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712Y1 - 어항이 설치된 다단식 화분대 - Google Patents

어항이 설치된 다단식 화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712Y1
KR200436712Y1 KR2020060029779U KR20060029779U KR200436712Y1 KR 200436712 Y1 KR200436712 Y1 KR 200436712Y1 KR 2020060029779 U KR2020060029779 U KR 2020060029779U KR 20060029779 U KR20060029779 U KR 20060029779U KR 200436712 Y1 KR200436712 Y1 KR 200436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sh tank
stage
flow line
f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래
Original Assignee
박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래 filed Critical 박경래
Priority to KR2020060029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항이 부설된 다단식 화분대로서, 최상단의 일측과 최하단의 일측에는 어항이 설치되어 있고, 최상단의 상단부 어항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이 각 층단면에 가로로 형성된 유수라인을 통하여 교차하여 지그재그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유수라인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수분공급부를 통하여 일정하게 화분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하고 이후 최하단의 일측에 설치된 하단부 어항으로 다시 물을 모은 후 순환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상단부 어항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을 통하여 화분에 심겨진 화초와 어항을 동시에 관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항과 화분 각각에 대해 관리 및 이동이 용이한 어항이 설치된 다단식 화분대를 제공한다.
화분대, 다단식 화분대, 수분공급부, 어항

Description

어항이 설치된 다단식 화분대{MULTISTAGE FLOWERPOT STAND CONTAINING FISH BASIN}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어항을 설치한 다단식 화분대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어항을 설치한 다단식 화분대 중 수분공급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번호>
100 : 다단식 화분대 110 : 유수라인
120 : 유수라인연결관 130 : 유수공급관
200 : 수분공급부 310 : 상단부 어항
320 : 하단부 어항 400 : 순환부
500 : 이동부
본 고안은 어항이 부설된 다단식 화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과 화분은 별개의 위치에 따로 고정되어 설치되고 있어서, 관상용으로서의 어항과 화초가 심겨져 있는 화분을 각각의 공간에 별도로 두어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있고, 아울러 어항과 화분을 같이 두고 감상하거나 관리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한정된 공간의 실내외 분위기를 전환시키고 사람들의 정서와 감성을 순화시키고자 집안, 사무실, 사업장, 공장, 기타 생활 속에서 어항이나 화분이 있는 쾌적한 환경을 만들고 싶어하지만 좁은 공간과 번거로움 때문에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화분에 심어놓은 화초를 가꾸기 위해서는 매일 물을 뿌려줘야 하고 가끔 햇빛을 보도록 하기 위해 창가로 화분을 옮겨야 할 때도 있다. 이렇듯 화분을 관리하는데 있어서는 많은 노력과 정성이 들며 때로는 물을 주지 않거나 적당한 햇빛을 맞게 하지 못한 결과 화분에 심겨진 식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거나 심지어는 죽게 되는 결과가 생긴다.
아울러 화분을 각각 별도로 하나씩 관리하는 경우에는 식물의 생장 관리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이동시키는데 화분을 햇빛 아래에 이동시킬 때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같은 공간에서 적은 공간으로도 어항에 있는 물고기와 화분에 심겨진 식물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화분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화분에는 본 고안의 유수라인에 함께 형성되어 있는 수분공급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화분에 심겨진 화초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 써 화초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물이 각 층단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로라인을 통하여 각 층별로 교차하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물이 흐르는 동안에 공기 중의 산소가 물에 녹도록 함으로써 어항에 자연발생적인 산소를 제공하여 어항에 살고 있는 물고기의 생장에도 도움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어항과 화분의 관리에 별도로 노력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식물과 물고기의 생육이나 생장을 유지하도록 하여 어항과 화분의 관리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어항이 함께 설치되는 다단식 화분대 밑에 이동수단을 부가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화분 및 어항을 이동시킬 때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어항이 설치된 다단식 화분대는, 일정한 가로길이와 세로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층단이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다단식 화분대에 있어서, 각 층단의 윗면에 각 층단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가지는 홈이 층단의 가로길이를 따라 형성된 유수라인; 상기 유수라인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를 향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 화분의 밑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되어 화분내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최상단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며, 최상단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을 통하여 물을 방출시켜 흘려보내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단부 어 항; 일측단은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어느 하나의 층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의 물이 흘러나오는 일측과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타측단은 바로 아래 층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의 일측 중 물이 유입되는 측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유수라인연결관;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최하단의 일측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최상단으로부터 각 층단에 형성된 수류라인을 통하여 최하단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까지 거쳐서 흐른 물을 유입시켜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상단부 어항으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물을 방출시키는 방출구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단부 어항; 일측은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의 일측 중 물이 흘러나오는 측과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단부 어항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유수공급관 및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최하단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부 어항에 형성되어 있는 방출구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유입된 물을 다시 상기 상단부 어항으로 순환시켜 방출시키는 유출관 및 유입관으로 유입된 물을 다시 최상단의 상단부 어항으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축기로 구성되는 순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최상단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단부 어항은 관상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화분대에 물을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흐르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상단부 어항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구를 통해 흘러나온 물은 최상단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을 따라 흐르게 되며, 이후 각 층단의 윗면에 형성된 유수라인과 각 층단의 유수라인을 연결하여 물이 각 층단마다 지그재그로 교차하여 흐르게 해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유수라인연결관을 통하여 흐른 물은 최종적으로 최하단의 일측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하단부 어항으로 모여서 저장되게 된다. 이렇게 물이 흐르면서 각각의 층단에 설치된 유수라인을 통해 흐르는 물은 각 층단 위에 놓여진 화분 속으로 수분공급부를 통하여 수분을 공급해주게 된다.
이러한 수분공급부는 수류라인을 통해 흐르는 물로부터 수류라인 위에 놓여진 화분으로 수분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류라인의 밑면과 하단부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하부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분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수분전달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류라인에서 흐르는 물이 수분공급부를 구성하고 있는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지지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분전달재를 적시게 되고 이후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물이 화분 하부의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 삽입되어 있는 수분전달재의 상부로 전달되면서 수분공급부가 삽입된 화분의 내부에 수분을 정기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수분전달재는 흡수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중에 물 흡수 및 전달이 잘 되는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천연섬유로는 솜을 이용하여 봉의 형태로 만들어 수분전달재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단부 어항에 저장되는 물은 다시 펌프를 통하여 최상단에 있는 어항으로 순환되게 되는데, 하단부 어항이나 상단부 어항에는 별도의 산소공급장치를 더 설치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상단부 어항으로 부터 흘러나온 물이 다단식 화분대의 각 층단을 지그재그로 거쳐 흐르면서 자연적으로 산소를 녹아들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수류라인은 상단부 어항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의 양에 따라 그 깊이 및 폭을 조절하여 형성시켜야 하며, 수류라인의 폭은 일반적인 화분을 수류라인을 형성하고 있는 홈의 양 가장자리에 얹을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단부 어항에 저장된 물은 하단부 어항에 형성되어 있는 방출구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유입된 물을 다시 상기 상단부 어항으로 순환시켜 방출시키는 유출관 및 유입관으로 유입된 물을 다시 최상단의 상단부 어항으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프로 구성되는 순환부를 통하여 다시 상단부 어항으로 보내진다. 이 때 사용되는 펌프는 교류 200 ~ 220V의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소형어항용 펌프로써 하단부 어항에서 물을 끌어올려 상단부 어항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본 고안의 다단식 화분대의 밑면 아래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와 바퀴고정부로 구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바퀴와 바퀴고정부로 구성되는 이동부는 본 고안에 의한 다단식 화분대의 공간이동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용되는데, 이동시 안정성 및 이동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4개 이상의 이송부가 밑면을 이루는 모서리 가장자리 부위에 각각 결합되어야 하는데 4개에서 6개의 이송부가 밑면에 결합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어항을 설치한 다단식 화분대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적어도 2단 이상의 층단을 가진 계단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다단식 화분대(100)의 최상단의 일측에는 상단부 어항(310)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상단부 어항(310)의 아래에는 최상단의 타측으로 최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110)으로 상단부 어항에 저장된 물을 흘려보내는 유출구(315)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단부 어항(310)으로부터 유출구(315)를 통해 유출된 물은 각 층단의 높이에 의해 발생되는 낙차를 이용하여 최상단으로부터 최하단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층단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110)을 통하여 최하단부의 일측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하단부 어항(320)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각 층단의 윗면에 형성된 유수라인(110)은 각 층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을 연결시키는 관 형태의 유수라인연결관(120)을 통하여 연결되는데, 최상단으로부터 흘러내린 물이 각 층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110)을 모두 통과하여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물이 지그재그로 흐를 수 있도록 유수라인연결관(120)을 각 층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110)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110)에서 물이 배출되는 부분과 그 최상단의 바로 아래 층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110)에서 물이 유입되는 부분이 서로 동일한 일측에 있어 서로 유수라인연결관(120)을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물을 아래 층단의 유수라인(110)으로 흘 러내리게 하여야 한다. 이러한 유수라인연결관(12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재료로 하는 관 형태로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곡선을 이루며 각 층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110)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것은 최상단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단부 어항(310)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각 층단에서 유수라인을 통해 흘러가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유수라인(110)의 내부 밑면에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의 유수라인 위에 얹혀져서 배치되는 화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20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수분공급부(200)는 윗부분이 화분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하여 화분 내부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수라인(110)의 깊이보다 더 길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수라인(110)을 통해 흐르는 물을 흡수하여 화분 내부로 수분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수분공급부는 유수라인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야 하는데, 그 간격은 화분의 크기 및 종류를 고려하여 하단부에는 큰 화분이 놓여질 수 있도록 그 간격을 크게 하고 상단부로 갈수록 작은 화분이 놓여질 수 있도록 그 간격을 좁게 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층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110)을 통해 흘러내린 물은 최종적으로 다단식 화분대(100)의 최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하단부 어항(320)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는데, 최하단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을 통해 흘러내린 물은 최하단의 유수라인 중 물이 흘러나오는 부분과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유수공급관(130)을 통해 하단부 어항(320)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유수공급관(130)의 끝부분은 물이 어항에 고르게 뿌려지도록 하기 위해 물조리개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단부 어항(320)으로 유입되어 저장된 물은 다시 순환부(400)를 통하여 상단부 어항(310)으로 물을 순환되는데, 상기 순환부(400)는 하단부 어항의 아래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방출구(325)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펌프(420)로 유입시키는 유입관(410)과 유입된 물을 다시 상기 상단부 어항(310)으로 순환시켜 방출시키는 유출관(430) 및 유입관으로 유입된 물을 다시 최상단의 상단부 어항으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프(420)로 구성된다. 이때 순환부(400)를 구성하고 있는 유출관(430) 중에 상단부 어항(310)으로 물을 다시 공급하는 끝부분은 상기 상단부 어항(310)에 물을 고르게 뿌려주기 위하여 물조리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어항을 설치한 다단식 화분대의 밑면에는 아래로 이송부(500)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부(500)는 바퀴(510)와 바퀴고정부(520)로 구성되는데 적어도 4개 이상 상기 다단식 화분대(100)의 밑면에 결합되어 있어야 안정적인데 4개에서 6개의 이송부(500)를 다단식 화분대의 밑면의 각 모서리 부분과 중심부에 결합시키는 것이 안정성 및 이동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어항을 설치한 다단식 화분대 중 수분공급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수분공급부(200)는 상기 유수라인(110)의 밑면과 하부(211)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하부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통공(212)이 형성 되어 있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분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수분전달재(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10)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분전달재(220)는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유수라인(110)을 통해 흐르는 물에 의하여 적셔지는 부분에서 화분 내부로 삽입된 부분으로 충분히 수분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흡수성을 가지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효과적으로 화분 내부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수분전달재(220) 중 화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부분이 지지대(210)보다 좀 더 올라오도록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대의 하부(211)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212)을 통하여 유수라인을 흐르는 물이 상기 지지대(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수분전달재의 밑부분을 충분히 적셔줄 수 있으므로 상기 통공(212)은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수분전달재(220)를 충분히 적셔줄 수 있으며, 아울러 유수라인(110)을 흐르는 물에 휩쓸리지 않고 어느 정도 화분이 흔들린다 하더라도 지지를 하고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나 도면에 기재된 내용에 그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여 같은 공간에서 적은 공간으로도 어항에 있는 물고기와 화분에 심겨진 식물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화분에는 본 고안의 유수라인에 함께 형성되어 있는 수분공급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화분에 심겨진 화초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초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물이 각 층단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로라인을 통하여 각 층별로 교차하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물이 흐르는 동안에 공기 중의 산소가 물에 녹도록 함으로써 어항에 자연발생적인 산소를 제공하여 어항에 살고 있는 물고기의 생장에도 도움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어항과 화분의 관리에 별도로 노력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식물과 물고기의 생육이나 생장을 유지하도록 하여 어항과 화분의 관리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항이 함께 설치되는 다단식 화분대 밑에 이동수단을 부가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화분 및 어항을 이동시킬 때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일정한 가로길이, 세로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층단이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다단식 화분대에 있어서,
    각 층단의 윗면에 각 층단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가지는 홈이 층단의 가로길이를 따라 형성된 유수라인;
    상기 유수라인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를 향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 화분의 밑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되어 화분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최상단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며, 최상단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을 통하여 물을 방출시켜 흘려보내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단부 어항;
    일측단은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어느 하나의 층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의 물이 흘러나오는 일측과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타측단은 바로 아래 층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의 일측 중 물이 유입되는 측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유수라인연결관;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최하단의 일측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최상단으로부터 각 층단에 형성된 수류라인을 통하여 최하단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까지 거쳐서 흐른 물을 유입시켜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상단부 어항으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물을 방출시키는 방출구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단부 어항;
    일측은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수라인의 일측 중 물이 흘러나오는 측과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단부 어항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유수공급관 및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최하단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부 어항에 형성되어 있는 방출구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관과 유입된 물을 다시 상기 상단부 어항으로 순환시켜 방출시키는 유출관 및 유입관으로 유입된 물을 다시 최상단의 상단부 어항으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프로 구성되는 순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이 부설된 다단식 화분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유수라인의 밑면과 하단부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하부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분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수분전달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이 부설된 다단식 화분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전달재는,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분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흡수성 을 가지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이 부설된 다단식 화분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밑면 아래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다단식 화분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와 바퀴고정부로 구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이 부설된 다단식 화분대.
KR2020060029779U 2006-11-16 2006-11-16 어항이 설치된 다단식 화분대 KR200436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779U KR200436712Y1 (ko) 2006-11-16 2006-11-16 어항이 설치된 다단식 화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779U KR200436712Y1 (ko) 2006-11-16 2006-11-16 어항이 설치된 다단식 화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712Y1 true KR200436712Y1 (ko) 2007-10-04

Family

ID=4162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779U KR200436712Y1 (ko) 2006-11-16 2006-11-16 어항이 설치된 다단식 화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7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267B1 (ko) * 2010-03-09 2013-06-04 대한민국 이동식 화단.
KR20170125783A (ko) * 2017-11-06 2017-11-15 정운성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CN111109186A (zh) * 2020-03-03 2020-05-08 商丘师范学院 一种建筑物阳台生态养殖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267B1 (ko) * 2010-03-09 2013-06-04 대한민국 이동식 화단.
KR20170125783A (ko) * 2017-11-06 2017-11-15 정운성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KR102137860B1 (ko) * 2017-11-06 2020-08-13 정운성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CN111109186A (zh) * 2020-03-03 2020-05-08 商丘师范学院 一种建筑物阳台生态养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860055Y (zh) 一种自动滴灌绿化槽
US8250809B2 (en) Apparatus for aeroponically growing and developing plants
KR100377569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CN102217505A (zh) 一种植物自灌式栽培柱
KR200436712Y1 (ko) 어항이 설치된 다단식 화분대
KR10037757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101338853B1 (ko) 화단
CN101725194B (zh) 一种上水石生态水景墙
KR100375935B1 (ko)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CN207706795U (zh) 智能绿化壁挂种植箱
CN209594370U (zh) 一种植物栽培系统与植物栽培布水装置
CN107318506A (zh) 自动浇水花盆
CN213095390U (zh) 一种多功能生态式植物养殖装置
CN202551775U (zh) 一种墙体式组合花盆
CN105379574A (zh) 一种植物种植用的装置以及该装置的批量制造方法
CN206559858U (zh) 功能花卉空气加湿装置
CN201216093Y (zh) 自动补水吊花盆
CN205848126U (zh) 一种自动浇水的盆栽系统
CN205124502U (zh) 一种植物种植用的装置
TWM573565U (zh) Water-free planting equipment
KR102358949B1 (ko) 다단 수경재배용 자동 관수장치
KR20120080456A (ko) 복합 실내정원
CN212936891U (zh) 一种阳台绿化装置
KR102506275B1 (ko) 급수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화분
CN206895425U (zh) 一种植物净化器的水循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