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524Y1 -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버스바용 절연부재 - Google Patents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버스바용 절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524Y1
KR200436524Y1 KR2020070010057U KR20070010057U KR200436524Y1 KR 200436524 Y1 KR200436524 Y1 KR 200436524Y1 KR 2020070010057 U KR2020070010057 U KR 2020070010057U KR 20070010057 U KR20070010057 U KR 20070010057U KR 200436524 Y1 KR200436524 Y1 KR 200436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insulating member
insulation
present
distribu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홍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홍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홍전기
Priority to KR2020070010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5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2Joints between bus-bar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Abstract

본 고안은 분전반 및 수배전반에 사용되는 버스바의 절연을 위해 구비되는 절연부재를 짧은 시간 내에 손쉽게 조립되도록 하여 분전반 및 수배전반 조립시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상기 버스바의 절연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기존과는 달리 버스바의 체결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절연부재의 교체가 가능하여 버스바의 절연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버스바용 절연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버스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슬리이브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통해 상기 버스바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에 대해 절연성능을 부여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용 절연부재가 제공된다.
분전반, 수배전반, 버스바, 절연, 부재, 절개부

Description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버스바용 절연부재{insulation tube for bus bar}
도 1은 분전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버스바에 기존의 절연커버를 입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절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Ⅰ-Ⅰ절연부재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절연부재를 버스바에 조립하는 제1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절연부재를 버스바에 조립하는 제2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절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절연부재 적용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1의 조립방법에 의한 절연부재와 버스바 간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절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절연부재 적용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2의 조립방법에 의한 절연부재와 버스바 간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분전반 10:메인차단기
20:보조차단기 21a:모선버스바
21b:자선버스바 21, 21-1:버스바
50, 50a, 50b:절연부재 500,500b:절개부
본 고안은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버스바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반 및 수배전반 등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선버스바 혹은 자선버스바에 손쉽게 조립 및 분리되는 한편 조립시 상기 버스바의 절연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절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分電盤; cabinet panel)은 산업설비 회로 및 건물의 옥내외 회로 배선에 있어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곳에 각 분기회로마다의 스위치를 설치해 놓은 것을 말한다.
이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산업설비 회로 및 건물의 옥내외 회로로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의 용량에 맞게 배분하는 전로의 인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로 그 내부패널에 배선용 차단기 및 누전차단기 등의 회로차단기가 구성되어 과전류 또는 단락사고 발생시 회로를 주모선으로부터 차단하여 전기적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한편, 수배전반은 본 수배전반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공장, 빌딩, 병원, APT 단지, 및 각종 산업 시설 등에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특별고압의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의 정격에 맞는 낮은 전압 및 정격용량으로 변환시켜 전기 시설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제어 및 감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분전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일반적으로 전력장치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전반(100)은 내부패널(P)에 메인차단기(10)와 다수 개의 보조차단기(20)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차단기(10)와 보조차단기(20) 사이에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다수 개의 버스바(bus-bar)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메인차단기(10)의 출력단자에 직접적으로 연결 접속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버스바(21a)와, 상기 모선버스바에 연결 접속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차단기(120)에 공급하는 자선버스바(21b)로 구성되며, 상기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는 상호 교차 된 상태에서 스크류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모선버스바(21a) 및 자선버스바(21b)(이하, '버스바(21)'라 통칭한다)는 통상적으로 일정 폭과 두께를 갖는 바(bar) 형태로서, 기존에는 버스바(21) 외주면에 열수축 비닐수지(30)를 입혀 절연 성능이 발휘되도록 하는데,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여 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1)가 준비된 상태에서, 별도로 준비된 열수축 비닐수지(30)를 재단한다. 이때, 열수축 비닐수지(30)는 열을 가하면 원래의 형상을 기억하여 미리 정해진 비율로 수축되는 튜브 형태의 고분자 합성수 지 제품으로서 버스바(21)의 길이보다 좌우측으로 각각 10mm 정도 여유를 갖도록 재단된다.
열수축 비닐수지(30)의 재단이 완료된 후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21) 일단부를 통해 열수축 비닐수지(30)를 버스바 외주면에 씌운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1) 외주면에 씌워진 열수축 비닐수지(30)에 대해 열풍기(40) 등의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열을 가하게 되며, 열이 가해진 부위는 열수축 비닐수지(30)가 수축하여 버스바(21) 외주면에 밀착된다.
한편, 가열에 의한 열수축 비닐수지(30)의 수축이 완료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며, 이 상태에서는 버스바(21)의 온도가 높으므로 어느 정도 버스바의 온도가 내려갈 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그 후, 버스바(21)가 식으면 버스바의 볼트 체결 부위가 노출되도록 그 부위의 비닐수지를 칼로 재단하여 제거한다.
즉,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체결부위(A1,A2,A3)를 재단하여 제거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볼트 체결부위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열수축 비닐수지(30)를 입혀 버스바(21)의 절연을 도모하는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먼저, 기존의 버스바(21) 절연 구조는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즉, 열수축 비닐수지(30)를 재단하여 버스바(21) 외주면에 씌운 상태에서, 열풍기(40)를 이용하여 열을 가해주어야만 하고, 수축에 의한 코팅이 완료된 후에 는 버스바(21)가 어느 정도 식을 때까지 기다려 주어야 하며, 그 후에도 다시 볼트 체결부위가 노출되도록 재단해야 하는 등 작업공수가 많고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열수축 비닐수지(30)의 수축에 의한 코팅을 위해서는 열풍기(40) 등의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열수축 비닐수지(30)를 이용한 절연 구조는 버스바(21) 외주면에 열수축 비닐수지(30)를 씌우는 과정에서 혹은 열수축 과정에서 비닐수지가 찢어지는 등의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기존에는 버스바(21)에 입혀진 열수축 비닐수지(30)가 찢어지거나 훼손되어 절연성능이 저하될 경우, 절연성능에 손상을 입은 버스바(21)를 분전반으로부터 풀어내어 새로 열수축 비닐수지(30)가 코팅된 버스바로 교체하여야만 했다.
즉, 기존에는 분전반에서 버스바(21)의 체결을 해체하지 않고서는 절연부재의 교체가 불가능하므로, 필연적으로 버스바(21)의 해체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전반에 사용되는 버스바의 절연을 위해 구비되는 절연부재를 짧은 시간 내에 손쉽게 조립되도록 하여 분전반 조립시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상기 버스바의 절연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기존과는 달리 버스바의 체결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절연부재의 교체가 가능하여 버스바의 절연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버스바용 절연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분전반에 설치되는 버스바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슬리이브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통해 상기 버스바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에 대해 절연성능을 부여하되,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용 절연부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절연부재는 분전반 및 수배전반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분전반에 적용된 경우를 위주로 하여 설명함을 전제한다.
먼저, 도 3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절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절연부재의 정면도로서, 도 3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버스바용 절연부재(50)는, 버스바(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슬리이브(Sleeve) 형의 프로파일(profile)을 가지며, 상기 버스바(21)의 일단부를 통해 상기 버스바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에 대해 절연성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되,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500)가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절연부재는, 소정의 폭(W)과 두께(t)와 길이(ℓ)를 갖는 막대형의 버스바(도 4 참조)에 형합하는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슬리이브형 절연부재(50)의 절개부(500)는, 버스바(21) 외주면으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대신 상기 버스바(2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절개부를 통해 내부의 버스바가 노출되지 않도록 경사면을 가지며 입구측은 넓고 그 안쪽은 좁아지는 구조로 된다.
한편, 상기 슬리이브형인 본 고안의 조립식 절연부재(50)는 PVC(Poly Vinyl Chloride)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PVC에는 현탁중합(懸濁重合;suspension polymerization) 및 괴상중합(塊狀重合;bulk polymerization)에 의해 생산되는 Straight PVC Resin과 유화 중합에 의해 생산 되는 Paste PVC Resin이 있으며, Straight PVC Resin에는 주로 파이프, 압출제품, 고투명 필름, 경질시트 등의 생산에 사용되는 일반용과 특수한 효과(무광 또는 점도 조절용)를 내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용이 있다. Paste PVC Resin 은 주로 인조가죽, 벽지, 상재(바닥재), 방수시트(Tarpaulin) 등의 생산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PVC는 일반용인 Straight PVC Resin이 사용되면 되며, 압출 가공에 의해 형성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절연부재(50)는 버스바(21)의 규격에 맞춰 다양한 폭을 갖게 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조립식 절연부재(50)는 가정이나 공장 등의 벽체에 설치된 분전반(도시는 생략함)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버스바(통상, 자선버스바)에 조립될 경우, 상기 절연부재(50)가 버스바(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절개부(500) 가 벽체 아래쪽을 향하도록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절연부재(50)는 회로의 각 상(相)에 따라 다른 색깔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식 절연부재(50)를 이용한 조립과정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절연부재(50)를 버스바(21)에 조립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먼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절연부재(50)를 버스바(21)의 단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삽입하는 제1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버스바(21)의 프로파일에 맞춰 슬리이브형를 이루는 본 고안의 절연부재(50)가 준비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부재(50)를 버스바(21)의 길이에 맞추어 재단한 다음, 절연부재(50) 내부로 버스바(21)를 밀어 넣기에 앞서 절연부재의 입구를 버스바(21)의 단부에 맞춘다(도 4a 참조).
그 상태에서 절연부재(50)의 내부 공간으로 버스바(21)가 들어오도록 밀어 넣기 시작한다(도 4b 참조).
이와 같이하여, 절연부재(50)를 버스바(21)의 원하는 위치로 밀어 넣으면 조립이 완료된다(도 4c참조).
이와 같이 하여 버스바(21)와 절연부재(50)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절연부재(50)의 조립이 완료된 버스바(21)를 분전반 내부의 정해진 위치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1의 조립과정은 분전반의 제작시에 있어서 버스바(21)에 절연부 재(50)를 조립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절연부재(50)를 버스바(21)의 단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삽입하는 제1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버스바(21)의 프로파일에 맞춰 슬리이브형를 이루는 본 고안의 절연부재(50)가 준비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부재(50)를 버스바(21)의 길이에 맞추어 재단한다.
그 다음 절연부재(50)의 측면에 구비된 절개부(500)를 버스바(21) 측면에 맞추어(도 5a 참조), 일부분부터 밀어 넣게 된다(도 5b 참조).
이때, 상기 절연부재(50)의 절개부(500)는 입구측은 넓고 안쪽은 좁은 구조로 되어 있어 쉽게 버스바(21) 외주면으로 삽입이 이루어진다(도 5b 참조).
즉, 도 5b는 위와 같이 하여 절연부재(50)의 일부분을 버스바(21) 측면을 통해 밀어 넣은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힘을 더 가하여 절연부재(50)를 계속 밀면, 도 5c와 같이 절연부재(50)의 내부 공간으로 버스바(21)가 들어가게 되어 상기 버스바(21)와 절연부재(50)의 조립이 완료된다(도 5c 참조).
조립이 완료된 절연부재(50)는, 절개부(500)의 구조가 입구측은 넓고 안쪽은 좁은 구조로 되어 있어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절개부(500)가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절연부재(50) 내부의 버스바(21)가 절개부(500)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버스바(21)와 절연부재(50)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절연부재(50)의 조립이 완료된 버스바(21)를 분전반 내부의 정해진 위치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절연부재(50)는 벽체에 설치된 분전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버스바(21)에 조립될 경우, 상기 절연부재(50)가 버스바(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절개부(500)가 분전반이 설치되는 벽체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조립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만일을 위한 것으로서, 실수로 규격에 맞지 않는 절연부재(50)가 설치될 경우에도 절개부(500)가 위쪽을 향하지만 않으면 절연부재(5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슬리이브형인 본 고안의 절연부재(50)는 그 형태 및 재질의 특성상 일정 정도 탄성력을 지니고 있어, 일단 버스바(21)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버스바의 설치방향과 무관하게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이탈되지 않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한 제1 및 제2의 조립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둘 다 분전반 제작 과정에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한 제1의 조립과정은 분전반의 제작시에 있어서 버스바(21)에 절연부재(50)를 조립하는 경우에 보다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의 방법은 제작시보다는 설치가 완료된 분전반에서 절연부재(50)를 교체할 경우에 더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제2의 절연부재(50)의 절개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재(50)를 분전반 측면으로 밀어넣는 조립 방법은, 가정이나 공장 등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분전반에서 절연부재(50)의 교체 혹은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 적용하면 굳이 버스바(21)를 해체하지 않고도 쉽게 절연부재(50)를 버스바(21)로부터 탈거시키거나 조 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의 절연부재(50)를 적용하게 되면, 가열수축에 의해 열수축 비닐수지를 입히던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분전반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열수축성 수지에 대한 가열 공정이 필수적이고 가열 후 이를 식히는데 일정 시간이 필요했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슬리이브(sleeve) 형태인 조립식 절연부재(50)를 바로 버스바(21)에 끼워 넣기만 하면 절연부재(50)의 탄성(彈性)에 의해 밀착 상태로 조립이 완료되므로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기존의 가열수축에 의해 절연재를 입히는 공정은 모선버스바와 자선버스바 간의 조립에 선행하여 각 버스바의 제작시에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따라 분전반 조립시에는 버스바(21) 간의 체결부위나 차단기 단자와의 체결부위를 칼로 잘라내어 제거해 주어야만 한다.
하지만, 본 고안의 미리 성형된 슬리이브형의 절연부재(50)를 채택하게 될 경우에는 버스바(21)의 길이에 맞춰 절단하여 끼워 넣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며,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열수축성 수지가 입혀진 부위를 칼로 잘라 제거해주어야 하는 등의 기존에 필히 수반되던 작업이 생략되어 이 부분에서도 작업시간이 단축됨과 아울러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조립식 절연부재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되어 기존의 필름형태인 열수축성 비닐수지에 비해 훨씬 두꺼운 두께로 제작되므로 확실한 절연성 능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절연부재(50)는 회로의 각 상(相)에 따라 다른 색깔로 되어 있어 색깔만으로도 각 상의 구별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분전반 제작시 헛갈리지 않고 쉽게 각 상에 맞는 버스바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및 수정 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6은 본 고안의 절연부재(50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버스바는 그 형태가 컷팅된 면을 갖는 환봉 구조의 버스바(21-1)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절연부재(50a)는 컷팅면을 갖는 환봉 구조인 버스바(21-1)의 프로파일(profile)에 맞는 형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립 방법 중, 버스바의 일단부와 절연부재(50a)의 입구를 일치시켜 삽입하는 제1의 조립방법으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절개부(500a)는 제2의 조립방법에 사용될 수 있으나, 조립시 무리하게 힘이 가해질 경우 절연부재(50a)에 변형이 심하게 올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대신, 분전반 내부의 버스바(21-1)에 이미 조립된 상태에서 절연부재(50a)를 버스바(21-1)로부터 분리시켜야 할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절개부(500a)로 인해 버스바(21-1)를 분전반에서 풀어내지 않고도 용이하게 절연부재(500a)를 버스바(21-1)로부터 벗겨내어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절연부재(50b)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절연부재와 버스바 간의 조립 방법 중 제2의 조립방법에 의한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 경우 역시 본 실시예의 절연부재(50b)는 컷팅면을 갖는 환봉 구조인 버스바(21-1)의 프로파일(profile)에 맞는 형태를 갖게 되나 보다 폭이 넓은 절개부(500b)를 가짐으로 인해, 앞서 설명한 제1 조립방법으로 조립하는 것 이외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로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의 절연부재(50b)는, 도 9의 가상선 상태에서 절개부(500b)로 환봉형인 버스바(21-1)가 삽입되도록 가압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조립방법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50b)의 절개부(500b)의 폭은 환봉 구조인 버스바(21-1)의 컷팅면의 폭 이상이 됨이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버스바용 절연부재를 조립식으로 하여 쉽게 조립가능하도록 하여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열수축성 수지에 대한 가열 공정이 필수적이고 가열 후 이를 식히는데 일정 시간이 필요했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슬리이브(sleeve) 형태인 조립식 절연부재를 바로 버스바에 끼워 넣기만 하면 절연부재의 탄성(彈性)에 의해 밀착 상태로 조립이 완료되므로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또한, 본 고안은 가정이나 공장 등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분전반이나 수배전반에서 절연부재를 교체할 필요한 경우에는, 버스바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스바로부터 절연부재를 분리시킨 다음 새로운 절연부재를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시간을 줄이며 작업상 편리함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분전반 및 수배전반 등의 제작에 있어서 경제성과 편의성을 높임과 아울러 분전반 및 수배전반 내의 버스바에 대한 절연 관리가 매우 쉽게 이루어지는 한편, 기존에 비해 버스바에 대한 절연성능이 향상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한 층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버스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슬리이브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를 통해 상기 버스바의 외주면으로 삽입가능하며, 상기 버스바에 대해 절연성능을 부여하되,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용 절연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막대형의 버스바에 형합하는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용 절연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컷팅면을 갖는 환봉 형태의 버스바에 형합하는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용 절연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의 절개부의 폭은 환봉 구조인 버스바의 컷팅면의 폭 이상이 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용 절연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의 절개부는,
    버스바 외주면으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대신 상기 버스바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절개부를 통해 내부의 버스바가 노출이 되지 않도록, 경사면을 가지며 입구측은 넓고 그 안쪽은 좁아지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용 절연부재.
KR2020070010057U 2007-06-19 2007-06-19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버스바용 절연부재 KR200436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057U KR200436524Y1 (ko) 2007-06-19 2007-06-19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버스바용 절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057U KR200436524Y1 (ko) 2007-06-19 2007-06-19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버스바용 절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524Y1 true KR200436524Y1 (ko) 2007-09-03

Family

ID=4163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057U KR200436524Y1 (ko) 2007-06-19 2007-06-19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버스바용 절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52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11B1 (ko) 2013-08-21 2014-05-27 (주)세강엔지니어링 변형 형태의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KR101801849B1 (ko) 2016-10-04 2017-11-28 주식회사 경신전선 버스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버스바
KR101927718B1 (ko) * 2017-04-14 2018-12-11 주식회사 일렉스 부스바용 절연 커버 및 이 절연 커버를 구비한 부스바
KR101941981B1 (ko) 2018-05-14 2019-01-25 (주) 건일이엔지 분전반의 버스바 절연 도장방법
KR101931530B1 (ko) 2017-09-29 2019-03-20 주식회사 퍼틀 분전반 설계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58412A (ko) 2019-05-20 2019-05-29 (주) 건일이엔지 버스바를 구비한 분전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11B1 (ko) 2013-08-21 2014-05-27 (주)세강엔지니어링 변형 형태의 버스바가 장착된 배전반
KR101801849B1 (ko) 2016-10-04 2017-11-28 주식회사 경신전선 버스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버스바
KR101927718B1 (ko) * 2017-04-14 2018-12-11 주식회사 일렉스 부스바용 절연 커버 및 이 절연 커버를 구비한 부스바
KR101931530B1 (ko) 2017-09-29 2019-03-20 주식회사 퍼틀 분전반 설계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41981B1 (ko) 2018-05-14 2019-01-25 (주) 건일이엔지 분전반의 버스바 절연 도장방법
KR20190058412A (ko) 2019-05-20 2019-05-29 (주) 건일이엔지 버스바를 구비한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524Y1 (ko)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버스바용 절연부재
RU2099840C1 (ru) Сбор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US7772723B1 (en) Electrical panel having electrically isolated neutral stab
EP3624280B1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slidable insulating sheets
US10559945B1 (en) Insulative boots and power distribution assemblies
KR200317448Y1 (ko) 분전반용 부스바 절연커버
KR100543964B1 (ko)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EP3151352B1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cover assemblies
KR100977089B1 (ko) 부스바 및 부스바 가공 방법
KR200331163Y1 (ko) 배전반
CN205195048U (zh) 母线套件
KR101186275B1 (ko) 아크발생이 방지되는 친환경 산업용 안전 분전반
KR100802093B1 (ko) 배전반용 커버 장치
US4092547A (en) Switch block
CA2087764A1 (en) Electric power busway adjustable power take-off-joint
KR100883223B1 (ko) 보강된 구조를 갖는 단자대
US6890219B1 (en) Polarized receptacle containing baseboard in reduced cable requir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o houses and buildings and the like
CA1122286A (en) Switchgear bus and connection structure
WO2009141246A1 (en) Adapter, adapter in combination with an mccb for a low voltage switchboard, use of such adapter and an electric switchboard comprising such adapter
US5676558A (en) Reduced cable requiring, fusible bus duc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o houses and buildings and the like
KR100924727B1 (ko) 수평형 부스바에 결속력이 강화되어 장착된 분리형 절연커버
EP1750341B1 (en) Prefabricated leaktight duct member for the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CN106329324A (zh) 一种低压配电柜母线集成组件
EP0975079B1 (de) Installationsverteiler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