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909Y1 -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 Google Patents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909Y1
KR200435909Y1 KR2020060025987U KR20060025987U KR200435909Y1 KR 200435909 Y1 KR200435909 Y1 KR 200435909Y1 KR 2020060025987 U KR2020060025987 U KR 2020060025987U KR 20060025987 U KR20060025987 U KR 20060025987U KR 200435909 Y1 KR200435909 Y1 KR 200435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sculptures
cover
dimensional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인
Original Assignee
김유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인 filed Critical 김유인
Priority to KR2020060025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9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앨범 표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신생아나 유아의 손과 발의 모형을 떠서 만든 신체 조형물이나 곤충, 식물 등의 표본 및 기념품,메달과 같은 입체 조형물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일부에 CD를 케이스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장치를 갖는 앨범 표지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표지를 갖는 앨범은 신체 조형물이나 곤충, 식물 등의 표본 및 기념품 메달과 같이 앨범에 수록되는 카테고리별로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념이 될 수 있어 소장가치가 더욱 뛰어나 상품성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전면부에 투명창이 고정되어 있는 표지와 이 표지 배면 부에는 입체 조형물을 배치, 보관할 수 있는 캐비닛이 고정되어 입체적인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앨범에는 사진이나 그림 등만을 보관하여 왔으나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의 보급 확장에 따라 많은 사람이 사진이나 동영상을 CD 등에 저장하고 있는 것이 일반화됨에 따라 CD를 케이스 상태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를 앨범 표지에 설치하여 특정시기의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 CD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입체 조형물, 앨범, 디스플레이, 앨범표지, 모형 보관용 캐비닛, 장식용 프레임,

Description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Album can be displayed solid mode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앨범 표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및 우측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2 상의 X 부 확대도
도 5는 도 2 상의 Y 부 확대도
도 6은 도 3 상의 Z 부 확대도
도 7은 도 1의 전체 분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앨범 표지 101: 잠금용 띠
102: 잠금용 단추 103: 입체 조형물 개방구
104: 나사용 구멍
200: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 200A: 입체 조형물 보관 하우징
200B: CD 보관 하우징 201: 나사못 A
202: 나사못 B 203: 이탈방지 걸림턱
300: 주 장식용 프레임 301: 투명창
302: 투명창 걸림턱 310: 보조 장식용 프레임 A
311: 투명시트 A 312: 사진
320: 보조 장식용 프레임 B 321: 투명시트 B
322: 명판
400: 입체 조형물 410: CD 케이스
500: 앨범 속지
본 고안은 장식용 앨범 표지에 관한 것으로, 신생아나 유아의 손과 발의 모형을 떠서 만든 신체조형물이나 곤충, 식물 등의 표본 및 기념품, 메달과 같은 입체 조형물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식용 앨범 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앨범은 사진, 그림 등을 수납하여 보관 및 기념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표지는 속지를 보호하고, 상품성을 살리기 위해 아름답게 디자인되어있으며, 속지는 사진이나 그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장식용 앨범 표지는 통상의 평면적인 앨범 표지를 벗어나, 표지에 사각 또는 원하는 형태로 천공을 하고 표면에는 투명 창을 설치하고 내측에 신생아나 유아의 손과 발의 모형을 떠서 만든 신체조형물이나 곤충, 식물 등의 표본 및 기념 품, 메달 등등 입체 조형물을 보관할 수 있는 캐비닛을 설치하여 이러한 입체 조형물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소장가치뿐만 아니라 이 앨범 자체를 장식용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앨범에는 사진이나 그림 등만을 보호하고 있으나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의 보급 확장에 따라 많은 사람이 사진을 CD나 DVD 등에 저장하고 있는 것이 일반화됨에 따라 앨범의 속지나 앨범 표지 일부에 CD나 DVD를 케이스 없이 보관하기 때문에 변형 및 손상의 위험이 제기되었으나 본 고안은 CD나 DVD를 케이스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장치를 모형 고정용 캐비닛에 설치하여 특정시기의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 CD나 DVD 등을 케이스에 넣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간의 특정시기의 기록, 취미생활과 관련한 자료 및 기록에는 여러 가지의 매체를 사용한다. 즉, 신생아나 유아의 경우 사진, 족적 프린트, 출생기록표 등 평면적인 매체뿐만이 아니라 최근에는 손, 발의 입체조형물과 더불어 디지털 사진 및 동영상을 저장한 CD 등 여러 가지 매체들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곤충, 식물 수집이나 기념품, 메달과 관련한 기록 매체도 입체적인 대상물과, 관련 사진, 기록, 동영상 등 여러 가지 매체들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대상 중에서 신생아나 유아의 경우, 많은 부모가 신생아의 족적 프린트나 사진 등만을 앨범에 보관함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신생아의 출생에 대 한 기념을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장식적인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신생아나 유아의 손, 발 등 신체 일부의 본을 뜬 모형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액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여기에 사진, 그림, 기록 및 CD 등 다양한 매체를 보관, 사용하기가 곤란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앨범에 보관할 사진의 시기의 인체 일부분의 본을 뜬 모형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사진, 그림, 기록 및 CD 등 다양한 매체를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문갑이나 테이블 위에 위치시켜 장식적 효과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용 앨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앨범의 표지 전면부에 투명창이 부착되고 배면에 신체의 일부를 본을 떠서 고형화한 신체 모형이 고정되어 있는 입체 조형물 고정용 캐비닛을 부착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식용 앨범 표지를 제공한다.
또한, 입체 조형물이 고정되어 있는 캐비닛 다른 한 부분에 CD를 CD 케이스 상태로 수납 저장할 수 있는 장치를 두어 동영상 파일이나 사진 파일의 CD나 DVD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앨범 표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및 우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 상의 X 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 상의 Y 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 상의 Z 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1의 전체 분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신생아나 유아의 손과 발의 모형을 떠서 만든 신체조형물이나 곤충, 식물 등의 표본 및 기념품, 메달과 같은 입체 조형물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으로서 앨범 표지 전면부에 투명창(301)이 부착되고 배면 부에는 입체 조형물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가지며 이를 고정할 수 있는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200)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 표지(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앨범의 표지와 같이 가죽을 사용하거나 또는 하드보드에 합성수지 시트를 부착시킨 재료를 사용한다. 앨범 표지(100) 일측에는 모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적정한 면적이 개방된 입체 조형물 개방구(103)가 설치되어 있고 장식용 프레임(301,310,320)과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200)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용 구멍(104)이 다수 개 천공되어 있다. 또한, 앨범표지(100)에는 열림을 방지하기 위 하여 앞표지와 뒤표지를 잠글 수 있도록 잠금용 띠(101)와 잠금용 단추(102)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진이나 그림을 넣기 위한 속지(50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구조 및 형상은 통상 앨범에서 사용되는 구조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장식용 프레임은 주 장식용 프레임(300), 보조 장식용 프레임A(310) 및 보조 장식용 프레임B(320)으로 구성되며 앨범표지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용도와 투명창(301) 및 모형고정용 캐비닛(200)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스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금이나 도장이 가능한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주 장식용 프레임(300)에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창(301)이 고정될 수 있는 공간과 투명창 걸림턱(302)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앨범표지(100)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200)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못A(201)를 조일 수 있는 다수개의 보스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장식용 프레임A(310)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시트(311) 및 사진(312)을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앨범표지(100)에 천공된 나사용 구멍(104)을 통하여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200)과 보조 장식용 프레임A(310)을 고정하는 나사못 A(201) 및 앨범표지(100)에 천공된 나사용 구멍(104)에 직접 보조 장식용 프레임A(310)을 고정하는 나사못 B(202)를 조일 수 있는 다수개의 보스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장식용 프레임B(320)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시 트(321) 및 프로필을 적은 명판(322)을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앨범표지(100)에 천공된 나사용 구멍(104)을 통하여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200)과 보조 장식용 프레임B(320)을 고정하는 나사못 A(201) 및 앨범표지(100)에 천공된 구멍에 직접 보조 장식용 프레임B(320)을 고정하는 나사못B(202)를 조일 수 있는 다수개의 보스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못 A(2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200) 상의 보스를 통하여 앨범표지(100)와 주 장식용 프레임(301), 보조 장식용 프레임A(310) 및 보조 장식용 프레임 B(320)상의 보스를 고정하는데 사용되고, 나사못 B(2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표지(100)와 보조 장식용 프레임 A(310) 및 보조 장식용 프레임 B(320)상의 보스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앨범 표지(100)에 부착되는 투명창(301)의 재질로서는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투명시트 A(311) 및 투명시트 B(321)는 투명 합성수지 필름이 사용되며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 배면에 부착되는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200)은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만들어지며,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200)에는 신생아나 유아의 손과 발의 모형을 떠서 만든 신체조형물이나 곤충, 식물 등의 표본 및 기념품, 메달과 같은 입체 조형물(400)을 고정하고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입체 조형물 보관 하우징(200A)이 구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CD나 DVD를 저장, 수납할 수 있는 CD 보관 하우징(200B)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체 조형물(400)은 석고나 고무류 및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직접 신체 일부를 본을 떠서 고형화한 신체조형물 이나 곤충, 식물의 박제 또는 표본 또는 기념품이나 메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체 조형물(400)은 별도의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200)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신체의 일부를 본을 떠서 고형화한 모형의 제작공정 및 방법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주형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조형물 보관용 캐비닛(200)에 형성된 CD 보관 하우징(200B)에는 CD나 DVD가 케이스 상태로 보관되어지며 CD 보관 하우징(200B) 일측면에서 CD 케이스(410)를 삽입하면 CD 케이스 보관부 가이드 면의 적어도 하나의 일정범위 굽힘이 가능하도록 탄성이 있는 이탈방지 걸림턱(203)에 의해 CD 케이스(410)가 걸려 적정 힘 내에서는 빠지지 않게 되어 있고 뺄 경우에는 탄성이 있는 이탈방지 걸림턱(203)이 후퇴하여 CD 케이스(410)가 빠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인간의 출생에 대한 신비를 기념하고 싶은 부모의 욕구에 대하여 신생아나 유아의 신체 조형물을 만들어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요구가 많아지고 있는데 지금까지는 액자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있었다. 그러나 신생아나 유아에 대한 기록은 신체 조형물뿐만 아니라 사진, 그림, 기록문서 및 동영상 등 여러 가지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보관 및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신생아나 유아에 대한 사진, 그림, 기록문서, 동영상 CD 및 신체조형물 등 여러 가지 매체를 종합적으로 보관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앨범 형태에 입체적 조형물 및 동영상 CD를 안전하게 보관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신체 조형물 외에도 곤충, 식물 채집 등 취미 활동 및 특정시기의 기록 등에 있어서도 사진, 그림, 기록문서 및 동영상 외에도 상징적인 입체물(조형, 표본, 박제 기념품, 메달 등등) 등 여러 매체들이 이용된다. 이러한 것들을 보관, 디스플레이하는데에 있어서도 본 고안인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이 유용하다.

Claims (3)

  1. 앨범에 입체 조형물을 입체적으로 보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전면의 일부 개방된 부분에 투명 창이 형성되고, 상기 창의 위치에 대응하는 배면에 입체 조형물을 보관할 수 있는 캐비닛이 설치되는 앨범 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창을 고정하고 장식하는 장식용 프레임에 투명 창 고정용 공간 및 턱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에 다수개의 보스를 설치하여, 앨범 표지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앨범 표지 배면의 입체 조형물을 보관할 수 있는 캐비닛을 일체로 고정나사로 고정하는 방식의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표지의 배면에는,
    CD 케이스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CD 케이스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 일측에는 CD 케이스를 밀어 넣을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이 개방구의 CD 케이스를 밀어 넣는 방향의 양측 면에 가이드가 형성된 CD 케이스 보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의 적어도 하나에 탄성 재질의 이탈방지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KR2020060025987U 2006-09-27 2006-09-27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KR200435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987U KR200435909Y1 (ko) 2006-09-27 2006-09-27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987U KR200435909Y1 (ko) 2006-09-27 2006-09-27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909Y1 true KR200435909Y1 (ko) 2007-03-12

Family

ID=4162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987U KR200435909Y1 (ko) 2006-09-27 2006-09-27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9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992B1 (ko) 2009-06-08 2009-10-22 소범주 출생용품 기념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992B1 (ko) 2009-06-08 2009-10-22 소범주 출생용품 기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3038B1 (en) Frame
US20100011644A1 (en) Memorabilia display system
US4434567A (en) Memorabilia repository
US8146280B2 (en) Decorative frame assembly and method
WO2004014199A3 (en) Three dimensional framed display
US20090307953A1 (en) Display frame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0683161B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storing autographs
WO2000074538A1 (en) Display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120017480A1 (en) Flexible picture frame
US20050155267A1 (en) Two-Sided Picture Frames
JP4711746B2 (ja) 収納容器付き額縁
KR200435909Y1 (ko) 입체 조형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앨범
US20020000058A1 (en) Frame calendar
US20040134111A1 (en) Picture frame assembly with integrated picture storage
JP3126142U (ja) 記念品展示収納箱
KR20070001140U (ko) 개인용 히스토리 앨범
JP2004313507A (ja) 額縁
JP3202031U (ja) 装飾品
JP7157442B2 (ja) 叙勲用額縁
US20230389726A1 (en) Hinged display frame for a greeting card
KR200450386Y1 (ko) 개인용 기념품 보관함
KR200420998Y1 (ko) 경량액자
AU2001100279A4 (en) Pageframe
US20050147957A1 (en) Combination themed memorabilia storage and photo display device
KR200295963Y1 (ko) 기념용 출생기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