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846Y1 -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 Google Patents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846Y1
KR200435846Y1 KR20060026065U KR20060026065U KR200435846Y1 KR 200435846 Y1 KR200435846 Y1 KR 200435846Y1 KR 20060026065 U KR20060026065 U KR 20060026065U KR 20060026065 U KR20060026065 U KR 20060026065U KR 200435846 Y1 KR200435846 Y1 KR 200435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genous microorganism
aeration
tank
motor
activ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26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일현환경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현환경개발(주) filed Critical 일현환경개발(주)
Priority to KR20060026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8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02F3/16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the aerator having a vertical axis
    • C02F3/165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the aerator having a vertical axis using vertical aeration chan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토착미생물 활성조(A)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하부에 형성된 토착미생물활성조지지대(B)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폭기모터(14)와, 상기 폭기모터(14)에 의해 고액분리기에서 분과 뇨 분리된 액상 뇨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중간부 내부까지 연결된 폭기관(15)과, 상기 폭기관(15)의 중간 일측에 형성된 인젝터(16)와, 상기 인젝터(16)의 상부는 토착미생물활성조 지붕을 관통하여 연결된 호기관(4)과, 상기 폭기관(15)의 말단에 형성된 폭기토출부(5)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내부 일측에 연결되어 거품을 제거하는 안개부상살포기(70)로 구성된 토착미생물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와류관. 안개부상살포기. 폭기관.

Description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THE APARATUS of activated native - microbe}
도1 본 고안의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상세도
도2 본 고안의 안개부상살포기 측면상세도
도면의 부호설명
호기관(4), 폭기토출부(5), 와류콘(6), 거품제거센서(7), 침전물배출콘(8),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 수위감지센서(10), 폭기모터(14), 폭기관(15), 인젝터(16), 와류콘지지대(17), 배출관(19), 파포기벨트상부연결구(25), 파포기벨트하부연결구(26), 파포기축(27), 파포기2차임펠라(24), 파포기1차임펠라(28), 베아링(29), 안개부상살포기(70), 모터(30), 모터(71), 베아링(72,72`), 리데나(73), 날개축(74), 날개(75), 공기 또는 살수공급관(76), 연결부(77), 공기밸브(78), 살수공급밸브(79), 토착미생물 활성조(A), 토착미생물활성조지지대(B).
본 고안은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액상뇨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안개부상살포기, 폭기인젝터, 와류콘, 침전물제거콘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를 이용하여, 폭기와 교반, 부상과 침전을 동시에 일으켜 BOD 및 SS를 90%이상 제거하는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액상뇨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돈사업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분뇨 처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체 생산비에 30%가 넘는 과도한 분뇨처리 비용은 양돈업 자체를 존폐위기에 서게하였다. 또한 날로 높아 가는 환경에 대한 인식변화로 더욱더 힘들어질 전망이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우리 나라의 분뇨처리 현실은 그 무엇하나 뚜렷한 대안 없는 게 사실이다.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퇴비자원화는 톱밥 등 부자재 값의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있고 이런 어려움은 산림자원이 고갈 되어가고 있는 현실에 긍정적 미래를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다. 해양투기 또한 각 국의 이해 관계와 바다오염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제기로 차츰 그 대안을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가장 유력한 처리 방법은 추가적인 자연 훼손이 되지 않은 친 환경적 자원화법과 정화 방류 처리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지형적 특색 및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현재 정부의 가장 중심적인 사업인 장기 부숙 액비화법은 사실상 그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광활한 경작 지역을 확보하고 있는 외국과 달리 소규모 논밭이 지역 주거지역과 밀접하게 자리잡고있는 우리 나라는 설사 장기 부숙된 액비가 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냄새 등의 민원으로 그 현실가능성이 희박 할뿐 아니라 6개월 이상 저장된 엄청난 양의 분뇨를 일정 기간 안에 뿌린다는 것은 좁은 경작지와 건기가 비교적 짧은 우리의 현실에서는 거의 무단 방류나 다름이 없다. 또한 정화 방류시스템의 경우 일반 하수처리에 적용된 공법을 그대로 축산분뇨에 적용시킴으로서 그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일반 하수와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높은 오염 부하량(BOD 평균 30,000PPM이상)을 가지고 있는 고 농도 유기성 폐수를, 처리 기술에 있어 전문적 기술이 없는 일반 농가에서 그 처리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 한 것은 애초부터 넌쎈스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70%이상의 농가가 슬러리 방식의 돈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 나라 현실에서 스크래퍼 돈사에서 어렵게 진행되고 있는 정화 처리법의 접근은 그 이외농가에서는 근본적으로 차단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72693호에는 상부일측에 배출관이 형성되고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이송스크류가 내설되며 저부가 공급조의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공급콘베이어와, 상면에 일측 공급콘베이어의 투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축산분뇨의 주입을 위한 투입관이 형성되고 하반부가 저부 배출구쪽으로 내향경사진 경사면에 다수의 통공이 환설된 본체와, 본체의 상면 중앙에 입설된 구동모터 및 감속기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구동축의 외주에 스크류가 착설되어 본체 내측에서 회동되는 구동부와, 경사면의 외주둘레에 환설되고 일측 에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공급관을 통해 본체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에어공급부와, 발효된 분뇨의 배출을 위해 배출구 저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도어 및 개폐도어의 저부에 배출되는 분뇨를 일측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콘베이어가 포함된 축산분뇨 발효처리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20-0267684호에는 스트루바이트침전을 위한 응집원 및 알칼리혼합조, 스트루바이트결정반응, 침전조 등 모든 반응조를 하나의 장치로 팩키지화 하여 연속처리하는 스트루바이트침전을 이용한 고농도 질소폐수 처리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20-0267669호에는 저장되는 분뇨를 교반하며 산소를 공급하여 분뇨를 효율적으로 발효시키고, 분뇨배출작업이 편리하며, 저장중인 분뇨에 빗물, 눈 등을 차단하면서도 통풍이 되도록 구성된 분뇨 저장 및 발효탱크가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344133호에는 태양열을 이용한 축산폐수의 처리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88593호에는 처리조의 상부에 내부공간에 소포장치와 해소포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장치들에 의해 액상으로 되돌린 분뇨액을 처리조 내에 되돌리고, 액면상위 부근에서 회전하는 방사상의 날개판이 설치된 원반체로 구성된 살포마리위에 기포를 살포하여 소포하는 양액발효처리장치 및 기포처리기구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특개2000-334497호에는 처리조 바닥부에 상방으로 방출되는 장치와, 해산기 수단의 방출입에 소정 간격으로 개구를 배치하고, 상단 개구를 분뇨의 저장면 위에 노출시켜 설치한 에어리프트관과, 그 리프트관의 외측에 소형간격으로 환상으로 배치되고 상단개구를 에어리프트관의 산단개구 이상으로 배치한 센타웰과, 그 센타웰의 상단 개구에 소정 간격 삿갓형상으로 덮이고 중앙부에 통공을 갖는 분류판과, 상기 분류판 위에 일정간격 겹치도록 배치한 뚜껑판과, 처리조의 천정공간과 연결되는 소포기로 구성된 가축분뇨발효처리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88932호에는 상부가 개방되며 분뇨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이 저장탱크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이 브래킷의 중심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풍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저장탱크에 저장된 분뇨를 교반시키는 교반수단으로 구성된 분뇨발효시스템이 기술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장치가 복잡하고, 축산분뇨를 완전히 처리하지 못하여 슬러지가 장치 바닥에 잔류하여 방해하는 등 사용상 문제점이 많아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제10-1999-17038호, 제10-1999-35628호, 제10-2000-58655호, 제10-2002-0069472 및 제20-2002-0033570호, 제20-2002-36946호, 제20-2001-23605호, 발명 및 고안의 명칭; 축산분뇨의 처리방법 및 장치 와 토착미생물 활성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액상뇨를 처리하는 방법과 뇨발효안개부상살포기를 개량한 것으로서,
우리 나라의 현실에 맞는 자원화 방안과 또한 축산 분뇨의 정화처리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으로서, 1) 톱밥 등 부자재 없이 퇴비화 할 수 있는 고형분 분리하고, 2)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단 기간 내에 생산할 수 있는 무취의 액비 생산하며, 3) 오수 분리가 되지 않는 돈사에 대해 정화 처리법이 안정적으로 되도록 하는 전 처리하여, 축산 분뇨를 단 시간에 처리할 수 있고 처리된 분뇨를 재사용토록 하는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및 그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토착미생물 활성조(A)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하부에 형성된 토착미생물활성조지지대(B)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폭기모터(14)와, 상기 폭기모터(14)에 의해 고액분리기에서 분과 뇨 분리된 액상 뇨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중간부 내부까지 연결된 폭기관(15)과, 상기 폭기관(15)의 중간 일측에 형성된 인젝터(16)와, 상기 인젝터(16)의 상부는 토착미생물활성조 지붕을 관통하여 연결된 호기관(4)과, 상기 폭기관(15)의 말단에 형성된 폭기토출부(5)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내부 일측에 연결되어 거품을 제거하는 안개부상살포기(70)로 구성된 토착미생물활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토착미생물 활성조는 크게 폭기인젝터, 와류콘, 파포기가 구비된 안개부상살포기, 거품제거관, 침전물제거콘으로 구성되어있다. 기존의 제품이 폭기, 교반, 부상, 침전 등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폭기와 교반, 부상과 침전을 동시에 일으켜 BOD 및 SS를 90%이상 제거하는 효율을 가지고 있다.
유입관을 타고 들어온 고액분리 뇨는 살수 및 폭기모터에 의해 인젝터에 유입, 공기를 함유한 후 와류콘에 도달한다. 이때 와류콘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교반 효과를 극대화해주고 동시에 폭기와 와류형성에 의해 버블이 발생하면 버블의 부상 효과와 계면작용에 의해 미세 SS가 제거된다.
또한, 상단에 부착된 간헐 폭기감지쎈서가 폭기량에 따라 적절한 간헐 폭기를 제어함으로서 호기적조건과 혐기적조건을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서 토착미생물을 최 대한으로 활성화하여 BOD를 대폭 감소시킨다. 이때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거품발생은 소포노즐에 의해 제어되고 또한 버블을 소포 노즐에 의해 파포함으로서 암모니아성 질소를 탈기시켜 냄새의 원인 물질을 제거 해준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적정하게 침전이 가능한 입자상태에 도달한 입자상은 침전물배출콘을 통해 배출시킨다.
본 고안의 안개부상살포기는 고농도 축산폐수 처리에 있어 거품제어에 대한 문제는 항상 골칫거리가 되어 왔다.
거품의 과다 발생으로 인한 처리장의 환경 문제와 처리수의 효율감소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에 대해 기존 대응 방법을 살펴보면, 첫째, 임페라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거품을 분쇄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임페라를 이용한 파포의 경우 기계장치가 복잡하고 고가의 제품일 뿐 아니라, 소포시 거품 흡입경이 제한 되어있어 넓은 면적의 거품 소포는 불가능하였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넓은 처리조를 복개하거나 파포기로 유입되는 별도의 유입라인을 설치하여 왔으나, 이런 방법은 과도한 시설비 투자가 문제시 되어왔다.
두 번째 처리 방법으로는 소포제를 쓰는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소포제를 쓰는 경우 처리수의 성상에 따라 소포의 효과가 전혀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소포제에 따라 2차오염의 오염이 있고, 일부 효과가 있는 경우라 할지라도 경제적인 면에서 그 실용성이 뒤떨어진다.
세 번째로 살수 노즐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기존 사용되어진 소포 노즐은 살수 입자 경 및 살수 면적이 고정되어 있는데, 유입원수의 성사의 변화가 심한 축산 분 뇨의 경우 살수입자가 너무 작아 역효과를 일으켜 오히려 거품 발생을 촉진 할 수가 있으며 또한 살수 면적이 고정되어있어 처리수를 담고 있는 구조물의 형성과 처리수의 성사에 따라 유동적인 대응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안개부상살포기는 안개부상살포기는 파포기로 거품 발생 및 부족한 증발 잠열의 일부 보충 등의 증발 감량에 대한 저해 요인들을 제거시키고, 모터휀을 이용하여 거품을 안개형상으로 분무시켜 효율적으로 거품을 처리하는 장치인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에 파포기를 설치하고, 파포기에서 파포된 입자가 상승되어 안개부상살포기의 일측면으로 유입되어 안개부상살포기의 날개의 회전시 후면에 순간적으로 생성되는 압력차이로, 거품을 이동시켜 파포기의 파포효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날개의 회전에 의해, 파포된 입자가 날개에 부딪쳐 안개형상으로 분사되어 또 하나의 효과인 교반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폭기인젝터와 와류콘은 폭기와 교반을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효과에 있다. 기존장치의 경우 폭기와 교반이 별도로 구성되어있어 시설비와 제어에 있어 어려움이 있어왔다. 또한 기존 몇몇 제품에서 폭기와 교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장치가 고안되었으나 기존 고안의 경우 폭기와 교반이 서로간 종속되어 있어 별도의 제어가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근간하여 본 장치는 구조는 크게 인젝터부와 호기관, 폭기토출부 및 와류콘으로 구성 되어있는데, 인젝터의 경우 처리수와 산소를 일대일로 대 응시켜 용존산소량을 늘려주는 역할을 하며 폭기토출부 입경의 변화는 교반 회전수를 변화 시켜 주며, 와류콘은 교반의 깊이 및 범위를 변화시켜 준다. 이러한 구조물들이 별도로 변화가 가능함으로 폭기량과 교반량 및 교반의 범위까지 각각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본 고안의 거품제어 쎈서의 역할은 거품 발생량에 따른 호기와 혐기 환경을 적절하게 제어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침전물 배출콘은 처리에 의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 시켜준다.
본 고안의 안개부상살포기의 일측에 설치된 파포기는 거품을 파포함과 동시에 파포되지 않은 최상단의 거품을 안개부상살포기로 배출과 거품을 액화 시켜 부피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안개부상살포기의 일측에 설치된 공기 또는 살수공급관(76)을 이용하여, 장치내로 물 또는 액을 분무시켜, 기포를 파괴와 동시에,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를 파괴하고, 파괴된 액을 장치 내로 살포하여 장치내의 기포를 파괴하는 2중 역할을 하도록 구조를 개량하였다.
본 고안의 수위감지센서는 감지 해줌으로서 처리수를 일정하게 유입 배출 시켜준다.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공정(분무공정)
안개부상살포기(70) 의 공기 또는 살수공급관(76)에서 살수공급밸브(79)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안개부상살포기 모터(71)를 회전시켜, 공급된 물이 날개(75)에 부딪쳐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하부로 골고루 분산되어 하강시키며, 이와동시에,
제2공정(폭기공정)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일측에 형성된 폭기모터(14)에 의해 고액분리기에서 분과 뇨 분리된 액상 뇨가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중간부로 폭기관(15)을 통해 이송되다가, 폭기관(15)의 중간부에 설치된 인젝터(3)에 도달하면, 인젝터(3)의 영향에 의해 상기 인젝터(3)의 상부에 형성된 호기관(4)에 의해 공기가 액상뇨와 함께 토착미생물활성조(A)로 흡입되어 폭기관(15)의 말단에 있는 폭기토출부(5)로 이송시켜 액상뇨에 함유된 토착미생물을 활성화 되도록 용존산소요구량을 충족시켜주며,
제3공정 (거품제거공정)
상기 제1공정을 거친 폭기토출부(5)에서 용존산소요구량을 충족시킨 폭기된 액상뇨는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와류콘(6)에 안착되어 원뿔형 와류콘(6)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선를 따라 하부로 이송되면서 상기 폭기와 와류의 현상에 의해 다량의 거품이 생성되어 상부로 비산되면,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거품제거센서(7)에 의해 먼저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가 작동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파포기축 및 파포기축에 연결된 각각 임펠라(24, 28)가 파쇄한 액의 미세한 입자를 증발시키며 함께 회전되어 파포기1차임펠라(28)의 회전에 의해 중앙으로 기포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파포기2차임펠라(24)에 의해 기포가 파쇄되어 액으로
파괴되며, 일부는 파괴되지 않은 기포와 함께 통로를 따라 안개부상살포기(70)으로 이송되어 안개부상살포기의 모터(71)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77)와, 상기 연결부(77)에 연결된 날개축의 말단에 형성된 날개(75)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동시에 이동된 기포가 회전하는 날개(75)에 부딪쳐 파쇄되어 전진하면서 일측에 설치된 공기 또는 살수공급관(76)에서 살수공급밸브(79)를 잠그고, 공기밸브(78)를 개방하여 이송되는 공기에 의해 안개형상으로 변하여 분사하여, 냄새의 원인물질을 제거하고, 다량의 거품은 상부에 형성된 임펠라에 부딪쳐 일부 파괴되며, 하부의 와류콘(6)을 통과한 폭기 및 분무 액상 뇨는 와류콘(6)의 하부에 형성된 침전물배출콘(8)의 하부로 이송되어 배출관(19)을 통해 배출시켜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를 이용하여 액상뇨를 처리하였다.
상기에서 토착미생물활성조(A)내에 형성된 수위감지센서(10)에 의해 액상뇨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고안의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상세도, 도2 본 고안의 안개부상살포기 측면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호기관(4), 폭기토출부(5), 와류콘(6), 거품제거센 서(7), 침전물배출콘(8),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 수위감지센서(10), 폭기모터(14), 폭기관(15), 인젝터(16), 와류콘지지대(17), 배출관(19), 파포기벨트상부연결구(25), 파포기벨트하부연결구(26), 파포기축(27), 파포기2차임펠라(24), 파포기1차임펠라(28), 베아링(29), 모터(30), 안개부상살포기(70), 모터(71), 베아링(72,72`), 리데나(73), 날개축(74), 날개(75), 공기 또는 살수공급관(76), 연결부(77), 공기밸브(78), 살수공급밸브(79), 토착미생물 활성조(A), 토착미생물활성조지지대(B)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착미생물 활성조(A)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하부에 형성된 토착미생물활성조지지대(B)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폭기모터(14)와, 상기 폭기모터(14)에 의해 고액분리기에서 분과 뇨 분리된 액상 뇨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중간부 내부까지 연결된 폭기관(15)과, 상기 폭기관(15)의 중간 일측에 형성된 인젝터(16)와, 상기 인젝터(16)의 상부는 토착미생물활성조 지붕을 관통하여 연결된 호기관(4)과, 상기 폭기관(15)의 말단에 형성된 폭기토출부(5)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내부 일측에 연결되어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와 일체화된 안개부상살포기(70)로 구성된 토착미생물활성화 장치인 것이다.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중앙부에 상 부에 연결되어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와 일체화된 안개부상살포기(70)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일측벽에 중간과 하부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10)와, 하부에 형성된 와류콘지지대(17)와, 상기 와류콘지지대(17)중앙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원뿔형이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와류콘(6)과,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침전물배출콘(8)과, 상기 침전물배출콘(8)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19)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2는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와 일체화된 안개부상살포기(70)를 상세히 도시 한 것으로서,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와, 상기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의 일측에 설치된 안개부상살포기(70)로 구성되며, 상기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는 모터의 파포기벨트상부연결구(25)와 파포기벨트하부연결구(26)에 벨트(미도시)로 연결시켜 있으며, 상기 파포기축(27)의 하부에 파포기2차임펠라(2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는 파포기1차임펠라(28)가 설치되어 있으며, 파포기2차임펠라(24)는 파포기1차 임펠라(28)보다 1/2정도 적게 설치하였다. 미설명 된 부호 베아링(72,72`), 모터(71)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안개부상살포기(70)는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와 격벽 및 격벽의 상부에 설치된 기포가 유입되는 기포이동통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71)와, 상기 모터(71)에 연결된 연결부(77)와, 상기 연결부(77)에 연결된 날개축(74)과, 상기 날개축(74)의 말단에 형성된 날개(75)와, 상기 날개축(74)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베아링(72,72`)에 의해 날개축을 감싸는 리데나(73)와, 상기 모터(71)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공기밸브(78)와 살수공급밸브(79)가 구비되어 분지된 공기 또는 살수공급관(76)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의 장치는 폭기, 교반, 부상, 침전 등이 별도로 구성되어있으나, 본 고안은 폭기와 교반, 부상과 침전을 동시에 일으켜 BOD 및 SS를 90%이상 제거하는 효율을 가지고 있으며,
와류콘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교반 효과를 극대화해주고 이때 폭기와 와류형성에 의해 버블이 발생하면 버블의 부상 효과와 계면작용에 의해 미세 SS가 제거시키고, 폭기감지쎈서가 폭기량에 따라 적절한 간헐 폭기를 제어함으로서 호기적조건과 혐기적조건을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서 토착미생물을 최대한으로 활성화하여 BOD를 대폭 감소시키며, 과도한 거품발생은 소포노즐에 의해 제어되고 또한 버블을 소포 노즐에 의해 파포함으로서 암모니아성 질소를 탈기시켜 냄새의 원인 물질을 제거 해주고, 침전이 가능한 입자상태에 도달한 입자상은 침전물배출콘을 통해 신속히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축산분뇨에 사용되는 토착미생물활성화 장치에 있어서,
    토착미생물 활성조(A)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하부에 형성된 토착미생물활성조지지대(B)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폭기모터(14)와, 상기 폭기모터(14)에 의해 고액분리기에서 분과 뇨 분리된 액상 뇨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중간부 내부까지 연결된 폭기관(15)과, 상기 폭기관(15)의 중간 일측에 형성된 인젝터(16)와, 상기 인젝터(16)의 상부는 토착미생물활성조 지붕을 관통하여 연결된 호기관(4)과, 상기 폭기관(15)의 말단에 형성된 폭기토출부(5)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내부 일측에 연결되어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와 일체화된 안개부상살포기(70)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토착미생물활성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는 상부 중앙부에 연결되어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와 일체화된 안개부상살포기(70)와,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일측벽에 중간과 하부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10)와, 하부에 형성된 와류콘지지대(17)와, 상기 와류콘지지대(17)중앙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원뿔형이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와류콘(6)과,
    상기 토착미생물활성조(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침전물배출콘(8)과, 상기 침전물배출콘(8)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19)으로 구성되 며,
    상기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는 모터의 파포기벨트상부연결구(25)와 파포기벨트하부연결구(26)에 벨트(미도시)로 연결시켜 있으며, 상기 파포기축(27)의 하부에 파포기2차임펠라(2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는 파포기1차임펠라(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개부상살포기(70)는 거품배출노즐 및 파포기(9)와 격벽 및 격벽의 상부에 설치된 기포가 유입되는 기포이동통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71)와, 상기 모터(71)에 연결된 연결부(77)와, 상기 연결부(77)에 연결된 날개축(74)과, 상기 날개축(74)의 말단에 형성된 날개(75)와, 상기 날개축(74)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베아링(72,72`)에 의해 날개축을 감싸는 리데나(73)와, 상기 모터(71)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공기밸브(78)와 살수공급밸브(79)가 구비되어 분지된 공기 또는 살수공급관(76)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토착미생물활성화 장치.
  3. 삭제
KR20060026065U 2006-09-27 2006-09-27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KR200435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6065U KR200435846Y1 (ko) 2006-09-27 2006-09-27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6065U KR200435846Y1 (ko) 2006-09-27 2006-09-27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475A Division KR100809876B1 (ko) 2006-09-28 2006-09-28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846Y1 true KR200435846Y1 (ko) 2007-02-26

Family

ID=4162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26065U KR200435846Y1 (ko) 2006-09-27 2006-09-27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8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876B1 (ko)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US40025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obic sewage treatment
CZ290654B6 (cs) Způsob submerzního čištění odpadní vody nebo vody určené k použití jako pitná voda, a zařízení pro jeho provádění
KR101047166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를 위한 부상분리장치
CN101935137B (zh) 沼气发酵原料液中泥沙分离的方法及其装置
JP6071998B2 (ja) 微生物反応槽
KR200307201Y1 (ko)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KR200435846Y1 (ko)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KR100306228B1 (ko) 축산분뇨의 처리방법 및 장치
US7332083B2 (en) Process and device for biological treatment of a suspension in a bioreactor
EP1494970B1 (en) Apparatus for stock raising
KR20020092876A (ko)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액상뇨를처리하는 방법
KR102234444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JP2006320777A (ja) 排水処理装置
KR200307098Y1 (ko) 토착미생물활성화장치
US106044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KR100965275B1 (ko) 하·폐수처리용 살수장치
GB1570202A (en) Treatment of sewage
CN215102723U (zh) 造纸废水混凝气浮-好氧颗粒污泥膜处理装置
JP2005169240A (ja) 汚水処理設備
KR102470350B1 (ko) 싸이클론식 퇴적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역순환형 혐기성 소화조
KR100365481B1 (ko) 폐수의 오염물질 저감용 미세 고형물 분리장치
KR20000015099A (ko) 간헐포기에 의해 질소 및 인을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처리방법및 장치
KR102311782B1 (ko) 가축분뇨 혐기 소화액을 이용한 호기성 액상부산물 정제비료 제조 시스템
CS216658B2 (en) Method of flotation cleaning of liquids and device for executing the sai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