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110Y1 - Table having impinger - Google Patents

Table having impi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110Y1
KR200436110Y1 KR2020060030544U KR20060030544U KR200436110Y1 KR 200436110 Y1 KR200436110 Y1 KR 200436110Y1 KR 2020060030544 U KR2020060030544 U KR 2020060030544U KR 20060030544 U KR20060030544 U KR 20060030544U KR 200436110 Y1 KR200436110 Y1 KR 200436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collecting means
suction ho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5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장묵
조은숙
정찬웅
김도윤
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2020060030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11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11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2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clean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01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devices for laying, clearing, cleaning, or the like, a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세 먼지가 발생하는 작업장에 사용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문서 등을 기록, 편집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된 수납함 내부에 수납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장치와; 그리고 상기 수납함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된 개구를 통해서 인출되며, 상기 집진장치에 마련된 흡입공과 연결되는 집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은 문서 등을 기록, 편집작업을 수행하면서 테이블에 구비된 집진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used in a workplace where fine dust is generated, the main body provided with a work space for recording and editing documents, etc .;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x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ucking ai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ust collecting means which is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provided in the dust collecto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use the dust collector provided on the table while recording and editing documents and the lik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while increasing work efficiency.

미세먼지, 오래된 기록물, 집진장치, 테이블 Fine dust, old records, dust collector, table

Description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Table having impinger}Table with dust collector {Table having imping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집진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dust collector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집진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or of FIG. 1;

도 4는 도 3의 집진장치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of FIG. 3;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테이블에서 집진수단을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means in a table having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집진수단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6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means in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7은 도 6의 집진수단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7 is a view of the dust collecting means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본체 110 : 수납함100: main body 110: storage box

200 : 집진장치 210 : 블로어(blower)200: dust collector 210: blower (blower)

221 : 1차 필터 222 : 2차 필터221: primary filter 222: secondary filter

230, 231 : 흡음판 300, 400 : 집진수단230, 231: sound absorption plate 300, 400: dust collecting means

250, 430 : 집진호스250, 430: Dust Collecting Hose

본 고안은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문서 등 오래된 기록물을 통해 오염되어 미세 먼지가 항상 존재하는 작업장에 설치되어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문서 등 오래된 기록물의 보존 처리 중 미세 먼지 제거 작업을 병행할 수 있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having a dust collector.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in a workplace where fine dust is always present because it is contaminated through old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so that fine dust can be removed,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that can perform fine dust removal work during preservation processing of old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It is related to a table provided.

일반적으로, 테이블 또는 책상에 앉아서 고문서 등 오랜된 기록물을 보거나 기록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문서들 사이에 존재하는 미세한 먼지들이 테이블에 쌓이게 되고, 이들 미세 먼지들은 책장을 넘기거나 테이블에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도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작업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서 작업자에게 흡입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된다.In general, when sitting at a table or desk and viewing or recording old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fine dusts existing between the documents accumulate on the table, and these fine dusts may cause small impacts to turn over the bookshelf or to the table. Edo also diffuses into the air and is inhaled by the worker through the mouth or nose of the worker to harm the health of the worker.

특히 오래된 고문서의 내용을 기록하는 국가기록원 등과 같은 경우에는 고문서 등 오래된 기록물의 보관 상태에 따라서 고문서에 잔존하는 미세 먼지의 양은 작업자의 호흡이 곤란할 정도에 육박한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마스크 등의 보호장비를 갖추고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서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저하되며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National Archives, which records the contents of old documents, the amount of fine dust remaining in old documents can be difficult for workers to breath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storing old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For this reason, the worker has no choice but to perform the work with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a mask, and thus,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is lowered and the health of the worker is deteriorated.

종래에는 가정용 청소기 등을 사용하여 청소를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테이블 위에 쌓여진 미세먼지를 제거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미세먼지가 테이블에 쌓여 눈으로 확인되어야 청소를 하기 때문에 여전히 미세먼지로 인한 위험성이 존 재하는 등 근본적인 미세먼지 제거 방법이 될 수 없다. 또한 위 종래의 방법은 문서 기록 작업 중 책장을 넘길 때 발생하는 미세 먼지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ly, the dust is accumulated on the table using a method such as cleaning using a household cleaner, etc. This method is still a risk of fine dust because fine dust is accumulated on the table to be cleaned with eyes It cannot be a fundamental method of removing fine dust.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that can not prevent the fine dust generated when turning the bookshelf during the document recording work.

이러한 고문서 등 오랜된 기록물을 기록, 편집하는 작업 중에 발생하는 미세 먼지를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Research has been needed to properly remove the fine dust generated during the recording and editing of old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본 고안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필요시 손쉽게 사용하여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테이블 전체의 공간에 대해서 사용이 가능한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by this necessit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table equipped with a dust collector that can be used by the operator to easily remove the fine dust when needed, the space for the entire table.

아울러 본 고안은 테이블에 구비된 집진장치에 대해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사무용 공간 특히 오래된 기록물 등을 관리, 처리하는 작업장(사무 공간)에 집진장치 사용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환경을 해치지 않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noise of the dust collector provided on the table to minimize the noise caused by the dust collector used in the workplace (office space) to manage and process office space, especially old records,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that does not harm the environment.

아울러 본 고안은 고문서 등 오래된 기록물을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미세먼지를 흡입할 경우 작업 중인 문서가 흡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2중 필터를 채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로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inhalation of old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so that the working document is not sucked when inhaling fine dust, and at the same time, a double filter is used to remove fine dust with higher efficienc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bl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미세 먼지가 발생하는 작업장에 사용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고문서 등 오래된 기록물을 기 록, 편집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된 수납함 내부에 수납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장치와; 그리고 상기 수납함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된 개구를 통해서 인출되며, 상기 집진장치에 마련된 흡입공과 연결되는 집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은 문서 등을 기록, 편집작업을 수행하면서 테이블에 구비된 집진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used in a workplace where fine dust is generated, and a main body provided with a work space for recording and editing old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x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ucking ai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ust collecting means which is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provided in the dust collecto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use the dust collector provided on the table while recording and editing documents and the lik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while increasing work efficiency.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집진장치는: 내부에 전원공급에 의해서 작동되는 모터에 의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와 집진장치의 흡입공 사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1차 필터와; 그리고 상기 1차 필터의 후방에 마련되어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2차 필터를 구비하며, 아울러 블로어의 후방에 흡음재가 부착된 흡음판을 복수개 구비하되, 상기 흡음판들에 의해서 블로어로부터 나온 공기의 배출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은 복수개의 필터에 의해서 미세먼지를 제거하며, 아울러 복수개의 흡음판에 의해서 블로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충분히 흡음판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wer for sucking air by a motor operated by a power supply therein; A primary filter provid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suction hol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primarily; And a secondary filt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rimary filter to filter out fine dust, and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plates having sound absorbing material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blower, where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from the blower is changed by the sound absorbing plates. It is characterized by. With this configuration, the table with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fine dust by a plurality of filters, and further reduce the noise by mak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by the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plates sufficiently contact the sound absorbing plates. .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집진수단을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집진수단과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들과; 그리고 상기 집진수단에 형성된 공기흡입홀을 상기 집진장치에 마련된 흡입공에 연결하는 집진호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집진수단을 테이블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래된 기록물 등의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흡입하는데 효과 적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ust collecting means to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link members connecting the dust collecting means and the fixing member; And a dust collecting hose for connecting the air suction hole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means to the suction hole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With this arrangement, the dust collecting means can be fixed to the table and used, so that it is effective to suck in the fine dust that frequently occurs whenever turning pages such as old record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집진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집진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집진장치의 단면도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tabl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with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dust collector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dust collector of Figure 1, Figure 4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of FIG. 3.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은,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집진장치(200), 그리고 테이블의 상부의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집진수단(30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00)는 고문서 등 오래된 기록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부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공간은 문서를 보고 기록 작업을 할 수 있는 컴퓨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일측에 고정결합된 수납함(110)을 구비한다. 상기 수납함(110)은 전방으로 개폐되는 도어(120)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 상기 집진장치(200)가 수납된다. 상기 수납함(110)의 상부는 본체(100)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서 집진장치(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납함(110)의 상부는 추가적인 작업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납함(110)의 상부에는 소정위치에 개구(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130)는 개폐판(140)에 의해서 개폐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개폐판(140)은 일측이 개구(130)의 일측 모서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tabl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dust collecting device 200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and dust collecting means for suctioning fine dus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able. 300. The main body 100 has an upper space on which old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can be placed, and the upper space may be provided with a computer for viewing and recording a document. The main body 100 has a holder 110 fixedly coupled to one side. The holder 110 has a door 120 that opens and closes forwardly, and the dust collector 200 is accommodated t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110 maintains the same height as the main body 100, and if the dust collector 200 is not used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110 can be used as an additional workspace. An opening 1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box 110, and the opening 130 is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140. To this e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4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with one side edge of the opening 130.

도 1은 수납함(110)의 도어(120)를 개방한 상태에서 집진장치(200)를 전방으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집진장치(200)는 수납함(100)의 내측으로 수납 되고 도어(120)를 닫은 상태에서 사용된다.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is pulled out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20 of the storage box 110 is opened, but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box 100 and the door 120 is pulled out. ) Is used in a closed stat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함(110)에 수납되는 집진장치(200)는 전기공급에 의해서 가동되는 모터(211)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211)의 회전에 의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210, blower)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어(210)의 전방(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는 필터함(2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함(220)은 블로어(210)와 연통되어 있다. 2 to 4, the dust collector 200 accommodated in the holder 110 includes a motor 211 that is operated by an electric supply, and sucks air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211. A blower 210 is included. A filter box 22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lower 210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introduced), and the filter box 22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210.

상기 필터함(220)은 덮개(223)에 의해서 개폐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필터함(220)의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 중 크기가 큰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1차 필터(221)와, 1차 필터(221)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2차 필터(222)가 설치된다. 상기 1차 필터(221) 및 2차 필터(222)는 상기 필터함(22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있을 경우 교체가 용이하다. The filter box 22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223. Inside the filter box 220, the primary filter 221 that primarily filters the large foreign matter in the inhaled air, and the two to filter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imary filter 221 The secondary filter 222 is installed. Since the primary filter 221 and the secondary filter 222 ar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lter box 220, it is easy to replace the filter when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filter.

상기 2차 필터(222)는 헤파필터(HEPA Filter :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ing Filter)이다. 헤파필터는 미국 원자력 위원회(US AEC)에 의하여 만들어진 정화기준인 0,3㎛까지의 미세 먼지를 99.97%이상의 크기도 95%이상 제거할 수 있는 필터이다. 헤파필터는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대부분의 미립자들은 통과할 수 없도록 그물과 같은 구조를 가지도록 유리섬유를 압축시켜 제작한 것으로 포집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주름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주름형상의 공간을 지지하기 위해서 필라멘트로 접착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헤파필터는 미세 먼지뿐만 아니라, 꽃가루, 각종 박테리아, 유해 바이러스, 곰팡이, (동물) 비듬, 라돈 파 생물, (담배)연기 등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미세한 박테리아균이나 바이러스 등은 헤파필터에 의해서 걸러져 수분 부족으로 죽게 된다. The secondary filter 222 is a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ing Filter). HEPA filter is a filter that can remove more than 99.97% in size and 95% or more of fine dust up to 0,3㎛ which is purifying standard made by US AEC. HEPA filter is made by compressing glass fiber to have a net-like structure to pass air but most of fine particles cannot pass. It takes pleat shape to widen the collecting area and supports pleat space inside. It has a structure to be bonded by filament. Hepa filter has the function of collecting and removing pollen, various bacteria, harmful viruses, fungi, (animal) dandruff, radon wave organisms, and (smoke) smoke as well as fine dust. In addition, microscopic bacteria and viruses are filtered out by the HEPA filter and die due to lack of moisture.

상기 블로어(210)의 작동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1차 필터(221) 및 2차 필터(222)에 의해서 2중으로 걸러지며, 2차 필터(222)로서 헤파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통과한 공기 내에는 미세 먼지 등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포함되지 않는다. 그 결과 작업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ir sucked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210 is filtered twice by the primary filter 221 and the secondary filter 222, and because the HEPA filter is used as the secondary filter 222, Air does not contain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s a result, a comfortable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worke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블로어(210)의 후방에는 두개의 흡음판(230, 2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음판(230, 231)의 전방측에는 다공질의 흡음재(230a, 231a)가 부착되어 있다. 다공질의 흡음재(230a, 231a)는 표면과 내부에 작은 기포 또는 가는 관 모양의 구멍이 많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속의 공기가 음파에 의해서 진동하고 이때 생긴 마찰 때문에 소리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어 흡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블로어(210)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흡음판(230, 231)을 통과하면서 흡수되며, 흡음판(230, 231)의 흡음 성능은 흡음재(230a, 231a)에 형성되는 다공질의 정도와 재료의 두께에 따라서 달라진다. 3 and 4, two sound absorbing plates 230 and 231 ar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lower 210.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s 230a and 231a are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sound absorbing plates 230 and 231. The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s 230a and 231a have a lot of small bubbles or thin tubular holes formed on the surface and inside thereof. The air in the holes vibrates by sound waves, and the sound energy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nd absorbed by the friction generated at this time. By this configuration, the noise generated by the blower 210 is absorb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ound absorbing plates 230 and 231, and the sound absorbing performance of the sound absorbing plates 230 and 231 is based on the degree of the porous material and the material formed 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s 230a and 231a. It depends on the thickness.

아울러 상기 흡음판 중 전방에 위치하는 흡음판(230)은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 단면이 상부가 차단되고 하부가 관통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후방에 위치하는 흡음판(231)은 상부가 관통되고 하부가 차단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블로어(210)를 통과한 공기는 전방에 위치한 흡음판(230)에 부딪쳐 1차적으로 흡수됨과 동시에 하부로 그 방향이 바뀌게 되고 이후 전방의 흡음판(230)과 후방의 흡음판(231)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면서 상부로 이동하며, 후방의 흡음판(231)에 의해 서 2차적으로 흡수된다. 이후 다시 하부로 후방의 흡음판(231)의 후면을 따라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집진장치(200)의 후방에 형성된 배출구(26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은 적어도 2번 정도 바뀌게 되어 속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서 흡음판(230, 231)을 저속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다공질 흡음재(230a, 231a)와 충분히 접촉함으로써 흡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 장치는 배출구(26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한 소음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ound absorbing plate 230 located in the front of the sound absorbing plate has a structure in which its upper end is blocked and the lower part is penetrated, as shown in FIG. Has a blocked structure. Therefo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ower 210 is first absorbed by the sound absorbing plate 230 located in the front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to the lower side and then the passage between the front sound absorbing plate 230 and the rear sound absorbing plate 231 It moves upward while passing, and is secondarily absorbed by the rear sound absorbing plate 231. Thereafter, while moving downward along the rear side of the rear sound absorbing plate 231 to the lower sid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0 formed at the rear of the dust collector 200. Therefor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is changed at least twice so that the speed is lowered, and thus the sound absorbing plates 230 and 231 pass through the sound absorbing plates 230 and 231 at low speed, so that the sound absorb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sufficiently contacting the porous sound absorbing materials 230a and 231a. . As a result,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60 sufficiently, so as not to inconvenience the operator.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는 이상과 같이 2중으로 필터구조와 2중의 소음방지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고문서등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Since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double filter structure and a double noise preven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especially for workers working in a dusty working environment such as old documents.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테이블에서 집진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1차 필터(221)의 전방측의 필터함(220) 상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24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흡입공(240)에는 집진호스(250)의 단부가 끼워져 있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집진호스(250)는 상기 수납함(11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된 개구(130)를 통해서 인출되며, 인출되는 집진호스(250)의 단부에는 집진수단(300)이 마련된다. 상기 집진호스(250)는 신축 가능한 주름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신장된 경우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집진수단(300)이 테이블의 상부의 전 영역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5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means in a table having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a suction hole 240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s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x 220 on the front side of the primary filter 221. An end of the dust collecting hose 250 is fitted into the suction hole 240. As shown in FIG. 5, the dust collecting hose 250 is drawn out through an opening 130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110, and a dust collecting means 300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dust collecting hose 250 to be drawn out. Is provided. The dust collecting hose 250 has a stretchable corrugation shape and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ing hose 250 may have a length at which 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can move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able.

상기 집진수단(300)은 상기 수납함(110)의 개구(130)를 개폐하는 개폐 판(14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개폐판(140)의 하부면에서는 좌우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걸림부재(1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141)는 스프링 등의 탄성에 의해서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집진수단(300)이 상기 걸림부재(141) 사이에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서 걸림부재(141)가 집진수단(300)을 고정시키게 된다. 사용시에는 작업자가 집진수단(300)을 걸림부재(141)로부터 인출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141)가 좌우 방향으로 벌려지게 되어 용이하게 집진수단(300)을 인출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30 of the holder 110.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5, a locking member 141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40 so as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side to side. The locking member 141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elasticity such as a spring. When 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is inserted between the locking members 141, the locking member 141 fixes 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by an elastic force. In use, when the worker pulls out 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from the locking member 141, the locking member 141 is ope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can be easily taken out.

상기 집진수단(300)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걸림부재(141)에 걸려지는 걸림부(310)와, 상기 걸림부(310)로부터 단면이 확장되어 연장되는 공기흡입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흡입부(320)의 개구단부 주위에는 먼지나 이물질을 쓸어 낼 수 있는 솔(3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부(320)의 개구단부에는 일정한 격자구조를 가지는 문서흡입방지판(3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문서흡입방지판(322)의 금속재의 격자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공기 등은 통과할 수 있으나, 문서나 문서로부터 찢겨 떨어진 문서 조각 등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집진장치(200)의 동작 중에 문서 등이 공기흡입구(320)를 통해서 집진장치(200)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5, 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includes a catching part 310 that is caught by the catching member 141 and an air suction part 320 which is extended in cross section from the catching part 310. Equipped. A sole 321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end of the air suction unit 320 to sweep out dust or foreign matter. In addition, the document suction plate 322 having a predetermined lattice structure is provided at the opening end of the air suction unit 320. The document suction prevention plate 322 has a metal grid structure and may pass through the air, but preferably has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suction of the document or a document torn apart from the document. By such a configuration, documents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being sucked into the dust collector 200 through the air suction port 32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200.

상기 집진장치(20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미도시)는 집진장치(200)의 정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집진수단(30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집진수단(30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집진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의 위치는 당업계의 종래기술수준에서 설계변경에 의해서 충분히 설계 변경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 switch (not shown) for operating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or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When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Since the position of the switch can be sufficiently changed by the design change in the prior art level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테이블의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업자가 고문서 등의 기록 작업을 수행하면서 미세먼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수납함(110)의 상부에 설치된 개폐판(140)을 개방시키고 상기 개폐판(140)의 하면에 고정된 걸림부재(141)로부터 집진수단(300)을 인출한다. 인출된 집진수단(300)의 공기흡입부(320)를 대상물 근처로 위치시킨 다음 스위치(미도시)를 온시키게 되면 집진장치(200)의 모터(211)가 작동하게 된다. 모터(211)의 작동에 의해서 블로어(210)가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대상물 주위의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함께 흡입된다. Hereinafter, the effect | action of the structure of the table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hen the operator needs to remove fine dust while performing a recording operation such as an old documen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4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110 is opened and the locking member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40 ( 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is withdrawn from 141. When the air suction unit 320 of the collected dust collecting means 300 is positioned near an object, and then a switch (not shown) is turned on, the motor 211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operates. When the blower 210 inhales air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211,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round the object are sucked together.

흡입된 공기는 집진장치(200)의 필터함(220) 내에 설치된 1차 필터(221) 및 2차 필터(22)를 거치면서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이후 배출구(26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260)를 통과하지 전에 공기는 흡음판(230, 231)을 통과하면서 소음이 저감된다. The sucked air is filtered through the primary filter 221 and the secondary filter 22 installed in the filter box 220 of the dust collector 200, and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fine dust are filtered out, and then through the outlet 26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efore passing through the outlet 260, the air passes through the sound absorbing plates 230 and 231, and noise is reduced.

도 6은 본 고안에 따르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집진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집진수단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은 집진장치 중 집진수단이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는 것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집진수단(400)은 고정부재(410)에 연결되며, 고정부재(410)가 본체(100)의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본체(10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410)는 작업자가 테이블의 모서리에 수동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410)와 집진수단(400)은 복수개의 링크부재들(420 : 420a, 420b, 420c, 420d)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들(420)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집진수단(400)은 소정 범위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6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means in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of the dust collecting means of Figure 6 seen from below. The table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dust collector has a structur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able. As shown in FIG. 6,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410, and the fixing member 41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0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e fixing member 410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operator to manually fix to the corner of the table. The fixing member 410 and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link members 420: 420a, 420b, 420c, and 420d. Since the link members 42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may mov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in a predetermined rang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집진수단(400)은 원추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에 공기흡입홀(4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흡입홀(431)은 집진호스(430)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집진호스(430)는 수납함(110)에 수납된 집진장치(200)의 흡입공(240)과 연결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집진수단(400)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집진호스(430)가 연결되는 공기흡입홀(431)은 문서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격자 구조의 문서흡입방지판(432)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집진수단(400)은 고정부재(410)에 의해서 본체(100)에 소정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문서 등을 상기 집진수단(400)의 하부에 위치시켜 미세 먼지를 흡입하는데 적합하다. 즉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수단은 사용시마다 집진수단을 사용자가 들고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페이지 마다 미세 먼지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고문서를 기록하는 기록작업을 할 경우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집진장치를 가동시키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집진수단(400)과 같이, 테이블의 일정 위치 즉 고문서 등의 상부에 집진수단(400)을 고정시키고 항상 미세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has a conical shape, and an air suction hole 43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air suction hole 431 is connected by a dust collecting hose 430. The dust collecting hose 43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240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x 110 (see FIGS. 1 and 2). As shown in FIG. 7,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includes an air suction hole 431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hose 430 is connected, and has a document suction prevention plate 432 having a lattice structure for preventing document suction. Since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0 by a fixing member 41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suitable for the operator to place a document or the like below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to suck fine dust. That is, the dust collecting means shown in Figs. 1 to 5 has to use the dust collecting means every time the user uses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every time the page is turned over when recording the old document containing a lot of fine dust per page Running can be inconvenient. In this case, as in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shown in Figs. 6 and 7, by removing the inconvenience by fixing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able,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old document and the like and always suck fine dust. can do.

또한 상기 링크부재(420)는 집진수단(400)을 지지하면서 소정 범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임의적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집진수단(40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ink member 420 can move a predetermined range while supporting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an operator can arbitrari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dust collecting means 400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아울러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공기흡입홀(431) 주위에 조명기구(440) 등을 배치하고 이를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함께 병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고문서의 기록 작업시 스탠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세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the lighting apparatus 440 may be disposed around the air suction hole 43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reby enabling the lighting function to be parallel. By this configuration, the fine dust can be sucked at the same time as the stand function is performed during the recording of the old document.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테이블에 집진장치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서 기록작업을 병행하면서 미세먼지를 제거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on the table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use it to remove fine dust while performing a document recording work in parallel.

본 고안은 복수개의 필터를 사용하며, 아울러 복수개의 흡음판을 사용함으로써 미세먼지의 제거 및 소음 제거에 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문서작업을 병행하는 작업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urality of filters, and in addition, by using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plat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e removal of fine dust and noise, thus provid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 operator who works in parallel.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테이블 본체에 고정되며 고문서의 상부에 위치하여 고문서의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연속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table body to be located on the top of the document to be able to continuously inhale the fine dust generated each time turning the page of the document.

Claims (9)

문서 등을 기록, 편집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마련된 본체와;A main body provided with a workspace for recording and editing documents and the like;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된 수납함 내부에 수납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장치와; 그리고A dust collecting devic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x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ucking air; And 상기 수납함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된 개구를 통해서 인출되며, 상기 집진장치에 마련된 흡입공과 연결되는 집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And a dust collecting means which is drawn out through an opening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and connected to a suction hole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집진장치는:The dust collector is: 내부에 전원공급에 의해서 작동되는 모터에 의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와;A blower for sucking air by a motor operated by a power supply therein; 상기 블로어와 집진장치의 흡입공 사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1차 필터와; 그리고A primary filter provid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suction hol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primarily; And 상기 1차 필터의 후방에 마련되어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2차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And a secondary filter disposed behind the primary filter to filter out fine dus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집진장치는, 블로어의 후방에 흡음재가 부착된 흡음판을 복수개 구비하 되, 상기 흡음판들에 의해서 블로어로부터 나온 공기의 배출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The dust collec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plate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blower, the sound absorbing plate is provided with a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from the blower is changed by the sound absorbing plat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집진수단은 상기 수납함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에 구비되는 걸림부재에 걸려지는 걸림부와, 그리고 걸림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공기흡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The dust collecting means has a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atching portion caught by a catching member provi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box, and the air su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catching portion. tabl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집진수단의 공기흡입부의 개구단부에는 격자구조를 가지는 문서흡입방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And a document suction preventing plate having a lattice structure is installed at an opening end of the air suction uni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집진수단의 공기흡입부의 개구단부 주위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Table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e protruding to a certain height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end of the air suction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집진수단은 집진장치의 흡입공과 연결되는 집진호스를 구비하며 집진호스는 신축가능한 주름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The dust collecting means has a dust collecting hose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the dust collecting hose is provided with a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stretchable wrinkl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집진수단을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ust collecting means to the main body; 상기 집진수단과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링크부재들과; 그리고A plurality of link members connecting the dust collecting means and the fixing member; And 상기 집진수단에 형성된 공기흡입홀을 상기 집진장치에 마련된 흡입공에 연결하는 집진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And a dust collecting hose for connecting the air suction hole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means to the suction hole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집진수단은 공기흡입홀 주위에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The dust collecting means has a table having a dus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ght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round the air suction hole.
KR2020060030544U 2006-11-28 2006-11-28 Table having impinger KR2004361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544U KR200436110Y1 (en) 2006-11-28 2006-11-28 Table having impi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544U KR200436110Y1 (en) 2006-11-28 2006-11-28 Table having impi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110Y1 true KR200436110Y1 (en) 2007-05-29

Family

ID=4163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544U KR200436110Y1 (en) 2006-11-28 2006-11-28 Table having impi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11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207B1 (en) 2017-08-01 2017-12-14 오재순 Table with local ventilator
KR101858901B1 (en) * 2017-05-31 2018-06-27 우승현 dust collec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901B1 (en) * 2017-05-31 2018-06-27 우승현 dust collection system
KR101809207B1 (en) 2017-08-01 2017-12-14 오재순 Table with local venti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2453B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100880492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JP6336063B2 (en) Dust container
US20110219579A1 (en) Suction motor housing for an upright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2010214775B2 (en) Vacuum filtration system
KR20090080228A (en) A dust collecting table
KR20140118434A (en) Industrial vacuum cleaner
CN206809949U (en) A kind of dust exhaust apparatus for forming machine automatic filtering net cleaning system
KR200436110Y1 (en) Table having impinger
JP5860334B2 (en) Animal rearing safety cabinet
CN208497185U (en) A kind of timber cutter device
CN106881964B (en) A kind of printer housing
CN215658466U (en) Dust protected laser engraving device
KR101282536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 cleaner
CN220388792U (en) Prevent fire door processing with clear bits structure
CN214390458U (en) High-speed paper cutter convenient to collect shredded paper
JP6850409B2 (en) Air cleaner
KR102616445B1 (en) A vacuum cleaner
CN217659640U (en) Adsorption type household water and oil absorption carpet equipment
CN214209028U (en) Oral treatment suction machine with filter equipment
CN212165717U (en) Dust collector mite removing brush upper cover capable of improving mite removing effect
CN208952282U (en) A kind of low noise Mobile air purifying unit
CN220937905U (en) Handheld dust collector with integrated filter assembly
CN215658344U (en) Environment-friendly numerical control gantry flame cutting machine
CN210450219U (en) Air cleaning device convenient to collect fine 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