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185Y1 - Assist device for sewing-material holding frame in sewing machine - Google Patents
Assist device for sewing-material holding frame in sew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5185Y1 KR200435185Y1 KR2020060022756U KR20060022756U KR200435185Y1 KR 200435185 Y1 KR200435185 Y1 KR 200435185Y1 KR 2020060022756 U KR2020060022756 U KR 2020060022756U KR 20060022756 U KR20060022756 U KR 20060022756U KR 200435185 Y1 KR200435185 Y1 KR 20043518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embroidery
- assisting tool
- sewing
-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자수 미싱에 있어서, 자수틀(7)은, 그 후단부(Y방향 안쪽의 횡변)에 있어서 미싱 본체에 외팔보 모양으로 지지된다. 자수틀(7) 상에 실어 놓인 피자수 옷감은, 유지 클립(9)에 의해서 유지된다. 틀 보조구(8)는, 자수틀(7)의 X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자수틀(7)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양자간격을 규제한다. 틀 보조구(8)의 양단부에 설치된 받음 부재(19)가 유지 클립(9)의 측면에 맞물림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지 클립(9) 위로부터 틀 보조구(8)를 장착할 수 있다. 틀 보조구(8)는, 2개의 직사각형 부재(10, 11)를 힌지 부재(결합 부재)(13)를 통하여 신축 가능하게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힌지 부재(13)를 곧게 늘리는 것에 의해 자수틀(7)에 장착되고, 또,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자수틀(7)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틀 보조구(8)의 착탈 작업이 용이하다.In the embroidery sewing machine, the embroidery frame 7 is supported by the sewing machine main body in a cantilever shape at its rear end (lateral side in the Y-direction). The pizza dough cloth mounted on the embroidery frame 7 is held by the retaining clip 9. The frame aid 8 is attached between the front end part and the rear end part of the embroidery frame 7 at approximately the center part of the embroidery frame 7 in the X direction, and restricts the quantum spacing. Since the receiving member 19 provided in the both ends of the frame | tool assist tool 8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engages the side surface of the retaining clip 9, the frame assist tool 8 can be mounted from above the retaining clip 9. . The frame assisting tool 8 is configured by elastically engaging two rectangular members 10 and 11 via a hinge member (coupling member) 13. It is attached to the embroidery frame 7 by extending the hinge member 13 straight, and can be removed from the embroidery frame 7 by folding and bending. Therefore, the attachment / detachment work of the frame aid 8 is easy.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을 위쪽에서 본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the embroidery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틀 보조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FIG. 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frame aid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2의 I-I선에 있어서의 평면에 따라서 틀 보조구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assisting tool cut along the plane in the line I-I of FIG.
도 4는 도 3과 동일한 단면도로서, 틀 보조구를 접어 구부린 상태를 나타낸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3,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assisting tool is folded and bent.
도 5는 동실시예에 관한 틀 보조구에 갖추어지는 힌지 부재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ion of the hinge member provided in the mold a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6은 동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에 있어서, 피자수 옷감 전체에 걸쳐 자수 무늬을 자수하는 경우의 작업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틀 보조구를 설치한 곳을 나타낸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dure when the embroidery pattern is embroidered over the whole pizza fabric in the embroidery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shows where the frame aid is provided.
도 7은 도 6과 동일한 설명도로서, 소정개소까지 자수를 행한 후에 다른 틀 보조구를 설치한 곳을 나타낸다.FIG. 7 is an explanatory view similar to FIG. 6, showing a place where another frame aid is provided after the embroidery is mad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도 8은 도 6과 동일한 설명도로서, 한쪽의 틀 보조구를 떼어내, 자수를 끝낸 곳을 나타낸다.FIG. 8 is an explanatory view similar to FIG. 6, showing a place where one frame aid is removed and embroidery is finished.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틀 보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ame a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받음 부재의 부분 확대도.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in Fig. 9.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틀 보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ame a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9에 있어서 힌지 부재의 개소에 설치되는 조작편을 나타내는 사시도.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operation piece provided in the location of the hinge member in FIG.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미싱 프레임, 2 미싱 테이블, 3 미싱 헤드, 4 바늘판, 5 기체, 6 연결체, 7 자수틀(유지틀), 8 틀 보조구(피봉제 소재 유지틀의 보조구), 9, 24, 24` 유지 클립, 10 ~ 12 채널 부재, 13 힌지 부재, 17 연결 부재, 19, 21, 26 받음 부재, T 피자수 옷감, S 자수 무늬1 sewing machine frame, 2 sewing tables, 3 sewing heads, 4 needle boards, 5 bodies, 6 connectors, 7 embroidery frames (holding frames), 8 frame aids (aids for sewing material retaining frames), 9, 24, 24` retaining clip, 10-12 channel member, 13 hinge member, 17 connecting member, 19, 21, 26 receiving member, T pizza cloth, S embroidery pattern
본 고안은, 미싱에 있어서 피봉제물(피봉제 소재)을 유지하는 유지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구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 보조구를 이용한 봉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ing tool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a holding frame for holding a to-be-sealed material (sewn material) in a sewing machine, and also to a sewing method using the assisting tool.
종래부터 알려진 자수 미싱의 일례로서, 피자수 옷감을 유지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자수틀이, 미싱 본체에 대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X방향 구동 기구 및 Y방향 구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서, 미싱 본체에 대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는 미싱 본체에 대 하여 좌우 방향을 「X방향」, 그와 동일한 것의 전후 방향을 「Y방향」으로 한다. 이런 종류의 자수 미싱에 있어서의 자수틀의 설치 구조의 일례로서, 자수틀 중 하나의 틀변에 연결된 연결체에 의해, 이 자수틀을 그 일단부에서만 외팔보(cantilever) 모양으로 지지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 구체적인 구성예는 다음과 같다. 미싱 테이블 위에는 X방향으로 긴 기체가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기체는 좌우 양단에 있어서 Y구동 기구에 연결된다. 이 기체에는,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체가 장착되고 있고, 이 연결체는, X구동 기구에 의해 기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X방향으로 구동되며, 또, 기체의 Y방향의 이동과 일체적으로 Y방향으로 구동된다. 자수틀은, 그 후단부(Y방향 뒤쪽의 횡변)에 있어서 연결체에 연결되고, 미싱 테이블의 상면(上面)에 따라서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미싱 본체에 대하여 외팔보 모양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자수틀은 연결체의 X방향 및 Y방향의 이동과 일체적으로 X, Y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자수 옷감은 자수틀 위에 팽팽하게 실어 놓이고, 자수틀의 내주연(內周緣) 상면에 설치된 띠모양 돌기(돌조(突條))와, 이 돌조의 윗쪽에서부터 끼워 붙여지는 유지 클립과의 사이에 끼워 넣는다.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ly known embroidery sewing machine, a rectangular embroidery frame for holding pizza dough is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wing machine body, and is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X direction drive mechanism and the Y direction drive mechanism. Thereby, it may be driven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wing machine body.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left-right direction is set to "X direction" with respect to a sewing machine main body, and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ame thing is made into "Y direction". As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embroidery frame in this kind of embroidery sewing machine, the structure which supports this embroidery frame in a cantilever shape only at one end by the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one frame side of the embroidery frame is known. . The specific structural example is as follows. On the sewing table, a gas long in the X direction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Y direction, and the gas is connected to the Y driving mechanism at both ends. This body is equipped with a connecting body which is movable in the X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body is driven in the X direction relative to the body by the X driving mechanism, and is integral with the movement in the Y direction of the body. Driven by. The embroidery fram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dy at its rear end (lateral side in the Y-direction) and is mounted in a cantilever shape with respect to the sewing machine body so as to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wing table. Therefore, the embroidery frame can be moved in both X and Y directions integrally with the movement in the X and Y directions of the connecting body. The pizza dough is placed on the embroidery frame and is placed between the strip-shaped protrusio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embroidery frame and the retaining clip fitted from the top of the embroidery frame. Put it in.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자수 미싱의 자수틀은, 그 후단부(Y방향 뒤쪽의 횡변)를 연결체(6)에만 연결되는 것으로, 자수틀(7)의 전단부(前端部)(Y방향 앞쪽의 횡변)는 자유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수틀에 유지된 피자수 옷감으로의 자수의 진행에 수반하여 피자수 옷감의 자수틀에 대한 장력이 늘어나면, 자유 상태의 자수틀의 전단부가, 이 피자수 옷감의 장력에 의해서, 틀에 대하여 안쪽으로 변 형해 버린다(휨). 따라서, 상기 구성의 자수 미싱에 있어서는, 상기 자수틀의 변형에 수반하여 자수의 무늬 차이를 일으켜 버린다는 단점이 있었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embroidery frame of the embroidery sewing machine connects the rear end (lateral side in the Y direction back) only to the
한편, 종래부터, 자수틀의 가로 폭(X방향의 폭)보다 가로 폭이 짧은 피자수 옷감을 자수틀에서 유지하는 경우에, 피자수 옷감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 부재를 설치하여, 이 보조 부재에 의해 피자수 옷감의 한 변을 유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 보조 부재는, 자수틀의 각 변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샷시(sash) 부재와, 이 샷시 부재의 양단에 구비된 연결 부재로 구성되고, 이 연결 부재는 한 쌍의 협지편(挾持片)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 보조 부재의 자수틀에 대한 설치는, 자수틀의 X방향 대략 중앙 부근에 있어서, 샷시 부재를 Y방향에 따라서 걸쳐 놓고, 각 연결 부재의 협지편에 대향하는 자수틀의 돌조를 끼워, 이것을 나사로 단단히 조이는 것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종래는, 피자수 옷감의 가로 폭이 자수틀(7)의 가로 폭에 대응하고 있을 때에도, 이 보조 부재를 자수틀에 장착하여, 자수틀의 변형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원용하고 있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in the case where the pizza width of the width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embroidery frame (width in the X direction) is held in the embroidery frame, an auxiliary member for holding the pizza size cloth is provided to the auxiliary member. Maintaining one side of the pizza dough was performed. This auxiliary member comprises a sash member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each side of the embroidery frame, and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ash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a pair of sandwich pieces. Was composed by. In the installation of the auxiliary member to the embroidery frame, the sash member is placed along the Y direction near the center in the X direction of the embroidery frame, and the protrusions of the embroidery frame facing the sandwich pieces of the respective connecting members are sandwiched, and this is firmly screwed. It was done by tightening. Conventionally, even when the width | variety of the pizza dough cloth corresponds to the width | variety of the
그렇지만, 피자수 옷감의 가로 폭이 자수틀의 가로 폭에 대응하고 있을 때는, 자수틀에 실어 놓는 피자수 옷감을 교환할 때마다 보조 부재를 탈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보조 부재는 자수틀의 돌조에 대한 나사 고정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착탈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또, 보조 부재는 자수틀의 돌조에 나사 고정 되어 있으므로, 보조 부재를 고정한 부분에는 피자수 옷감을 유지하는 유지 클립을 장착할 수 없었다. 따라서, 피자수 옷감을 유지할 경우에 보조 부재를 고정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유지 클립의 설치를 행할 필요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width of the pizza dough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embroidery frame, the auxiliary member must be detached each time the pizza cloth placed on the embroidery frame is replaced. Since this auxiliary member was attached by screwing against the protrusion of the embroidery frame, the detachment work was very troublesome. Moreover, since the auxiliary member was screwed to the protrusion of the embroidery frame, the holding clip which holds the pizza dough was not able to be attached to the part which fixed the auxiliary member.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install the holding clip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for fixing the auxiliary member when holding the pizza dough.
또, 보조 부재를 자수틀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이 보조 부재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자수를 행할 수 없고, 해당 부분에 자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보조 부재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부재의 착탈 작업은, 나사 고정 작업이나 유지 클립의 설치 위치의 변경 등을 필요로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자수틀에 있어서의 자수 가능한 범위 전역(全域)에 자수를 행하는 경우에, 자수틀에 보조 부재를 장착하는 것은 실천적이지 않다. 따라서, 자수 가능한 범위 전역에 자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자수틀의 변형 방지책을 강구하는 것이 곤란했다.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member is fixed to the embroidery frame, embroidery cannot be performed on the portion where the auxiliary member is located, and when the embroidery member is embroidered on the por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uxiliary member must be changed.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attachment / detachment work of the auxiliary member is very troublesome because it requires the screw fixing work, the chang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lding clip, and the like. For this reason, for example, when embroidering in the whole range of the embroidery possible in the embroidery frame, it is not practical to attach the auxiliary member to the embroidery frame. Therefore, when embroidering in the whole range which can be embroidered, it was difficult to take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embroidery frame.
본 고안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봉제 소재 유지틀의 내측으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구로서, 소재 유지틀로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보조구를 이용한 봉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in view of the point mentioned above, Comprising: It aims at providing the assisting tool for preventing deformation to the inside of a to-be-sealed material holding frame so that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a material holding frame can be performed easily. . Moreover, it aims at providing the sewing method using this assisting tool.
본 고안은, 미싱에 있어서 피봉제물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구로서, 이 보조구는, 소정의 배치로 서로 결합했을 때에 곧은 길이 구조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부재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부재가 상기 소정의 배치로 서로 결합했을 때의 상기 곧은 길이 구조의 길이가, 상기 유지틀의 대향하는 2변의 간격에 적합하는 길이인 것과, 상기 적어도 2개의 부재를 신축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로서, 상기 결합 부재를 늘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곧은 길이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부재를 소정의 배치로 결합하도록 한 것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부재를 늘린 상태로 상기 보조구가 상기 유지틀의 대향하는 2변의 사이에 장착되어 이 2변의 간격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ssisting tool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a retaining frame for holding a to-be-sealed object in a sewing machine. The assisting tool is at least two members which form a straight length structure when they are joined to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The length of the straight-length structure when the at least two members are joined to each other in the predetermined arrangement is a length suitable for the distance between two opposite sides of the retaining frame, and the at least two members are elas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joining member for fastening, wherein the joining member is stretched so that the at least two members are join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o as to form the straight length structure, and the assisting tool is provided with the joining member exten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between two opposite sides of the retaining frame to regulate the gap between the two sides.
본 고안에 의하면, 보조구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부재가 결합 부재를 통하여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결합 부재를 늘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부재가 소정의 배치로 서로 결합되어 곧은 길이 구조를 형성하여, 피봉제 소재 유지틀의 대향하는 2변의 간격에 적합하는 길이로 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를 늘린 상태로 함으로써, 보조구가 곧은 길이 구조를 형성하고, 유지틀의 대향하는 2변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규제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유지틀의 내측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고안에 관한 보조구를, 자수를 행하는 자수 미싱 자수틀에 적용하면, 자수틀의 내측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자수틀의 내측으로의 변형에 수반해 자수 무늬 차이를 일으킨다고 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덧붙여, 결합 부재를 줄이도록 변위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짧아진 보조구를, 유지틀(자수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관한 보조구를, 유지틀(자수틀)에 다시 장착하는 경우는, 결합 부재를 줄인 채로의 보조구를 유지틀의 대향하는 2변의 사이에 두고, 그리고, 결합 부재를 늘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부재로 곧은 길이 구조를 형성시킨다. 이렇게 하여, 보조구가 유지틀의 대향하는 2변의 사이에 딱 장착된 상태가 되어, 이 2변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규제(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부재를 신축시키기만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유지틀에 대한 보조구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피봉제물을 교환할 때에 있어서, 유지틀에 대한 보조구의 탈착에 힘을 들이지 않고, 단시간에 행해지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members constituting the assisting tool are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member, and the at least two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extended to have a straight length. A structure is formed and it becomes length suitable for the space | interval of the two opposite sides of a to-be-sealed material holding frame. Therefore, by making the engaging member extend, the assisting tool forms a straight length structure, and the gap between two opposite sides of the retaining frame can be regul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y deforming the inside of the retaining frame. It can prevent. Thus, for example, when the assist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mbroidery sewing machine to be embroidered, deformation into the embroidery frame can be prevented, and the embroidery pattern is accompanied by deformation into the embroidery frame. The conventional problem of causing a difference can be solved. In addition, by displacing the coupling member so as to reduce, the overall assisted tool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holding frame (embroidery frame). In addition, when reattaching the assist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retaining frame (embroidery frame), place the assisting tool with the coupling member shortened between two opposite sides of the retaining frame, and increase the coupling member. This forms a straight length structure with the at least two members. In this way, the assisting tool is in a state of being perfectly fitted between two opposing sides of the retaining fram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se two sides can be regulated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way,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assisting tool to the holding frame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simple operation of only stretching the engaging member. Therefore, for example, when exchanging a to-be-processed object, it is performed so that it may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without exerting a force to detach | detach an assisting tool with respect to a holding frame.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부재를 접어 구부림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 결합 부재의 힌지를 늘린 상태로 상기 보조구가 상기 유지틀의 대향하는 2변의 사이에 장착되어 이 2변의 간격을 규제하고, 또, 이 결합 부재의 힌지를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상기 보조구가 이 유지틀로부터 떼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결합 부재의 힌지의 굽혀 늘림에 의해서, 유지틀에 대한 보조구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ngaging member has a hinge structure for folding the at least two members so as to bend, and the auxiliary tool is opposed to the retaining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of the engaging member is extended. The auxiliary tool is detached from the holding frame by being mounted between the sides to reg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se two sides, and by bending the hinge of the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this,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an assisting tool with respect to a holding frame can be performed easily by bending the hinge of a coupling member.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지틀에 맞닿는 양단의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부재의 어느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 이 유지틀의 맞닿음 부위의 형상에 대략 정합(整合)하는 형상을 가지는 받음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지틀은, 유지구를 통하여 상기 피봉제물을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받음 부재는 상기 유지구의 형상에 대략 정합하는 형상을 가지고, 이 유지구를 상기 유지틀에 장착한 채의 상태로 상기 보조구가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피봉제물을 유지틀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구를 설치한 채로, 그 위에서부터 보조구를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조구를 세트하는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유지구를 배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one end of the at least two members corresponding to the portions of both ends in contact with the retaining frame, the receiving member has a shape that substantially matches the shap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retaining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ember. The holding frame holds the to-be-sealed object through a holding tool, and the receiving member has a shape that substantially matches the shape of the holding tool, and the holding tool is mounted on the holding frame. The assisting tool is removable. According to this, it becomes possible to attach or detach an auxiliary tool from above, with the holding tool for holding a to-be-sealed object in a holding frame, and can hold | maintain a holding tool without considering the position to set an auxiliary tool. .
또, 본 고안에 관한 봉제 방법은, 피봉제물을 유지하는 유지틀과, 이 유지틀의 대향하는 2변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2변의 간격을 규제하는 보 조구를 갖춘 미싱에 있어서의 봉제 방법으로서, 상기 유지틀에 유지된 상기 피봉제물에 대한 전(全) 봉제 범위 가운데, 상기 유지틀에 장착된 상기 보조구에 의해서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 대하여 봉제를 행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유지틀에 유지된 상기 피봉제물에 대한 전 봉제 범위 가운데, 상기 보조구에 의해서 간섭되는 소정 범위에 대한 봉제를 행할 때, 다른 보조구를 상기 소정 범위에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장착하고, 상기 소정 범위에서 간섭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보조구를 상기 유지틀로부터 떼어내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2 공정에 의한 상기 보조구의 다시 설치한 결과, 상기 보조구에 의해서 간섭되지 않게 된 상기 소정 범위에 대하여 봉제를 행하는 제 3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보조구를 사용함으로써, 제 2 행정에 있어서의 보조구의 떼어냄과 재설치를 지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피봉제물에 대한 봉제 범위의 소정 범위가 보조구에 의해서 간섭되는 일이 있어도, 문제 없고 전 봉제 범위에 걸친 봉제를 행할 수 있다.Moreover, the sewing metho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tachably attached between the holding frame which hold | maintains the to-be-sealed object, and the two sides which oppose this holding frame, and is equipped with the auxiliary tool which controls the space | interval of these two sides. A sewing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sewing in a range that is not interrupted by the assisting tool attached to the holding frame among all the sewing ranges for the object to be held on the holding frame; When sewing the predetermined range which interferes with the said assisting tool among all the sewing ranges with respect to the to-be-sealed object hold | maintained by the frame, another auxiliary tool is mounted in the position which does not interfere in the said predetermined range, A second step of removing the assisting tool in the interfering position from the holding frame; and as a result of re-installing the assisting tool by the second step, the assisting tool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hird step of sewing for the predetermined range that is not interfered with. By using the assisting tool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chment and re-installation of the assisting tool in the second stroke can be carried out very easily, so that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sewing range for the to-be-sealed object is interfered by the assisting tool. Even if there is work, sewing over the whole sewing range can be performed without a problem.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Preferred form for carrying out desig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싱의 일례로서, 자수틀에 유지된 피자수 옷감에 대하여 자수를 행하기 위한 자수 미싱에 대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n example of the sewing machine, embroidery sewing machine for embroidering the pizza dough fabric held in the embroidery frame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을 위쪽에서 본 평면도로서, 도시 및 설명의 편의상, 미싱의 일부를 상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같은 도에 있어서 도면 횡방향이 미싱 본체의 좌우 방향(X방향), 그 상하 방향이 미싱 본체의 전 후 방향(Y방향)에 대응하고 있고, 도면 아래쪽이 미싱 전방(작업자에게 있어서 앞쪽)에 대응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해당 자수 미싱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미싱 프레임이다. 미싱 프레임(1)은, 미싱 테이블(2)로부터 일어서 있고, 이 미싱 테이블(2) 윗쪽을 X방향으로 횡단하도록 가설(架設)되어 있다. 미싱 프레임(1)에는 4개의 미싱 헤드(3)를 갖춰져 있고, 각 미싱 헤드(3)에 대응하여 바늘판(4)이 구비된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자수 미싱은, 다두식 자수 미싱으로, 각 미싱 헤드(3)마다 미싱 바늘이나 그 구동 기구 등, 자수를 행하기 위한 봉제 기구를 구비한다.Fig. 1 is a plan view of the embroidery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rom above, and shows a part of the sewing machine as an imaginary line (two dashed lines)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In the same figure,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rawing corresponds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 directions) of the sewing machine body,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ewing machine body (Y direction), and the lower part of the drawing corresponds to the sewing machine front (front to the operator). do. In Fig. 1,
미싱 테이블(2) 위에는, X방향으로 긴 기체(5)가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기체(5)는, 그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Y구동 기구에 연결되어 있고, Y구동 기구의 구동에 따라, 미싱 테이블(2) 위를 Y방향으로 구동된다. 기체(5)에는, X방향에 따라서 적당히 이산(離散)하여 3개의 연결체(6)가 배치된다. 각 연결체(6)는, 기체(5)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는 X구동 기구에 연결되어 있고, 이 X구동 기구의 구동에 따라, 기체(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X방향으로 구동된다. 또, 각 연결체(6)는, 기체(5)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체(5)의 Y방향의 이동과 일체적으로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On the sewing table 2, the
자수틀(피봉제 소재 유지틀)(7)은, 피자수 옷감을 유지하는 틀로서,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수틀(7)은, 그 후단부(Y방향 안쪽의 횡변)에 있어서 각 연결체(6)에 연결되는 것으로, 미싱 테이블(2)의 상면에 따라서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미싱 본체에 대하여 외팔보 모양 에 고정된다. 즉, 자수틀(7)은, 후단부에 있어서 외팔보 모양으로 지지되어 있고, 그 전단부는 자유 상태이다. 또, 자수틀(7)은 각 연결체(6)의 X방향 및 Y방향의 이동과 일체적으로 X, Y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에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3개의 연결체(6)는, 자수틀(7)의 횡변의 중앙부 부근 및 좌우 단부 부근의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자수틀(7)을 균형있게 지지하고 있다.The embroidery frame (the sewing material holding frame) 7 is a frame for holding pizza dough,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long in the X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자수틀(7)의 내주연 상면에는, 직사각형의 틀 전체에 걸쳐 띠모양 돌기(돌조)가 설치되어 있고, 자수틀(7) 위에 팽팽하게 실어 놓인 피자수 옷감을, 상기 돌조와 그 위쪽에서부터 끼워 붙여지는 유지 클립(9)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자수틀(7)은 피자수 옷감을 유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지 클립(9)이 자수틀(7)의 4변 전(全)둘레에 걸쳐 배치되기 때문에, 피자수 옷감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upper surface of the
자수틀(7)의 X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틀 보조구(피봉제 소재 유지틀의 보조구)(8)가 배치되어 있다. 틀 보조구(8)는, 자수틀(7)의 전단부(Y방향 앞쪽의 횡변)와 후단부(Y방향 안쪽의 횡변) 사이에 장착되고, 양횡변의 상호 간격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틀 보조구(8)에 의해서 자수틀(7)의 전단측과 후단측의 양횡변의 간격을 규제하는 것으로, 자수틀(7)의 전단부가 안쪽으로 변형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자수틀(7)은, 후단부에 있어서, 외팔보 모양으로 지지되고, 그 전단부는 자유 상태이다. 이 때문에, 자수 바느질의 진행에 수반하여 피자수 옷감의 장력이 늘어나면, 자수틀(7)의 전단부는 이 장력에 의해서 자 수틀(7)의 안쪽으로 향하여 변형해 버린다(휨). 이 점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틀 보조구(8)가 자수틀(7)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양횡변의 간격을 규제하는 것으로, 자수틀(7)이 틀의 안쪽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substantially center portion of the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자수 미싱의 구성, 특히, 자수틀(7)의 설치 구조는, 틀 보조구(8)를 제외하면 종래의 그것과 동일하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은, 자수틀(7)의 횡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된 틀 보조구(8)에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embroidery sewing machine shown in FIG. 1, especially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틀 보조구(8)를 추출하고,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I-I선에 있어서의 평면에 따라서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로서,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틀 보조구(8)를 접어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틀 보조구(8)는, 단면형상이 홈 형태의 3개의 채널 부재, 제 1 채널 부재(10), 제 2 채널 부재(11) 및 제 3 채널 부재(12)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채널 부재(10, 11, 1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샷시와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금속으로 한정하지 않고, 적당한 경도를 가진 소재이면 다른 것이라도 좋다. 제 1 채널 부재(10)와 제 2 채널 부재(11)는, 힌지 부재(13)를 통하여 서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 힌지 부재(13)에 있어서, 틀 보조구(8)를 접어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도 4 참조). 제 2 채널 부재(11)와 제 3 채널 부재(12)는 연결 부재(17)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17)는, 제 2 채널 부재(11)의 단부 및 제 3 채널 부재(12)의 단부에 대하여 고정(본 실시예에서는 나사 고정)되어, 양채널 부재(11, 12)의 연결을 중계한다. 제 2 채널 부재(11)에 는, 연결 부재(17)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으로서, 제 2 채널 부재(11)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늘어난 긴 구멍(18)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채널 부재(11)에 대한 연결 부재(17)의 고정 위치를 긴 구멍(18)의 길이 범위에 있어서 조정하는 것으로, 제 2 채널 부재(11)와 제 3 채널 부재(12)와의 간격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틀 보조구(8)의 전체 길이를 자수틀(7)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양횡변의 상호 간격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다.FIG. 2: is a top view which extracts and expands and shows the
틀 보조구(8)의 양단부(자수틀(7)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맞닿는 단부)에는, 받음 부재(19)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받음 부재(19)는, 기부(基部)에 있어서 제 1 채널 부재(10), 제 3 채널 부재(12)의 단부에 각각 나사 고정되어 있고, 그 자유단측은 유지 클립(9)의 측면으로 대략 정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수틀(7)에 틀 보조구(8)를 장착하면, 틀 보조구(8)의 양단부에 갖추어지는 받음 부재(19)는, 자수틀(7)의 내주측에 면하는 유지 클립(9)의 측면에 맞물린다.The receiving
도 5는, 제 1 채널 부재(10)와 제 2 채널 부재(11)를 연결하는 힌지 부재(13)를, 틀 보조구(8)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힌지 부재(13)는, 제 1 및 제 2 채널 부재(10, 11)를 신축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의 일실시형태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결합 부재(힌지 부재(13))는, 늘린 상태에 있어서, 틀 보조구(8)를 구성하는 각 채널 부재(10 ~ 12)가, 자수틀(7)의 대향하는 2변의 간격에 적합하는 길이로, 곧은 길이 구조를 형성하도록 이 제 1 및 제 2 채널 부재(10, 11)를 소정의 배치로 결합한다. 이 결합 부재를 줄이면(힌지 부 재(13)를 굽히면), 보조구(8)가 전체적으로 짧아져, 자수틀(7)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예를 들면, 힌지 부재(13)는 단면형상이 홈 형태의 2개의 힌지편(14)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힌지편(14)은, 제 1 채널 부재(10)와 제 2 채널 부재(11)의 내주에 대략 적합한 사이즈로 형성되어도 좋다. 각 힌지편(14)은, 한쪽의 측면 단부에 대략 원형의 돌기부(14a)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다른 한쪽의 측면 단부에 이 돌기부(14a)와 대략 긴밀하게 끼워 맞출 수 있는 형상의 오목부(14b)를 가진다. 각 힌지편(14)의 돌기부(14a)와 오목부(14b)는, 힌지편(14)의 하단 근처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각 힌지편(14)의 돌기부(14a)와 한쪽의 오목부(14b)를 끼워 맞춤으로써, 돌기부(14a)와 오목부(14b)의 끼워 맞춤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힌지편(14)을 서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다.For example, the
힌지편(14)의 오목부(14b)는, 돌기부(14a)의 형상에 대응하는 커브를 가지는 노치(notch)로서, 대략 원형 모양의 돌기부(14a)의 끼워 넣기를, 반원에 상당하는 부분 이상에 걸쳐서 허용하는 깊이로 형성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돌기부(14a)와 오목부(14b)가 끼워 넣어질 때에, 2개의 힌지편(14)의 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돌기부(14a)와 오목부(14b)를 끼워 넣을 때는, 끼워 넣을 돌기부(14a)와 오목부(14b)가 일률적으로 병설되도록 2개의 힌지편(14)을 대향시켜, 한쪽의 힌지편(14)의 돌기부(14a)를 다른 쪽의 힌지편(14)의 오목부(14b)에 끼워 맞춰지면 좋다.The recessed
힌지 부재(13)를 통하여 제 1 채널 부재(10)와 제 2 채널 부재(11)를 연결할 때에는, 먼저, 힌지 부재(13)를 구성하는 2개의 힌지편(14)을 끼워 맞춰서, 그 끼워 맞춘 상태를 유지한 채로, 한쪽의 힌지편(14)을 제 1 채널 부재(10)에, 다른 쪽을 제 2 채널 부재(11)에 나사 고정하면 좋다.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부재(13)는 제 1 채널 부재(10) 및 제 2 채널 부재(11)의 안쪽에 장착된다. 제 1 채널 부재(10) 및 제 2 채널 부재(11)에 힌지 부재(13)를 장착하면, 양힌지편(14)의 끼워 맞춤 부분(돌기부(14a)와 오목부(14b))의 외측면은 제 1 채널 부재(10)의 내측면에 덮혀지므로, 그 끼워 맞춤 부분이 좌우로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 이 때문에, 힌지 부재(13)로부터 제 1 채널 부재(10)를 떼어내지 않는 한, 양힌지편(14)의 끼워 맞춤이 풀려 버리지 않는다.When connecting the
또, 힌지 부재(13)를 구성하는 양힌지편(14)의 내측면에는, 각각 핀(15)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힌지편(14)의 핀(15)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16)이 걸쳐져 있다. 이 인장 스프링(16)의 장력은, 양힌지편(14)가 서로 끌어당겨, 끼워 맞춤 부분(돌기부(14a)와 오목부(14b))의 접접면이 항상 커지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이 인장 스프링(16)은, 양힌지편(14)의 끼워 맞춤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그 요동의 확동성(確動性) 및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인장 스프링(16)의 장비는 필수는 아니다. 또한, 핀(15)의 설치 위치는, 틀 보조구(8)가 곧은 상태(도 3에 나타내는 상태)인 때에 힌지 부재(13)의 요동 중심축(돌기부(14a)의 끼워 맞춤 중심)보다 윗쪽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틀 보조구(8)가 곧은 상태(도 3 상태) 및 접어 구부린 상태(도 4 상태)의 어느 쪽의 경우에도, 각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장 스프링(16)의 장력이 양힌 지편(14)에 대하여 작용한다. 물론, 인장 스프링(16)을 장비하지 않아도 틀 보조구(8)를 곧은 상태, 혹은, 접어 구부린 상태로 하여, 또, 각각의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며, 인장 스프링(16)에 의한 틀 보조구(8) 상태 유지 작용은 이차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Moreover, the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틀 보조구(8)의 자수틀(7)에 대한 착탈 순서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removal procedure of the
우선, 자수틀(7)에 피자수 옷감(T)을 실어 놓고, 자수틀(7)의 내주연 상면의 띠모양 돌기(돌조)(7a)의 개소를 유지 클립(9)으로 끼움으로써, 피자수 옷감(T)을 이 돌조(7a)와 유지 클립(9) 사이에 끼워 넣어 자수틀(7) 위에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 보조구(8)를 힌지 부재(13)의 부분에서 접어 구부린 상태로 하여, 이것을 자수틀(7)의 전단부(Y방향 앞쪽의 횡변)와 후단부(Y방향안쪽의 횡변)의 양횡변의 사이에 배치한다. 틀 보조구(8)의 배치 위치는, 자수틀(7)의 X방향의 대략 중앙부로 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틀 보조구(8)의 힌지 부재(13) 부분을 눌러 내림으로써, 틀 보조구(8)를 곧은 상태(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 신장한다. 이것에 의해, 틀 보조구(8)의 양단부에 갖추어지는 받음 부재(19)가 자수틀(7)에 장착된 유지 클립(9)에 맞물리고, 틀 보조구(8)는 자수틀(7)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사이에 Y방향을 횡단하도록 자수틀(7)의 X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장착된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틀 보조구(8)가 곧게 늘어난 상태에서는, 길이 방향의 압축력에 대하여 변위하지 않도록, 힌지 부재(13)의 개소 즉 채널 부재(10, 11)의 경계의 개소에서의 강직성(剛直性)이 확보되고 있다. 따라서, 자수틀(7)의 전단부 와 후단부의 양횡변 사이에 장착된 틀 보조구(8)에 의해서, 자수틀(7)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상호 간격(Y방향의 폭)을, 소정간격으로 유지하도록,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자수틀(7)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양횡변 사이에 틀 보조구(8)를 장착함으로써, 자수틀(7)의 전단부 내지 후단부가 자수틀(7)의 안쪽으로 변형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틀 보조구(8)가 유지 클립(9)의 측면으로 대략 정합하는 형상의 받음 부재(19)를 통하여 자수틀(7)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자수틀(7)에 유지 클립(9)을 장착한 채의 상태로, 틀 보조구(8)를 자수틀(7)에 장착할 수 있다.First, pizza number cloth T is placed on the
한편, 틀 보조구(8)를 자수틀(7)로부터 떼어낼 때는, 틀 보조구(8)의 힌지 부재(13)의 부분을 들어올리고, 이것을 도 4에 나타내는 접어 구부린 상태로 한다. 틀 보조구(8)를 접어 구부리면, 틀 보조구(8)의 양단부에 갖추어지는 받음 부재(19)와 유지 클립(9)의 맞물림이 풀려, 틀 보조구(8)를 자수틀(7)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removing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틀 보조구(8)에 의하면, 틀 보조구(8)를 자수틀(7)에 장착하는 작업 및 자수틀(7)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은, 힌지 부재(13)의 부분을 눌러 내려 틀 보조구(8)를 곧은 상태에 늘리는 것, 및, 힌지 부재(13)의 부분을 들어올려 틀 보조구(8)를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원터치로 행해지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틀 보조구(8)를 착탈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또한, 틀 보조구(8)를 자수틀(7)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틀 보조구(8)가 자수틀(7)의 Y방향의 폭을 규제하는 반력(反力)으로서, 자수틀(7)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양횡변에서부터 안쪽으로 향하는 힘이 틀 보조구(8)에 대하여 가해지지만, 힌지 부재(13)의 요동 중심이 틀 보조구(8)의 아래쪽(도 3 참조)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반력에 의해서 틀 보조구(8)가 힌지 부재(13) 부분에서 꺽여져 버리지 않는다.In the state where the
또, 제 2 채널 부재(11)에 대한 연결 부재(17)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여 틀 보조구(8)의 전체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받음 부재(19)와 유지 클립(9)의 맞물림 상태(양자의 맞물림을 긴밀히 하거나 혹은, 그것을 이완시키거나 등 )를 조정할 수 있다. 또, 피자수 옷감(T)의 두께에 따라, 자수틀(7)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배치된 양유지 클립(9)(대향하는 유지 클립(9))의 상호 간격이 변화한 경우에도, 연결 부재(17)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틀 보조구(8)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고, 이것에 대응할 수 있다.Moreover, by adjusting the fixed position of the
도 6 ~ 도 8은, 피자수 옷감(T) 전체(자수 가능한 범위 전역)에 걸쳐서 자수를 시행하는 경우의 작업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로서, 자수틀(7)을 상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6 ~ 도 8에 있어서는 자수틀(7)의 부분을 추출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4개의 미싱 헤드(3)를 구비한 다두식 미싱이다. 도 6 ~ 도 8에 있어서, 피자수 옷감(T) 위에는 4개의 자수 무늬(S)가 나란히 그려져 있다. 이들 4개의 자수 무늬(S)는, 4개의 미싱 헤드(3)의 각각에 의해서 자수되는 것으로,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자수 옷감(T) 전체(자수 가능한 범위 전역)에 걸쳐서 자수 된다. 자수 미싱은, 자수 데이터에 근거해 자수틀(7)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구동하여 미싱 헤드(3)에 대한 자수틀(7)의 상대 위치를 제어하여, 각 미싱 헤드(3)마다 자수 무늬(S)의 자수를 행한다. 각 자수 무 늬(S)의 바느질 순서는, 도 6 또는 도 7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에서부터 먼저 바느질을 시작하여, 상상선(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나중에 바느질하는 것으로 한다.6-8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dure at the time of embroidering over the whole pizza t fabric T (the whole range of embroidery possible), and is a top view which looked at the
이 자수 무늬(S)를 자수할 때에 작업자가 행하는 작업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procedure of the work which a worker performs when embroidering this embroidery pattern S is as follows.
(1) 우선, 유지 클립(9)을 이용하여 자수틀(7)에 피자수 옷감(T)을 유지한다. 유지 클립(9)은 자수틀(7)의 틀 둘레 전체를 덮도록 배치된다.(1) First, the pizza dough T is held on the
(2) 자수틀(7)의 횡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틀 보조구(8)를 세트한다. 자수틀(7)의 X방향의 대략 중앙부는, 대체로, 오른쪽에서 2번째의 자수 무늬(S)와 3번째의 자수 무늬(S) 사이에 상당한다. 거기서, 작업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른쪽에서 2번째의 자수 무늬(S)의 바느질 순서가 뒷부분(도 6의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부분) 위에 틀 보조구(8)를 장착한다.(2) The
(3) 작업자는 자수 무늬(S)의 자수를 개시하여, 도 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의 자수를 행한다. 이 때, 자수틀(7)의 전단측과 후단측의 양횡변의 간격은 틀 보조구(8)에 의해서 규제되고 있으므로, 자수틀(7)의 전단측이 피자수 옷감(T)의 장력에 의해서 변형해 버리지 않는다. 또, 틀 보조구(8)는, 오른쪽에서 2번째의 자수 무늬(S)의 바느질 순서가 뒷부분(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부분) 위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자수틀(7)의 횡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오른쪽에서 3번째의 자수 무늬(S)의 오른쪽 단 부분의 자수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의 자수가 종료한 시점에서 자수 미싱의 동작을 일 단 정지한다. 이 미싱 동작의 일단 정지는, 이 실선 부분의 자수의 종료에 따라 미싱 동작을 자동 정지시키는 자동 제어, 혹은, 작업자의 수동 조작 중 어떠한 방법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시점에서, 틀 보조구(8)는 오른쪽에서 2번째의 자수 무늬(S)의 바느질이 미완의 부분(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3) The worker starts embroidery of the embroidery pattern S and embroiders the part shown by a solid line in FIG.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transverse sides of the front end side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4) 이어서, 작업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틀 보조구(8a)를 오른쪽에서 3번째의 자수 무늬(S)의 오른쪽 단 부분(자수가 종료한 부분) 위에 세트한다.(4) Next, as shown in FIG. 7, an operator sets another frame aid 8a on the right end part (part which embroidery finished) of the 3rd embroidery pattern S from the right side.
(5)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번째의 자수 무늬(S)의 바느질이 미완의 부분(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에 세트되어 있던 틀 보조구(8)를 떼어낸다. 자수틀(7)의 Y방향의 폭은 다른 틀 보조구(8a)에 의해서 규제되어 있으므로, 자수틀(7)의 변형은 방지할 수 있다. 틀 보조구(8)를 떼어낸 후에, 자수 미싱을 재기동시켜, 도 6 및 7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나타낸 부분의 자수를 행하는 것으로, 자수 무늬(S)의 자수를 완료시킨다.(5) And as shown in FIG. 8, the
이와 같이, 틀 보조구(8)를 바느질 순서가 후방 부분 위에 세트해 두어, 그 부분 이외의 자수를 먼저 실시하고, 틀 보조구(8)를 자수를 행한 부분 위로 교체한 후에 나머지의 자수를 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피자수 옷감의 전체에 걸쳐 자수를 행하는 경우에서도, 틀 보조구(8)를 이용하여 자수틀(7)의 변형과 거기에 따르는 자수 무늬의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틀 보조구(8)의 착탈이 자수틀(7)에 유지 클립(9)을 장착한 채의 상태로 원터치로 행해지게 하기 때문에, 틀 보조구(8) 세트 위치를 바꿀 때 유지 클립(9)을 떼어내지 않고, 2개의 틀 보조구 8 및 8a의 교체 작업을 간단하고 쉽게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상술한 바와 같이, 틀 보조구(8)의 받음 부재(19)의 형상은, 자수틀(7)에 대하여 피자수 옷감(T)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클립(9)의 형상에 대략 정합시킨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유지 클립(9)의 형상이 다르면, 거기에 따른 형상의 받음 부재(19)를 사용해야 한다. 도 9 ~ 도 11은, 그와 같이 유지 클립(9)의 형상에 맞추어 다른 단면형상을 가지는 받음 부재(19)를 이용한 틀 보조구(8)의 실시예를 나타낸다.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receiving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수틀(23)의 띠모양 돌기(돌조)(23a)의 형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자수틀(7)의 띠모양 돌기(돌조)(7a)의 형상과는 상이하고, 이것에 수반해, 유지 클립(24)의 형상도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유지 클립(9)과는 상이하다. 도 10에서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수틀(23)의 돌조(23a)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유지 클립(24)도 거기에 따라 다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유지 클립(24)의 일단부(24a)는, 자수틀(23)의 돌조(23a)에 있어서의 하부 함몰에 제대로 먹고 들어갈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되어 있다. 틀 보조구(8)의 받음 부재(21)는, 유지 클립(24)의 측면에서 대략 정합하는 형상이 되어 있고, 특히, 그 하단부에는, 유지 클립(24)의 일단부(24a)의 말림에 적합하도록, 돌기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21a)에 의해, 틀 보조구(8)를 자수틀(23)에 장착할 때에 윗쪽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9, the shape of the strip-shaped projection (protrusion) 23a of the
도 1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수틀(23)의 띠모양 돌기(돌조)(23a)의 형상은 도 9, 도 10의 것과 같지만, 유지 클립(24`)이 도 9, 도 10에 나타낸 유지 클립(24)과는 약간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클립(24`)의 형상은, 기본적으로는, 도 9, 도 10에 나타낸 유지 클립(24)과 동일하지만, 틀 보조구(8)가 설치되는 개소에 있어서, 틀 보조구(8)의 받음 부재(26)의 침입을 허락하는 틈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도 11은, 틀 보조구(8)가 설치되는 개소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유지 클립(24`)의 틈 부분에 대한 단면이 나타내어져 있다. 즉, 자수틀(23)의 돌조(23a)의 정수리부 부근에서 외측 근처의 부분에 대하여 유지 클립(24`)이 단면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틈 부분에는, 틀 보조구(8)의 받음 부재(26)가 침입하고 있다. 즉, 자수틀(23)의 돌조(23a)의 정수리부 부근에서 안쪽 근처의 부분에, 틀 보조구(8)의 받음 부재(26)가 직접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러므로, 받음 부재(26)는, 자수틀(23)의 돌조(23a)의 정수리부 부근에서 안쪽 근처의 부분의 단면형상에 적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실시예와 같이, 틀 보조구(8)의 받음 부재(26)가 유지 클립(24`)에 직접 맞닿지 않는 구성이어도, 자수틀(23)이 안쪽에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 및 틀 보조구(8)의 착탈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들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1, the shape of the strip-shaped projection (protrusion) 23a of the
또한, 도 9 및 도 1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틀 보조구(8)의 힌지 부재(접어 구림부)(13)의 개소에 있어서, 한쪽의 채널 부재(10)에, 조작편(22)이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12는, 이 조작편(22)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조작편(22)은 채널 부재(10)에 외측으로부터 밀착하도록 동일한 홈 형태를 이루고 있고, 힌지 부재(접어 구부림부)(13)의 개소에 있어서의 채널 부재 10과 11의 경계를 위에서부터 덮을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작업자가 이 조작편(22)의 측면을 쥐고, 틀 보조구(8)를 접어 구부리거나, 곧은 상태에 늘리는 것에 의해서, 틀 보조구(8)의 자수틀(23)으로의 장착, 떼어냄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조작편(22)이 힌지 부재(접어 구부림부)(13)의 개소에 있어서의 채널 부재 10과 11의 경계를 위에서부터 덮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끝을 이 경계의 틈에 끼우는 것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조작편(22)은, 도 3, 도 4 등으로 설명한 틀 보조구(8)에 있어서도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of FIG. 9 and FIG. 11, in the position of the hinge member (folding part) 13 of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틀 보조구(8)에 의해서 자수틀(7)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양횡변의 간격을 규제함으로써, 양횡변의 내측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수틀(7)의 변형에 의한 자수 무늬 차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 틀 보조구(8)의 자수틀(7)에 대한 착탈 작업을 원터치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틀 보조구(8)를 탈착하는 작업에 힘이 들지 않고 단시간에 행해지도록 된다는 뛰어난 효과를 상주한다. 또, 틀 보조구(8)는 유지 클립(9)을 장착한 상태로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틀 보조구재(8)의 세트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유지 클립(9)을 장착할 수 있고, 또, 틀 보조구(8)를 바꿀 때에 유지 클립(9)을 떼어내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 틀 보조구(8)가 상기의 이점을 가짐으로써, 피자수 옷감의 전체에 걸쳐 자수를 행하는 경우에서도, 틀 보조구(8)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자수틀(7)의 변형에 의한 자수 무늬 차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틀 보조구(8)의 힌지 부재(13)의 구성은, 상기도 5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채널 부재(10)와 제 2 채널 부재(11)를 서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로서, 해당 부위에 있어서의 틀 보조구(8)가 접어 구부림 및 곧게 하는 것(제 1위치와 제 2위치로 변위시키는 것)를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기만 하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채널 부재(10)와 제 2 채널 부재(11)를 직접 연결하고, 양자의 연결 단부에 힌지 기구를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틀 보조구(8)에 있어서의 결합 부재(힌지 부재(13))는, 힌지 구조에 의한 접어 구부림과 늘림에 의해, 자수틀(7)에 대한 착탈 작업을 원터치로 행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슬라이드 기구나 스프링 기구 등을 이용하여 틀 보조구(8)의 양단의 사이의 간격을 길이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신장 및 압축 변화시키는 것으로 자수틀(7)에 대한 착탈 작업을 간편화하는 구성이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예를 들면, 힌지 부재(13)에 대신하여, 슬라이드 구조를 가지는 결합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 결합 부재(슬라이드 구조)는, 틀 보조구(8)를 구성하는 각 채널 부재(10 ~ 12)가, 자수틀(7)의 대향하는 2변의 간격에 적합한 길이로, 곧은 길이 구조를 형성하도록 이 제 1 및 제 2 채널 부재(10, 11)를 결합하는 제 1 위치(슬라이드를 소정량 늘린 위치)와, 이 곧은 길이 구조보다 압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 2 위치(슬라이드를 적당량 줄인 위치)와의 사이에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제 1 위치 즉 슬라이드를 소정량 늘린 위치로, 적당의 스톱퍼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이 제 1 위치를 확 실히 유지시켜, 자수틀(7, 23)의 변형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제 2 위치(슬라이드를 적당량 줄인 위치)에 복귀시키도록 바이어스된 스프링 기구를 아울러 설치하도록 하면, 상기 스톱퍼 기구를 해제하는 것으로 스프링 기구의 복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합 부재를 제 2 위치(슬라이드를 적당량 줄인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using the engaging member (not shown) which has a slide structure instead of the
또, 제 2 채널 부재(11)와 제 3 채널 부재(12)와의 연결부(연결 부재(17))에 있어서의 길이 조정 기구는, 상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긴 구멍(18)에 의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채널 부재(11)와 제 3 채널 부재(12)와의 상호 간격을 조정할 수 있기만 하면, 예를 들면 제 2 채널 부재(11)와 제 3 채널 부재(12)를 슬라이드 레일을 통하여 연결하고, 제 2 채널 부재(11)와 제 3 채널 부재(12)의 상대 위치를 이 레일의 길이 범위에 있어서 조절하는 구성 등,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 연결 부재(17)를 개재시키지 않고, 제 2 채널 부재(11)와 제 3 채널 부재(12)를 직접 연결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 제 3 채널 부재(12)를 설치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채널 부재(10, 11)만으로, 틀 보조구(8)의 길이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른 예로서는, 제 2 채널 부재(11)와 제 3 채널 부재(12)와의 사이에도 결합 부재(힌지 부재(13))를 설치하여도 좋지만, 결합 부재(힌지 부재(13))는 1개소에 있기만 하면 충분히 작동한다.Moreover, the length adjustment mechanism in the connection part (connection member 17) of the
또, 틀 보조구(8)는, 제 2 채널 부재(11)와 제 3 채널 부재(12)와의 상호 간격의 조정에 의해 길이 조정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그 외의 부재 사이의 연결 간격을 조정하는 구성이나, 혹은, 채널 부재(10 ~ 12)나 받음 부재(19) 등의 각 구 성 부재 자체를 신축 가능하게 구성하는 등에 의해 틀 보조구(8)의 전체 길이를 조정하여, 틀 보조구(8)를 각종의 자수틀(7)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틀 보조구(8)의 길이 조절 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본 고안의 실시에 지장은 없다.Moreover, the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틀 보조구(8)를 3개의 채널 부재(10 ~ 12)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기 피봉제 소재 유지틀의 대향하는 2변의 사이에 원터치로 착탈할 수 있고, 이 2변의 간격을 규제할 수 있으면, 틀 보조구(8)를 구성하는 채널 부재의 수는 상기의 한정으로 되지 않는다. 또, 틀 보조구(8)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부재는, 단면 U자형 모양의 채널 부재에 한정하지 않고, 로드(rod) 모양 혹은 그 외 적당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좋다.Moreover, in the said Example, although the example which comprised the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고안에 관한 틀 보조구(8)를, Y방향 앞쪽의 횡변(전단부)이 자유 상태의 자수틀(7)에 적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자수틀(7)의 Y방향 앞쪽의 횡변(전단부)도 후단부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틀 구동 형태, 즉, 자수틀(7)의 전단부도 후단부와 마찬가지로, X구동 기구 및 Y구동 기구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된 자수틀(7)의 설치 구조인 경우에도, 자수틀(7)의 변형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 틀 보조구(8)를 적용하여도 좋다.Moreover, in the said Example, although the example which applied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한 보조구를, 자수를 행하는 자수 미싱 자수틀에 적용하면, 자수틀의 내측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자수틀의 내측으로의 변형에 수반해 자수 무늬 차이를 일으킨다고 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assist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embroidery sewing machine to embroider, the deformation to the inside of the embroidery frame can be prevented, and the embroidery pattern difference is caused with the deformation to the inside of the embroidery frame. The conventional problem can be solve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2756U KR200435185Y1 (en) | 2005-08-29 | 2006-08-24 | Assist device for sewing-material holding frame in sew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48290 | 2005-08-29 | ||
KR2020060022756U KR200435185Y1 (en) | 2005-08-29 | 2006-08-24 | Assist device for sewing-material holding frame in sewing machin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0306A Division KR20070026032A (en) | 2005-08-29 | 2006-08-24 | Assist device for sewing-material holding frame in sewing machine and sewing method using the assist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5185Y1 true KR200435185Y1 (en) | 2007-01-10 |
Family
ID=4155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2756U KR200435185Y1 (en) | 2005-08-29 | 2006-08-24 | Assist device for sewing-material holding frame in sew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5185Y1 (en) |
-
2006
- 2006-08-24 KR KR2020060022756U patent/KR20043518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66957B2 (en) | Magnetic fabric retaining device | |
US5291843A (en) | Attachment structure for detachably attaching workpiece holder to movable body | |
EP1892325A1 (en) | Embroidery frame support device | |
CN102264973A (en) | Embroidery fabric clamping unit for use with embroidery machine and embroidery machine comprising same | |
KR20070026032A (en) | Assist device for sewing-material holding frame in sewing machine and sewing method using the assist device | |
US10023983B2 (en) | Sewing machine presser foot | |
KR200435185Y1 (en) | Assist device for sewing-material holding frame in sewing machine | |
US20170121879A1 (en) |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Needle Threading Device | |
KR101077713B1 (en) | Sewing machine | |
JP2006263072A (en) | Needle plate | |
JP2012085957A (en) | Mechanism for attaching presser of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 |
JP4399335B2 (en) | Sewing cloth presser | |
JP5265217B2 (en) | Sewing machine lifting device | |
JP4799946B2 (en) | Sewing sewing machine | |
US5094179A (en) | Attachable label sewing apparatus | |
JP3991309B2 (en) | Sewing machine presser foot | |
JP5231051B2 (en) | Embroidery frame attachment device for sewing machine with embroidery function | |
JP2003326050A (en) | Cloth stretching device of sewing machine | |
JP4707555B2 (en) | Needle punch machine | |
JP2006014800A (en) | Embroidery frame transfer device of embroidery sewing machine | |
JPH0513366U (en) | Flap presser for bead forming machine | |
JP2003326051A (en) | Sewing machine | |
JP2004337575A (en) |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embroidery frame | |
JPH031516Y2 (en) | ||
JP4979235B2 (en) | Differential feed sewing machine and cloth pres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