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290Y1 -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 Google Patents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290Y1
KR200435290Y1 KR2020060027008U KR20060027008U KR200435290Y1 KR 200435290 Y1 KR200435290 Y1 KR 200435290Y1 KR 2020060027008 U KR2020060027008 U KR 2020060027008U KR 20060027008 U KR20060027008 U KR 20060027008U KR 200435290 Y1 KR200435290 Y1 KR 200435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display unit
optical fiber
identification device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티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티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티정보기술
Priority to KR2020060027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2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2Code or colour mar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자 혹은 문양이 기록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에 홀이 형성되고, 광섬유가 상기 홀에 끼워져 상기 식별부재가 상기 광섬유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문자 혹은 문양이 기록되는 제 1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부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써, 문자 혹은 문양이 기록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시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표시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별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광분배함과 광전송기기, 광분배함과 광케이블 및 광 전송기기 상호의 연결관계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장치는 유연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광섬유와의 연결부위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밴딩 손실 방지하여 광통신을 원활하게 한다.
식별, 광점퍼코드, 광섬유

Description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Optic Jumper Cord discrimination equipment}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식별장치의 정면도.
도 2 는 종래의 광섬유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식별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별장치 도면.
도 5a, 도 5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에 식별장치를 거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C타입 커넥터에 설치된 식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FC타입 커넥터에 설치된 식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별부재 110, 420 : 연결부
200 : 광섬유 210 : 코어
220 : 클래드 230 : 피복층
400 : 제 1 표시부 410 : 제 2 표시부
430 : 접착부재 600 : SC타입 커넥터
700 : FC타입 커넥터
L : 식별 부재, 제 1 ,2 표시부의 세로길이
l : 연결부의 세로길이
본 고안은 광분배함과 광전송기기, 광분배함과 광케이블 및 광 전송기기 상호의 연결관계를 식별하기 위하여, 유연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난 물질을 이용하여 광섬유의 밴딩 손실을 방지하여 신호의 손실 없이 광통신을 원활히 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국내외적으로 랜의 보급확산, 양방향 통신구현, 화상통화 구현 등 다양한 통신서비스에 관련된 가입자 회로망의 보급 추세에 따라 그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이러한 광케이블은 유리나 투명 수지로 제작된 가는 광섬유가 여러 가닥이 뒤섞여 다수의 묶음 형태로 형성되거나, 단수의 형태로도 형성된다.
이와 같은 광섬유는 접속을 목적으로 통신선로에서 광통신장비 또는 건물내의 통신용 광 분배함 사이에 광점퍼코드를 사용하여 접속 설치함에 따라 통신회선 의 신설 및 교체작업 또는 보수 작업시 광점퍼코드를 식별한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광점퍼코드를 식별하기 위하여, 견출지 또는 라벨지를 사용하여 광점퍼코드를 식별하였다.
그러나, 상기 견출지 및 라벨프린트는 광섬유와 연결된 부분이 넓어서 광섬유에 부착시 광섬유가 구부러져서 밴딩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견출지 및 라벨프린트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지저분해져서 문자나 문양을 식별하기 어렵거나, 상기 광섬유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연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난 물질을 사용하여 광섬유가 식별장치에 의해 구부러져 밴딩손실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시간의 경과에도 상기 광섬유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식별장치는 광섬유를 따라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광분배함과 광전송기기, 광분배함과 광케이블 및 광 전송기기 상호의 연결관계를 식별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에 있어서, 유연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난 물질을 사용하여 광섬유의 밴딩 손실을 방지하여 광신호 전송을 원활히 한다. 그리고, 상기 식별장치는 광섬유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광분배함과 광전송기기, 광분배함과 광케이블 및 광 전송기기 상호의 연결관계를 식별한다.
본 고안에서, 문자 혹은 문양이 기록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에 홀이 형성되고, 광섬유가 상기 홀에 끼워져 상기 식별부재가 상기 광섬유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식별부재는 고무,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및 접합 가공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식별부재의 평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부의 세로 길이는 상기 식별부재의 세로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문자 혹은 문양이 기록되는 제 1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부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써, 문자 혹은 문양이 기록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시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표시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표시부 평면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 평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표시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연결부는 고무,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및 접합가공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표시부의 평면과 상기 제 2 표시부의 평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부의 세로 길이는 상기 제 1 표시부의 세로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식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식별부재(100)와 연결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부재(100)는 고무,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및 접합 가공지 등 내마모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물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식별부재(100)가 광섬유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식별부재(100)에 의해 상기 광섬유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져서 광신호 전송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식별부재(100)의 평면의 모양은 다각형 또는 원형 등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상기 식별부재(100)의 평면 부분에 광섬유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는 문자 혹은 문양을 기록함으로써, 광분배함과 광전송기기, 광분배함과 광케이블 및 광 전송기기 상호의 연결관계를 식별한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식별부재(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식별부재(100) 내부에 홀을 형성하여, 상기 광섬유를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100)는 광섬유를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식별부재(100)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10)의 세로 길이(l)는 상기 식별부재(100)의 세로 길이(L)보다 짧게 형성한다.
상기 광섬유(200)는 빛이 전파되는 코어(210), 빛의 손실 없이 전반사 시키는 클래드(220), 상기 코어(210)와 상기 클래드(220)를 보호하는 피복층(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참조)
상기 광섬유(200)는 상기 코어(210)의 굴절률보다 빛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차단층인 상기 클래드(220)의 굴절률을 약간 작게 하여 상기 코어(210)에 입사된 빛이 굴절률이 다른 상기 코어(210)와 상기 클래드(220)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전파한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200)는 구부러졌을 때, 밴딩 손실이 발생하여, 전파가 손실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식별부재(100)의 세로 길이(L)와 상관없이 상기 광섬 유(200)와 연결되는 연결부(110)의 세로 길이(l)가 짧아짐으로써, 상기 광섬유(200)가 구부러질 경우에도 상기 연결부(110)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200)에 충격을 가하지 않으므로, 광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식별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식별부재(100)의 일측에 홀을 형성하여, 상기 홀에 광섬유를 끼워서 상기 식별부재(100)와 상기 광섬유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1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식별부재(100)와 상기 연결부(110)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광섬유에 커넥터를 부착하기 전에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광섬유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광섬유 중 원하는 부분에 상기 식별부재(100)를 부착할 수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별장치 도면이다.
도 4 는 제 1 표시부(400), 연결부(410), 제 2 표시부(420), 접착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표시부(400)와 상기 제 2 표시부(420)는 고무,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및 접합 가공지로 형성되며, 표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표시부(400)의 표면과 상기 제 2 표시부(420) 표면에는 문자 혹은 문양을 기록하여, 광분배함과 광전송기기, 광분배함과 광케이블 및 광 전송기기 상호의 연결관계를 식별한다.
상기 연결부(410)는 상기 제 1 표시부(400)와 상기 제 2 표시부(4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표시부(400)와 상기 제 2 표시부(420)가 상기 접착부재(430)에 의해 부착될 경우 상기 광섬유를 감는 부분으로서, 상기 광섬유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10)의 세로 길이(l)는 상기 제 1, 2 표시부(400, 420)의 세로 길이(L)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410)가 상기 광섬유에 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연결부(410)에 의해 광섬유가 구부러져 밴딩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410)는 내마모성과 유연성이 높은 물질 즉, 고무,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및 접합 가공지 등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광섬유에 연결하였을 경우에 상기 연결부(410)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접착부재(430)는 상기 제 1 표시부(400)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420)의 표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2 표시부(400, 420)가 일치되도록 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재(430)에 의해 접착될 때, 상기 연결부(430)를 광섬유에 거치시켜 상기 제 1 표시부(400)의 표면과 상기 제 2 표시부(420)의 표면이 맞닿아 일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광섬유가 완성되어 커넥터를 부착한 경우에도 원하는 광섬유에 본 고안인 식별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에 식별장치를 거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와 도 5b 를 참조하면, 연결부(420)가 광섬유(200)를 감싸면서, 접착부재(430)를 사용하여 제 1 표시부(400)와 제 2 표시부(420)를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연결부(420)는 상기 광섬유(200)와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써, 상기 접착부재(430)를 도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200)를 따라서 상기 제 1 표시부(400)와 상기 제 2 표시부(4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인 식별장치는 SC타입, FC타입, ST타입, MU타입, MT-RJ타입, LC타입, FJ타입, MIC타입 등 여러 종류의 커넥터를 포함한 광섬유에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 도 7 참조)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광분배함과 광전송기기, 광분배함과 광케이블 및 광 전송기기 상호의 연결관계를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식별장치는 유연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광섬유가 상기 식별장치에 의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시간의 경과에도 상기 식별장치가 광섬유로부터 분리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식별장치는 광섬유에 커넥터를 부착하기 전·후 언제든지 부착이가능한 효과가 있다.
게다가, 상기 식별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문자 혹은 문양이 기록되는 식별부재; 및
    상기 식별부재 일측에 연결되고, 광섬유가 끼워지는 홀을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고무,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및 접합 가공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의 평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세로 길이는 상기 식별부재의 세로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5. 문자 혹은 문양이 기록되는 제 1 표시부;
    상기 제 1 표시부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써, 문자 혹은 문양이 기록되는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1 표시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표시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 평면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 평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연결부는 고무,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및 접합가공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의 평면과 상기 제 2 표시부의 평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세로 길이는 상기 제 1 표시부의 세로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KR2020060027008U 2006-09-29 2006-09-29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KR200435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08U KR200435290Y1 (ko) 2006-09-29 2006-09-29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08U KR200435290Y1 (ko) 2006-09-29 2006-09-29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290Y1 true KR200435290Y1 (ko) 2007-01-15

Family

ID=4155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008U KR200435290Y1 (ko) 2006-09-29 2006-09-29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2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2642B2 (en) 2007-12-14 2013-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for processing stream, and stream processing methods thereof
KR20220159194A (ko)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이스트포토닉스 외부 전원인가장치를 통한 엘이디 구동을 이용하여 광커넥터의 양 끝단을 판별할 수 있는 광 점퍼코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2642B2 (en) 2007-12-14 2013-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for processing stream, and stream processing methods thereof
KR20220159194A (ko)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이스트포토닉스 외부 전원인가장치를 통한 엘이디 구동을 이용하여 광커넥터의 양 끝단을 판별할 수 있는 광 점퍼코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0209B2 (ja) 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6764221B1 (en) Flexible, multi-fiber fiber optic jumper
CN105359015B (zh) 用于与凸形插头连接器一起使用的凹形硬化光学连接器
US6823120B2 (en) Transmit/receive optical cables
US7918609B2 (en) Fiber optic drop cables and preconnectorized assemblies
US9239441B2 (en) Fiber optic drop cables and preconnectorized assemblies having toning portions
US7467896B2 (en) Fiber optic drop cables and preconnectorized assemblies
US20070098342A1 (en) Distribution fiber optic cables f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JP2000503780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クリーナ
US20120301084A1 (en) Cable assemblies having labe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200435290Y1 (ko) 광점퍼코드 식별 장치
US6909834B2 (en) Media converter that protects optical fiber cable
JPWO2020162501A1 (ja) 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
EP2157463A1 (en) Cable installation detection component
CN110441867A (zh) 在其中具有可更换重定位装置的挠性罩
JP2019066889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365459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コード
JP2012220797A (ja) 光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100516822B1 (ko) 광점퍼코드
CN217932181U (zh) 一种光纤传输的柔性薄膜板
JP2009086177A (ja) 光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集合光ケーブル並びに光ケーブルユニットの検出方法
JP2004280025A (ja) 光コネクタ
JP2001235662A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CN116457711A (zh) 光传输系统的施工方法和现场施工套件
JP2009086176A (ja) 光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集合光ケーブル並びに光ケーブルユニットの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