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107Y1 -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107Y1
KR200435107Y1 KR2020060026759U KR20060026759U KR200435107Y1 KR 200435107 Y1 KR200435107 Y1 KR 200435107Y1 KR 2020060026759 U KR2020060026759 U KR 2020060026759U KR 20060026759 U KR20060026759 U KR 20060026759U KR 200435107 Y1 KR200435107 Y1 KR 200435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form
construction
bar
presen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7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하기공
권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하기공, 권종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하기공
Priority to KR2020060026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10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10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발코니, 난간 등 개방된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하단을 고정시킨 존치볼트 하방의 슬라브가 파단 되거나 작업자의 과실로 인하여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존치 볼트가 해체되어 갱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시공용 갱폼을 인상시켰을 시, 양생 완료된 하층에 해당하는 갱폼의 중간 부위에서 자동으로 걸림간이 돌출되어 발코니 또는 난간의 상방에 걸리는 지지구조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시공용 갱폼을 인상시켰을 시, 양생 완료된 하층에 해당하는 갱폼의 중간 부위에서 하층을 통과하였을 시 자동으로 돌출되는 걸림간과, 걸림간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수직바와, 수직바와 결합되어 회동하는 걸림간의 축이 되는 회동축과, 회동축과 결합되어 탄성에 의해 걸림간이 자동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과, 걸림간이 적당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제한 하기위한 리미트 바 및 앤드 플레이트와 이들을 결합하여 지탱하기 위하여 수직바에 고정되는 수평바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 in the state that is not fixed due to the breakage of the slab under the john bolt fixed to the bottom of the open structure construction gangform installed for the construction of open structures such as balconies, railings, etc. Disclosed is a gangform for construction of an open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anchor bolt from being dismantled so that the gangform fall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form a support structure that hangs on the balcony or railings to protrude from the middle of the gangform corresponding to the cured lower floor when the construction gangform is rais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when lifting the construction gangform, when the passing through the lower layer in the middle of the gangform corresponding to the cured lower layer, automatically interlocking between the projection bar, the vertical bar that is supported 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vertical bar, and rotated in combination with the vertical bar Rotating shaft that is the axis of the locking shaft, spring for engaging the rotation shaft to be automatically projected by the elastic shaft, limit bar and end plate for limiting the locking interval to protrude at a suitable interval by combining them It is to have a horizontal bar fixed to the vertical bar to support.

이러한 본 고안은 개방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상방으로 갱폼을 인상시키는 과정에서 갱폼과 구조물 사이에서 돌출된 상태의 걸림간은 스프링의 탄력을 이기고 원래의 상태로 접혀지게 되어 구조물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되고, 통과 완료된 직후에는 스프링의 탄력으로 걸림 간이 다시 돌출되어 발코니 또는 난간에 걸리게 되므로, 존치 볼트를 사용하여 구조물에 갱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is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gangform upwar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open structure, the interlocking state of the protruding state between the gangform and the structure overcomes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is folded back to its original state so that it can easily pass through the structure. In addition, immediately after the passage is completed, the interlocking protrusion is protruded agai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so that it is caught on the balcony or the railing.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시공 공정 전반에 걸쳐 갱폼의 낙하를 방지하여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fall of the gangform throughout the construction process

안전사고로 인한 귀중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can prevent the loss of valuable lives and property caused by safety accidents.

Description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도1은 종래의 추락방지용 브라켓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all prevention bracket.

도2는 종래의 추락방지용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fall prevention bracket.

도3은 본 고안에서 제1 실시 예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에서 제1 실시 예의 상세도.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서 시공물을 통과하는 브라켓을 보인 설명도.Figure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bracket passing through the constru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에서 낙하 상황시 시공물에 걸린 브라켓을 보인 설명도.Figure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bracket caught in the construction in the fall situ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7는 본 고안에 의한 제2 실시 예의 상세도.7 is a detailed view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는 본 고안에 의한 제3 실시 예의 상세도.8 is a detailed view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1 : 수직바 102 : 갱폼 101: vertical bar 102: gang form

103 : 수직 프레임 104 : 걸림간103: vertical frame 104: jam

106 : 수평바 107 : 회동축106: horizontal bar 107: rotating shaft

108 : 스프링 109 : 앤드 플레이트108: spring 109: end plate

110 : 걸림턱 112 : 존치볼트 110: jam jaw 112: Jonchi bolt

113 : 발판 114 : 작업 공간 113: Scaffolding 114: Workspace

본 고안은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코니, 난간 등과 같은 개방된 구조물의 벽면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갱폼이 추락하는 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gform for the construction of open structur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ngform for the construction of open structures to prevent the fall of the gangform used when constructing the walls of open structures such as balconies, railings and the like. will be.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 고층건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대형 철재로 이루어진 거푸집, 즉 갱폼을 사용하고 있는바, 갱폼은 외측에 설치되는 스틸폼(steel form)과 작업 공간이 설치된 케이지와 외벽의 내측 갱폼과 외측 스틸폼을 고정하는 타이볼트 및 갱폼을 고정하기 위한 존치볼트 등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벽면을 시공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건물 전체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갱폼이 사용되며, 갱폼 하나는 약 3톤 내지 4톤의 무게를 가지며 9m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대형 구조물인 것이다. 이와 같은 갱폼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층으로 끌어올리게 되는데, 타워크레인의 후크로 갱폼의 인양 고리에 결합을 한 후 갱폼 하부의 존치 볼트를 해체하고 이를 끌어올려 갱폼의 하방을 존치 볼트로 고정시켜 다시 외벽을 시공하는 것이 반복된다.In general, to construct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buildings, large formwork made of steel, that is, gang forms are used. The gang forms are steel forms installed on the outside, cages on which work spaces are installed, and inner gang forms on the outer walls. It is used to construct walls using a number of parts such as tie bolts for fixing the outer steel form and john bolts for fixing the gang form. As such, a plurality of gangforms are used to construct the outer wall of the entire building, and one gangform is a large structure having a weight of about 3 to 4 tons and having a height of about 9 m. These gangforms are pulled up to the upper floor using tower cranes.The hooks of the tower cranes are connected to the lifting rings of the gangforms, then the dismantling bolts at the bottom of the gangforms are dismantled and pulled up to fix the lower part of the gangforms with the anchor bolts. Construction of the outer wall is repeated.

이렇게 하여 갱폼을 상층로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타워크레인의 후크를 갱폼의 인양 고리에 결합하기 전에 작업자의 실수 등의 이유로 존치볼트를 임의 해체하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한 갱폼의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is process, the lifting bolts are often dismantled due to the operator's mistake before the hook of the tower crane to the lifting ring of the gang form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gang form to the upper floor. It is true.

또한, 타워크레인의 후크를 갱폼의 인양 고리에 결합하여 인양하는 과정에서도 바람 등의 영향을 받아 인접해 있는 다른 갱폼에 충격을 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충격을 받은 갱폼의 존치볼트를 파손시켜 추락을 유발하는 사고도 발생하고 있는 등, 여러 형태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the hook of the tower crane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ing of the gang form, the lifting process may also impact other adjacent gang forms under the influence of wind, and may damage the fall bolt of the gang form that is impacted. There are also various types of accidents, such as accidents that occur.

이러한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는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25806호(고안의 명칭 :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 이하 '인용고안' 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1내지 도2에 도시하였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5806 (the name of the design: gangform fall prevention brac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ing draft') is disclosed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preventing the fall of such gangforms. Shown.

이러한 인용고안은 다수개의 수평바와 다수개의 수직바로 결합 고정되는 갱폼(1)에 있어서, 갱폼에 하단이 결합되어 있는 기둥형태의 수직 지지부(10)와, 상기 수직 지지부(10)와 상단에서 예각을 이루며 결합하고 있는 기둥형태의 안착부(20)와, 상기 안착부(20)의 하단에 바닥면과 평행하게 안착부(20)와 예각을 이루며 결합되고, 안착부(20)에 대해 양측으로 연장되어 갱폼이 미끄러지는 경우 철근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30)를 포함하여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을 구성한 것이다.This cited proposal is a gangform (1) that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the column-shaped vertical support portion 10,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gangform, and the acute angle from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0 and the top It is coupled to form a mounting portion 20 of the pillar shape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20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extending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seating portion 20 If the gangform is slipp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pper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gangbang fall prevention bracket.

이러한 인용고안은 갱폼 하부의 존치볼트를 작업자가 임의 해체시키거나 고정용 볼트의 파손으로 인해 갱폼이 콘크리트에서 탈락 되더라도 스토퍼(30)가 시공된 구조물에 걸려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갱폼의 인양 고리가 파손되더라도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이는 스토퍼(30) 하방에 구조물의 시공 및 양생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만 갱폼의 추락 방지 기능을 하게 되며, 스토 퍼(30) 하방에 구조물의 시공 및 양생이 완료된 시점 이전에 갱폼(1)을 고정하고 있는 존치볼트 하방이 파단되거나 작업자의 과실 또는 존치볼트의 파단되는 경우 등에는 중량물인 갱폼(1)이 그대로 낙하하면서 안착부(20)가 하층의 이미 양생된 구조물등에 부딪혀 파손된 후 계속 낙하하여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This quotation is to prevent the fall of the gang form, even if the gang form is removed from the concrete due to the operator's arbitrary dismantling of the lower part of the gang form or breakage of the fixing bolt. Even if the lifting ring is damag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all of the gangform, but this is to prevent the fall of the gangform on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and curing of the structure below the stopper (30), below the stopper (30) If the lower part of the anchor bolt fixing the gangform 1 before the construction and curing of the structure is broken, or if the worker's fault or the anchor bolt is broken, the gangform 1, which is a heavy object, is dropped and the seating part 20 ) Is hit by the already cured structure of the lower floor, and after falling, it continues to fall and cause damage to people and property. .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개방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시공용 갱폼을 인상시켰을 시, 양생 완료된 하층에 해당하는 갱폼의 중간 부위에서 자동으로 걸림간이 돌출되어 발코니 또는 난간의 상방에 걸리는 지지구조가 형성되도록 한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When the construction gangform is raised to construct the open structure, the gang form for the open structure construction is formed so that the interlocking portion is automatically protruded from the middle part of the gang form corresponding to the cured lower layer to form a support structure that is caught on the balcony or the railing. It is to offer.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 후방 및 좌, 우에 다수의 프레임을 고정하고, 이들 프레임의 측면 및 저면에 지지간 및 망체를 고정시켜 작업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며, 구조물의 발코니에 체결되는 다수의 존치볼트 및 저면의 받침간으로 구성된 공지의 갱폼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number of frames in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secure the working space by fixing the support and the mesh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se frames, and fastened to the balcony of the structure In the known gangfor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ounce bolts and the base support base,

발코니 또는 난간이 있는 개방된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갱폼의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수직바와, 수직바와 예각을 이루면서 돌출되어 발코니 또는 난 간의 턱에 걸쳐지는 걸림간과, 걸림간의 일단이 수직바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축과, 회동축에 결합되어 걸림간이 탄력에 의해 자동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과, 돌출되는 걸림간이 힘을 잃지 않고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바와 걸림간 사이에 고정되는 수평바와, 걸림간이 적당한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바 및 앤드 플레이트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Vertical bars fixed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frame of the gangform for construction of open structures with balconies or balustrades, hangers that protrude at an acute angle to the vertical bars and span the jaws of the balconies or balustrades, and one end of the hangers is at the top of the vertical bars. Rotating shaft to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springs to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be automatically projected by the resilience, and vertical to ensure that the interlocking latch is balanced without losing power It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bar fixed between the bar and the locking bar, and a limit bar and an end plate for restricting the locking bar from protruding at an appropriate interval.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갱폼 하부의 존치볼트가 매설된 스라브가 파단되거나 작업자가 과실에 의하여 존치 볼트를 임의 해체시키거나, 고정용 볼트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갱폼이 콘크리트에서 탈락되더라도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며, 경제적인 비용으로 산업재해를 근절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fall of the gang form even if the gang foam is removed from the concrete due to breakage of the slab buried in the lower part of the gang form or breakage of the retaining bolt by the worker. In addition to reducing human and property damage, it is also effective in eradicating industrial accidents at economic cost.

이러한 본 고안의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의 제1실시 예를 도3 및 도4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gangform for construction of open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follows.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수평 또는 수직 프레임(103)과 수직 프레임(103)의 측면 및 저면에 지지간 및 발판(113)을 설치하여 작업 공간(114)이 마련되도록 하며, 구조물의 발코니에 체결되는 다수의 존치볼트(112)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갱폼(102)에 있어서, 구조물의 양생 완료된 하층의 발코니 또는 난간 등 구조물과 맞 닿는 부위인 수직프레임(103)의 중간에 스프링(108)에 의한 탄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간(104)과, 걸림간(104)와 일체로 연결된 수직바(101) 및 수평 바(106)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As shown here, by installing the support and the footrest 113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or vertical frame 103 and the vertical frame 103 to provide a working space 114, fastening to the balcony of the structure In the well-known gangform 102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unce bolts 112, etc., by the spring 108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frame 103, which is a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 such as a balcony or handrail of the cured lower floor of the structure It has been provided with a latching section 104 that elastically protrudes forward, a vertical bar 101 and a horizontal bar 106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latching section 104.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의 수평바(106) 타단은 걸림간(104)의 하단과 연결됨으로서, 수직바(101)와 걸림간(104)과 수평바(106)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며, 수평바(106)는 걸림간(104)측 보다 수직바(101)측의 높이를 약간 높게 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서 갱폼(102) 낙하 상황 발생시 더욱 안정된 상태로 걸림간(104)에 의해 갱폼(102)과 발코니 및 난간사이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106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section 104, and the vertical bar 101, the locking section 104, and the horizontal bar 106 form a triangle as a whole. The bar 106 is inclined by slightly heighten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bar 101 side rather than the interlocking 104 side, so that the gang form 102 and the balcony are secured by the interlocking 104 in a more stable state when the gang foam 102 falls. And handrails to be supported.

또한, 걸림간(104)과 수평바(106)가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된 수직바(101)가 갱폼(102)의 수직 프레임(103)과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축(107)과, 회동축(107)에는 일단이 상기의 수직 프레임(103)에 지지되며 타단은 걸림간(104)을 지지하여 탄력에 의해 걸림간(104)이 자체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108)을 구비한 것이다. 아울러, 수직바(101)에는 걸림간(104)이 회동 되면서 필요이상 돌출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앤드 플레이트(109)가 수직 프레임(103) 후방에 걸리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107 for allowing the locking rod 104 and the horizontal bar 106 to be integrally coupled so that the fixed vertical bar 101 is coupled with the vertical frame 103 of the gang form 102 to be rotated. And, one end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frame 103,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rotating shaft 107, the other end is a spring 108 for supporting the locking interval 104 so that the locking interval 104 can protrude by itself by elasticity ) Is provided. In addition, the end bar 109 is to be caught in the vertical bar 103 to the rear of the vertical frame 103 to limit the locking bar 104 is not protruded more than necessary while rotating the vertical bar (101).

이러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파트 등 고층건물에서 발코니 및 난간 등과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 양생이 완료된 난간이나 발코니의 상방에 걸림간(104)이 돌출된 상태의 수평바(106)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벽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갱폼(100)과 내부 거푸집을 사용하여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이 완료되면 갱폼의 상단을 타워 크레인의 후크에 걸은 다음 하단부에 설치한 존치볼트(112)를 해체하고 타워 크레인의 후크를 들어 올려 갱폼이 상층으로 인양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브라켓(100)은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갱폼(102)과 함께 양생 완료된 벽면사이를 통과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In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the horizontal bar 106 with the hanging rail 104 protruding above the balustrade or balustrade completed in the open spaces such as balconies and balustrades is located, and then the gangfoam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all surfac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pace formed using the 100 and the internal formwork, and when curing is completed, the upper end of the gang form is hooked to the hook of the tower crane, and then the dismantling bolt 112 installed at the lower part is dismantled and the hook of the tower crane is lifted. The gangform is to be lifted to the upper layer, and in this process, the bracket 100 passes between the cured walls together with the gang foam 102 as shown in FIG. 5.

즉, 본 고안에서는 스프링(108)의 탄력으로 돌출된 걸림간(104)이 구조물에 접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갱폼(102)이 계속 상승하게 되면 도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회동축(107)에 결합된 스프링(108)의 탄력을 이기고 회동축(107)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간(104), 수평바(106), 수직바(101)가 후방으로 후퇴되며, 이에 따라 브라켓(100)은 구조물의 벽면을 무리없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벽면을 통과하면 걸림간(104), 수평바(106), 수직바(101)는 스프링(108)의 탄력에 의하여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다시 돌출되므로 수평바(106)는 구조물의 난간 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존치볼트(112)를 고정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에 거푸집을 대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을 완료하게 되는 바, 전술한 과정에서 존치 볼트(112)와 커플링(116)에 의하여 체결되고 매립된 앵커 볼트(117) 부위의 스라브가 파단되거나 존치볼트(112)가 파손되는 경우 또는 갱폼을 상층으로 인양하기 위해 다시 크레인에 걸기전 존치볼트(112)을 해체하는 경우등이 발생하면 갱폼(102)은 시공 벽면과 분리되어 지상으로 추락하게 되는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수평바(106)가 낙하하면서 발코니나 난간으로 시공된 시공물(105)에 걸려 더 이상 낙하하지 않게 되어 심각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ing protrusion 104 that protrudes with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0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ructure, and the gangform 102 continues to rise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5. Overcoming the elasticity of the coupled spring 108 and pivoting about the pivot shaft 107, the locking section 104, the horizontal bar 106, the vertical bar 101 is retracted to the rear, thereby the bracket 100 is It can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structure without difficulty. In this way, when passing through the wall, the latch 104, the horizontal bar 106, the vertical bar 101 is projected again as shown in Figure 4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08, so that the horizontal bar 106 of the structure It will be located above the railing. In this state, the fixing bolt 112 is fixed, and concrete is placed in a space formed by applying a formwork to the inside as described above, and curing is complet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mounting bolt 112 and the coupling 116 are connected. When the slab of the anchor bolt 117 that is fastened and buried by) is broken or the anchor bolt 112 is broken, or when the anchor bolt 112 is dismantled before hanging the crane again to lift the gang form to the upper layer, etc. When this occurs, the gang foam 102 is separated from the construction wall to fall to the grou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horizontal bar 106 falls and caught on the construction 105 constructed as a balcony or railing, and further falls Not doing so will prevent serious life and property damage.

즉, 본 고안에서는 수평바(106)가 시공물(105) 상방에 약 10cm정도 위에 있다가 낙하 상황이 되면 10cm정도만 하강한 후 바로 시공물(105)에 걸리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도6으로 도시하였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bar 106 is about 10 cm above the construction 105, and when the drop situation falls only about 10 cm, it is caught by the construction 105 immediately. It was.

이러한 상태에서는 수평바(106)와 함께 갱폼(102) 하방의 받침간(115)에 의하여 갱폼(102) 전체가 지지되므로 안정된 상태로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such a state, the entire gangform 102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section 115 below the gangform 102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bar 106, thereby preventing the gangform from falling down in a stable state.

또한, 난간 등과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 시공물(105)의 높이가 있는 곳에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해서 도7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걸림간(104)의 하단에 형성된 수직 걸림턱(110)을 구비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re there is a height of the construction 105 in an open space such as a railing,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ing 104 of the bracket 100 It can be carried out in the form having a vertical locking step 110 formed.

이에 따라 걸림간(104)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걸림턱(110)은 시공물(105)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갱폼(102)을 존치볼트(112)로 고정하고 그 상층에 벽면을 시공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을 시행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갱폼(102)이 낙하하는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수직 걸림턱(110)이 시공물(105)에 걸려서 이탈하지 않게 되어 갱폼(102)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므로, 안전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vertical locking jaw 110 vertically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section 104 is positioned above the construction 105, and in this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gangform 102 is moved to the position bolt 112. Fixed and performs a series of ope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on the upper floor, even if the situation that the gang foam 102 falls in this process, the vertical locking jaw 110 is caught on the construction 105 so that the gang foam does not escape Since the fall of the 102 is prevented, safety construction becomes possible.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제3실시예를 도8에 도시 하였다.In addition, another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브라켓(100)은 1개 층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상기 갱폼(102) 및 브라켓(100)에 의해 시공하는 건물의 천정이나 바닥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수직바(101)의 하단부에 높이 조절용 볼트(111)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As seen therein, the b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height of the ceiling or floor of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by a plurality of the gang foam 102 and the bracket 100 installed to construct a single floor. In order to provide a height adjustment bolt 111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01).

즉,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이는 갱폼(102)을 설치하여 시공하는 건물의 층간 높이가 일정하도록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고층건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을 형성할 때 하층의 바닥면 에서부터 상층의 바닥면까지의 층고를 잘못 관리하여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층별로 층고가 일정치 않게 됨은 물론 오차가 누적되어 최상층에 도달하였을 때 건물 전체의 높이는 설계치수를 크게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여 층간 높이가 일정하도록 관리하기 위하여 갱폼의 좌,우 높이를 브라켓(100)의 수평바(106) 일측에 높이 조절용 볼트(111)를 돌려서 조정함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갱폼(102)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브라켓(100)마다의 높이 조절용 볼트(111)를 돌려서 볼트(111)의 하단과 구조물의 바닥면 또는 난간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각층의 층고가 전체적으로 수평을 이루게 되면서 상층으로 이동하면서도 같은 높이를 적용하여 모든 층고를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manage the height of the floors of the building to be installed by installing the gang foam 102, the lower floor when forming the floor by pouring concrete in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 If an error occurs due to mismanagement of the floor height from the floor to the floor of the upper floor, the height of the building will not be constant as it goes to the upper floor, and the height of the whole building will be greatly increased when the error is accumulated and reaches the top floor. It is going to escape. In order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so that the interlayer height is constant, the left and right heights of the gangform will be enabled by adjusting the height adjusting bolts 111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106 of the bracket 100. This is to turn the height adjustment bolt 111 for each bracket 100 in the state that is installed in the gang foam (102) by plac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bolt 111 and the bottom or railings of the structure each floor As the height of the floor becomes horizontal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make all the heights constant by applying the same height while moving to the upper floor.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갱폼 하부를 고정시킨 앵커 볼트가 매립된 스라브의 파단이나, 갱폼을 타워크레인의 훅크에 걸기전 전치볼트를 작업자가 임의 해체시키거나, 전치볼트의 파손 되는 경우 등 전체 시공 공정 전반에 걸쳐 갱폼이 개방 구조의 벽면에서 탈락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귀중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이를 위한 브라켓은 그 구조가 간결하고 제작비용이 적게 드는 것이어서 널리 보급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ole construction process, such as the breakage of the slab embedded with the anchor bolt fixing the gangform lower part, or the operator dismantles the anterior bolt before the gangform is hooked to the hook of the tower crane, or the anterior bolt is broken. The gangform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and falling from the wall of the open structure throughout, preventing valuable loss of life and property, while the bracket for this structure is simple and low in manufacturing cost, so it is widely available. There is a useful effect to be done.

Claims (5)

다수의 수평 또는 수직 프레임(103)과 수직 프레임(103)의 측면 및 저면에 지지간 및 발판(113)이 설치된 작업 공간(114)과, 다수의 존치볼트(112)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갱폼(102)에 있어서, Known gangforms composed of a work space 114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or vertical frames 103 and supports and a footrest 113 provided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103, and a plurality of john bolts 112 and the like. 102), 양생 완료된 하층에 해당하는 수직 프레임(103)의 해당 위치에 걸림간(104)과 수직바(101)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수평바(106)와, 이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축(107)과, 일단이 상기의 수직 프레임(103)에 지지되며 타단은 걸림간(104)에 고정된 스프링(108)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A locking bar 104 and a vertical bar 101 and a horizontal bar 106 connected to and fixed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vertical frame 103 corresponding to the cured lower layer, and a rotating shaft for allowing them to be rotated. 107, and one end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frame 103,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spring 108 fixed to the interlocking space 104, the construction gangform for constru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전술한 걸림간(104)의 하단에는 수직 걸림턱(11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An open structure construction gang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locking step 1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section 104 described abov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전술한 수평바(106)는 전술한 수직바(101)와 걸림간(104) 사이에 연결되어 걸림간(104)측이 높고 수직바(101)이 낮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bar 106 is connected between the vertical bar 101 and the engaging interval 104 described above for the construction of an ope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interval 104 is high and the vertical bar 101 is installed low. Gangform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전술한 수평바(106)와 수직바(101)가 교차하는 지점에 앤드플레이트(109)를 설치하여 스프링(108)에 의한 걸림간(104)의 돌출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Construction of an ope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late 109 is installed at the point where the horizontal bar 106 and the vertical bar 101 intersect to limit the protrusion of the locking section 104 by the spring 108. Gang form.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전술한 브라켓(100)의 수평바(106) 일측에 높이 조절용 볼트(111)를 하나 이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An open structure construction gangfor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one or more height adjustment bolts 111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106 of the bracket 100 described above.
KR2020060026759U 2006-09-29 2006-09-29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KR20043510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759U KR200435107Y1 (en) 2006-09-29 2006-09-29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759U KR200435107Y1 (en) 2006-09-29 2006-09-29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617A Division KR100788813B1 (en) 2006-09-29 2006-09-29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107Y1 true KR200435107Y1 (en) 2007-01-09

Family

ID=4155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759U KR200435107Y1 (en) 2006-09-29 2006-09-29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10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262B1 (en) 2007-01-19 2008-03-13 다산건설(주) Device for preventing falling of gang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262B1 (en) 2007-01-19 2008-03-13 다산건설(주) Device for preventing falling of gang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14B1 (en) gang form rail Device for construction
KR101553966B1 (en) Wall-mounted Tower Crane Climbing Device
KR20100001123U (en) Self-standing auto climbing appa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731315B1 (en) Gang form climbing guid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111164B1 (en) Gang Form Comprising Safe Net
KR20130005531U (en) Fasten apparatus of angker bolt for prevent fall of gang form
KR100777937B1 (en)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KR200425807Y1 (en) Lift type gangform
KR101142875B1 (en) Drop apparatus for supporter
KR200391342Y1 (en) A guide rail fix device of a contructing a building gaengpom
KR20210066799A (en) How to erect multi-storey structures and facades
KR200425806Y1 (en) The bracket for preventing gangform falling
KR20070000811U (en) Gang form climbing guide
KR200413527Y1 (en) Gang form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KR200435107Y1 (en)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JP2007138416A (en) Climbing construction method of external protective unit
KR20110094720A (en) Composite cage for construction
KR100788813B1 (en)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KR101051819B1 (en) Removable temporary fence
KR100999176B1 (en) gang form assembly
KR200432806Y1 (en) 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KR20160070652A (en) Gang form integrated deck operating system
KR100812262B1 (en) Device for preventing falling of gang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660426B1 (en) Gang form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JP2004232366A (en) Suspended scaff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