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247Y1 -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 Google Patents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247Y1
KR200435247Y1 KR2020060023880U KR20060023880U KR200435247Y1 KR 200435247 Y1 KR200435247 Y1 KR 200435247Y1 KR 2020060023880 U KR2020060023880 U KR 2020060023880U KR 20060023880 U KR20060023880 U KR 20060023880U KR 200435247 Y1 KR200435247 Y1 KR 200435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built
cabinet
plate memb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윤진
Original Assignee
윤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윤진 filed Critical 윤윤진
Priority to KR2020060023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2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판부재에 취부되는 연장판부재와 측판부재와 연장판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기존의 가로 1220mm ×세로 2440mm 규격의 합성 합판을 반분하여 붙박이 장롱의 측판 부재로 사용하되, 측판부재에 현장에서 간편한 작업으로 요구되는 폭으로 연장하여 확장 설치하여 줄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붙박이 장롱의 내부수납공간의 깊이를 더욱 깊게 설치하여 요구에 따라 붙박이 장롱의 수납공간의 깊이를 최대한 확보하여서 현장조립되는 붙박이 장롱의 수납효율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게 한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붙박이 장롱

Description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A extension device of side wall of fabricated furniture}
도 1은 고안이 적용된 붙박이 장롱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횡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로서,
도 3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5의 (가),(나)도는 연결부재의 일례도이며,
도 6은 (가),(나)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적용된 연결부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의 (가) 내지 (바)는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연결상태 단면도이며,
도 12는 종래 붙박이 장롱의 측판부재 설치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합판으로 측판부재를 재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결합홈 2: 연장측판부재 3: "T"자형 연결부재
31: "H"자형 연결부재 32: "+"자형 연결부재 33: "ㅣ"자형 연결부재
34: 환봉상의 연결부재 35: 앵커상의 연결부재 100: 합성합판
101,102: 측판부재 103: 붙박이장롱 104: 결합홈
105: 후면판 106: 도어 107: 걸이봉
w₁: 합성합판의 1/2폭 d₁: 종래의 수납공간 깊이
d₂: 확장된 총깊이 d₃: 연장측판부재에 의하여 늘어난 깊이
본 고안은 현장에서 벽체에 조립설치하는 붙박이장롱에 있어서, 작업자가 현장에서 붙박이 장롱의 측벽을 임의로 연장하여 붙박이 장롱의 수납공간의 깊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파티칼 보드(particar boord:PB), 중밀도 합판(MDF) 등과 같은 합성합판으로 되는 측판부재의 후단부에 별도로 준비된 연장측판부재를 현장에서 간단히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박이장 등과 같은 장롱의 측판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대체로 PB, MDF 등과 같은 합성 합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합성 합판은 금형 설비에 의하여 제작시 그 사이즈가 가로×세로 900mm×1800mm 또는 1220mm×2440mm로 규격화되어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합성 합판 특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로 1220mm ×세로 2440mm 규격의 합성합판(100)을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하 여 붙박이 장롱의 높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실내의 높이에 따라 보통 합성합판(100)의 높이인 2446mm보다 낮은 2100~2300mm정도로 설정하고 측판부재(101),(102)의 폭(w₁)을 합성합판(100)을 반분하여 가로폭의 1/2에 해당하는 600mm정도로 설정하여 1장의 합성합판(100)으로 좌우 양측의 측판부재(101),(102)를 형성하여 붙박이 장롱(103)을 제작함으로써 측판부재(101),(102)의 깊이(d₁)가 대체로 600mm로 결정되어 제작되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작상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종래 현장에서 직업, 조립, 설치하는 붙박이 장롱(103)의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붙박이 장롱(103) 내부 수납 공간의 깊이(d₁)가 최대 600mm를 초과할 수 없으며, 또한 측판부재(101),(102) 후방의 결합홈(104)에 취부되는 후면판(105)의 설치에 따라 붙박이 장롱(100)의 실제 수납공간의 깊이(d₁)는 600mm에서 다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또한 도어(106) 내측면에 부착되는 걸이봉(107) 등의 여러 가지 부착물 설치에 따라 붙박이 장롱(100)의 수납공간의 실제 깊이(d₁)는 더욱 감소하는 실정이어서, 큰 이불이나 의류 등의 수납에 많은 애로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납되는 큰 이불이나 의류가 도어(106)와 후면판(105) 및 걸이봉(107) 등의 여러 가지 부착물 사이에 눌려져 구겨져 외관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도어를 닫을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여 수납에 세심한 주위와 신경을 써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여 측판을 확장하기에는 현재 제작되고 있는 합성합판의 제조설비 상 상당한 제약이 뒤따르고, 만약 기존의 합성합판(100)의 폭(w₁)을 70~80mm로 넓게 하기에는 나머지 짧은 부분에 대한 처리가 곤란하고 낭비가 심하여 결과적으로 붙박이 장롱의 제조비를 상승시키게 되어 소비자에게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과 제작비를 상승시키는 등의 비경제적인 요인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내고 있어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행하기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여, 기존의 가로 1220mm ×세로 2440mm 규격의 합성 합판을 반분하여 붙박이 장롱의 측판 부재로 사용하되, 측판부재에 현장에서 간편한 작업으로 요구되는 폭으로 연장하여 확장 설치하여 줄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붙박이 장롱의 내부수납공간의 깊이를 더욱 깊게 설치하여 요구에 따라 붙박이 장롱의 수납공간의 깊이를 최대한 확보하여서 현장 조립되는 붙박이 장롱의 수납효율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게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측판부재에 취부되는 연장판부재와 측판부재와 연장판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고안이 적용된 붙박이 장롱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횡단 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로서, 도 3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5의 (가),(나)도는 연결부재의 일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도 붙박이 장롱(103)의 측판부재(101),(102)를 기존과 같이 가로 1220mm ×세로 2440mm 규격의 합성합판(100)을 정확히 반분하여 후단부에 결합홈(104)을 형성한 측판부재(101),(102)의 폭(w₁)을 600mm정도로 설정하여 형성하고, 이에 결합홈(1)을 후단에 형성한 요구되는 소정의 폭(w₂)으로 형성된 동일높이의 연장측판부재(2)를 연결부재(3)로 연결 결합하고, 결합홈(1)에 후면판(105)를 설치하여 결합홈(101)까지의 깊이(d₃)만큼 붙박이 장롱(103)의 수납공간 깊이(d₂: d₁+d₃)를 연장하여 준다.
본 고안의 연결부재(3)는 도 1 내지 도 5의 (가),(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부재(101),(102)와 삽치편(3a)를 중앙에 형성하고 양측에 나사공(3b),(3c)를 형성한 결합편(3d),(3e)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T"자의 형태로 구성하되, 도 5의 (가)도와 같이 측판부재(101),(102)의 전체 세로 길이와 같게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나)도와 같이 짧게 분할하여 형성하여도 좋으며, "T"자의 연결부재(3)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철판을 벤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도 6의 (가),(나)도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 사이에 연결하는 타실시예의 연결부재(31)의 예시도이다. 동 실시예의 연결부재(31)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 사이에 끼워지는 삽치편(31a)이 중간에 형성되고 이의 양측에 나사공(31b),(31c)을 형성한 내측 결합편(31e)와 외측결합편(31d)이 형성된 "H"자형으로 형성하되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도와 같이 측판부재(101),(102)의 전체 세로 길이와 같게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나)도와 같이 짧게 분할하여 형성하여도 좋으며, "H"자의 연결부재(31)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철판을 벤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도 7의 (가),(나)도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 사이에 연결하는 또 다른 타실시예의 연결부재(32)의 예시도이다. 동 실시예의 연결부재(32)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 사이에 끼워지는 삽치편(32a)이 중간에 형성되고 이의 양측면에 나사공(32b),(32c)을 형성한 내측 결합편(32d),(32e)이 형성된 "+"자형으로 형성하여 결합편(32d),(32e)이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 내부에 식입하여 결합하게 하되,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도와 같이 측판부재(101),(102)의 전체 세로 길이와 같게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나)도와 같이 짧게 분할하여 형성하여도 좋으며, "+"자의 연결부재(32)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철판을 벤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도 8의 (가),(나)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타실시예의 연결부재(33)의 예시도이다. 동 실시예의 연결부재(33)는 결합하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를 나사공(33a),(33b)을 형성한 내측 결합편(33c)만이 형성되는 평판상으로 구성되어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를 연결 결합하게 되어 있음을 보인 것으로 이 역시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도와 같이 측판부재 (101),(102)의 전체 세로 길이와 같게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나)도와 같이 짧 게 분할하여 형성하여도 좋으며,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평판의 철판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도 9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 사이에 연결하는 또 다른 타실시예의 연결부재(34)의 예시도이다. 동 실시예의 연결부재(34)는 측판부재(101), (102)와 연장측판부재(2)의 마주 보는 결합단부에 삽치홈(a),(b)를 형성하고 이에 환봉으로 되는 연결부재(34)를 끼워 결합하는 또 다른 구성예를 보인 것으로, 이 연결부재(34)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목봉. 철봉 등 모두 가능하다.
도 10은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 사이에 연결하는 또 다른 타실시예의 연결부재(35)의 예시도이다. 동 실시예의 연결부재(35)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의 마주 보는 결합단부에 삽치홈(a),(b)를 형성하고 이에 거치상돌기(35a)를 형성한 앵커볼트로 되는 연결부재(35)를 끼워 결합시 연장측판부재(2)의 후방을 고무망치 등으로 가볍게 타결하여 결합하는 또 다른 구성예를 보인 것으로, 이 연결부재(34)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철 등 어떠한 소재로도 형성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각 실시예의 연결부재(3),(31),(32),(33),(34),(35)를 사용하여 붙박이 장롱(103)의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를 도 11 (가) 내지 (바)도과 같이 각각 현장에서 연결 조립하여 붙박이 장롱(103)의 수납공간의 깊이(d₁)를 연장측판부재(2)가 연장설치된 깊이(d₃) 및 측판부재(101),(102)에 설치되던 후면판(105)이 차지하던 사각공간을 포함한 깊이(d₂)만큼 깊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붙박이 장롱(103)의 수납공간의 깊이를 더욱 넓게 하여 공간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연장측판부재(2)에 의하여 수납공간의 깊이(d₂)가 늘어난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측판부재(101),(102)에도 각각 결합홈(104)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공간을 늘릴 필요가 없을 때에는 기존과 같이 후면판(105)을 측판부재(101) (102)의 결합홈(104)에 설치하여 좁은 기존의 깊이(d₁)로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현장에서 시공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파티칼 보드(PB), 중밀도 합판(MDF) 등과 같은 합성합판으로 되는 측판부재의 후단부에 별도로 준비된 연장측판부재를 현장에서 작업자가 임의로 연장하여 붙박이 장롱의 수납공간의 깊이를 확장시켜 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가로 1220mm ×세로 2440mm 규격의 합성 합판을 반분하여 붙박이 장롱의 측판 부재로 사용하되, 측판부재에 현장에서 간편한 작업으로 요구되는 폭으로 연장하여 확장 설치하여 줄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붙박이 장롱의 내부수납공간의 깊이를 더욱 깊게 설치하여 요구에 따라 붙박이 장롱의 수납공간의 깊이를 최대한 확보하여 붙박이 장롱의 수납효율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으며, 기존 합성합판의 폭을 양분하여 전부 이용하게 되어 불필요한 합판의 낭비없이 경제적으로 붙박이 장롱을 제작하여 제공하게 함으로써 수납공간이 넓은 붙박이 장롱을 염가로 대량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붙박이 장롱(103)의 측판부재(101),(102)를 기존과 같이 가로 1220mm ×세로 2440mm 규격의 합성합판(100)을 정확히 반분하여 후단부에 결합홈(104)을 형성한 측판부재(101),(102)의 폭(w₁)을 600mm정도로 설정하여 형성하고, 이에 결합홈(1)을 후단에 형성한 요구되는 소정의 폭(w₂)으로 형성된 동일높이의 연장측판부재(2)를 연결부재(3)로 연결 결합하고, 결합홈(1)에 후면판(105)를 설치하여 결합홈(101)까지의 깊이(d₃)만큼 붙박이 장롱(103)의 수납공간 깊이(d₂: d₁+d₃)를 연장하여 줄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측판부재(101),(102)와 삽치편(3a)를 중앙에 형성하고 양측에 나사공(3b),(3c)를 형성한 결합편(3d),(3e)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T"자의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31)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 사이에 끼워지는 삽치편(31a)이 중간에 형성되고 이의 양측에 나사공(31b),(31c)을 형성한 내측 결합 편(31e)와 외측결합편(31d)이 형성된 "H"자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32)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 사이에 끼워지는 삽치편(32a)이 중간에 형성되고 이의 양측면에 나사공(32b),(32c)을 형성한 내측 결합편(32d),(32e)이 형성된 "+"자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33)는 결합하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를 나사공 (33a),(33b)을 형성한 내측 결합편(33c)만이 형성되는 평판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34)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의 마주 보는 결합단부에 삽치홈(a),(b)를 형성하고 이에 환봉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 장 롱의 측벽 연장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35)는 측판부재(101),(102)와 연장측판부재(2)의 마주 보는 결합단부에 삽치홈(a),(b)를 형성하고 이에 거치상돌기(35a)를 형성한 앵커 볼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KR2020060023880U 2006-09-05 2006-09-05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KR200435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880U KR200435247Y1 (ko) 2006-09-05 2006-09-05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880U KR200435247Y1 (ko) 2006-09-05 2006-09-05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247Y1 true KR200435247Y1 (ko) 2007-01-12

Family

ID=41558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880U KR200435247Y1 (ko) 2006-09-05 2006-09-05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2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016B1 (ko) * 2013-04-05 2013-12-02 주식회사 동성사 수납기능을 갖는 드레스 룸용 도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016B1 (ko) * 2013-04-05 2013-12-02 주식회사 동성사 수납기능을 갖는 드레스 룸용 도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5866A (zh) 一种组合式板式家具
EP2351897A1 (en) New type of plastic ground mat
KR200435247Y1 (ko)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KR200258524Y1 (ko) 붙박이 장롱의 측벽 연장구조
KR200491435Y1 (ko) 가구용 도어틀
CN203506066U (zh) 可用于橱柜柜体的框架结构
CN211082477U (zh) 家具连接组件
KR20130007263U (ko) 반조립 수납장
CN202980847U (zh) 无榫三角截面腿桌子
KR200466856Y1 (ko) 가구용 서랍
EP2499936B1 (de) Modulares Möbelverbindungsstecksystem
KR200448429Y1 (ko) 가구용 측판
KR200257658Y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CN214904858U (zh) 一种大尺寸空间柜体
KR200371631Y1 (ko) 수납가구 제작용 조립체
CN209762696U (zh) 一种框剪式组合型材
JP3476117B2 (ja) 家具用天板
CN212002076U (zh) 一种纵横拼接的木地板锁扣装置
CN208473139U (zh) 一种竖向支撑梁的连接件
CN219973286U (zh) 一种适用于大尺寸的井盖支座结构
CN206738317U (zh) 一种门柜的后板定位装置
CN215890680U (zh) 一种连接件及支撑平台
CN210947742U (zh) 一种紧固件及紧固结构
KR20080076716A (ko) 퍼즐식 수납장
KR100200952B1 (ko) 조립식 가구용 프라스틱 패널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