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975Y1 - 꺾었다 펴지는 볼펜 - Google Patents

꺾었다 펴지는 볼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975Y1
KR200435975Y1 KR2020060021772U KR20060021772U KR200435975Y1 KR 200435975 Y1 KR200435975 Y1 KR 200435975Y1 KR 2020060021772 U KR2020060021772 U KR 2020060021772U KR 20060021772 U KR20060021772 U KR 20060021772U KR 200435975 Y1 KR200435975 Y1 KR 200435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cam
nib
knoc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덕호
Original Assignee
전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덕호 filed Critical 전덕호
Priority to KR2020060021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9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9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2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with a deformabl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flicking 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꺾었다 펴지는 볼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시나 업무시에 사용되는 볼펜을 필기자세에서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용해 펜대에 형성된 펜대경사부를 가압해주면 상기 펜대의 펜대경사부가 일정각도 회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펜심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꺾었다 펴지는 볼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 끝단에 볼펜팁출몰부가 형성되고, 후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하부펜대(2)에 결합되는 전방캡; 내측 전방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캡에 형성된 수나사와 조립이 되고, 내측에 형성된 녹크걸림돌기와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 그리고 타측인 상부펜대(9)와 연결될 펜대연결부홀. 그리고 이동캠의 수직운동을 안내하게 되는 이동캠안내면과 펜심의 주름부를 안내하는 주름안내부가 형성되고, 부근 외측으로는 구름부(2g)와 펜대연결부면(2h)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펜대(2); 펜심의 인입이나 인출로 인해 풀림과 압축을 반복하게되는 통상의 일반볼펜 녹크스프링; 끝단에 통상의 일반적인 볼펜팁이 끼워지고, 상기 볼펜팁 후방 쪽 근방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후방부에는 주름부가 형성되어지며, 통상의 일반적인 잉크가 채워지고, 상기 녹크스프링에 상기 돌출부 전방부가 안착되는 펜심; 상기 펜심 후부 끝단으로 해서 끼울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펜심 후부 외주면을 따라가다 주름부를 지난 위치의 돌출부에 안착이 되는 이것은 외주면 전방에 로커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펜대(2) 내측의 녹크걸림돌기에 녹크되어지는 중공형 녹크캠; 상기 하부펜대(2) 내측의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에 설치되어 이동캠을 항상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이동캠리턴스프링; 전방의 외주면에 기어부와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외주면. 즉, 원기둥이 끝나는 후부 근방에는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이 안착되어지며, 상기 하부펜대(2)의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의 후단부에 안착하여 걸림이 되어지도록 이동캠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었으며 또한, 상기 하부펜대(2)의 이동캠안내면에 설치되어서 수직왕복 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캠걸림부까지 깎아질러 면이 형성되는 사각기둥형 슬라이딩면. 또한, 상기 슬라이딩면의 후단부 근방은 상기 펜심의 주름부가 굽혀져 작용할 때 신속히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름안내부가 있고, 굽혀졌을 때 미끄럼 되어서 수직운동을 이끌어내는 경사슬라이딩면이 형성된 중공형의 이동캠; 전방에 상기 하부펜대(2)와 연결해서 조립하기 위한 펜대연결부면(9b)과 펜대연결부. 그리고, 구부림 시 각도회전에 의해 미끄럼 되어지는 구름부(9a). 또, 상기 이동캠의 수직왕복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면과 경사슬라이딩면. 그리고, 상기 펜심의 주름부 손상을 막아주는 라운딩(Rounding)과 외측에는 손의 파지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동시켜 가압해 줄 때 가압되는 부위가 자연스럽게 안내되어지고, 경사가 완만한 곳이 아닌 표면이 평평한 곳에서 굴러가지 않도록 펜대경사부가 진 상부펜대(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잉크, 볼펜, 펜대, 펜심, 스프링, 녹크캠, 이동캠, 전방캡, 후방캡

Description

꺾었다 펴지는 볼펜{omitted}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꺾었다 펴지는 볼펜의 분리사시도
도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중 주름부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전 내부상태도(입체)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전 내부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진행 내부상태도(입체)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진행 내부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마무리 내부상태도(입체)
도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마무리 내부상태도
도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후 내부상태도(입체)
도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후 내부상태도
도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전 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무리작동 단면도
도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후 단면도
도1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따른 볼펜의 작동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전방캡 1a:볼펜팁출몰부 1b: 펜심안내부 1c: 녹크스프링안내부
1d: 수나사 2:하부펜대 2a:암나사 2b:녹크걸림돌기
20b:경사면 30b:녹크해제홈 40b:녹크안내홈 2c:이동캠안내면
2d:주름안내부 2e:이동캠안내면리브(Rib) 2f:펜대연결부홀 2g:구름부
2h:펜대연결부면 3:녹크스프링 4:볼펜팁 5:펜심
5a:돌출부 5b:잉크 5c:주름부 6:녹크캠
6a:로커 6b:녹크경사면 7:이동캠리턴스프링 77: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
8:이동캠 8a:기어부 8b:안내돌기 8c:슬라이딩면
8d: 경사슬라이딩면 8e:주름안내부 8f:이동캠걸림부 9:상부펜대
9a:구름부 9b:펜대연결부면 9c:펜대연결부 9d:이동캠안내면
9e:경사슬라이딩면 9f:펜심안내홀90f:라운딩(Rounding) 9g:펜대경사부
10:후방캡
삭제
본 고안은 꺾었다 펴지는 볼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시나 업무시에 사용되는 볼펜을 필기자세에서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용해 펜대경사부를 가압해주면 상기 펜대 상호간 일정각도 회동에 의해 펜심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꺾었다 펴지는 볼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노크식 볼펜은 펜대의 후방에 돌출된 가압부재를 눌러 펜심을 인출/인입하도록 되어있다. 즉, 펜대의 내부에는 녹크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힘을 가해 누르게 되면 상기 녹크부가 녹크되거나 녹크해제되어 펜심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볼펜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가압부재를 눌러 펜심을 인출시켜야 하고, 사용 후 가압부재를 다시 눌러 펜심을 인입시켜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펜심이 인출된 상태로 포켓이나 가방에 넣게되면 옷이나 기타 책 등에 잉크가 묻게되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가압부재를 누르는 대신 곧바로 상부볼펜의 펜대경사부를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 펜심이 쉽게 인출/인입되도록하고, 비사용중에 굴러가지 않으며, 상기 볼펜의 파지상태에 무리가 없도록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꺾었다 펴지는 볼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꺾었다 펴지는 볼펜은 속이 뚫린 상,하부펜대(9, 2)상호 간 서로 조립이 되고, 상기 조립된 상,하부펜대(9, 2)양단으로 전방캡과 후방캡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부펜대(2) 내측에 녹크캠과 이동캠리턴스프링. 그리고, 경사슬라이딩면을 형성하는 이동캠이 설치되어서 상기 상부펜대(9) 외주면에 형성된 펜대경사부를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용해 가압해 주게되면 상기 하부펜대(2) 내측에 설치된 상기 이동캠의 경사슬라이딩면과 상기 상부펜대(9)의 경사슬라이딩면이 미끄럼에 의해 상호 간 밀어내므로써 상기 이동캠은 수직하강되고, 그것은 상기 펜대경사부를 가압해 상호 간 일정한 각도를 이룰 시 작용하고, 상기 이동캠이 수직하강 되었을 때 상기 이동캠의 기어부에 의해 상기 녹크캠의 로커를 상기 하부펜대(2)의 녹크걸림돌기에 걸림과 풀림을 도와주므로써 볼펜팁이 끼워진 펜심을 상기 하부펜대(2)의 길이방향으로 반복안내되어 인출과 인입이 반복되는 꺾었다 펴지는 볼펜에 있어서,
일측 끝단에 볼펜팁출몰부가 형성되고, 후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하부펜대(2)에 결합되는 전방캡; 내측 전방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캡에 형성된 수나사와 조립이 되고, 내측에 형성된 녹크걸림돌기와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 그리고 타측인 상부펜대(9)와 연결될 펜대연결부홀. 그리고 이동캠의 수직운동을 안내하게 되는 이동캠안내면과 펜심의 주름부(5c)를 안내하는 주름안내부가 형성되고, 부근 외측으로는 구름부(2g)와 펜대연결부면(2h)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펜대(2); 펜심의 인입이나 인출로 인해 풀림과 압축을 반복하게되는 통상의 일반볼펜 녹크스프링; 끝단에 통상의 일반적인 볼펜팁이 끼워지고, 상기 볼펜팁 후방 쪽 근방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후방부에는 주름부(5c)가 형성되어지며, 통상의 일반적인 잉크가 채워지고, 상기 녹크스프링에 상기 돌출부 전방부가 안착되는 펜심; 상기 펜심 후부 끝단으로 해서 끼울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펜심 후부 외주면을 따라가다 주름부(5c)를 지난 위치의 돌출부에 안착이 되는 이것은 외주면 전방에 로커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펜대(2) 내측의 녹크걸림돌기에 녹크되어지는 중공형 녹크캠; 상기 하부펜대(2) 내측의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에 설치되어 이동캠을 항상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이동캠리턴스프링; 전방의 외주면에 기어부와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외주면. 즉, 원기둥이 끝나는 후부 근방에는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이 안착되어지며, 상기 하부펜대(2)의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의 후단부로 안착하여 걸림이 되어지도록 이동캠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었으며 또한, 상기 하부펜대(2)의 이동캠안내면에 설치되어서 수직왕복 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캠걸림부까지 깎아질러 면이 형성되는 사각기둥형 슬라이딩면. 또한, 상기 슬라이딩면의 후단부 근방은 상기 펜심의 주름부(5c)가 굽혀져 작용할 때 신속히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름안내부가 있고, 굽혀졌을 때 미끄럼 되어서 수직운동을 이끌어내는 경사슬라이딩면이 형성된 중공형의 이동캠; 전방에 상기 하부펜대(2)와 연결해서 조립하기 위한 펜대연결부면(9b)과 펜대연결부. 그리고, 구부림 시 각도회전에 의해 미끄럼 되어지는 구름부(9a). 또, 상기 이동캠의 수직왕복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면과 경사슬라이딩면. 그리고, 상기 펜심의 주름부(5c) 손상을 막아주는 라운딩(Rounding)과 외측에는 손의 파지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동시켜 가압해 줄 때 가압되는 부위가 자연스럽게 안내되어지고, 경사가 완만한 곳이 아닌 표면이 평평한 곳에서 굴러가지 않도록 펜대경사부가 진 상부펜대(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꺾었다 펴지는 볼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꺾었다 펴지는 볼펜의 분리사시도 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꺾었다 펴지는 볼펜은, 전방에 볼펜팁출몰부(1a)가 형성되고, 뒤쪽으로는 펜심의 인출을 위한 펜심안내부(1b)이 형성되며, 그 뒤쪽은 녹크스프링(3)을 안내하는 녹크스프링안내부(1c)가 형성되고, 전방캡(1) 외주 일측은 하부펜대(2)와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1d)가 형성된다. 중공형 상기 하부펜대(2)의 일측은 상기 전방캡(1)을 결합할 수 있도록 전방에 암나사(2a)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2a)의 뒤쪽 후부에는 녹크걸림돌기(2b)가 형성되며, 상기 녹크걸림돌기(2b)의 끝단에는 경사면(20b)이 형성됨과 아울러 다수의 안내홈(40b)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40b)의 일부는 홈이 깊게 파인 녹크해제홈(30b)이 형성되었으며, 상기 녹크걸림돌기(2b)의 뒤쪽 후부에는 이동캠(8)을 안내하는 이동캠안내면(2c)과 상기 이동캠(8)을 보호함과 동시에 보강을 위한 이동캠안내면리브(Rib)(2e)와 전방에 볼펜팁(4)이 결합되고, 후방에 돌출부(5a)가 형성되는 펜심(5)의 주름부(5c)를 안내하는 주름안내부(2d)가 형성되며, 타측 상부펜대(9)의 펜대연결부(9c)에 조립되는 펜대연결부홀(2f)이 형성되고, 상기 펜대연결부홀(2f)근방의 외주측 일측은 둥근 평면으로 깎여있는 듯한 부분으로 구름부(2g)와 펜대연결부면(2h)이 형성되었으며, 상기의 타측 상부펜대(9) 일측인 전방부와 조립된다.
또한, 상기 녹크걸림돌기(2b)와 녹크캠(6) 및 이동캠(8)의 녹크작동은 일반볼펜에서 기 공지된 것이다. 상기의 타측 상부펜대(9) 내측의 일측은 상기 하부펜대(2)의 일측으로 조립되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펜대(2)의 펜대연결부홀(2f)과 조립되어 움직이는 상기 펜대연결부(9c), 상기 하부펜대(2)의 펜대연결부면(2h)와 닿아서 조립되어 움직이는 펜대연결부면(9b), 상기 하부펜대(2)의 구름부(2g)와 닿아서 조립되어 움직이는 구름부(9a)가 형성되었으며, 자리잡은 상기 펜대연결부(9c)의 후방으로는 상기 이동캠(8)을 안내하는 이동캠안내면(9d), 상기 이동캠의 경사슬라이딩면(8d)과 상호 간 미끄럼에 의해 이동캠(8)을 밀어주는 경사슬라이딩면(9e), 펜심을 안내하는 펜심안내홀(9f). 그리고, 상기 상부펜대(9) 전방 일측의 외주면에 펜대경사부(9g)가 형성되고, 상호 간 조립되어지는 상기 하, 상부펜대(2, 9)중 상기 하부펜대(2)의 상기 녹크걸림돌기(2b)에 녹크캠(6)이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 상부펜대(2, 9)의 펜대연결부홀과 펜대연결부(2f, 9c), 구름부(2g, 9a), 펜대연결부면(2h, 9b)은 상기 하, 상부펜대(2, 9)의 상호 간 일정각도 회동 시 부드럽게 꺾이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펜대(9)의 펜대경사부(9g)는 상기 하, 상부펜대(2, 9)의 상호 간 일정각도 회동 시 부드럽게 꺾이도록 손의 파지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동시켜 가압해 줄 때 가압되는 부위가 자연스럽게 유도되는 역할을 하게되며, 자연상태로 책상 위나 표면에 놓았을 때에 굴러서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녹크캠(6)의 내부는 관통되고, 외주면의 일측에는 이동캠(8)에 형성된 기어부(8a)에 맞물리거나 이탈되도록 다수의 로커(6a)가 녹크캠경사면(6b)을 이루며 돌출형성되며, 상기 로커(6a)는 이동캠(8)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하부펜대(2) 내측에 형성된 상기 녹크걸림돌기(2b)의 경사면(20b)에 걸림되거나 걸림해제가 이루어지고, 상기 녹크캠(6)의 외주면에는 이동캠리턴스프링(7)이 설치되는 이동캠(8)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일측과 타측은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77)의 전단과 상기 이동캠(8)의 이동캠걸림부(8f) 전방에 안착되어 이동캠(8)을 항상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역할을 하게되고,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상기 녹크스프링(3)의 탄성보다 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손으로 잡고 필기를 할 때에 상기 펜대경사부(9g)부근의 회동부가 잘 꺾어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이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기어부(8a)가 있는 상기 이동캠(8)의 전방으로 끼워지는데 전방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 안내돌기(8b)의 외경보다는 크겠지만 약간의 공차가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동캠(8)의 이동캠걸림부(8f)의 전단부에 역시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타측인 후부가 안착이 된다.
상기 이동캠(8)의 전방에는 상기 기어부(8a)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8a)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상기 안내돌기(8b)가 형성되며, 후부에는 상기 이동캠(8) 일체의 일부인데 여기에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이 일측(상기 이동캠걸림부(8f)의 전방)에 안착되며, 타측은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77)의 후단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상기 이동캠걸림부(8f)가 형성 되어있고, 상기 이동캠걸림부(8f)를 지난 위쪽은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슬라이딩면(8c)이 상기 이동캠걸림부(8f)와 연결되어 있지만, 상기 이동캠걸림부(8f)의 양쪽에 걸림이 되는 부위만 제외하고는 상기 슬라이딩면(8c)과 반듯하도록 깎아질러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면(8c) 끝단에는 경사슬라이딩면(8d)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면(8c)중 일측의 한 면은 주름안내부(8e)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 상부펜대(2, 9)의 상호 간에 의한 상기 펜대경사부(9g)가 일정한 각도 회동 시 상기 상부펜대(9) 내측에 형성된 이동캠안내면(9d)과 경사슬라이딩면(9e)과의 상호 간 미끄럼이 발생하여 이동캠(8)의 수직왕복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상기 하부펜대(2)의 주름안내부(2d)와 상기 이동캠(8)의 주름안내부(8e)는 볼펜팁(4)이 인출과 인입을 할 때에 펜심(5)에 있는 주름부(5c) 접혀진 안쪽 방향이 부드럽게 꺾여서 들어 갔다가 나올 수 있도록 그 역할을 하게되는데 이러한 것은 상기 하, 상부펜대(2, 9)의 상호간 일정각도 회동 시에만 그 역할을 하게된다.
그리고 후방캡(10)은 상부펜대(9)의 내주면 후단에 결합되어져 잘 탈거되지 않도록 걸림부를 형성하거나, 나사를 형성하거나, 테이퍼(taper:기울기)를 주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다음에는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꺾었다 펴지는 볼펜의 동작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3, 4, 5, 6, 7, 8, 9는 볼펜팁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주로 외측만 단면한 것이다.
도10, 11, 12는 볼펜팁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주로 전단면한 것이다.
도13은 볼펜의 전체적인 동작 상태이다.
도2는 볼펜팁(4)의 인입/인출을 위한 볼펜팁출몰부(1a)가 형성되고, 전방캡(1) 내부에 볼펜팁(4)이 인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방캡(1)은 수나사(1d)가 형성이 되어있어 암나사(2a)가 형성된 하부펜대(2)에 결합되어진 상태로서, 상기 볼펜팁(4)은 펜심(5)의 전단에 끼워져있고, 상기 펜심(5)에 돌출부(5a)가 형성되어서 녹크스프링(3)이 안착이 되어있는데, 일측은 상기 전방캡(1)에 형성된 펜심안내부(1b)의 후단에 안착되었고, 타측은 상기 펜심(5)의 돌출부(5a)전방에 안착이 되어 탄성을 유지하고 있고, 상기 녹크스프링(3)은 상기 전방캡(1)의 내측인 녹크스프링안내부(1c)에 설치되어있고, 상기 돌출부(5a) 후방으로는 속이 뚫린 녹크캠(6)의 전방이 안착되었고, 상기 녹크캠(6)의 돌출된 로커(6a)에 있는 녹크캠경사부(6b)가 녹크걸림돌기(2b)의 경사부(20b)에 의한 미끄럼으로 인해 녹크해제홈(30b)에 삽입되어져 이동캠(8)의 전방에 형성된 기어부(8a)와 맞물려 있고,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어진 안내돌기(8b)는 모두 합쳐 6개 홈으로 나눠진 녹크안내홈(40b)과 상기 녹크해제홈(30b)을 따라가며 삽입되어있고, 밀려오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안내돌기(8b)의 후부가 막혀있는 단에 안착되어 있으며,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상기 녹크걸림돌기(2b)의 후단에 있는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77)의 전단과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는 이동캠걸림부(8f)의 전방에 안착되어 탄성으로 인해 상기 이동캠(8)을 항상 후방의 수직방향으로 밀어내고 있는데, 상기 이동캠(8)의 슬라이딩면(8c)과 상기 하부펜대(2)에 이동캠안내면(2c)이 있어 후방의 수직으로 움직임이 원활하고, 보강(강도보호, 보완)을 해주기 위해 이동캠안내면리브(Rib)(2e)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펜심(5)에 형성된 주름부(5c)를 안내해주기 위한 주름안내부(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캠(8)도 역시 같은 작용을 위해 상기 슬라이딩면(8c)의 일측에 주름안내부(8e)가 형성 되어있고, 상기 하부펜대(2)는 타측인 상부펜대(9)와 연결되어 조립되기 위한 펜대연결부홀(2f)이 있어 여기에 상기 타측 상부펜대(9)의 펜대연결부(9c)가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하, 상부펜대(2, 9) 상호 간 미끄럼에 의해 회동하게 되는 구름부(2g, 9a)와 펜대연결부면(2h, 9b)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이 된 상태로써의 상기 이동캠(8)의 경사슬라이딩면(8d)은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으로 인해 타측 상부펜대(9)에 형성되어있는 이동캠안내면(9d)과 경사슬라이딩면(9e)에 미끄럼과 동시에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상부펜대(9)를 항상 수직으로 향하도록 세워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에 형성하는 펜심안내홀(9f)에 상기 펜심(5)이 삽입되어있고,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펜심안내홀(9f) 후방 부근에 라운딩(Rounding)(90f)처리가 되어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 외측으로는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용해 가압하기 쉽도록 경사가 5도 기울어진 펜대경사부(9g)가 형성되었고, 상기 상부펜대(9) 후부 끝단에 후방캡(10)이 결합되어 있다.
도3은 위에서 상술한 도2의 내용과 같다.
도4는 볼펜팁(4)의 인출을 위한 볼펜팁출몰부(1a)로 전방캡(1) 내부에 있는 볼펜팁(4)이 조금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방캡(1)은 수나사(1d)가 형성되어 있어 암나사(2a)가 형성된 하부펜대(2)에 결합되어진 상태로서, 상기 볼펜팁(4)은 펜심(5)의 전단에 끼워져있고, 상기 펜심(5)에 돌출부(5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출부(5a)전방에 녹크스프링(3)의 일측이 안착이 되고, 타측은 상기 전방캡(1)에 형성된 펜심안내부(1b)의 후단에 안착이 되어 탄성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압에 의해 처음의 길이보다는 조금 줄어들었고, 상기 녹크스프링(3)은 상기 전방캡(1)의 내측인 녹크스프링안내부(1c)에 설치되어있고, 상기 돌출부(5a) 후방으로는 속이 뚫린 녹크캠(6)의 전방이 안착되었고, 상기 녹크캠(6)의 돌출된 로커(6a)에 있는 녹크캠경사부(6b)가 녹크걸림돌기(2b)의 경사부(20b)에 의한 미끄럼으로 인해 녹크해제홈(30b)에 삽입되어져 이동캠(8)의 전방에 형성된 기어부(8a)와 맞물리면서 상기 볼펜팁(4)의 인출을 위해 조금 전진된 상태이고,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어진 안내돌기(8b)는 모두 합쳐 6개 홈으로 나눠진 녹크안내홈(40b)과 상기 녹크해제홈(30b)을 따라가며 삽입되어있고, 밀려오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안내돌기(8b)의 후부가 막혀있는 상기 녹크걸림돌기(2b)의 단에 안착되어 있었으나, 상기 녹크캠(6)을 상기 이동캠(8)이 밀어내어 조금 전진된 상태이고,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녹크걸림돌기(2b)의 후단에 있는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77)의 전단과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는 이동캠걸림부(8f)의 전방에 안착되어 탄성으로 인해 상기 이동캠(8)을 항상 후방의 수직방향으로 밀어내고 있으나, 상기 이동캠(8)에는 상기 이동캠걸림부(8f)가 있으므로 상기 볼펜팁(4)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길이가 조금 줄어들었고, 상기 이동캠(8)의 슬라이딩면(8c)과 상기 하부펜대(2)의 이동캠안내면(2c)이 서로 맞대어 움직여 상기 볼펜팁(4) 길이방향 전방을 향해 움직임이 조금 전진되었고, 보강을 해주기 위해 이동캠안내면리브(Rib)(2e)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펜심(5)에 형성된 주름부(5c)를 안내해주기 위한 주름안내부(2d)로 상기 주름부(5c)가 꺾이며 조금 진입되었고, 상기 이동캠(8)도 역시 같은 작용으로서, 상기 슬라이딩면(8c)의 일측의 주름안내부(8e)가 형성되어진 곳으로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가 상기 주름안내부(8e)로 꺾어지며 이동되어있고, 상기 하부펜대(2)는 타측인 상부펜대(9)와 연결되어 조립되기 위한 펜대연결부홀(2f)이 있어 여기에 상기 타측 상부펜대(9)의 펜대연결부(9c)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하, 상부펜대(2, 9)상호 간 미끄럼에 의해 회동이 원활하게 되는 구름부(2g, 9a)와 펜대연결부면(2h, 9b)이 형성되어 있고, 조립이 된 상태로써의 상기 이동캠(8)의 경사슬라이딩면(8d)은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으로 인해 타측인 상부펜대(9)에 형성되어있는 이동캠안내면(9d)과 경사슬라이딩면(9e)에 미끄럼과 동시에 밀어주게 되지만,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력을 이겨내면서 상기 상부펜대(9)를 항상 수직을 향하도록 세워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고 있던 상기 이동캠(8) 자체와 형성된 상기 경사슬라이딩면(8d)이 상기 상부펜대(9)의 상기 경사슬라이딩면(9e)과 상호 간 미끄럼으로 인하여 상기 이동캠(8)이 상기 볼펜팁(4)방향 전방으로 조금 전진되어진 상태이고, 상기 상부펜대(9)에 형성하는 펜심안내홀(9f)에 상기 펜심(5)이 삽입되어있고,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펜심안내홀(9f) 후방 부근에 라운딩(Rounding)(90f)처리가 되어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 외측으로는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용해 꺾기 쉽도록 5도 기울어진 펜대경사부(9g)가 진 상기 상부펜대(9)가 22.5도로 회동되어 있고, 상기 상부펜대(9) 후부 끝단에 후방캡(10)이 결합되어 있다.
도5는 위에서 상술한 도4의 내용과 같다.
도6은 볼펜팁(4)의 인출을 위한 볼펜팁출몰부(1a)로 전방캡(1) 내부에 있는 볼펜팁(4)이 상당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방캡(1)은 수나사(1d)가 형성이 되어있어 암나사(2a)가 형성된 하부펜대(2)에 결합되어진 상태로서, 상기 볼펜팁(4)은 펜심(5)의 전단에 끼워져있고, 상기 펜심(5)에 돌출부(5a)가 형성되어서 녹크스프링(3)이 안착이 되어있는데, 일측은 상기 전방캡(1)에 형성된 펜심안내부(1b)의 후단에 안착되었고, 타측은 상기 펜심(5)의 돌출부(5a) 전방에 안착이 되어 탄성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압에 의해 처음의 길이보다는 많이 줄어들었고, 상기 녹크스프링(3)은 상기 전방캡(1)의 내측인 녹크스프링안내부(1c)에 설치되어있고, 상기 돌출부(5a) 후방으로는 속이 뚫린 녹크캠(6)의 전방이 안착되었고, 상기 녹크캠(6)의 돌출된 로커(6a)에 있는 녹크캠경사부(6b)가 내측에 녹크걸림돌기(2b)가 형성되고, 전방에 경사부(20b)가 있는 녹크해제홈(30b)에서 빠져나와 이동캠(8)의 전방에 형성된 기어부(8a)와 맞물려 있지만, 상기 녹크캠(6)은 회동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상기 볼펜팁(4)은 인출된 상태이고,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어진 안내돌기(8b)는 모두 합쳐 6개 홈으로 나눠진 녹크안내홈(40b)과 상기 녹크해제홈(30b)을 따라가며 전방을 향해 많이 빠져나와 있고, 밀려오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안내돌기(8b)의 후부가 막혀있는 상기 녹크걸림돌기(2b)의 단에 안착되어 있었으나, 상기 녹크캠(6)을 상기 이동캠(8)이 밀어내어 상기 녹크걸림돌기(2b)에서 빠져나온 상태이고,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녹크걸림돌기(2b)의 후단에 있는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77)의 전단과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는 이동캠걸림부(8f)의 전방에 안착되어 탄성으로 인해 상기 이동캠(8)을 항상 후방의 수직방향으로 밀어내려고 하고 있으며,상기 이동캠(8)에는 상기 이동캠걸림부(8f)가 있으므로 상기 볼펜팁(4)을 인출하면서 상기 이동캠걸림부(8f)가 전진되었고, 그리하여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길이가 많이 줄어들었으며, 상기 이동캠(8)의 슬라이딩면(8c)과 상기 하부펜대(2)의 이동캠안내면(2c)이 서로 맞대어 움직여 상기 볼펜팁(4)방향 전방을 향해 많이 전진되었고, 보강을 해주기 위해 이동캠안내면리브(Rib)(2e)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펜심(5)에 형성된 주름부(5c)를 안내해주기 위한 주름안내부(2d)로 상기 주름부(5c)가 꺾이며 들어가 있고, 상기 이동캠(8)도 역시 같은 작용으로서, 상기 슬라이딩면(8c)의 일측에 주름안내부(8e)가 형성 되어진 곳으로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가 상기 주름안내부(8e)로 꺾어지며 들어가게 되었고, 상기 하부펜대(2)는 타측 상부펜대(9)와 연결되어 조립되기 위한 펜대연결부홀(2f)이 있어 여기에 상기 타측 상부펜대(9)의 펜대연결부(9c)가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하, 상부펜대(2, 9) 상호 간 미끄럼에 의해 회동이 원활하게 되는 구름부(2g, 9a)와 펜대연결부면(2h, 9b)이 형성되어 있고, 조립이 된 상태로써의 상기 이동캠(8)의 경사슬라이딩면(8d)은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으로 인해 타측 상부펜대(9)에 형성되어있는 이동캠안내면(9d)과 경사슬라이딩면(9e)에 미끄럼과 동시에 밀어주게 되지만, 인위적인 힘에 의해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력을 이겨내면서 상기 상부펜대(9)를 항상 수직으로 향하도록 세워주며 지지대 역할을 하고 있던 상기 이동캠(8) 자체와 형성된 상기 경사슬라이딩면(8d)이 상기 상부펜대(9)의 상기 경사슬라이딩면(9e)과 상호 간 미끄럼으로 인하여 상기 이동캠(8)이 상기 펜심(5)의 길이방향 전방으로 상당히 전진된 상태이고, 상기 상부펜대(9)에 형성하는 펜심안내홀(9f)에 상기 펜심(5)이 삽입되어있고,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펜심안내홀(9f) 후방 부근에 라운딩(Rounding)(90f)처리가 되어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 외측으로는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용해 꺾기쉽도록 5도 기울어진 펜대경사부(9g)가 진 상기 상부펜대(9)가 45도 회동되어 있고, 상기 상부펜대(9) 후부끝단에 후방캡(10)이 결합되어 있다.
도7은 위에서 상술한 도6의 내용과 같다.
도8은 볼펜팁(4)이 인출된 부근에는 볼펜팁출몰부(1a)가 형성되고, 전방캡(1) 내부로부터 볼펜팁(4)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방캡(1)은 수나사(1d)가 형성 되어있어 암나사(2a)가 형성된 하부펜대(2)에 결합되어진 상태로서, 상기 볼펜팁(4)은 펜심(5)의 전단에 끼워져있고, 상기 펜심(5)에 돌출부(5a)가 형성되어서 녹크스프링(3)이 안착이 되어있는데, 일측은 상기 전방캡(1)에 형성된 펜심안내부(1b)의 후단에 안착되었고, 타측은 상기 펜심(5)의 돌출부(5a) 전방에 안착이 되어 탄성을 유지하고 있고, 상기 녹크스프링(3)은 상기 전방캡(1)의 내측인 녹크스프링안내부(1c)에 설치되어있고, 상기 돌출부(5a) 후방으로는 속이 뚫린 녹크캠(6)의 전방이 안착되었고, 상기 녹크캠(6)의 돌출된 로커(6a)에 있는 녹크캠경사부(6b)가 상기 하부펜대(2) 내측에 형성된 녹크걸림돌기(2b)의 경사부(20b)에 의한 미끄럼과 이동캠(8)에 형성된 기어부(8a)에 의한 상기 이동캠(8)의 회동으로 상기 녹크캠경사부(6b)가 상기 하부펜대(2) 내측의 상기 녹크걸림돌기(2b) 전방의 상기 경사부(20b)에 미끌려 회동되면서 녹크해제홈(30b)에서 녹크안내홈(40b)이 위치하는 윗 단에 회동되어 안착되었고, 상기 볼펜팁(4)의 인출을 마치고 후진된 전방에 상기 기어부(8a)를 형성한 상기 이동캠(8)은 본래의 자리를 되찾아 가고,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어진 안내돌기(8b)는 모두 합쳐 6개 홈으로 나눠진 녹크안내홈(40b)과 상기 녹크해제홈(30b)을 따라가며 삽입되어지고, 밀려오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안내돌기(8b)의 후부가 막혀있는 단에 안착되어 있으며,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상기 녹크걸림돌기(2b)의 후단에 있는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77)의 전단과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는 이동캠걸림부(8f)의 전방에 안착되어 탄성으로 인해 상기 이동캠(8)을 항상 후방의 수직방향으로 밀어내고 있는데, 상기 이동캠(8)의 슬라이딩면(8c)과 상기 하부펜대(2)에 이동캠안내면(2c)이 있어 후방의 수직방향으로 움직임이 원활하고, 보강을 해주기 위해 이동캠안내면리브(Rib)(2e)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펜심(5)에 형성된 주름부(5c)를 안내해주기 위한 주름안내부(2d)에서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가 빠져나왔으며, 상기 이동캠(8)도 역시 같은 작용을 하여 상기 슬라이딩면(8c)의 일측에 주름안내부(8e)가 형성이 되어있어서,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가 빠져나오게 되었고, 상기 하부펜대(2)는 타측 상부펜대(9)와 연결되어 조립되기 위한 펜대연결부홀(2f)이 있어 여기에 상기 타측 상부펜대(9)의 펜대연결부(9c)가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하, 상부펜대(2, 9) 상호 간 미끄럼에 의해 회동하게 된 구름부(2g, 9a)와 펜대연결부면(2h, 9b)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이 된 상태로써의 상기 이동캠(8)의 경사슬라이딩면(8d)은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으로 인해 타측 상부펜대(9)에 형성되어있는 이동캠안내면(9d)과 경사슬라이딩면(9e)에 미끄럼과 동시에 밀어주게 되므로써 상기 상부펜대(9)를 항상 수직을 향하도록 세워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에 형성하는 펜심안내홀(9f)에 상기 펜심(5)이 삽입되어있고,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펜심안내홀(9f) 후방 부근에 라운딩(Rounding)(90f)처리가 되어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 외측으로는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용해 가압하기 쉽도록 5도 기울어진 펜대경사부(9g)가 형성되었고, 상기 상부펜대(9) 후부 끝단에 후방캡(10)이 결합되어 있다.
도9는 위에서 상술한 도8의 내용과 같다.
도10은 볼펜팁(4)의 인입/인출을 위한 볼펜팁출몰부(1a)가 형성되고, 전방캡(1) 내부에 볼펜팁(4)이 인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방캡(1)은 수나사(1d)가 형성 되어있어 암나사(2a)가 형성된 하부펜대(2)에 결합되어진 상태로서, 상기 볼펜팁(4)은 펜심(5)의 전단에 끼워져있고, 상기 펜심(5)에 돌출부(5a)가 형성되어서 녹크스프링(3)이 안착 되어있는데, 일측은 상기 전방캡(1)에 형성된 펜심안내부(1b)의 후단에 안착되었고, 타측은 상기 펜심(5)의 돌출부(5a) 전방에 안착이 되어 탄성을 유지하고 있고, 상기 녹크스프링(3)은 상기 전방캡(1)의 내측인 녹크스프링안내부(1c)에 설치되어있고, 상기 돌출부(5a) 후방으로는 속이 뚫린 녹크캠(6)의 전방이 안착되었고, 상기 녹크캠(6)의 돌출된 로커(6a)에 있는 녹크캠경사부(6b)가 녹크걸림돌기(2b)의 경사부(20b)에 의한 미끄럼으로 인해 녹크해제홈(30b)에 삽입되어져 이동캠(8)의 전방에 형성된 기어부(8a)와 맞물려 있고,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어진 안내돌기(8b)는 모두 합쳐 6개 홈으로 나눠진 녹크안내홈(40b)과 상기 녹크해제홈(30b)을 따라가며 삽입되어있고, 밀려오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안내돌기(8b)의 후부가 막혀있는 단에 안착되어 있으며,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녹크걸림돌기(2b)의 후단에 있는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77)의 전단과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는 이동캠걸림부(8f)의 전방에 안착되어 탄성으로 인해 상기 이동캠(8)을 항상 후방의 수직방향으로 밀어내고 있는데, 상기 이동캠(8)의 슬라이딩면(8c)과 상기 하부펜대(2)에 이동캠안내면(2c)이 있어 후방의 수직으로 움직임이 원활하고, 보강을 해주기 위해 이동캠안내면리브(Rib)(2e)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펜심(5)에 형성된 주름부(5c)를 안내해주기 위한 주름안내부(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캠(8)도 역시 같은 작용을 위해 상기 슬라이딩면(8c)의 일측에 주름안내부(8e)가 형성이 되어있고, 상기 하부펜대(2)는 타측인 상부펜대(9)와 연결되어 조립되기 위한 펜대연결부홀(2f)이 있어 여기에 상기 타측 상부펜대(9)의 펜대연결부(9c)가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하, 상부펜대(2, 9) 상호 간 미끄럼에 의해 회동하게 되는 구름부(2g, 9a)와 펜대연결부면(2h, 9b)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이 된 상태로써의 상기 이동캠(8)의 경사슬라이딩면(8d)은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으로 인해 타측 상부펜대(9)에 형성되어있는 이동캠안내면(9d)과 경사슬라이딩면(9e)에 미끄럼과 동시에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상부펜대(9)를 항상 수직을 향하도록 세워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에 형성하는 펜심안내홀(9f)에 상기 펜심(5)이 삽입되어있고,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펜심안내홀(9f) 후방 부근에 라운딩(Rounding)(90f)처리가 되어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 외측으로는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용해 가압하기 쉽도록 5도 기울어진 펜대경사부(9g)가 형성되었고, 상기 상부펜대(9) 후부 끝단에 후방캡(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펜심(5)의 내부에는 잉크(5b)가 채워져 있다.
도11은 볼펜팁(4)의 인출을 위한 볼펜팁출몰부(1a)로 전방캡(1) 내부에 있는 볼펜팁(4)이 상당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방캡(1)은 수나사(1d)가 형성이 되어있어 암나사(2a)가 형성된 하부펜대(2)에 결합되어진 상태로서, 상기 볼펜팁(4)은 펜심(5)의 전단에 끼워져있고, 상기 펜심(5)에 돌출부(5a)가 형성되어서 녹크스프링(3)이 안착이 되어있는데, 일측은 상기 전방캡(1)에 형성된 펜심안내부(1b)의 후단에 안착되었고, 타측은 상기 펜심(5)의 돌출부(5a) 전방에 안착이 되어 탄성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압에 의해 처음의 길이보다는 많이 줄어들었고, 상기 녹크스프링(3)은 상기 전방캡(1)의 내측인 녹크스프링안내부(1c)에 설치되어있고, 상기 돌출부(5a) 후방으로는 속이 뚫린 녹크캠(6)의 전방이 안착되었고, 상기 녹크캠(6)의 돌출된 로커(6a)에 있는 녹크캠경사부(6b)가 내측에 녹크걸림돌기(2b)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펜대(2)의 경사부(20b)가 전방에 있는 녹크해제홈(30b)에서 많이 빠져나와 이동캠(8)의 전방에 형성된 기어부(8a)와 맞물려 있지만, 상기 녹크캠(6)은 회동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상기 볼펜팁(4)은 인출된 상태이고,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어진 안내돌기(8b)는 모두 합쳐 6개 홈으로 나눠진 녹크안내홈(40b)과 상기 녹크해제홈(30b)을 따라가며 많이 빠져나와 있으며, 밀려오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안내돌기(8b)의 후부가 막혀있는 상기 녹크걸림돌기(2b)의 단에 안착되어 있었으나, 상기 녹크캠(6)을 상기 이동캠(8)이 밀어내어 상기 녹크걸림돌기(2b)에서 거의 빠져나온 상태이고,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녹크걸림돌기(2b)의 후단에 있는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77)의 전단과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는 이동캠걸림부(8f)의 전방에 안착되어 탄성으로 인해 상기 이동캠(8)을 항상 후방의 수직방향으로 밀어내려고 하고 있으나, 상기 이동캠(8)에는 상기 이동캠걸림부(8f)가 있으므로 상기 볼펜팁(4)을 인출하면서 상기 이동캠걸림부(8f)가 전진되었고, 그리하여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길이가 많이 줄어들었고, 상기 이동캠(8)의 슬라이딩면(8c)과 상기 하부펜대(2)의 이동캠안내면(2c)이 서로 맞대어 움직여 상기 펜심(5)길이방향 전방을 향해 움직임이 많이 전진되었고, 보강을 해주기 위해 이동캠안내면리브(Rib)(2e)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펜심(5)에 형성된 주름부(5c)를 안내해주기 위한 주름안내부(2d)로 상기 주름부(5c)가 꺾이며 들어가게 되었고, 상기 이동캠(8)도 역시 같은 작용으로서, 상기슬라이딩면(8c)의 일측에 주름안내부(8e)가 형성이 되어진 곳으로 상기펜심(5)의 주름부(5c)가 상기 주름안내부(8e)로 꺾어지며 들어갔고, 상기 하부펜대(2)는 타측 상부펜대(9)와 연결되어 조립되기 위한 펜대연결부홀(2f)이 있어 여기에 상기 타측 상부펜대(9)의 펜대연결부(9c)가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하, 상부펜대(2, 9) 상호 간 미끄럼에 의해 회동이 원활하게 되는 구름부(2g, 9a)와 펜대연결부면(2h, 9b)이 형성되어 있고, 조립이 된 상태로써의 상기 이동캠(8)의 경사슬라이딩면(8d)은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으로 인해 타측 상부펜대(9)에 형성 되어있는 이동캠안내면(9d)과 경사슬라이딩면(9e)에 미끄럼과 동시에 밀어주게 되지만 인위적인 힘에 의해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력을 이겨내면서 상기 상부펜대(9)를 항상 수직을 향하도록 세워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고 있던 상기 이동캠(8) 자체와 형성된 상기 경사슬라이딩면(8d)이 상기 상부펜대(9)의 상기 경사슬라이딩면(9e)과 상호 간 미끄럼으로 인하여 상기 이동캠(8)이 상기 펜심(5)의 길이방향 전방으로 상당히 많이 전진된 상태이고, 상기 상부펜대(9)에 형성하는 펜심안내홀(9f)에 상기 펜심(5)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펜심안내홀(9f) 후방 부근에 라운딩(Rounding)(90f)처리가 되어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 외측으로는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용해 꺾기쉽도록 5도 경사된 펜대경사부(9g)가 진 상기 상부펜대(9)가 45도로 회동되어 있고, 상기 상부펜대(9) 후부 끝단에 후방캡(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펜심(5)의 내부에는 잉크(5b)가 채워져 있다.
도12는 볼펜팁(4)이 인출된 부근에는 볼펜팁출몰부(1a)가 형성되고, 전방캡(1) 내부로부터 볼펜팁(4)이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전방캡(1)은 수나사(1d)가 형성 되어있어 암나사(2a)가 형성된 하부펜대(2)에 결합되어진 상태로서, 상기 볼펜팁(4)은 펜심(5)의 전단에 끼워져있고, 상기 펜심(5)에 돌출부(5a)가 형성되어서 녹크스프링(3)이 안착이 되어있는데, 일측은 상기 전방캡(1)에 형성된 펜심안내부(1b)의 후단에 안착되었고, 타측은 상기 펜심(5)의 돌출부(5a) 전방에 안착이 되어 탄성을 유지하고 있고, 상기 녹크스프링(3)은 상기 전방캡(1)의 내측인 녹크스프링안내부(1c)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5a) 후방으로는 속이 뚫린 녹크캠(6)의 전방이 안착되었고, 상기 녹크캠(6)의 돌출된 로커(6a)에 있는 녹크캠경사부(6b)가 상기 하부펜대(2) 내측에 형성된 녹크걸림돌기(2b)의 경사부(20b)에 의한 미끄럼과 이동캠(8)에 형성된 기어부(8a)에 의한 상기 이동캠(8)의 회동으로 상기 녹크캠경사부(6b)가 상기 하부펜대(2) 내측의 상기 녹크걸림돌기(2b) 전방의 상기 경사부(20b)에 미끌려 회동되면서 녹크해제홈(30b)에서 녹크안내홈(40b)이 위치하는 윗 단에 회동되어 안착되었고, 상기 볼펜팁(4)의 인출을 마치고 후진된 전방에 상기 기어부(8a)를 형성한 상기 이동캠(8)은 본래의 자리를 되찾아 가고,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어진 안내돌기(8b)는 모두 합쳐 6개 홈으로 나눠진 녹크안내홈(40b)과 상기 녹크해제홈(30b)을 따라가며 삽입되어지고, 밀려오는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안내돌기(8b)의 후부가 막혀있는 단에 안착되어 있으며,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상기 녹크걸림돌기(2b)의 후단에 있는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77)의 전단과 상기 이동캠(8)에 형성되는 이동캠걸림부(8f)의 전방에 안착되어 탄성으로 인해 상기 이동캠(8)을 항상 후방의 수직방향으로 밀어내고 있는데, 상기 이동캠(8)의 슬라이딩면(8c)과 상기 하부펜대(2)에 이동캠안내면(2c)이 있어 후방의 수직방향으로 움직임이 원활하고, 보강을 해주기 위해 이동캠안내면리브(Rib)(2e)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펜심(5)에 형성된 주름부(5c)를 안내해주기 위한 주름안내부(2d)에서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가 빠져나왔으며, 상기 이동캠(8)도 역시 같은 작용을 하여 상기슬라이딩면(8c)의 일측에 주름안내부(8e)가 형성이 되어있어서,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가 빠져나오게 되었고, 상기 하부펜대(2)는 타측 상부펜대(9)와 연결되어 조립되기 위한 펜대연결부홀(2f)이 있어 여기에 상기 타측 상부펜대(9)의 펜대연결부(9c)가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하, 상부펜대(2, 9) 상호 간 미끄럼에 의해 회동하게 된 구름부(2g, 9a)와 펜대연결부면(2h, 9b)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이 된 상태로써의 상기 이동캠(8)의 경사슬라이딩면(8d)은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으로 인해 타측 상부펜대(9)에 형성 되어있는 이동캠안내면(9d)과 경사슬라이딩면(9e)에 미끄럼과 동시에 밀어주게 되므로써 상기 상부펜대(9)를 항상 수직을 향하도록 세워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에형성하는 펜심안내홀(9f)에 상기 펜심(5)이 삽입되어있고, 상기 펜심(5)의 주름부(5c)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펜심안내홀(9f) 후방 부근에 라운딩(Rounding)(90f)처리가 되어있으며, 상기 상부펜대(9) 외측으로는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부분만을 이용해 가압하기 쉽도록 5도로 경사 된 펜대경사부(9g)가 형성되었고, 상기 상부펜대(9) 후부 끝단에 후방캡(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펜심(5)의 내부에는 잉크(5b)가 채워져 있다.
상기 꺾었다 펴지는 볼펜은다양한 볼펜에 적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전체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 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노크식 볼펜은 펜대 후방에 돌출된 가압부재를 눌러 사용하는데 볼펜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가압부재를 눌러 펜심을 인출시켜야 하고, 사용 후 가압부재를 다시 눌러 펜심을 인입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즉, 가압 거리가 멀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귀차니즘이 있는 자가 필기를 하려다 손가락과 거리차가 있는 곳을 눌러줘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도중하차하는 사람이 다수 생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꺾었다 펴지는 볼펜은 사용자가 펜심을 인출하거나 인입하려면 엄지손가락 부근과 아주 가깝고, 조립된 볼펜의 중심부에 형성된 펜대경사부를 손가락의 파지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으로 움직여 그 부근을 가압해주면 허리부분이 들어간 듯한 펜대경사부의 들어간 곳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무척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간편하고, 펜대경사부로 인하여 비사용 중에 스스로 굴러가는 일이 없고,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인 안도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속이 뚫린 하, 상부펜대(2, 9)상호 간 서로 조립이 되고, 상기 조립된 하, 상부펜대(2, 9)양단으로 전방캡과 후방캡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부펜대(2) 내측에 녹크캠과 이동캠리턴스프링. 그리고, 경사슬라이딩면을 형성하는 이동캠이 설치되어서 상기 상부펜대(9) 외주면에 형성된 펜대경사부를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을 이용해 가압해주면 상기 상부펜대(9) 내측에 설치된 상기 이동캠의 경사슬라이딩면과 상기 상부펜대(9)의 경사슬라이딩면이 미끄럼에 의해 상호 간 밀어내므로 상기 이동캠은 수직하강되고, 그것은 상기 펜대경사부를 가압해 상호 간 일정한 각도를 이룰 시 작용하고, 상기 이동캠이 수직하강 되었을 때 상기 이동캠의 기어부에 의해서 상기 녹크캠의 로커를 녹크걸림돌기에 걸림과 풀림을 도와주므로써 볼펜팁이 끼워진 펜심을 상기 하부펜대(2) 전방의 길이방향으로 반복안내되어 인출과 인입이 반복되는 볼펜에 있어서,
    내측 전방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전방캡에 형성된 수나사와 조립이 되고, 내측에 형성된 녹크걸림돌기와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 그리고 타측 상부펜대(9)과 연결될 펜대연결부홀. 그리고 이동캠의 수직운동을 안내하게 되는 이동캠안내면과 펜심의 주름부(5c)를 안내하는 주름안내부가 형성되고 부근 외측으로는 구름부(2g)와 펜대연결부면(2h)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펜대(2);
    끝단에 볼펜팁이 끼워지고, 상기 볼펜팁 후방 쪽 근방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후방부에는 주름부(5c)가 형성되어지며, 일반 잉크(5b)가 채워지고, 상기 녹크스프링에 상기 돌출부 전방부가 안착되는 펜심;
    상기 펜심 후부 끝단으로 해서 끼울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펜심 후부 외주면을 따라가다 주름부(5c)를 지난 위치의 돌출부에 안착이 되는 이것은 외주면 전방에 로커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펜대(2) 내측의 녹크걸림돌기에 녹크되어지는 중공형 녹크캠;
    상기 하부펜대(2) 내측의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에 설치되어 이동캠을 항상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이동캠리턴스프링;
    전방의 외주면에 기어부와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외주면. 즉, 원기둥이 끝나는 부근에는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의 안착과 상기 하부펜대(2)의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안착부의 후단부에 걸림이 되어지도록 이동캠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었으며 사각기둥형 슬라이딩면이 있어서 상기 하부펜대(2)의 이동캠안내면에 설치되어서 수직왕복 할 수 있고, 사각기둥의 후단부 근방에는 상기 펜심의 주름부(5c)가 굽혀져 작용할 때 신속히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름안내부가 있고, 굽혀졌을 때 미끄럼 되어서 수직운동을 이끌어내는 경사슬라이딩면이 형성된 중공형의 이동캠;
    전방에 상기 하부펜대(2)와 연결해서 조립하기 위한 펜대연결부면(9b)과 펜대연결부. 그리고, 구부림 시 각도회전에 의해 미끄럼 되어지는 구름부(9a). 상기 이동캠의 수직왕복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면과 경사슬라이딩면. 상기 펜심의 주름부(5c) 손상을 막아주는 라운딩(Rounding)과 외측에는 손의 파지상태에서 엄지손가락 두 번째 마디 부분만을 이동시켜 가압해 줄 때 가압되는 부위가 안내되어지고, 경사가 완만한 곳이 아닌 표면이 평평한 곳에서 굴러가지 않도록 펜대경사부가 진 상부펜대(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었다 펴지는 볼펜.
  2. 청구항1.에 있어서 이동캠리턴스프링(7)의 탄성은 녹크스프링(3)보다 강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이동캠리턴스프링(7)은 손으로 잡고 필기를 할 때에 상기 펜대경사부(9g)가 잘 꺾이지 않는 정도의 탄성이 있어야하고, 기어부(8a)가 있는 상기 이동캠(8) 다수의 안내돌기 외경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었다 펴지는 볼펜.
  3. 삭제
KR2020060021772U 2006-08-14 2006-08-14 꺾었다 펴지는 볼펜 KR200435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772U KR200435975Y1 (ko) 2006-08-14 2006-08-14 꺾었다 펴지는 볼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772U KR200435975Y1 (ko) 2006-08-14 2006-08-14 꺾었다 펴지는 볼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131A Division KR100937910B1 (ko) 2008-03-24 2008-03-24 꺾었다 펴지는 볼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975Y1 true KR200435975Y1 (ko) 2007-03-28

Family

ID=4156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772U KR200435975Y1 (ko) 2006-08-14 2006-08-14 꺾었다 펴지는 볼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9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02968B (zh) 一种扭转卡位笔
JP5449191B2 (ja) 筆記用具用アダプタ
CN109605986B (zh) 一种自扭转延伸卡扣笔
US6273627B1 (en) Expandable writing instrument
CN110126510A (zh) 具有收放式笔夹的按动笔
CN110370842B (zh) 一种按压伸缩笔
CN112389114B (zh) 一种笔夹提拉摁压三操笔
EP0711674A1 (en) Combined writing tool
CN110328986A (zh) 一种伸缩笔
KR200435975Y1 (ko) 꺾었다 펴지는 볼펜
KR100937910B1 (ko) 꺾었다 펴지는 볼펜
CN210363090U (zh) 手持伸缩笔
EP1221383A1 (en) Expandable writing instrument
KR200356696Y1 (ko) 전방녹크식 볼펜
CN110303800B (zh) 一种可换笔芯的压缩笔
CN210082734U (zh) 具有收放式笔夹的按动笔
CN214647134U (zh) 一种免压收芯笔
CN211106563U (zh) 一种侧按式圆珠笔
CN215397887U (zh) 一种揿动式笔
CN217347288U (zh) 一种涂卡笔
CN2178635Y (zh) 具有活动橡皮的活动铅笔
CN201240176Y (zh) 设有自动铅笔装置的笔状圆规
CN220053338U (zh) 一种按压笔
JPS6234796Y2 (ko)
CN210553793U (zh) 一种伸缩笔的拆卸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