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297Y1 -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297Y1
KR200436297Y1 KR2020060027958U KR20060027958U KR200436297Y1 KR 200436297 Y1 KR200436297 Y1 KR 200436297Y1 KR 2020060027958 U KR2020060027958 U KR 2020060027958U KR 20060027958 U KR20060027958 U KR 20060027958U KR 200436297 Y1 KR200436297 Y1 KR 200436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auxiliary
rods
lighting
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래
Original Assignee
백승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래 filed Critical 백승래
Priority to KR2020060027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2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3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cylindrical faces, e.g. rod lenses, toric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8Combination of two or more successive refractors along an op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투명막대(108)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보조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전등(102)이 조명장치 본체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보조전등을 잇는 선상에 한 쌍의 대향하는 투명 막대 고정구(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막대 고정구에는 각각 복수의 투명막대(108)를 관통시켜 잡아주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투명막대 고정구의 복수의 관통공을 복수의 투명막대가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투명막대가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이탈방지구(106)가 투명막대 양측 끝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보조전등이 점등되면, 상기 보조전등에서 방사되는 보조 조명이 상기 복수의 투명막대를 거쳐 발광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투명막대, 보조조명

Description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A lamp device with transparent bars for auxiliary illumin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분해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관한 설명>
100 : 투명 막대 고정구 102 : 보조전등
104 : 관통공 106 : 이탈방지구
108 : 투명막대
본 고안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명장치 특히 방등의 경우에 밝은 조명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약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제조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약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등 커버 안 쪽에 밝은 조명을 제공하는 메인 램프 옆에 작은 보조 전구 예를 들면 꼬마전구를 포함하여 원하는 경우 보조 전구를 점등하여 보조 조명을 얻을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보조 조명의 경우는 밝기가 약하기 때문에 메인 전등에 필요한 등기구 커버를 거쳐서 조명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즉 보조 조명의 경우 완전히 개방된 직접 조명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메인 조명보다 덜 간접적인 조명을 하여도 눈부심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메인 전등을 위한 등기구 커버를 거치지 않고 이와는 별도의 등기구 커버역할을 하는 물체를 통하여 조명할 수 있다. 즉, 보조 조명의 경우 메인 전등과는 분리되어 등기구 커버 외측에 장착되어 다양한 조명 효과를 갖게 할 수 있으나 종래 이러한 보조 조명을 이용하여 은은하고 장식적인 조명 기법에 의한 조명을 제공하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이러한 투명막대이 직접 조명을 막아주는 등기구 커버의 기능을 하게 하고 일렬로 배치된 투명막대의 외주면에서 반사 또는 투과되면서 투명막대의 외주면을 거쳐 보조 조명의 빛이 방사되게 하여 보다 다양하고 장식적인 느낌이 살아나면서 적은 조도로 효과적인 보조 조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복수의 투명막대(108)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보조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전등(102)이 조명장치 본체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보조전등을 잇는 선상에 한 쌍의 대향하는 투명 막대 고정구(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막대 고정구에는 각각 복수의 투명막대(108)를 관통시켜 잡아주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투명막대 고정구의 복수의 관통공을 복수의 투명막대가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투명막대가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이탈방지구(106)가 투명막대 양측 끝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보조전등이 점등되면, 상기 보조전등에서 방사되는 보조 조명이 상기 복수의 투명막대를 거쳐 발광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전등(102)이 조명장치 본체(10)의 일면에 고정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사각형상의 천정직착등의 본체의 테두리 부분에 복수의 보조전등이 결합되어 있다. 보조전등으로는 소위 꼬마전구라고도 불리는 소형의 전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LED 램프 등 램프의 종류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사각형상의 천정직착등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이다. 한편, 복수의 보조전등을 잇는 선상에 한 쌍의 대향하는 투명막대 고정구(100)가 본체 일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 본체의 후면에서 나사(101)를 박는 등의 방법으로 투명막대 고정구를 조명장치 본체에 결합시킬 수 있다. 투명막대 고정구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투명막대(108)를 관통시켜 잡아주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10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대향하는 투명막대 고정구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시키면서 복수의 투명막대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 넣어 주는 것이다.
한편, 한 쌍의 대향하는 투명막대 고정구의 관통공을 관통한 복수의 투명막대가 한 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구(106)가 투명막대 양측 끝단측에 형성된다. 이탈방지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 본체의 후면에서 나사(103)를 체결하는 방법 등으로 조명기구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막대는 이탈방지구에 걸리게 되어 외부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도시된 예에 의하면 사각형상의 천정직착등의 일면의 네 개의 테두리 각각에 세 개의 보조전등이 형성되어 있고 네 개의 테두리 각각에 또한 두 개의 투명막대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각각 일곱 개의 투명막대가 결합되어 있다. 즉, 보 조 전등에서 방사되는 빛은 복수의 투명막대로 입사되어 투명막대의 외주면에서 일부 반사되고 일부 투과되면서 대부분 투명막대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방사되게 된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복수의 투명막대 전체를 통해 은은한 조명이 이루어지는 탁월한 조명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복수의 투명막대는 단지 일렬로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섯 개의 투명막대는 일렬로 형성되나 두 개의 투명막대는 결합높이를 달리한다. 즉,
Figure 112006074792436-utm00001
자 형태로 투명막대가 형성되어 보조 전등을 감싸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보조 전등에서 방사되는 빛이 직접 외부로 나가는 것을 보다 철저히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시 태양 중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와 등가물, 균등물을 포함함을 밝혀 둔다.
본 고안은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이러한 투명막대가 직접 조명을 막아주는 등기구 커버의 기능을 하게 하고 일렬로 배치된 투명막대의 외주면에서 반사 또는 투과되면서 투명막대의 외주면을 거쳐 보조 조명의 빛이 방사되게 하여 보다 다양하고 장식적인 느낌이 살아나면서 적은 조도로 효과적인 보조 조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복수의 투명막대(108)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보조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전등(102)이 조명장치 본체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보조전등을 잇는 선상에 한 쌍의 대향하는 투명 막대 고정구(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막대 고정구에는 각각 복수의 투명막대(108)를 관통시켜 잡아주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투명막대 고정구의 복수의 관통공을 복수의 투명막대가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투명막대가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이탈방지구(106)가 투명막대 양측 끝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보조전등이 점등되면, 상기 보조전등에서 방사되는 보조 조명이 상기 복수의 투명막대를 거쳐 발광되며,
    상기 복수의 투명막대 중 일부는 결합높이를 달리하여 결합됨으로써
    Figure 112007019484692-utm00006
    자 형태로 상기 보조 전등을 감싸게 상기 조명장치 본체 일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
  2. 삭제
KR2020060027958U 2006-10-17 2006-10-17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조명장치 KR200436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58U KR200436297Y1 (ko) 2006-10-17 2006-10-17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58U KR200436297Y1 (ko) 2006-10-17 2006-10-17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297Y1 true KR200436297Y1 (ko) 2007-07-23

Family

ID=4163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958U KR200436297Y1 (ko) 2006-10-17 2006-10-17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2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70107T1 (de) Leuchte, insbesondere hängleuchte, mit einem ersten und einem zweiten licht-abstrahlbereich
CA2880081C (en) Path light and unitary gasket-reflector
KR101208167B1 (ko) 엘이디 간접 조명식 천정등
EP2392854A3 (de) Leuchte zur Erzeugung einer veränderbaren indirekten Beleuchtung
KR200436297Y1 (ko) 복수의 투명막대를 사용하여 보조 조명을 제공하는조명장치
KR20140120088A (ko) 천장직착식 led조명등기구
KR101555091B1 (ko) 다방향 조사수단이 구비된 엘이디 조명등
KR200385055Y1 (ko) 엘이디에 의한 보조발광부를 갖는 조명등
KR100998557B1 (ko) 직간접 조명용 엘이디 조명기구
JP2006225071A (ja) エレベータかご室の照明装置
KR20120000729U (ko) 천장용조명등
DE202009017585U1 (de) LED-Einbauleuchte mit Reflexionsplatte
WO2007023261A3 (en) A lamp
JP2016091855A (ja) 照明器具
JP2005158546A (ja) 照明装置
KR101200812B1 (ko) 조사방향 가변형 엘이디 조명등기구
KR200413249Y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2649152B1 (ko)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지지용 조립체
KR101361261B1 (ko) 엘이디용 렌즈장치
KR101283547B1 (ko) 회전가능한 플러그를 구비한 조명등기구 연결장치
KR20100013001U (ko) 스탠드형 조명기구
JP6501203B2 (ja) 照明装置
KR200359276Y1 (ko) 다면 렌즈를 갖는 장식용 조명기구
KR200356258Y1 (ko) 조명기구
KR101667698B1 (ko) 천장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