식물쓰레기를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과 환경오염 그리고 처리비용의 상승을 가져와 이를 수거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통합 수거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어느 가정에서 어느 정도의 음식물쓰레기가 버려지는가를 사용자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가 판가름하기 힘들게 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수거와 감량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요구에 부합되지 못함과 아울러 자원 절약의 효율성을 높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상기 수거방식들에 있어서는 음식물쓰레기의 살균, 탈취 또는 발효 처리를 힘들게 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처리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그 결과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기피하고 있는 실정에 놓여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함께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살균, 탈취 또는 발효 약품제를 용이하게 살포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하며,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때 중량 측정을 통해 종량(從量)하여 수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리수거, 감량화, 및 자원화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때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종량(從量)하여 수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문을 구비하며,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중량이 측정되는 계량부; 상기 계량부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정보를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해주며,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중량이 측정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수집되며, 상기 계량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시작 버튼 및 종료 버튼과, 사용자가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계량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정보를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출하도록 하고, 장치의 다수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이 구비된 제어 버튼부와, 상기 제어 버튼부의 버튼을 조작할 때 해당 정보를 표시해주는 정보표시부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해당되는 정보 및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오는 메세지를 음성으로 전달해주며,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음성송수신부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해당 정보와 비용이 정산되는 용지가 배출되는 용지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문은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서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개방되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버튼부는, 상기 정보 표시부에 음식물쓰레기의 정보가 나타나게 하는 정보 표시버튼과,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자동문을 개폐하기 위한 자동문 개폐버튼과, 상기 계량기를 통해 무게가 측정되게 하고, 음식물쓰레기를 계량한 후 수집함으로 배출되게 하는 계량기 작동버튼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집함 이동버튼과, 상기 수집함으로 탈취제 또는 발효제 등을 자동으로 살포되게 하는 살포 버튼과, 상기 음성송수신부를 통해서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며 생활정보 및 음악을 제공해 주도록 제어하는 음성 송수신버튼과, 음식물쓰레기의 정보가 용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지 배출버튼과, 비상상황 발생시 서비스 제공자를 호출하는 호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량부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탈취하거나 발효시키는 약품을 보관하여 살포하기 위한 살포기가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다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 장치는 계량부(100), 제어부(200), 및 수집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계량부(100)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여 무게 및 수분 함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곳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문(110), 계량기(120), 및 살포기(130)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문(110)은 그를 개폐하기 위한 실린더(1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시작 버튼(203)을 눌러 수거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 후 입력부(210)를 통해서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상기 자동문(110)이 열린 후 음식물쓰레기를 계량기(120)에 넣으면 또한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문(110)은 사용자가 입력부(210)를 통해서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만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수거장치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계량기(120)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고장을 방지한다.
상기 계량기(120)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기구로서,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자저울이다.
또한, 상기 계량기(120)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함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계량기(120)를 통해 측정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 및 수분 함량을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에게는 그가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때 어느 정도 물기를 제거하여 버리게 하고 그에 의해 처리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하며,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실시간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 및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계량기(120)를 통해 무게 및 수분이 측정된 음식물쓰레기는, 도 2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120)의 바닥이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양쪽이 하향 이동하면서 음식물쓰레기가 아래 수집부(300)에 설치된 수집함(310)으로 떨어지게 한다.
상기 살포기(130)는 수집함(310)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살균, 탈취, 또는 발효시키기 위해서 살균제, 탈취제, 또는 발효제를 살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에 저장된 약품을 쓰레기의 전체 모든 부분에 골고루 살포되도록 해준다.
상기 제어부(200)는 계량부(100)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정보를 사용자 와, 관리사무소, 행정관청, 수집처 및 처리업체 등의 서비스 제공자 등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10), 제어 버튼부(220), 정보 표시부(230), 음성 송수신부(240), 및 용지 배출부(2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는 시작 버튼(203)과 종료 버튼(20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을 통해서 수거장치의 전원 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시작 버튼(203)을 누르면 수거장치에 전원이 온으로 되게 하고 종료 버튼(205)을 누르면 수거장치의 전원이 오프되게 한다.
상기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그에 할당된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며, 수거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 투입을 위한 자동문(110)이 열리게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서 사용자 개개인 마다의 음식물쓰레기 누적수량 및 평균 수량과, 공동 주택의 누적 수량 및 평균 수량 등의 이용가능한 다양한 수치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어 버튼부(220)는 계량부(100)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정보를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보 표시버튼(221), 자동문 개폐버튼(222), 계량기 작동버튼(223), 수집함 이동버튼(224), 살포 버튼(225), 음성 송수신버튼(226), 용지 배출버튼(227), 및 호출 버튼(228)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제어 버튼부(220)의 작동은 사용자가 시작 버튼(203)을 눌러 수거장치에 전원이 온 상태로 되게 하고 입력부(210)를 통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에 가능하도록 구축된다.
이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를 사용자가 아닌 일반 모든 사람들이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보 표시버튼(221)은 그를 작동시킴으로써 정보 표시부(230)에 계량부(100)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 및 수분함량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의 음식물쓰레기의 정보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음식물쓰레기 누적수량, 공동주택 수량, 및 사용자에게 알리는 공지사항과 광고문구 등을 표시해주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자동문 개폐버튼(222)은 사용자가 입력부(210)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 후에 자동문(110)이 열리게 하는 것에 추가하여, 수거장치의 사용 중 필요할 때마다 자동문(110)을 열리게 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계량기 작동버튼(223)은 계량기(120)를 통해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 및 수분함량이 측정되게 할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후 바닥부가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하게 하여 계량된 음식물쓰레기가 수집함(310)으로 배출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집함 이동버튼(224)은 계량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어 가득 채워질 때, 도어(320)를 개방한 후 버튼(224)을 눌러 자동으로 수집부(300)의 밖으로 이동하게 하여 수집차량에 비워지도록 한다.
즉, 음식물쓰레기 수집 및 처리업자가 도어(320)를 개방한 후 수집함(310) 이동 버튼(224)을 누르면 수집함(310)이 자동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비우는 작업을 실행하게 한 후, 다시 이동버튼(224)을 눌러 후방으로 이동시켜 원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살포 버튼(225)은 계량 후 수집함(310)으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에 살균제, 탈취제 또는 발효제 등이 살포되게 하여 수집장소가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해준다.
상기 음성 송수신버튼(226)은 음성 송수신부(240)를 통해서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해주며, 생활정보 및 음악을 제공해주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지 배출버튼(227)은 음식물쓰레기의 정보가 용지에 기록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그 용지를 일정 기간동안 보관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출 버튼(228)은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를 호출하여 수거장치에 대한 현재 상황을 알려주거나 상호 간의 의견 교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보 표시부(230)는 제어 버튼부(220)의 정보 표시버튼(221)을 조작할 때마다 해당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거장치에 투입하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무게 및 수분 함량의 정보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누적된 쓰레기 양과 공동주택의 수량 및 일반적인 공지사항과 광고문구 등을 표시해준다.
상기 음성 송수신부(240)는 음식물쓰레기에 해당되는 정보 및 중앙시스템으로부터 오는 메세지를 음성으로 전달해주며 사용자와 중앙시스템 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듣고 말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생활정보 및 음악을 제공하여 수집장소의 분위기를 개선시켜 준다.
또한, 현재 사용자가 버리는 음식물쓰레기 양이 기존에 버렸던 양 그리고 배출되는 쓰레기 평균 양과 비교하여 알려줌으로써 버리는 쓰레기 양이 그 이상일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갖도록 경고음성을 발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용지 배출부(250)는 용지 배출버튼(227)이 눌러질 때 음식물쓰레기의 해당 정보와 비용 정산이 기록된 용지가 배출되게 한다.
상기 수집부(300)의 수집함(310)은 계량부(100) 하부에 전후 이동 및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계량기(120)에 의해 중량이 측정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수집되게 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관리시스템에는 각 사용자마다 그리고 각 구역마다의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기록 저장되어 있어, 그 정보를 누구라도 언제나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의 작동 실시예를, 도 4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시작 버튼(203)을 눌러 수거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 다음 입력부(210)의 기판을 통해서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11 단계).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량부(100)의 자동문(110)이 열리게 된다(S12 단계).
상기와 같이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자동문(110)이 열리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호출 버튼(228)을 눌러 서비스 제공자를 호출한다(S13 단계).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자동문(110)이 열리면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를 계량기(120)에 투입한다(S14 단계).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계량기(120)로 투입된 후에는 자동문(110)이 닫히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 및 수분함량이 표시되도록 정보 표시버튼(221)을 누른다(S15 단계).
상기 정보 표시버튼(221)이 눌러지면 정보 표시부(230)에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해당 정보가 표시된다(S16 단계).
이때, 상기 정보 표시부(230)에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해당 정보가 표시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호출 버튼을 눌러 서비스 제공자를 호출한다(S17 단계).
사용자는 매출전표와 같은 기록 용지를 수령하기 위해 용지 배출버튼(227)을 눌러서 음식물쓰레기에 해당되는 정보와 정산 요금이 기록된 기록 용지를 수령한다(S18 단계).
이때, 기록 용지가 배출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호출 버튼을 눌러 서비스 제공자를 호출한다(S19 단계).
그 다음, 사용자는 계량기 작동버튼(223)을 눌러 계량된 음식물쓰레기가 수집함(310)으로 투입되게 한다(S20 단계).
사용자는 살포기 버튼(225)을 눌러 살균제, 탈취제 또는 발효제와 같은 약품을 수집함(310)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살포한다(S21 단계).
마직막으로, 상기 수집함(310)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가득 채워지면 수집함(310)을 이동시켜 수집차량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게 한다(S22 단계).
상기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고안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및 서비스제공자(행정관청, 처리업체)가 함께 공유할 수 있어 분리수거, 감량화 및 자원화에 대한 음식물쓰레기 정책 효율성을 높인다.
둘째. 음식물쓰레기 정책의 기초단계인 수집단계부터 철저한 관리를 통하여 자원화 같은 후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감량화 및 분리수거를 자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실시간 수집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향후 음식물쓰레기 정책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며, 음식물쓰레기 처리의 효율성 제고와 신속성을 기할 수 있게 한다.
넷째. 주민을 상대로 공지사항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호출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해준다.
다섯째. 음식물쓰레기 수집장소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주변 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게 한다.
여섯째. 버튼을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 방식을 택함으로써 간편하고 사용 비용을 저렴하게 한다.

Claims (5)

  1.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때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종량(從量)하여 수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문(110)을 구비하며,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중량이 측정되는 계량부(100);
    상기 계량부(100)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정보를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해주며,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및
    중량이 측정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수집되며, 상기 계량부(100)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10)와,
    상기 계량부(100)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정보를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송출하도록 하고, 장치의 다수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이 구비된 제어 버튼부(220)와,
    상기 제어 버튼부(220)의 버튼을 조작할 때 해당 정보를 표시해주는 정보표시부(230)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해당되는 정보 및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오는 메세지를 음성으로 전달해주며,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음성 송수신부(240)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해당 정보와 비용이 정산되는 용지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110)은 사용자가 입력부(210)를 통해서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버튼부(220)는,
    상기 정보 표시부(230)에 음식물쓰레기의 정보, 공지사항, 및 광고문구가 나타나게 하는 정보 표시버튼(221)과,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사용자에 의해 자동문(110)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문 개폐버튼(222)과,
    상기 계량기(120)를 통해 무게가 측정되게 하고, 음식물쓰레기를 계량한 후 수집함(310)으로 배출되게 하는 계량기 작동버튼(223)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집함 이동버튼(224)과,
    상기 수입함(310)으로 살균제, 탈취제 또는 발효제 등을 살포되게 하는 살포 버튼(225)과,
    상기 음성 송수신부(240)를 통해서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며 생활정보 및 음악을 제공해주도록 제어하는 음성 송수신버튼(226)과,
    음식물쓰레기의 정보가 용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지 배출버튼(227)과
    비상상황 발생시 서비스 제공자를 호출하는 호출 버튼(22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부(100)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탈취하거나 발효시키는 약품을 보관하여 살포하기 위한 살포기(1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KR2020060029531U 2006-11-13 2006-11-13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KR200437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531U KR200437097Y1 (ko) 2006-11-13 2006-11-13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531U KR200437097Y1 (ko) 2006-11-13 2006-11-13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097Y1 true KR200437097Y1 (ko) 2007-11-01

Family

ID=4163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531U KR200437097Y1 (ko) 2006-11-13 2006-11-13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09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12B1 (ko) * 2008-07-16 2008-09-18 울산광역시 북구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0890729B1 (ko) * 2007-09-03 2009-03-26 한솔이엠이(주)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투기량 측정장치
KR100921782B1 (ko) 2009-03-02 2009-10-15 황창민 음식물쓰레기 중량제 수거 장치
KR100927351B1 (ko) * 2009-03-12 2009-11-19 (주)콘포테크 음식물쓰레기 감량용 종량 수거장치
KR200447024Y1 (ko) * 2009-08-17 2009-12-21 (주)오토코리아 전자결제식 계량형 수거기
KR101549842B1 (ko) * 2015-01-27 2015-09-16 주식회사 웰콤 주민 안전을 위한 방범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종량 장비
CN110589306A (zh) * 2019-10-10 2019-12-20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小区智能垃圾桶
CN111038885A (zh) * 2019-12-31 2020-04-21 广州市龙能城市运营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垃圾回收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729B1 (ko) * 2007-09-03 2009-03-26 한솔이엠이(주)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용 투기량 측정장치
KR100859012B1 (ko) * 2008-07-16 2008-09-18 울산광역시 북구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0921782B1 (ko) 2009-03-02 2009-10-15 황창민 음식물쓰레기 중량제 수거 장치
KR100927351B1 (ko) * 2009-03-12 2009-11-19 (주)콘포테크 음식물쓰레기 감량용 종량 수거장치
KR200447024Y1 (ko) * 2009-08-17 2009-12-21 (주)오토코리아 전자결제식 계량형 수거기
KR101549842B1 (ko) * 2015-01-27 2015-09-16 주식회사 웰콤 주민 안전을 위한 방범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종량 장비
CN110589306A (zh) * 2019-10-10 2019-12-20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小区智能垃圾桶
CN111038885A (zh) * 2019-12-31 2020-04-21 广州市龙能城市运营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垃圾回收装置
CN111038885B (zh) * 2019-12-31 2022-05-13 龙能城市运营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垃圾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097Y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KR100927351B1 (ko) 음식물쓰레기 감량용 종량 수거장치
CN205633753U (zh) 生活垃圾分类收集装置
CN105173477B (zh) 一种垃圾箱和基于网络平台的垃圾分类收集系统及方法
CN104044842B (zh) 基于二维码识别技术的垃圾分类平台和方法
CN206255468U (zh) 智能垃圾投放装置
CN108305036A (zh) 一种集派送、回收与清洁的共享餐盒系统
CN105775531A (zh) 多功能生活垃圾分类投放装置
CN104010555A (zh) 分配器和污染物传感器
US10185935B2 (en) Smart waste receptacle providing use-incentive
CN102190141A (zh) 智能垃圾处理系统
KR100993983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KR101226908B1 (ko) 음식물쓰레기 계량장치
CN104609061B (zh) 一种智能垃圾回收装置
CN202743808U (zh) 一种多功能垃圾箱
CN215206596U (zh) 自维持垃圾房
CN208716016U (zh) 一种垃圾箱控制器及智能分类垃圾箱
KR100871136B1 (ko) 클린하우스
CN110127242A (zh) 一种垃圾智能收集桶及管理系统
CN214877357U (zh) 一种智能垃圾回收、分类房
CN210116865U (zh) 一种智能垃圾分类回收站
KR102235305B1 (ko)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
CN209368975U (zh) 小便池感应器
CN204528236U (zh) 一种智能垃圾回收柜用控制电路
CN210557004U (zh) 一种分类放置的环保型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