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873Y1 - 의료용 진단기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진단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873Y1
KR200436873Y1 KR2020070005166U KR20070005166U KR200436873Y1 KR 200436873 Y1 KR200436873 Y1 KR 200436873Y1 KR 2020070005166 U KR2020070005166 U KR 2020070005166U KR 20070005166 U KR20070005166 U KR 20070005166U KR 200436873 Y1 KR200436873 Y1 KR 200436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tating
medical diagnostic
rotation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한
Original Assignee
김익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익한 filed Critical 김익한
Priority to KR2020070005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8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8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용 진단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부에 설치되는 엑스레이 검출부를 가지는 의료용 진단기기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 및 상기 구동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의료용 진단기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의료용 진단기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회전부의 고정 여부를 설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센서의 의해 감지된 상기 의료용 진단기기의 회전 정도를 상기 의료용 진단기기에 의해 검출된 화상에 반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레일을 따라 엑스레이 검출부가 하향 이동할 시, 회전부에 의해 엑스레이 검출부가 회전함에 의해 검출기하단을 엑스레이 검출부에서 상향 위치시켜 검출기하단에 의해 하향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료용 진단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진단기기{MEDICAL DIAGNOSIS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의료용 진단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의 회전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의 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의 회전부의 동작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 상태일 때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의 회전부 및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의료용 진단기기 10 : 엑스레이 검출부
11 : 검출기하단 20, 220 : 회전부
30 : 고정부 40 : 센서
50 : 연결플레이트 60 : 보호커버
230 : 모터
본 고안은 의료용 진단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엑스레이 검출부가 하향 이동할 시, 회전부에 의해 엑스레이 검출부가 회전하여 엑스레이 검출부에서 하향 돌출된 검출기하단을 엑스레이 검출부의 상향에 위치시킴으로써 검출기하단에 의해 하향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료용 진단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X-RAY)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튜브(X-RAY TUBE)로부터 조사된 엑스레이가 환자의 신체 등 촬영대상을 투과하면, 이를 검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 튜브로부터 조사되는 엑스레이에 의해 촬영대상이 촬영되며, 이러한 엑스레이 검출부를 통상 '엑스레이 디텍터(DR)'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 의료용 진단기기(100)는 레일(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부(120)에 엑스레이 검출부(130)가 장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엑스레이 검출부(130)가 상하로 이동하여 의료용 진단기기(100)의 전방에 기립하고 있는 환자의 키에 따라 엑스레이 검출부(1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었다.
따라서, 환자의 다리 등 신체의 하부위를 촬영하기 위해 엑스레이 검출부(130)를 하향 이동시키더라도, 종래의 엑스레이 검출부(130)는 검출기하단(140)에 의해 일정위치 이상 하향 이동할 수 없는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환자의 다리 등 신체의 하부위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탁자 등을 의료용 진단기기(100)의 전방에 위치시키고, 탁자 위로 환자가 올라가서 엑스레이 촬영을 해야만 했다. 이에, 탁자 등을 따로 구비해야만 했고, 환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탁자를 설치하거나 설치된 탁자를 치워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검출기하단(140)가 엑스레이 검출부(130)의 측방으로 위치시켜 엑스레이 검출부(130)의 상/하향 이동거리를 증가시키고자 하였었다. 그러나, 검출기하단(140)가 엑스레이 검출부(130)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면, 의료용 진단기기의 설치공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검출기하단(140)가 엑스레이 검출부(130)의 측방에 위치하는 의료용 진단기기는 한정된 설치공간을 가지는 의료 차량 등에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일을 따라 엑스레이 검출부가 하향 이동할 시, 회전부에 의해 엑스레이 검출부가 회전하여 검출기하단를 엑스레이 검출부의 상향에 위치시킴으로써 검출기하단에 의해 하향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료용 진단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부에 설치되는 엑스레이 검출부를 가지는 의료용 진단기기에 있어서, 제1 고정디바이스를 가지고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 및 상기 구동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제1 고정디바이스와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1 고정디바이스에서 체결 해제되어 상기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고정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여부를 설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디바이스는 고정홈으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와 일측이 체결되어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의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는 회전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디바이스는 고정돌기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가 안착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가지는 가이드부와;상기 슬라이딩부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홈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안착되는 부분에 상기 손잡이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와; 상기 관통공를 관통 하여 상기 손잡이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손잡이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는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여 상기 검출기하단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의 상향 위치할 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과;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여 상기 검출기하단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의 하향 위치할 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의해 감지된 상기 의료용 진단기기의 회전상태를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에 반영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은 상기 회전부와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와 결속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타측을 축으로 상기 일측이 회전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기 일측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부에 설치되는 엑스레이 검출부를 가지는 의료용 진단기기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 및 상기 구동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와 일측이 체결되어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의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는 회전지지유닛을 가지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지지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유닛의 일측에는 제1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기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한다.
회전부(20)는 엑스레이 검출부(10)와 구동부(13) 사이에 위치하여 엑스레이 검출부(10)를 회전시킨다. 회전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공(21a)이 형성되고 구동부(13)에 설치되는 회전지지유닛(21)과, 회전공(21a)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유닛(22)을 포함한다. 회전유닛(22)은 그 단면이 "ㅜ"형상으로 마련되며, 엑스레이 검출부(10)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엑스레이 검출부(10)를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유닛(22)에는 제1 고정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디바이스는 후술할 고정부(30)의 제2 고정디바이스인 고정돌기(32)가 삽입되어 회전유닛(22)의 회전 여부를 설정하는 고정홈(22a,22b)으로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제1 고정디바이스는 돌기로 마련되고 제2 고정디바이스가 홈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홈(22a,22b)은 제1 고정홈(22a) 및 제2 고정홈(22b)으로 마련된다. 제1 고정홈(22a)은 회전부(20)가 회전하여 검출기하단(11)가 레일(12)의 길이방향으로 엑스레이 검출부(10)의 상향 위치할 시, 고정돌기(32)가 삽입되는 홈이다. 그리고, 제2 고정홈(22b)은 회전부(20)가 회전하여 검출기하단(11)가 레일(12)의 길이방향으로 엑스레이 검출부(10)의 하향 위치할 시, 고정돌기(32)가 삽입되는 홈이다. 여기서, 제1 고정홈(22a) 및 제2 고정홈(22b)는 엑스레이 검출부(10)와 회전유닛(22)의 고정 방향에 따라 위치가 상호 바뀔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회전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공 내에 삽입 설치되어 회전유닛(22)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하는 두 개의 베어링(23)과 회전유닛(22)이 회전지지유닛(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유닛(22)의 일측에 결합되는 와셔(24)와 회전너트(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는 회전유닛(22)에 의해 엑스레이 검출부(10)가 회전되었을 시, 회전된 엑스레이 검출부(10)를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슬라이딩부(31), 가이드부(33) 및 손잡이부(35,36,37)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31)에는 제2 고정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고정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홈(22a,22b)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2)로 마련된다. 고정돌기(32)는 고정홈(22a,22b)에 삽입되어 회전유닛(22)을 고정시키거나, 고정홈(22a,22b)에서 이탈되어 회전유닛(22)이 회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고정돌기(32)가 "┏┓" 형상으로 마련되면 고정돌기(32)가 원활하게 고정홈(22a,22b)에 삽입 또는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고정돌기(32)가 마모될 수 있다.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돌기(32)는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되어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어, 고정돌기(32)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돌기(32)가 원활하게 고정홈(22a,22b)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33)에는 슬라이딩부(31)가 안착된다. 그리고, 가이드부(33)는 슬라이딩부(31)의 고정돌기(32)가 고정홈(22a,22b)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부(31)를 가압하는 탄성체(34)를 가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부(33)는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면에 슬라이딩부(31)가 안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가이드부(33)의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부(33)는 나사(33b)를 통한 나사결합으로 회전지지유닛(21)에 나사결합된다.
손잡이부(35,36,37)는 슬라이딩부(31)에 체결되어 탄성체(34)에 의해 고정홈(22a,22b)에 삽입된 고정돌기(32)를 고정홈(22a,22b)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33) 중 슬라이딩부(31)가 안착되는 부분과 슬라이딩부(31)사이에 탄성체(34)가 위치하고, 가이드부(33) 중 탄성체가 위치한 부분에는 관통공(3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35,36,37)는 손잡이(35), 드라이베어링(37) 및 손잡이축(36)을 포함한다. 손잡이축(36)은 일측이 슬라이딩부(31)와 체결되고, 타측에 손잡이(35)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손잡이(35)를 잡아댕겨 슬라이딩부(31) 를 가이드부(33)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고정돌기(32)가 고정홈(22a,22b)에서 이탈되거나 고정홈(22a,22b)에 삽입되므로, 사용자는 손잡이(35)를 통해 간편하게 회전부(20)의 회전 및 고정을 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축(36)과 슬라이딩부(31)는 나사(38)를 통한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베어링(37)은 손잡이(35)와 가이드부(33)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드라이베어링(37)에는 손잡이축(36)이 관통된다. 그리고, 드라이베어링(37)는 가이드부(33)의 관통공(33a)에 삽입되어 손잡이축(36)과 가이드부(33)의 관통공(33a)의 내면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드라이베어링(37)는 가이드부(33)내에서 손잡이축(36)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표면에 윤활유 등을 도포하면 손잡이축(36)이 더욱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1)는 센서(40) 및 제어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40)는 회전부(20)에 의해 회전하는 엑스레이 검출부(10)의 회전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센서(40)는 회전부(20) 자체에 장착되어 회전부(20)의 회전을 직접 감지하는 구성을 가질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연결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하여 센서(40)가 연결플레이트(50)를 감지하는 금속탐지센서로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50)는 레일(12)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이 회전부(20)의 회전유닛(22)과 결속되고 타측이 엑스레이 검출부(10)와 결속되어 회전유닛(22)의 회전에 의해 타측을 축으로 일측이 회전한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40)의 전방에 연결플레이트(50)의 일측이 위치하는 경우, 즉, 고정돌기(32)가 제2 고정홈(22b)에 삽입된 경우 검출기하단(11)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레이 검출부(10)의 하향 위치하게 된다(이하, '제1 상태'라고 한다). 이에, 센서(40)는 연결플레이트(50)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제어부(14)로 통보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50)가 회전부(20)에 의해 회전하여 센서(40)의 전방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즉, 고정돌기(32)가 제1 고정홈(22a)에 삽입된 경우 검출기하단(11)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레이 검출부(10)의 상향 위치하게 된다(이하, '제2 상태'라고 한다). 이에, 센서(40)는 금속 재질의 연결플레이트(50)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이를 제어부(14)로 통보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센서(40)는 근접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근접센서는 전방으로 소정 간격의 감지범위를 가지며, 감지범위 내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플레이트(50)의 두께가 대략 5cm라고 가정하면, 센서(40)는 5cm의 감지거리를 갖는 근접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상태에서 센서(40)는 전방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연결플레이트(50)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제어부(14)로 통보한다. 그리고, 제2 상태에서는 연결플레이트(50)가 회전하여 센서(40)의 전방에 위치하지 않게 되므로, 센서(40)의 전방에는 엑스레이 검출부(10)가 센서(40)에서 연결플레이트(50)의 두께만큼 이 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에, 제2 상태에서는 엑스레이 검출부(10)가 센서(40)의 감지범위를 벗어나서 위치하게 되므로, 센서(40)는 제1 상태에서의 감지 결과와 상이한 감지 결과를 제어부(14)로 통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의 가이드부(33)에 나사(61)를 통한 나사결합되어 가이드부(33) 및 센서(4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센서(40)에 의해 감지된 엑스레이 검출부(10)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엑스레이 검출부(10)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에 반영한다.
여기서, 엑스레이 검출부(10)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 위치할 경우, 엑스레이 튜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조사되는 엑스레이 선을 각 반대로 검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엑스레이 검출부(10)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일 때 상호 반대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4)는 센서(40)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현 엑스레이 검출부(10)의 회전 상태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임을 판단하고, 이를 엑스레이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에 반영하여 엑스레이 검출부(10)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상태에 놓이더라도 올바른 화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엑스레이 튜브는 엑스레이 검출부(10)와 상하 이동하는 것이 동기화되어야 한다. 즉, 엑스레이 검출부(10)가 상/하향 이동하는 정도만큼 엑스레이 튜브도 상/하향 이동해야한다. 여기서, 제2 상태에서는 제1 상태에서 엑스레이 검출부(10)가 회전한 상태이므로, 제2 상태에 위치한 엑스레이 검출부(10)는 제1 상태 였을 때보다 소정 간격 하향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엑스레이 튜브는 엑스레이 검출부(10)와 상하 이동하는 것이 비동기화 될 우려가 있다.
이에, 제어부(14)는 센서(40)로부터 감지된 엑스레이 검출부의 회전 상태에 대응하여 엑스레이 튜브를 소정 간격 상/하향 이동시켜 엑스레이 검출부(10)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1)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겠다.
우선, 환자의 흉부를 엑스레이 촬영할 시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진단기기(1)가 제1 상태가 된다. 그리고, 환자의 다리 등 신체의 낮은 부위를 촬영할 시, 사용자는 손잡이(35)를 잡아당겨 고정돌기(32)를 제2 고정홈(22b)에서 이탈시킨 후, 엑스레이 검출부(10)를 회전시킨다. 이때, 엑스레이 검출부(10)를 회전시키는 도중, 손잡이(35)를 놓으면 탄성체(34)에 의해 고정돌기(32)가 회전유닛(22)의 외주를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엑스레이 검출부(10)를 계속 회전시키면 회전유닛(22)이 회전하면서 제1 고정홈(22a)이 고정돌기(32)가 위치한 부분까지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22)의 제1 고정홈(22a)에 고정돌기(32)가 삽입되게 되면 엑스레이 검출부(10)가 제2 상태가 되면서 회전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레이 검출부(10)를 하향 이동시키면,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1)는 환자의 다리 등 신체의 낮은 부위를 촬영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1)는 엑스레이 검출부(10)가 회전 하여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가 됨으로써, 환자의 신체 중 낮은 부위를 엑스레이 촬영하더라도 종래에 탁자 등을 엑스레이 검출부(10) 전방에 배치하여 촬영해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1a)에 대해 설명하겠다. 설명하기에 앞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1a)는 회전부(220) 및 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220)는 회전유닛(222) 및 회전지지유닛(221)을 포함한다.
회전유닛(222)은 엑스레이 검출부(10a) 및 구동부(13a) 사이에 위치하고 엑스레이 검출부(10a)와 일측이 체결되어 엑스레이 검출부(10a)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 엑스레이 검출부(10a)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222)은 엑스레이 검출부(10a)에 설치된 연결플레이트(50a)와 체결되어, 엑스레이 검출부(10a)를 회전시킨다.
회전지지유닛(221)은 회전유닛(222)의 타측이 삽입되어 회전유닛(222)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공(221a)이 형성되고 구동부(13a)에 설치된다.
그리고, 모터(230)는 회전지지유닛(221)에 설치되어 회전유닛(222)을 회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엑스레이 검출부(10a)가 하향 이동할 경우, 엑스레이 검출부(10a)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어부(14a)가 모터(23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터(2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더 형성되어 사용자가 모터(2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222)에의 일측에는 제1 기어(222a)가 형성되어 있고, 모터(230)에는 제1 기어(222a)와 맞물린 제2 기어(230a)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제1 기어(222a) 및 제2 기어(230a)를 통해 모터(230)의 회전을 회전유닛(222)에 전달하여, 회전유닛(222)이 회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엑스레이 검출부(10a)가 하향 이동하면 검출부하단(11a)이 엑스레이 검출부(10a)의 상향 위치하도록, 모터(230)가 회전유닛(222)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8의 베어링(223), 와셔(224), 회전너트(225) 및 도 9의 레일(12a)에 대한 구성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록, 본 고안의 일 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는 레일을 따라 엑스레이 검출부가 하향 이동할 시, 회전부에 의해 엑스레이 검출부가 회전함에 의해 검출기하단를 엑스레이 검출부의 상향에 위치시켜 검출기하단에 의해 하향 이동 거 리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검출기하단에 엑스레이 검출부의 하향 이동거리가 제한되어 환자의 신체 중 낮은 부위를 엑스레이 촬영할 시 탁자 등을 구비하여야 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 검출부가 회전할 시에만 의료용 진단기기의 측방공간을 사용하므로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는 의료 차량 등에도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부에 설치되는 엑스레이 검출부를 가지는 의료용 진단기기에 있어서,
    제1 고정디바이스를 가지고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 및 상기 구동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제1 고정디바이스와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1 고정디바이스와 체결 해제되어 상기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고정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여부를 설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디바이스는 고정홈으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와 일측이 체결되어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의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는 회전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디바이스는 고정돌기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가 안착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가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홈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안착되는 부분에 상기 손잡이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와;
    상기 관통공를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와 상기 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손잡이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여 상기 검출기하단이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의 상향 위치할 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과;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여 상기 검출기하단이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의 하향 위치할 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의해 감지된 상기 의료용 진단기기의 회전상태를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에 반영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은 상기 회전부와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와 결속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타측을 축으로 상기 일측이 회전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기 일측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
  9.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부에 설치되는 엑스레이 검출부를 가지는 의료용 진단기기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 및 상기 구동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와 일측이 체결되어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의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는 회전지지유닛을 가지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지지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의 일측에는 제1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기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단기기.
KR2020070005166U 2007-03-29 2007-03-29 의료용 진단기기 KR200436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66U KR200436873Y1 (ko) 2007-03-29 2007-03-29 의료용 진단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66U KR200436873Y1 (ko) 2007-03-29 2007-03-29 의료용 진단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873Y1 true KR200436873Y1 (ko) 2007-10-12

Family

ID=4163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166U KR200436873Y1 (ko) 2007-03-29 2007-03-29 의료용 진단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8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60Y1 (ko) 2010-06-21 2011-10-27 (주)신영포엠 의료기기용 스탠드
KR101625943B1 (ko) 2014-08-04 2016-05-31 (주)디알젬 엑스선 촬영장치용 버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60Y1 (ko) 2010-06-21 2011-10-27 (주)신영포엠 의료기기용 스탠드
KR101625943B1 (ko) 2014-08-04 2016-05-31 (주)디알젬 엑스선 촬영장치용 버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273B2 (en) Diagnostic table
EP2668903B1 (en) Photographing device including a power transmission body selectively coupled to a rotating arm and to a support
US9848841B2 (en) X-ray stitching jig
JP2008535628A (ja) 構造及び患者を位置決めする、x線システムの特徴
EP3311746B1 (en) Mobile x-ray imaging apparatus
US11622626B2 (en) Lift for television or other visual display screen
KR200436873Y1 (ko) 의료용 진단기기
EP3381372B1 (en) Mammography apparatus
US7785006B2 (en)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with length-adjustable arm structure
US10631796B2 (en) Brake system and med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50124939A1 (en) Rail system including adjustable detector
US10478275B2 (en)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having height-adjustable table for animals
KR101105624B1 (ko) 자동위치조정이 가능한 x선디텍터를 갖는 의료용진단기기
KR200441190Y1 (ko) 전후진 및 회전동작이 가능한 테이블을 가지는 의료용진단기기
KR101584182B1 (ko) 회전형 컨트롤패널을 구비하는 초음파진단장치
JP2007111150A (ja) 平行リンク型テーブル及び断層像撮影装置
KR102560621B1 (ko) 회전제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방사선 촬영장치
JP3908711B2 (ja) X線撮影装置
JP3033679B2 (ja) 医用画像撮影装置のガントリ装置
KR20150093427A (ko) 엑스선 영상장치
CN217244470U (zh) 升降机构、升降旋转装置及具有其的口腔cbct设备
KR101796512B1 (ko) 유지 보수가 편리한 듀얼 헤드 타입의 방사선 치료장치
KR102520430B1 (ko)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KR20210081835A (ko) 오비탈 구동 모터의 부하 저감 기능을 구비한 c형 엑스선 투시 장치
CN217471964U (zh) 旋转机构及具有其的口腔cbct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