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010Y1 - Drink chiller table whit corn fryer - Google Patents

Drink chiller table whit corn f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010Y1
KR200435010Y1 KR2020060027294U KR20060027294U KR200435010Y1 KR 200435010 Y1 KR200435010 Y1 KR 200435010Y1 KR 2020060027294 U KR2020060027294 U KR 2020060027294U KR 20060027294 U KR20060027294 U KR 20060027294U KR 200435010 Y1 KR200435010 Y1 KR 200435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corn
cooling
frame
coupled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2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진수
김윤남
Original Assignee
안진수
김윤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수, 김윤남 filed Critical 안진수
Priority to KR2020060027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01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01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19Auxiliary use of table underframes, e.g. incorporating: cooling, drainage, air supply or wi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20), 냉각 포켓(30), 팝콘기(50) 및 스위치 패널(8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써, 맥주 등의 음료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팝콘을 즉석해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서비스 메뉴인 팝콘을 더욱 신선하게 제공할 수 있는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을 제공한다. 이때 프레임(20)은 상판(22)과, 이 상판(22)을 지지하는 받침대(24)를 갖는다. 냉각 포켓(30)은 상부가 개구(34)되어 포켓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32)를 갖고, 프레임(20)의 받침대(24)내에 설치되는 압축기(40) 및 응축기(42)와 접속되는 냉매관(44)이 케이스(32)의 외주면에 코일 형태로 감기어 결합되며, 케이스(32)의 개구(34)를 통해 냉각 대상물(1)이 삽입되어 놓이도록 상판(22)상으로 케이스(32)의 개구(34)가 노출되어 프레임(20)에 결합되므로써, 냉매관(44)을 통해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 대상물(1)을 냉각시킨다. 팝콘기(50)는 옥수수를 넣기 위한 입구(51)가 프레임(20)의 상판(22)상으로 노출되도록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넣어진 옥수수를 가열하여 팝콘으로 형성한다. 스위치 패널(80)은 냉각 포켓(3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82)와, 팝콘기(5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84)가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프레임(20)에 결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20, a cooling pocket 30, a popcorn machine 50 and a switch panel 80,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beverage, such as beer at a desired temperature, to cook popcorn immediately It provides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popcorn machines that can provide popcorn, which is a service menu, fresher. At this time, the frame 20 has an upper plate 22 and a pedestal 24 supporting the upper plate 22. The cooling pocket 30 has a case 32 having an upper portion 34 and having a pocket shape. The cooling pocket 30 is connected to a compressor 40 and a condenser 42 installed in the base 24 of the frame 20. The tube 44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2 in the form of a coil, and the case 32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22 so that the cooling object 1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34 of the case 32. By opening the opening 34 of the ()) to be coupled to the frame 20,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44 to cool the object to be cooled 1. The popcorn machine 50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frame 20 so that the inlet 51 for putting corn is exposed on the top plate 22 of the frame 20,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popcorn is heated by popcorn. To form. The switch panel 8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witch 82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pocket 30 and the switch 84 for turning the popcorn machine 50 on and off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20. Coupled to (20).

Description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DRINK CHILLER TABLE WHIT CORN FRYER}DRINK CHILLER TABLE WHIT CORN FRYER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팝콘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pcorn in detail in FIG. 3;

도 5는 도 4의 팝콘기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pcorn of FIG. 4;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에서 팝콘 유도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pcorn induction pipe in the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냉각 대상물 10 :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1: cooling object 10: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popcorn

20 : 프레임 22 : 상판20: frame 22: top plate

23 : (상판) 홀 24 : 받침대23: (top) hall 24: pedestal

30 : 냉각 포켓 32 : 케이스30: cooling pocket 32: case

34 : (케이스) 개구 40 : 압축기34: (case) opening 40: compressor

42 : 응축기 44 : 냉매관42 condenser 44 refrigerant tube

50 : 팝콘기 51 : 입구50: popcorn 51: entrance

52 : 수용 용기 54 : 제 1 배럴52: accommodating container 54: first barrel

56 : 공간 58 : 홀56: space 58: hall

60 : 제 2 배럴 62 : 히터60: second barrel 62: heater

64 : 슬롯 66 : 팬64: slot 66: fan

68 : 모터 70 : 커버68: motor 70: cover

80 : 스위치 패널 82, 84 : 스위치80: switch panel 82, 84: switch

100 : 팝콘 유도관 110 : 입구측100: popcorn induction pipe 110: entrance side

112, 122 : 개구 120 : 출구측112, 122: opening 120: outlet side

본 고안은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냉매관을 적용한 냉각 포켓을 설치하여 맥주 등의 음료를 원하는 온도로 유 지할 수 있도록 하고, 팝콘을 즉석해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서비스 메뉴인 팝콘을 더욱 신선하게 제공할 수 있는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install a cooling pocket to which a refrigerant tube is applied so that beverages such as beer can be maintained at a desired temperature, and popcorn can be cooked and eaten immediat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that can provide a fresher service menu of popcorn.

음식점 및 주류 판매업소 특히, 호프 전문점 등을 위해 테이블에 냉각 포켓을 설치하여 음료잔(특히 맥주잔)을 넣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음료를 다 마실 때까지 최적의 음료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음료 냉각 테이블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맥주는 5℃에서 마실 때 최상의 맛을 느낄 수 있다고 하는데, 이와 같은 음료 냉각 테이블은, 통상 맥주 디스펜서에서 고객 자리로 배달된 후, 온도가 상승되므로써 맥주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므로써, 고객에게 더욱 신선한 맥주맛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Various types of beverage cooling to maintain the optimum beverage temperature until the drink is finished by installing a cooling pocket on the table for restaurants and liquor stores, especially hop specialty shops. A table is proposed. For example, beer is said to taste the best when drinking at 5 ℃, such a cooling table is usually delivered to the customer seat in the beer dispenser, after the temperature rises to prevent the problem of beer deterioration by preventing the customer, To give the beer a fresher taste.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84177호 "맥주 냉각용 테이블"은 복수개의 냉각컵 삽입공이 구비된 테이블 본체와; 그리고, 단열재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맥주용기 수납부가 구비된 아이스 싱크와, 이 아이스 싱크에 그 일측의 흡열부가 접하여 아이스 싱크를 통해 맥주용기에 담긴 맥주로부터 열을 빼앗으며 타측의 발열부에서 열을 발열하여 맥주를 냉각하는 열전소자와, 이 열전소자의 타측 발열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열하는 히트 싱크와, 그리고, 히트 싱크를 방열하는 방열수단으로 이루어져 테이블 본체의 냉각컵 삽입공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맥주 냉각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맥주 냉각용 테이블을 제안하고 있다. In this regard,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84177 "Beer cooling table" is a table body having a plurality of cooling cup insertion hole; Then, a case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 ice sink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beer container storage portion, and an endothermic portion of the ice sink in contact with the ice sink to take heat away from the beer contained in the beer container through the ice sink. Cooling cup of the table main body consisting of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cooling the beer by heating the heat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 heat sink installed in the other heat generat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generate heat, and heat dissipation means for radiating the heat sink A beer cooling table including a plurality of beer cooling cup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insertion hole is proposed.

그러나, 이와 같이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는 냉각능력의 저하로 인하여 음료(특히, 맥주)의 온도를 원하는 정도까지 낮추거나 유지하기 곤란할뿐만아니라, 초기에 원하는 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오래 걸려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oling device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is not only difficult to lower or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especially beer) to the desired degree due to the decrease in the cooling capacity, but also takes a long time to reach the desired temperature at first.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us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49540호 "음료 및 주류 냉각 테이블"은 테이블의 양측에 냉각홀더(냉각 포켓)를 설치하되 냉각홀더의 상부는 테이블에서 함몰되게 설치하고, 테이블의 하부로 노출되는 냉각홀더의 외측은 냉매를 팽창시키는 냉각코일이 권취되게 하며, 냉각홀더는 단열재로 감싼 후 단열재를 감싸는 고정체로 테이블에 고정되게 하고, 냉각코일에는 테이블의 다리 내측에 설치된 압축기와 콘덴서가 냉매파이프로 연결되게 하며, 콘덴서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구비하는 음료 및 주류 냉각 테이블을 제안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9540 "beverage and liquor cooling table" is to install the cooling holder (cooling pocket) on both sides of the table, but the upper part of the cooling holder is installed in the table recessed The outer side of the cooling holder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ble allows the cooling coil to expand the refrigerant to be wound up. The cooling holder is wrapped in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fixed to the table with a fixing body surround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t is proposed a beverage and liquor cooling table having a compressor and a condenser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the fan having a fan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냉매관을 사용하여 구성된 냉각 포켓이 적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은 열전소자를 사용하는 냉각 포켓이 적용된 음료 냉각 테이블에 비해 냉각능력이 현저히 우수하므로 음료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 고객에게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음식점 및 주류 판매업소 특히, 호프 전문점을 위해 제공되는 냉각 포켓에 냉각관을 사용한 음료 냉각 테이블은 더 낳은 서비스를 통해 고객만족을 실현하므로써 영업이익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cooling table with cooling pockets configured by using a refrigerant pipe has a superior cooling capacity compared to the beverage cooling table with cooling pocke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so that beverages can be kept at a desired temperature. Could provide Therefore, a beverage cooling table using a cooling tube in a cooling pocket provided for restaurants and liquor stores, especially hop specialty shops, can increase operating profit by realizing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better service.

한편, 통상 음식점 및 주류 판매업소 특히, 호프 전문점은 다양한 형태의 메뉴(음식, 안주)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메뉴에는 초기에 서비스로 제공하는 팝콘, 과자 등의 서비스 메뉴가 있으며, 고객의 주문에 의해 제공되는 본 메뉴가 있다. 이때 본 메뉴의 경우 고객의 주문에 따라 조리하게 되므로 신선한 맛을 제공할 수 있지만, 서비스 메뉴의 경우 통상 미리 준비된 상태에서 제공되므로 신선한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서비스 메뉴중에서 팝콘은 조리된 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그 맛이 현격히 떨어지므로, 서비스 메뉴의 제공시점에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만족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restaurants and liquor stores, especially hop specialty stores are provided with a variety of menu (food, snacks). In such a menu, there are service menus such as popcorn and sweets which are initially provided as a service, and this menu is provided by a customer's order. In this case, the menu may be cooked according to the customer's order, thereby providing a fresh taste.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rvice menu, a fresh taste may be inferior since it is usually provided in a prepared state. In particular, since the taste of the popcorn is significantly reduced when time passes after it is cooked in the service menu, a method for effectively providing a customer with satisfaction at the time of providing the service menu is required.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냉각관을 적용한 냉각 포켓을 설치하여 맥주 등의 음료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팝콘을 즉석해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서비스 메뉴인 팝콘을 더욱 신선하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meet such a necessity, by installing a cooling pocket with a cooling tube to maintain a desired temperature such as beer, and popcorn can be cooked and eaten as a service menu.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new type of popcorn, which can provide popcorn more freshly.

특히 본 고안은 냉각 포켓이 설치되는 테이블에 팝콘기를 설치하여 조리되는 팝콘을 바로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new type of popcorn that can be immediately eaten popcorn cooked by installing a popcorn on the table on which the cooling pocket is install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냉각 대상물(1)을 냉각 시키기 위한 냉각 포켓(30)이 설치되는 음료 냉각 테이블에 있어서, 상판(22)과, 상기 상판(22)을 지지하는 받침대(24)를 갖는 프레임(20)과; 옥수수를 넣기 위한 입구(51)가 상기 프레임(20)의 상판(22)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넣어진 옥수수를 가열하여 팝콘으로 형성하는 팝콘기(50) 및; 상기 팝콘기(5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84)가 상기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는 스위치 패널(80)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cooling table is provided with a cooling pocket 30 for cooling the cooling object (1), the top plate 22 and the top plate 22 A frame 20 having a pedestal 24 for supporting); An inlet 51 for placing corn is coupled to the frame 20 so as to be exposed on the top plate 22 of the frame 20,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corn is heated to form popcorn. Popcorn group 50 and; And a switch panel 80 coupled to the frame 20 so that the switch 84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of the popcorn machine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20.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은 상기 냉각 포켓(30)은 상부가 개구(34)되어 포켓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32)를 갖고, 상기 프레임(20)의 받침대(24)내에 설치되는 압축기(40) 및 응축기(42)와 접속되는 냉매관(44)이 상기 케이스(32)의 외주면에 코일 형태로 감기어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32)의 개구(34)를 통해 냉각 대상물(1)이 삽입되어 놓이도록 상기 상판(22)상으로 상기 케이스(32)의 개구(34)가 노출되어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므로써, 상 기 냉매관(44)을 통해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냉각 대상물(1)을 냉각시키고, 상기 스위치 패널(80)은 상기 냉각 포켓(3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8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the popco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ase 32 formed in the form of a pocket having an upper portion 34 of the cooling pocket 30, and the base 24 of the frame 20. The compressor 40 installed therein and the refrigerant pipe 44 connected to the condenser 42 ar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2 in a coil form, and are cooled by the opening 34 of the case 32. The opening 34 of the case 32 is exposed on the upper plate 22 so that the object 1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rame 20, there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44. By cooling the object to be cooled (1), the switch panel 8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82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pocket (30).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에서 상기 팝콘기(50)는 상기 입구(51)가 형성되고 상기 옥수수가 넣어지는 공간(56)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56)의 하측 둘레로 관통되는 홀(58)들이 형성되는 제 1 배럴(54)과, 상기 제 1 배럴(54)의 하측 둘레로 형성되는 상기 홀(58)들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홀(58)들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배럴(54)의 둘레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배럴(54)의 하측을 감싸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배럴(60)로 이루어지는 금속재의 수용 용기(52)와, 상기 수용 용기(52)의 하측에 위치되어 결합되고,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슬롯(64)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 용기(52)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62)와, 상기 히터(62)의 하측에 위치되어 결합되고, 모터(68)에 의해 구동되므로써 상기 수용 용기(52) 방향으로 공기가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팬(66) 및, 상기 모터(68), 팬(66) 및 히터(62)를 지지하여 상기 수용 용기(52)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배럴(60)에 결합되는 커버(70)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e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pcorn machine 50 forms a space 56 in which the inlet 51 is formed and the corn is put in, and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space 56. The first barrel 54, through which the holes 58 are formed, and the holes 58 formed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arrel 54 are positioned above the holes 58 so that the holes 58 are located inward. A metal accommodating container 52 formed of a second barrel 60 coupled to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barrel 54 and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arrel 54 to open downward; 52 is positioned below the coupling, and the slot 64 is formed so that air flows from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the heater 62 for heating the receiving container 52 and the lower side of the heater 62. And coupled to and driven by the motor 68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52 The fan 66 and the motor 68, the fan 66, and the heater 62 for supplying air to the furnace are coupled to the second barrel 60 at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52. The cover 70 may be provide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에서 상기 팝콘기(50)의 제 1 배럴(54)은 상기 입구(51)가 상기 상판(22)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판(22)의 홀(23)상에 결합되고, 입구측(110)의 외경이 상기 상 판(22)의 홀(23)에 삽입되는 치수를 갖고, 상기 입구측(110)이 상기 상판(22)의 홀(23)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1 배럴(54)의 입구(51)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출구측(120)이 굴곡되므로써 출구측(120)의 개구(122)가 상기 입구측(110)의 개구(112)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팝콘 유도관(1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the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arrel 54 of the popcorn machine 50 may have the top plate (20) so that the inlet 51 is located at a lower level tha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22. It is coupled on the hole 23 of 22, the outer diameter of the inlet side 110 has a dimen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e 23 of the upper plate 22, the inlet side 110 is the upper plate 22 It is formed to be caught in the upper end of the inlet 51 of the first barrel 54 when inserted into the hole 23 of the, and the opening 122 of the outlet side 120 is bent by the outlet side 120 is bent It may further include a popcorn induction tube 100 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ening 112 of the (110).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10)은 프레임(20), 냉각 포켓(30), 팝콘기(50) 및 스위치 패널(8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써, 맥주 등의 음료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팝콘을 즉석해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서비스 메뉴인 팝콘을 더욱 신선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beverage cooling table 10 equipped with the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20, a cooling pocket 30, a popcorn machine 50, and a switch panel 80. It is possible to keep drinks such as beer at a desired temperature and to provide popcorn, which is a service menu, more freshly by allowing popcorn to be cooked and eaten immediately.

이때, 프레임(20)은 상판(22)과, 이 상판(22)을 지지하는 받침대(24)를 갖는다. 통상 이와 같은 프레임(20)은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음식 등을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체로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ame 20 has an upper plate 22 and a pedestal 24 supporting the upper plate 22. Typically, such a frame 2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a structure for supporting other components, to place food and the like.

그리고 냉각 포켓(30)은 상부가 개구(34)되어 포켓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32)를 갖고, 프레임(20)의 받침대(24)내에 설치되는 압축기(40) 및 응축기(42)와 접속되는 냉매관(44)이 케이스(32)의 외주면에 코일 형태로 감기어 결합되며, 케이스(32)의 개구(34)를 통해 냉각 대상물(1)이 삽입되어 놓이도록 상판(22)상으로 케이스(32)의 개구(34)가 노출되어 프레임(20)에 결합되므로써, 냉매관(44)을 통해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 대상물(1)을 냉각시킨다. 이와 같은 냉각 포켓(30)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49540호 "음료 및 주류 냉각 테이블"에서 제안하고 있는 냉매관(44)을 사용하는 형태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통상 냉매를 순환시켜 원하는 부분에서 온도를 낮추는 기술은 통상 냉각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oling pocket 30 has a case 32 having an upper portion 34 and having a pocket shape, and connected to a compressor 40 and a condenser 42 installed in the base 24 of the frame 20. The coolant pipe 44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2 in a coil form,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22 so that the cooling object 1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34 of the case 32. Since the opening 34 of the 32 is exposed and coupled to the frame 20,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44 to cool the object to be cooled 1. The cooling pocket 30 can be applied by applying a form using the refrigerant pipe 44 prop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49540 "beverage and liquor cooling table". In addition, since the technology of lowering the temperature at a desired portion 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cooling system,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팝콘기(50)는 옥수수를 넣기 위한 입구(51)가 프레임(20)의 상판(22)상으로 노출되도록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넣어진 옥수수를 가열하여 팝콘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팝콘기(50)는 후술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용한 팝콘기(50)를 적용할 수 있으나, 그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popcorn machine 50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frame 20 so that the inlet 51 for placing corn is exposed on the top plate 22 of the frame 20, by heating the corn put when the power is applied Form with popcorn. Such a popcorn device 50 may be applied to the popcorn device 50 appli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figuration may be made in various ways.

그리고 스위치 패널(80)은 냉각 포켓(3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82)와, 팝콘기(5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84)가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프레임(20)에 결합된다. The switch panel 80 may expose the switch 82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pocket 30 and the switch 84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pcorn machine 50 to the outside of the frame 20. Is coupled to the frame 20.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냉매관을 냉각 포켓, 압축기 및 응축기와 접속시키고, 이 관내에서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여 냉각 포켓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시스템의 원리 및 그 작용, 그에 따른 효과 등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구성과 작용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냉각 시스템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이들을 설치하기 위해 소요되는 볼트, 너트 및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홀 및 나사홀 등 일반적으로 요소를 결합시키 위해 사용되는 기계적 체결 및 조립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없이 생략하였으며, 도면의 표현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생략과 도면의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for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in FIGS. 1 to 7. On the other hand, in each drawing, the principle of the cooling system for connecting the refrigerant pipe with the cooling pocket,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nd allowing the refrigerant to circulate in the pipe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pocket, its effects, and the effects thereof, have been studied by those in the art. Since it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at can be known in general, the illustration about this is briefly omitted or omitt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the par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re are separate descriptions for mechanical fastening and assembly commonly used to join elements, such as controllers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such cooling systems, bolts and nuts for installing them, and holes and screw holes for joining them.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drawings, there are parts in which the size ratio between the elements is somewhat different or the sizes between the components coupled to each other are different. Since these parts are easily understood, a separate description is omitted.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팝콘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팝콘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의 사용상태 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에서 팝콘 유도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pcorn in detail in Figure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pcorn of Figure 4, Figure 6 is a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opcorn guide tube in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10)은 프레임(20), 냉각 포켓(30), 팝콘기(50) 및 스위치 패널(8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프레임(20)은 상판(22), 테두리판(26) 및 받침대(24)로 이루어진다. 즉 받침대(24)상에는 상판(22)외에도 디자인적인 면과 부가기능을 위한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부가판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냉각 포켓(30)은 상부가 개구(34)되어 포켓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32)를 갖고, 프레임(20)의 받침대(24)내에 설치되는 압축기(40) 및 응축기(42)와 접속되는 냉매관(44)이 케이스(32)의 외주면에 코일 형태로 감기어 결합되며, 케이스(32)의 개구(34)를 통해 냉각 대상물(1)이 삽입되어 놓이도록 상판(22)상으로 케이스(32)의 개구(34)가 노출되어 프레임(20)에 결합되므로써, 냉매관(44)을 통해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 대상물(1)을 냉각시킨다. 이와 같은 냉각 포켓(30)의 구조 및 작용은 종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and 3, the beverage cooling table 10 equipped with the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20, a cooling pocket 30, a popcorn machine 50, and a switch panel 80. It is provided with. At this time, the frame 20 is composed of a top plate 22, the edge plate 26 and the base 24. That is, on the pedestal 24,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configure the addition plate of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for the design side and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top plate 22. The cooling pocket 30 has a case 32 having an upper portion 34 and having a pocket shape. The cooling pocket 30 is connected to a compressor 40 and a condenser 42 installed in the base 24 of the frame 20. The tube 44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2 in the form of a coil, and the case 32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22 so that the cooling object 1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34 of the case 32. By opening the opening 34 of the ()) to be coupled to the frame 20,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44 to cool the object to be cooled 1. Since the structure and action of the cooling pocket 30 is a technique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from the prior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스위치 패널(80)은 냉각 포켓(3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82)와, 팝콘기(5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84)가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 패널(80) 에는 상기 두개의 스위치(82, 84)외에 필요한 스위치{예컨대, 냉각을 위한 압축기(40)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가 설치된다. The switch panel 80 may expose the switch 82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pocket 30 and the switch 84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pcorn machine 50 to the outside of the frame 20. Coupled to the frame 20 is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two switches 82 and 84, the switch panel 80 is provided with a switch (eg, a switch for turning on or off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40 for cooling).

한편, 팝콘기(50)는 옥수수를 넣기 위한 입구(51)가 프레임(20)의 상판(22)상으로 노출되도록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넣어진 옥수수를 가열하여 팝콘으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5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재의 수용 용기(52), 히터(62), 팬(66) 및 커버(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금속재의 수용 용기(52)는 제 1 배럴(54)이 입구(51)가 형성되고, 옥수수가 넣어지는 공간(56)을 형성하며, 공간(56)의 하측 둘레로 관통되는 홀(58)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배럴(60)은 제 1 배럴(54)의 하측 둘레로 형성되는 홀(58)들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홀(58)들의 상측에서 제 1 배럴(54)의 둘레로 결합되어 제 1 배럴(54)의 하측을 감싸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히터(62)는 수용 용기(52)의 하측에 위치되어 결합되고,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슬롯(64)이 형성되어 수용 용기(52)를 가열한다. 팬(66)은 히터(62)의 하측에 위치되어 결합되고, 모터(68)에 의해 구동되므로써 수용 용기(52) 방향으로 공기가 송출되도록 한다. 커버(70)는 모터(68), 팬(66) 및 히터(62)를 지지하여 수용 용기(52)의 하측에서 제 2 배럴(60)에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opcorn machine 50 is coupled to the frame 20 is installed so that the inlet 51 for the corn is exposed on the top plate 22 of the frame 20, heating the corn put when the power is applied Form into popcorn. 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popcorn machin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etal accommodating container 52, a heater 62, a fan 66, and a cover 70. The metal accommodating container 52 has a first barrel 54 in which an inlet 51 is formed, a space 56 into which corn is put, and holes 58 penetrating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space 56. Is formed. The second barrel 60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arrel 54 at the upper side of the holes 58 such that the holes 58 formed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arrel 54 are positioned inside. It is formed so as to open in a downward direction while wrapping the lower side of 54. The heater 62 is positioned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52, and a slot 64 is formed to heat the air from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The fan 66 is located below and coupled to the heater 62, and is driven by the motor 68 to allow air to be discharged toward the receiving container 52. The cover 70 supports the motor 68, the fan 66 and the heater 62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barrel 60 at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container 52.

이와 같은 팝콘기(5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150)을 열고, 옥수수 및 기타 맛을 내기 위한 첨가물을 넣은 후, 스위치 패널(80)의 스위치(84)를 온 으로 위치시키면, 히터(62)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조리되고, 모터(58)가 구동되어 팬(66)에 의해 공기가 상부로 송출{이때 공기의 흐름은 팬(66)의 회전에 의해 커버(70)의 바닥에 형성된 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히터(62)의 슬롯(64)을 통해 제 1 배럴(54)의 하측 둘레에 형성된 홀(58)들을 통해 수용 용기(52)의 공간(56)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팝콘을 편리하게 그릇에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팝콘 유도관(100)을 적용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popcorn machine 50 is opened, the lid 150 is opened, corn and other flavoring additives are added, and the switch 84 of the switch panel 80 is turned ON. , And cook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62, the motor 58 is driven to send air upward by the fan 66 (when the flow of air flows out of the cover 70 by the rotation of the fan 66). Air enters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bottom, and through the slots 64 of the heater 62, through the holes 58 formed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arrel 54, into the space 56 of the receiving container 52. Will flow.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veniently put the popcorn in a bowl, the popcorn induction tube 100 is applied.

이와 같은 팝콘 유도관(100)을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팝콘기(50)의 제 1 배럴(54)은 입구(51)가 상판(22)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판(22)의 홀(23)상에 결합된다. 그리고 팝콘 유도관(10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구측(110)의 외경이 상판(22)의 홀(23)에 삽입되는 치수를 갖고, 입구측(110)이 상판(22)의 홀(23)에 삽입되었을 때 제 1 배럴(54)의 입구(51)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출구측(120)이 굴곡되므로써 출구측(120)의 개구(122)가 입구측(110)의 개구(112)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For this popcorn induction tube 100, as shown in Figure 4, the first barrel 54 of the popcorn machine 50 is the top plate so that the inlet 51 is locat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22 ( 22 on the hole 23. As shown in FIG. 7, the popcorn induction pipe 100 has a dimens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of the inlet side 110 is inserted into the hole 23 of the upper plate 22, and the inlet side 110 has the upper plate 22. It is formed to be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inlet 51 of the first barrel 54 when inserted into the hole 23 of the first, and the opening 122 of the outlet side 120 is bent by the outlet side 120 is bent. It is formed parallel to the opening 112 of.

이와 같은 팝콘 유도관(100)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1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팝콘의 제조시 팝콘 그릇을 팝콘 유도관(100)의 출구측(120) 아래에 놓아 팝콘을 쉽게 담을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6, the beverage cooling table 10 equipped with the popco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opcorn induction pipe 100 as described above, has a popcorn bowl at the outlet side of the popcorn induction pipe 100 as shown in FIG. 6. 120) Place it underneath to make it easier to hold popcor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에 의하면, 음식점 및 주류 판매업소 특히, 호프 전문점 등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테이블에 냉각관을 적용한 냉각 포켓과 팝콘을 조리하기 위한 팝콘기가 설치되므로, 맥주 등의 음료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팝콘을 즉석해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음료를 다 마실 때까지 최적의 음료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서비스 메뉴인 팝콘을 더욱 신선하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the popco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ling pocket with a cooling tube and a popcorn machine for cooking popcorn are installed on a table that is essentially installed in restaurants and liquor stores, especially hop specialty shops, beer, etc. To keep the drink at the desired temperature, and to cook and eat popcorn immediately so that the optimal drink temperature is maintained until the drink is finished, providing convenience to customers, and making the service menu popcorn more fresh. Can provide.

Claims (4)

냉각 대상물(1)을 냉각 시키기 위한 냉각 포켓(30)이 설치되는 음료 냉각 테이블에 있어서, In the beverage cooling table is provided with a cooling pocket 30 for cooling the cooling object (1), 상판(22)과, 상기 상판(22)을 지지하는 받침대(24)를 갖는 프레임(20)과;A frame (20) having an upper plate (22) and a pedestal (24)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22); 옥수수를 넣기 위한 입구(51)가 상기 프레임(20)의 상판(22)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넣어진 옥수수를 가열하여 팝콘으로 형성하는 팝콘기(50) 및;An inlet 51 for placing corn is coupled to the frame 20 so as to be exposed on the top plate 22 of the frame 20,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corn is heated to form popcorn. Popcorn group 50 and; 상기 팝콘기(5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84)가 상기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는 스위치 패널(80)을 포함하는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Beverage cooling with a popcorn machine comprising a switch panel 80 coupled to the frame 20 so that the switch 84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pcorn machine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20. tab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 포켓(30)은 상부가 개구(34)되어 포켓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32)를 갖고, 상기 프레임(20)의 받침대(24)내에 설치되는 압축기(40) 및 응축기(42)와 접속되는 냉매관(44)이 상기 케이스(32)의 외주면에 코일 형태로 감기어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32)의 개구(34)를 통해 냉각 대상물(1)이 삽입되어 놓이도록 상기 상판(22)상으로 상기 케이스(32)의 개구(34)가 노출되어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므로써, 상기 냉매관(44)을 통해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 냉각 대상물(1)을 냉각시키 고, The cooling pocket 30 has a case 32 having an opening 34 at the top thereof and formed in the form of a pocket, and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40 and the condenser 42 installed in the base 24 of the frame 20. The coolant pipe 44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2 in the form of a coil, and the upper plate 22 is inserted into the cooling object 1 through the opening 34 of the case 32. By opening the opening 34 of the case 32 to be coupled to the frame 20,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44 to cool the cooling object 1, 상기 스위치 패널(80)은 상기 냉각 포켓(3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8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The switch panel 80 is a beverage cooling table equipped with a popcorn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switch (82)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pocket (30).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팝콘기(50)는 상기 입구(51)가 형성되고 상기 옥수수가 넣어지는 공간(56)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56)의 하측 둘레로 관통되는 홀(58)들이 형성되는 제 1 배럴(54)과, 상기 제 1 배럴(54)의 하측 둘레로 형성되는 상기 홀(58)들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홀(58)들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배럴(54)의 둘레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배럴(54)의 하측을 감싸면서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배럴(60)로 이루어지는 금속재의 수용 용기(52)와,The popcorn machine 50 forms a space 56 in which the inlet 51 is formed and the corn is put therein, and a first barrel 54 in which holes 58 penetrate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space 56. ) And the first barrel 54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barrel 54 above the holes 58 so that the holes 58 formed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arrel 54 are positioned inward. A metal accommodating container 52 formed of a second barrel 60 formed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54 and open downward; 상기 수용 용기(52)의 하측에 위치되어 결합되고,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슬롯(64)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 용기(52)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62)와,A heater 64 for heating the accommodating container 52, the slot 64 being form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52, and having a slot 64 formed thereon so that air flows from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상기 히터(62)의 하측에 위치되어 결합되고, 모터(68)에 의해 구동되므로써 상기 수용 용기(52) 방향으로 공기가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팬(66) 및,A fan 66 positioned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eater 62 and driven by a motor 68 to allow air to be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52; 상기 모터(68), 팬(66) 및 히터(62)를 지지하여 상기 수용 용기(52)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배럴(60)에 결합되는 커버(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And a cover 70 supporting the motor 68, the fan 66, and the heater 62 and coupled to the second barrel 60 at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container 52. Equipped beverage cooling table.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팝콘기(50)의 제 1 배럴(54)은 상기 입구(51)가 상기 상판(22)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판(22)의 홀(23)상에 결합되고, The first barrel 54 of the popcorn machine 50 is coupled on the hole 23 of the top plate 22 so that the inlet 51 is locat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22, 입구측(110)의 외경이 상기 상판(22)의 홀(23)에 삽입되는 치수를 갖고, 상기 입구측(110)이 상기 상판(22)의 홀(23)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1 배럴(54)의 입구(51)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출구측(120)이 굴곡되므로써 출구측(120)의 개구(122)가 상기 입구측(110)의 개구(112)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팝콘 유도관(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콘기가 장착된 음료 냉각 테이블.The outer diameter of the inlet side 110 has a dimension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23 of the upper plate 22, the first barrel when the inlet side 110 is inserted into the hole 23 of the upper plate 22 It is formed so as to be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inlet 51 of the 54, the outlet side 120 is bent so that the opening 122 of the outlet side 120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ening 112 of the inlet side 110 Popcorn induction drink cool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pcorn induction pipe (100).
KR2020060027294U 2006-09-30 2006-09-30 Drink chiller table whit corn fryer KR2004350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294U KR200435010Y1 (en) 2006-09-30 2006-09-30 Drink chiller table whit corn f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294U KR200435010Y1 (en) 2006-09-30 2006-09-30 Drink chiller table whit corn fr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010Y1 true KR200435010Y1 (en) 2007-01-05

Family

ID=4156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294U KR200435010Y1 (en) 2006-09-30 2006-09-30 Drink chiller table whit corn f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01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0576B2 (en) Quenching device
US10807049B2 (en) Machine for homogenising a food substance
US10631686B2 (en) Impeller for food processor
US5718124A (en) Chilled service bowl
EP3310227B1 (en) Heat management for food processor
EP3310225B1 (en) Food processor with low friction impeller support
US20180028012A1 (en) Slow cooker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AU2005265230B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t transfer for a fluid immersed vessel
WO2020048142A1 (en) Coffee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435010Y1 (en) Drink chiller table whit corn fryer
US20090282860A1 (en) Cold Buffet Food Tray
KR102075521B1 (en) Rovingness type soup cart
KR101427002B1 (en) frying equipment
US11889946B2 (en) Heating devices and apparatus
KR20160112101A (en) Cooling table for the restaurant
KR200349541Y1 (en) Chiller table for drink and wine chiller
US5943945A (en) Coffeemaker
CN110613368A (en) Cooking cup capable of dissipating heat quickly and food cooking device
CN116392024A (en) Food heat-insulating board
CN213238012U (en) Refrigeration and heating device and household appliance
CN216702328U (en) Air fryer
KR20080083849A (en) Chiller table for drink and wine chiller
CN209846994U (en) Multifunctional beverage processor
JP2829279B2 (en) Revolving dining table with warming and cooling mechanisms
JP3924284B2 (en) Lunch box deli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