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330Y1 - 조리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330Y1
KR200436330Y1 KR2020070005892U KR20070005892U KR200436330Y1 KR 200436330 Y1 KR200436330 Y1 KR 200436330Y1 KR 2020070005892 U KR2020070005892 U KR 2020070005892U KR 20070005892 U KR20070005892 U KR 20070005892U KR 200436330 Y1 KR200436330 Y1 KR 200436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cking
cooking vessel
flange portio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월식
Original Assignee
서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월식 filed Critical 서월식
Priority to KR2020070005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3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시 패킹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밀폐력이 더욱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뚜껑에 의하면, 패킹은 내측에 형성된 환턱을 매개로 환돌기 혹은 플랜지부에 형성된 환홈에 삽착되므로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밀폐력이 더욱 우수하고, 이로 인해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조리용기용 뚜껑, 플랜지부, 환돌기, 패킹

Description

조리용기용 뚜껑{A lid for cooking receptacle}
도 1의 "가"는 종래의 조리용기용 뚜껑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나"는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분리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분리 종단면도이며, "나"는 조리용기용 뚜껑의 결합 종단면도.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분리 종단면도이며, "나"는 "가"의 결합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조리용기용 뚜껑 12 : 손잡이부
14 : 플랜지부 16 : 환돌기
18 : 패킹 20 :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뚜껑
22 : 손잡이부 24 : 플랜지부
26 : 환돌기 28,28' : 환홈
30 : 패킹 32 : 환턱
40 : 조리용기 본체 42 : 안치부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시 패킹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밀폐력이 더욱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용 뚜껑은 조리용기 본체의 상면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대략 반구형, 원판 형상 등으로 아주 다양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도 1의 "가"는 종래의 조리용기용 뚜껑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나"는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조리용기용 뚜껑(10)은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2)가 결합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조리용기 본체에 형성된 안치부에 안치되는 플랜지부(14)가 연장 형상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14) 내측에는 환돌기(16)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환돌기(16)의 외측면과 플랜지부(14)의 하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패킹(18)이 구비되어 있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상기 패킹(18)이 환돌기(16)의 외측면과 플랜지부(14)의 하면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환돌기(16)는 패킹(18)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되고, 패킹(18)은 자체 탄력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리용기용 뚜껑(10)을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패킹(18)은 느슨해지게 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고, 이로 인해 뚜껑(10)에서 쉽게 탈락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져 사용상 상당히 불편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느슨해진 패킹(18)에 대한 관리가 소홀하면 패킹(18)을 분실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새로운 조리용기를 구입해야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시 패킹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밀폐력이 더욱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조리용기용 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뚜껑의 환돌기 외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환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의 내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설된 환턱이 형성되어져 상기 패킹의 환턱이 상기 환돌기의 환홈에 삽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에는 상측방향으로 절곡된 환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의 상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설된 환턱이 형성되어져 상기 패킹의 환턱이 상기 환홈에 삽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분리 종단면도이며, "나"는 조리용기용 뚜껑의 결합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의 "가"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뚜껑(20)의 중앙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22)가 결합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조리용기 본체(40)의 안치부(42)에 안치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24) 내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돌설되되 외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환홈(28)이 형성된 환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4)의 하면과 환돌기(26)의 외측면에 개재되되 상기 환돌기(26)의 환홈(28)으로 삽착되는 환턱(32)이 내측에 형성된 패킹(30)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패킹(3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링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도 3의 "나"를 참조로 하면, 상기 패킹(30)은 상기 환돌기(26)의 외측면과 플랜지부(24)의 하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패킹(30)의 내측에 형 성된 환턱(32)이 상기 환돌기(26)의 외측면에 형성된 환홈(28)으로 삽착됨을 알 수 있다.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분리 종단면도이며, "나"는 "가"의 결합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전술한 환홈(28)과 환턱(32)의 위치가 달리 형성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즉, 뚜껑(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24)의 내측에는 상측방향으로 절곡된 환홈(28')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30)의 상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설된 환턱(32)이 형성되어져 상기 패킹(30)의 환턱(32)이 상기 환홈(28')에 삽착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조리용기 본체(40)의 상면 안치부에는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뚜껑(20)이 안치되어 있다. 즉, 조리용기용 뚜껑(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24)가 본체(40)의 상면 안치부(42)에 안치되며, 플랜지부(24) 하면과 환돌기(26)의 외측면에 개재된 패킹(30)이 본체(40)를 밀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30)의 환턱(32)은 환돌기(26)의 환홈(28) 혹은 플랜지부(24)의 환홈(28')에 삽착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패킹(30)이 쉽게 탈락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패킹(30)은 밀폐력이 보다 우수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뚜껑(20)에 의하면, 패킹(30)은 내측 혹은 상측에 형성된 환턱(32)을 매개로 환돌기(26) 및 플랜지부(24)에 형성된 환홈(28)(28')에 삽착되므로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밀폐력이 더욱 우수하고, 이로 인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뚜껑에 의하면, 패킹은 내측에 형성된 환턱을 매개로 환돌기 혹은 플랜지부에 형성된 환홈에 삽착되므로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밀폐력이 더욱 우수하고, 이로 인해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가장자리에는 조리용기 본체의 안치부에 안치되는 플랜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 내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돌설되는 환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환돌기의 외측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는 패킹이 구비되어져 조리용기 본체를 밀폐하는 통상의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환돌기의 외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환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의 내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설된 환턱이 형성되어져 상기 패킹의 환턱이 상기 환홈에 삽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2. 가장자리에는 조리용기 본체의 안치부에 안치되는 플랜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 내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돌설되는 환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환돌기의 외측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는 패킹이 구비되어져 조리용기 본체를 밀폐하는 통상의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에는 상측방향으로 절곡된 환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의 상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설된 환턱이 형성되어져 상기 패킹의 환턱이 상기 환홈에 삽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KR2020070005892U 2007-04-10 2007-04-10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36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892U KR200436330Y1 (ko) 2007-04-10 2007-04-10 조리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892U KR200436330Y1 (ko) 2007-04-10 2007-04-10 조리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330Y1 true KR200436330Y1 (ko) 2007-08-01

Family

ID=4508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892U KR200436330Y1 (ko) 2007-04-10 2007-04-10 조리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33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17Y1 (ko) * 2008-06-26 2010-10-15 서월식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KR101161110B1 (ko) * 2011-12-15 2012-06-28 문제구 밀폐수단을 구비한 냄비
CN102908042A (zh) * 2012-06-19 2013-02-06 株式会社Roichen 具有安全锁扣装置的平底锅
KR101321096B1 (ko) * 2008-12-18 2013-10-23 시리트베르케게엠바하운트콤파니카게 테두리가 구비된 조리용기 뚜껑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17Y1 (ko) * 2008-06-26 2010-10-15 서월식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KR101321096B1 (ko) * 2008-12-18 2013-10-23 시리트베르케게엠바하운트콤파니카게 테두리가 구비된 조리용기 뚜껑
KR101161110B1 (ko) * 2011-12-15 2012-06-28 문제구 밀폐수단을 구비한 냄비
CN102908042A (zh) * 2012-06-19 2013-02-06 株式会社Roichen 具有安全锁扣装置的平底锅
KR101243835B1 (ko) * 2012-06-19 2013-03-20 문제구 안전수단을 갖는 락요소에 의하여 밀폐되는 냄비.
CN102908042B (zh) * 2012-06-19 2014-12-10 株式会社Roichen 具有安全锁扣装置的平底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31414A5 (ko)
JP3165080U (ja) カップの蓋
JP3209513U (ja) 蓋及び蓋を有する容器部材
KR200436330Y1 (ko) 조리용기용 뚜껑
MX338077B (es) Una tapa para un envase.
MY146968A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TWI543914B (zh) Wipes cover structure
KR20100078576A (ko)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GEP20135988B (en) Container having relockable lid provided with resilient ring
EP1934106A4 (en) CLOSURE ASSEMBLY FOR CONTAINERS
US20060237471A1 (en) Cap element for a beverage can
RU148678U1 (ru) Емкость, содержащая сосуд и крышку
RU2007124608A (ru) Металлическая крышка для банки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US10463193B2 (en) Outdoor cookware lid comprising suction handle
ES2886845T3 (es) Cierre con tapa cobertora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KR20100012828U (ko) 용기 커버
WO2007148853A1 (en) Easy opening airtight container
KR200459530Y1 (ko) 착탈식 일체형 캡
KR20080004792U (ko) 조리용기용 뚜껑의 패킹구조
CN109310578A (zh) 用于饮用瓶的盖
US8827096B1 (en) Combination paint can and non-splash lid which eliminates the sump area at the top of the paint can and provides a mating recess on the bottom of the paint can to facilitate stacking one paint can on top of another paint can
CN109452878B (zh) 蒸汽阀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08784430U (zh) 一种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