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904Y1 -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 Google Patents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904Y1
KR200434904Y1 KR2020060027200U KR20060027200U KR200434904Y1 KR 200434904 Y1 KR200434904 Y1 KR 200434904Y1 KR 2020060027200 U KR2020060027200 U KR 2020060027200U KR 20060027200 U KR20060027200 U KR 20060027200U KR 200434904 Y1 KR200434904 Y1 KR 200434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ram
image
language learning
entire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2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재봉
Original Assignee
최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봉 filed Critical 최재봉
Priority to KR2020060027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90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90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 또는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된 이미지와 그 이미지를 표현하는 영어 문장을 매개로 하여 영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은 전체 이미지를 표현하는 전체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가 배열되는 순서는 그 전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주체의 그 구성 단위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인식 흐름과 일치한다는 발견을 전제로 하여, 상기 발견을 효과적으로 영어 학습에 적용하기 위한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book that helps to learn English through the image of photographs or illustrations and the English sentences expressing the image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finds that the order in which the structural units of the entire English sentence representing the entire image are arranged coincides with the visual recognition flow for the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al unit of the subject recognizing the entire image. On the premi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for effectively applying the discovery to learning English.

특히, 전체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서는 그 전체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가 순차적으로 학습자의 머릿속에 입수될 수 있도록 매개하는 화살표나 동선 등과 같은 각 부분 이미지들 사이의 관계성을 표현해 주는 관계성 매개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부분 이미지들을 보면서 전체 문장이 직관적으로 떠오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학습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전체 문장의 관절 역할을 수행하는 전치사를 비롯하여, 접속사, 분사, 관계사 각각에 대응되는 화살표나 선 그림 등의 관계성 매개 수단이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본 어학 학습 교재의 학습 효과는 더욱 뛰어나게 된다.In particular, among the parti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tional units of the entire English sent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al images, such as an arrow or a moving line, which mediates the constitutional units of the entire English sentence into the learner's head, can be obtained. A relationship mediating means for expressing is provided, and a learning device for inducing a whole sentence to be intuitively viewed while viewing partial images is provided. Furthermore, when the relationship mediating means such as the prepositions that serve as the joints of the whole sentence, the arrows or line diagram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junctions, the participles, and the affiliated companies are displayed between the partial images, the learning of the language learning textbook The effect is even better.

전체 이미지, 부분 이미지, 관계성 표시 수단, 전치사, 접속사, 분사, 관계사  Whole image, partial image, relationship indicator, preposition, conjunction, participle, affiliate

Description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 관계성 정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교재{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도 1은 일러스트레이션과 상기 일러스트레이션에 관련된 학습 문장을 제공해 주는 방식으로 그림을 통해서 영어 문장을 학습하도록 도와주는 종래의 학습 교재에 관한 도면이다.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learning textbook that helps to learn the English sentence through a picture in a manner that provides an illustration and a learning sentence associated with the illustration.

도 2는 본 고안의 학습 교재에 반영된 학습 사상을 표현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representing a learning thought reflected in the learning teac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 관계성 정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including expressed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partial images selected from all im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 관계성 정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전체 이미지가 학습 교재에 포함된 도면이다.4 is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including relational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ial images selected from the whol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ntire image is included in the learning textbook.

도 5는 사진과 사진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는 신문을 활용한 학습 교재에 관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textbook using a newspaper with a picture and a description of the picture.

도 6은 본 고안의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 관계성 정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또 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전체 문장의 길이가 긴 경우, 모든 부분 이미지 중, 앞쪽의 일부의 부분 이미지만을 채 용하여 학습 교재로 구성한 도면이다.FIG. 6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including relationship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ial images selected from the entir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composed of learning textbooks using only partial images.

도 7은 모든 부분 이미지 중, 도 6에서 채용되지 않은 부분 이미지를 채용하여 학습 교재로 구성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learning materials by adopting a partial image not used in FIG. 6 among all partial images.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학습 베이스면100: learning base surface

200a ~ 200q : 부분 이미지200a ~ 200q: partial image

300a, 300b, 300c :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300a, 300b, 300c: full language learning content

310a ~ 310c : 식별표시310a ~ 310c: identification mark

400a, 400c~400h :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400a, 400c ~ 400h: preposition correspondence diagram

400b :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400b: conjunction correspondence diagram

600a ~ 600c :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600a ~ 600c: Directional Arrow Diagram

700 : 전체 이미지700: full image

800a ~ 800e : 부분 이미지 특정 다이어그램800a ~ 800e: partial image specific diagram

900a, 900b : 방향성 다이어그램900a, 900b: Directional Diagram

본 고안은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부분 이미지 간에 표현된 관계성 정보 포함하는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전체 영어 문장이 존재하고, 상기 전체 이미지에서 상기 전체 문장을 구성하는 개별 구성 단위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를 추출해 내고, 상기 부분 이미지들 간의 관계에 관한 화살표나 선도 등의 다이어그램을 포함하여 상기 추출된 부분 이미지들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응되는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들을 직관적으로 떠올릴 수 있도록 하여 영어 학습 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한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including relationship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ial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here is a whole English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whole image, and constitutes the whole sentence in the whole image. Extracting partial images corresponding to individual structural units, and arranging the extracted partial images, including diagrams of arrows or diagrams relate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al images, to form structural units of the entire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images. It is about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that can make you think intuitively and double the effect of learning English.

제1 외국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학습 방법과 학습 교재는 홍수라고 말이 무색할 정도로 학습자들에게 공급되고 있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시대의 흐름 속에서 여러 가지 영어 학습법이 명멸해 가기도 했고, 세월의 선택을 이기어 가면서 다수에게 여전히 선택받는 영어 학습법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It is known that the method of learning English as a first foreign language and the teaching materials are supplied to learners to the extent that the word flood is plain. In the course of the times, various methods of learning English have become obscured, and there are also methods of learning English that are still chosen by many as they overcome the choices of time.

영어 학습의 요체는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영어로 말하고, 쓰고, 듣고,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대부분의 한국인은 극소수를 제외한 압도적인 다수가 여러 가지 이유로 투입하는 노력을 대비할 때, 목적하는 학습 성과를 이뤄 내지 못하고 있으며, 영어 정복을 위해 수차례의 도전과 실패를 반복하면서 비용과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The key to learning English is to be able to speak, write, listen and read in English as naturally as a native speaker. However, most Koreans who lear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do not achieve the desired learning outcomes in preparation for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their efforts, except for very few, for a number of reasons, and they have repeatedly challenged and failed to conquer English. It costs money and time.

우리는 국어로 읽자마자 읽는 순서대로 바로 이해하고, 듣자마자 듣는 순서대로 바로 알아듣고, 생각하자마자 생각하는 순서대로 바로 말이 되어 입에서 나간다. 원어민들도 영어에 대해서 마찬가지임은 분명할 것이다.We understand in order of reading as soon as we read it in Korean, immediately in order of hearing as soon as we hear it, and out of our mouths as soon as we think. It will be clear that native speakers are the same for English.

본 고안은 영어에 대한 하나의 발견에 기초하고 있는데, 그 발견의 핵심은 " 영어 문장은 주어를 중심으로 순서대로 확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라는 명제이다. 조금 더 풀어서 말하면, 주어, 즉 기준이 되는 주체로부터 물리적으로 가까운 것으로부터 먼 순서대로, 철저히 논리적 단계를 밟아가며 한 단어 한 구절이 배열되어 나가는 구조가 영어 문장의 구조라는 것이다.The invention is based on a discovery of English, the core of which is the proposition that "English sentences are structured in order around the subject." To put it a little further, the structure of an English sentence is a structure in which words and phrases are arranged in a thorough logical step in order from the subject, that is, physically close to the reference subject.

국어나 일본어에는 조사가 발달하여 있기 때문에 조사가 해당 단어의 위치와 쓰임새를 밝혀주기 때문에 문장의 어순이 바뀌어도 그 뜻을 전달하는 데는 크게 문제가 없다. 하지만, 영어에는 조사가 없기 때문에 어순이 바뀔 경우 전달하고자 하는 뜻이 왜곡되거나, 이상한 말이 되고 만다. 그래서 영어에는 단어가 놓은 위치, 순서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의 예를 보면 더욱 직관적일 것이다.Since Korean and Japanese have advanced research, research reveals the location and use of the word, so even if the order of sentences changes, there is no problem in conveying the meaning.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in English, so if the word order changes, the meaning of the message is distorted or strange. Therefore, the position and order of the words play a crucial role in English. The following example would be more intuitive.

존은 웬디를 사랑한다 John Wendie lovesJohn loves Wendy John Wendie loves

존은 사랑한다 웬디를 John loves WendieJohn loves Wendy John loves Wendie

웬디를 사랑한다 존은 Wendie loves JohnWendie loves John

웬디를 존은 사랑한다 Wendie John lovesJohn loves Wendy Wendie John loves

사랑한다 존은 웬디를 loves John Wendie I love you John loves Wendy John Wendie

사랑한다 웬디를 존은 loves Wendie JohnI love you Wendy John loves Wendie John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영어에서는 어순이 의사 전달에 극히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영어 문장은 순서대로 정보가 표현되고, 수용되어야 하는 구조로 될 수밖에 없음을 있다. 그러므로, 영어를 자연스럽게 듣고, 말하고, 쓰고, 읽기 위한 영어 학습도 "순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순서"에 기반한 학습 트레이닝이 필요한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xample, since the word order is very important in communication in English, the English sentence is in a structure that must be expressed and accepted in order.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learning English to listen, speak, write, and read English naturally requires a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order" and learning training based on "order."

인용한 선행 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05314호는 영어 강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어 단어의 소리 속에 의미를 담는 방법을 알아냄으로써, 영어 단어를 구성하는 소리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이해시키고, 그림 문자에서 영어의 어순을 풀어내는 순서를 풀어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상형 문자를 활용하여 영어의 어순 문제 중 "주어 + 동사" 어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Prior art cit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05314 relates to the method of teaching English,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sound of the English words, by figuring out how to put the meaning in the sound of the English words, pictograms Shows how to solve the order of the English word order, and suggests how to use the hieroglyphs to solve the "order + verb" word order problem of the English word order probl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52657호는 그림만들기를 이용한 영어 교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어를 표현하기 전에 그 영어 표현에 해당하는 자기의 사고의 흐름에 따라 만들어지는 그림이 어떤 순서로 그려지느냐를 판단하여, 그림을 그리고, 이에 영어 표현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영어를 교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그림들은 문장 또는 문장의 구성 요소 단위를 설명해 주는 것에 불과할 뿐, 그 그림에 대응되는 전체 문장이 어떠한 흐름, 순서 및 연결 관계로 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 주는 장치가 없어, 그림을 통하여 원어민들처럼 자연스럽게 영어 순서대로 영어를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52657 relates to a method of teaching English using picture making, and in what order is the picture made according to the flow of one's thought corresponding to the English expression before expressing English? Disclosed is a method of teaching English by employing a method of drawing a picture and matching the English expression. However, the above pictures merely describe the sentence or the constituent unit of the sentence, and there is no device for conveying information about the flow, the order, and the connection of the entire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Like native speakers, it does not naturally help them listen, speak, read, or write English in English order.

신문, 도서 및, 기타 특별하게 인용할 수 없지만 무수하게 나와 있는 영어 학습 교재들은 그림이나 사진을 그 학습의 한 요소로 반영하고 있다. 도 1은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하여 하나의 문장을 익히는 방법에 대한 그림이며, 도 5는 영자 신문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진과 사진 밑에 있는 영어 문장을 통해서 영어를 익히는 것에 대한 선행 기술이다. 상기 사진이나 일러스트레이션들도 학습해야 하는 문장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뿐, 그림이나 사진에 대응되는 전체 문장이 어 떠한 흐름, 순서 및 연결 관계로 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 주는 장치가 없어, 그림을 통하여 원어민들처럼 자연스럽게 영어 순서대로 영어를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Newspapers, books and other specially cited but innumerable English textbooks reflect pictures and photographs as an element of their learning. Figure 1 is a picture of how to learn a sentence through the illustration, Figure 5 is a prior art for learning English through English sentences under pictures and pictures commonly found in English newspapers and the like. The pictures and illustrations also provid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sentence to be learned, and there is no device that conveys information on what flow, order, and connection the entire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or picture is connected to. Through native speakers, English does not help to listen, speak, read, or write in natural English order.

본 고안은 우선적으로 그림을 통하여 영어 문장이 순차적으로 어떻게 구성되고, 확장해 나가는지에 대한 효과적 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훈련이 반복되어 영어의 문장의 순서에 대한 감각이 생기게 되면, 이러한 능력은 듣기, 말하기뿐만 아니라 읽기와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relates to language learning textbooks that help students to effectively train how to construct and expand English sentences sequentially through pictures. When this training is repeated and a sense of the order of sentences in English is produced, these skills can lead to improved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listening and speaking.

본 고안의 그림은 영어 문장이라는 형식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전달하고자 하는 자의 의도, 생각 등)의 한 대상물에 대응되므로, 본 고안의 어학 학습 교재의 궁극적인 목적 중의 하나는 "정보가 영어로 표현되는/드러나는 순서" 및 "영어 단위와 영어 단위가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로 연결되는 관계"를 해당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 각각에 대응되는 고유한 그림을 통해서 체감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ince the pi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n object of information (intention, idea, etc. of the person to convey) in the form of an English sentence, one of the ultimate purposes of the language learning textboo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formation expressed in English. Order and experience "and" relationships in which English units and English units lead to prepositions, conjunctions, affiliates, or participles "through a unique picture that corresponds to each preposition, conjunction, affiliate, or participle. It is.

본 고안은 전체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서는 그 전체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가 순차적으로 학습자의 머릿속에 입수될 수 있도록 매개하는 화살표나 동선 등과 같은 각 부분 이미지들 사이의 관계성을 표현해 주는 관계성 매개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부분 이미지들을 보면서 전체 문장이 직관적으로 순서대로 떠오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학습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al units of the whole English sentence, such as arrows or moving lines, which mediate the structural units of the entire English sentence into the learner's head. Relationship mediation means for expressing the expression is provided, and a learning apparatus is provided for inducing the entire sentence to be intuitively floated while viewing partial images.

더욱이, 전체 문장의 관절 역할을 수행하는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 사 각각 대응되는 화살표나 선 그림 등의 관계성 매개 수단이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본 어학 학습 교재의 학습 효과는 더욱 뛰어나게 된다.Moreover, when the relationship mediating means such as arrows or line diagrams corresponding to prepositions, conjunctions, affiliates, or participles that serve as joints of the whole sentence are displayed between the partial images, the learning effect of the language learning textbook is It's even better.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전체 이미지에서 추출한 복수개의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관계성 표시 수단을 포함시켜 부분 이미지들을 보면서 전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전체 문장이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떠오를 수 있는 어학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first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in which a whole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whole image can be easily emerged while including the relation display means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extracted from the whole image. To provide.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으로 특별히 화살표를 채용하여 상기 전체 문장의 구성 순서를 명확하게 하도록 도와 줄 수 있는 어학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that can help to clarify the order of construction of the entire sentence by employing arrows specifically as the relationship display means.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세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으로 상기 전체 문장에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그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에 대응되는 부분에 선 또는 기타 도형으로 된 다이어그램을 표시하여 영어 문장의 관절 역할을 하는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에 대한 위치, 사용되는 환경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어학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hird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f the relational display means includes any one or more of prepositions, conjunctions, affiliates, or participles, the prepositions, conjunctions, affiliates, or part of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articiples are selected. Alternatively, it provides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that displays diagrams with other figures so that the position of prepositions, conjunctions, affiliates, or participles that serve as joints of English sentences can be intuitively fel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적어도 2 이상의 부분 이미지; 상기 부분 이미지가 표시되는 학습 베이스면; 및 상기 부분 이미지 간의 관계성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계성 표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부분 이미지는 하나의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t least two or more partial images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A learning base surface on which the partial image is displayed; And at least one or more relationship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al images, wherein the at least two or more partial images are selected from one entire image, and 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images. It provides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comprising the.

상기 부분 이미지 간의 연결 순서에 대한 방향성 다이어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향성 다이어그램은 화살표 형상인 것인 것이 좋다.It further comprises a directional diagram of the order of connection between the partial images, the directional diagram is preferably an arrow shape.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은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이며,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 주변에서는 전치사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전치사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좋다.The relationship display means is a line diagram, a preposition is displayed around the line diagram, and the preposition is included in 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은 상기 전치사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은 상기 전치사 각각에 대하여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인 것이 좋다.The line diagram may have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eposition, and the line diagram may have a different shape for each of the prepositions.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는 텍스트로 된 문장이며, 상기 문장은 상기 지시 다이어그램에 대응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식별 표시가 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인 것이 좋다.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is a text sentence, the sentence is an identification mark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diagram, the identification mark is a font, the size of the character, the thickness of the characte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gradient, underline, shadow, and color of the letter is applied.

상기 학습 베이스면에서는 상기 전체 이미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분 이미지에는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지시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지시 다이어그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도형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살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learning base surface further includes the entire image, wherein the partial image corresponds to at least one predetermined area of the entire image, and includes an instruction diagram displayed on the entire image, wherein the instruction diagram is at least on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above closed figure and at least one arrow.

상기 부분 이미지는 실사 이미지나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인 것이 좋다.The partial image may be a live-action image or an illustration image.

상기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적어도 2 이상의 부분 이미지는 적어도 2 이상의 세트로 구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는 텍스트로 된 문장이며, 상기 문장은 상기 지시 다이어그램에 대응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식별 표시가 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인 것이 좋다.The at least two or more visually recognizable partial images are configured to be distinguished into at least two or more sets, wherein 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is a text sentence, and the sentence is at leas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diagram. One or more identification marks are provided, and the identification marks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a font, a letter size, a letter thickness, a letter slope, an underline, a shadow, and a color of a letter.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it demonstrates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대상이 되는 어학 학습 교재에 반영되어 있는 학습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mechanism reflected in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that is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존의 이미지나 사진을 통해서 영어를 공부하는 교재들은 하나의 이미지에 하나의 학습 콘텐츠(영어 문장 또는 영어 문단 등)을 대응시켜 놓고 있는 것이 많다. 이렇게 되는 경우, 하나의 전체 이미지에 대해 어떤 요소 요소가 문장의 어디 어디와 연관된다는 등과 같은 구조적인 대응 관계가 없어, 하나의 이미지가 어떻게 전체 문장으로 연결되는가에 대해 체계적으로 파악하기가 불가능해 지며, 통상적으로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는 상기 영어 문장 또는 상기 영어 문단을 설명하는 등의 보조적, 수동적, 소극적 용도에만 사용된다.Many textbooks that study English through existing images or photographs have one learning content (English sentences or English paragraphs) associated with one image. In this case, there is no structural correspondence such as which element element is related to where and where in the sentence for one whole image, and it becomes impossible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how one image is connected to the whole sentence. Typically, images such as photographs or pictures are used only for auxiliary, passive, passive use, such as describing the English sentence or the English paragraph.

영어가 입으로 술술 자연스럽게 순차적으로 나오기 위해서는 머릿속에서 1) 전체적인 내용의 흐름과, 2) 자기가 현재 말하는 부분 및 3) 상기 자기가 현재 말하는 부분에 곧바로 이어지는 부분이 유기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렇게 되지 않으면, 영어 문장의 자연스러운 전개(순차적인 흐름에 따라, 머릿속에서 그려지는 흐름에 따라 순서에 따라 문장의 구성 단위가 이어서 나오는 것)가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In order for English to come out naturally, one must have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1) the flow of content, 2) the part he speaks, and 3) the part immediately following it. If this is not done, the natural development of the English sentences (sequential flow, followed by the structural units of the sentences according to the flow drawn in the head) will not be smooth.

학습의 목적은 전체 이미지(40)가 주어졌을 때, 학습자가 전체 문장(10)을 용이하게 학습하고, 표현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는데, 기존에는 전체 이미지에 대하여 그냥 전체 문장을 대응시켜 놓았기 때문에, 문장의 모든 구성 요소들을 한꺼번에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전체 그림만이 나와 있고, 전체 그림이 전체 문장과 1:1 대응하고 있으므로) 문장을 순차적으로 말하거나 쓰는데, 주어진 전체 그림이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The purpose of the learning is to allow the learner to easily learn and express the entire sentence 10 when the entire image 40 is given. In the past, since the entire sentence was simply associated with the entire image, Since all the components of a sentence must be identified at once (only the whole picture is shown, and the whole picture corresponds to the whole sentence one-to-one), the whole picture does not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전체 이미지(40)를 복수개의 부분 이미지(30)로 나누고, 상기 부분 이미지(30)에 대응되는 상기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20)를 1:1 대응 시키고, 상기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의 결합으로써 상기 전체 문장(10)을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어학 학습 교재 구성을 취하고 있으므로, 학습자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머릿속에 떠올리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응되는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를 순차적으로 떠올리면 되기 때문에, 문장을 순차적으로 말하고 쓰는데, 상기 부분 이미지가 큰 기여를 하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image 4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30, the structural units 20 of the entire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images 30 are 1: 1 corresponded, and the entire sentences Since the language learning textbook is configured to naturally learn and express the entire sentence 10 by combining the structural units, the learner recalls the partial image in his head and selects the structural unit of the entire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image. Since they can be recalled sequentially, the sentences are spoken and written sequentially, and the partial image makes a great contribu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이미지(700)에서 선택되는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간의 표현된 관계성 정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일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본 고안의 사상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나에 대한 부분 이미지(200a), 내가 수영하는 부분 이미지(200b), 호수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200c), 아침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200d), 할머니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200e), 할머니가 부르는 것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200f), 할머니가 부르는 대상인 나에 대한 부분 이미지(200g) 및 점심에 먹을 것(200h)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가 표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전체 문장(300a) "I swim in the lake all morning until my grandmother calls me for lunch." 부분이 본 고안의 학습자가 학습할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300a)가 된다.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including relationship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ial images 200a to 200h selected from the entire image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artial image 200a for me, the partial image 200b for swimming, the partial image 200c for the lake, the partial image 200d for the morning, the partial image 200e for the grandmother ), The partial image 200f corresponding to what the grandmother calls, the partial image 200g for me as the grandmother is called, and the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ood to be eaten at lunch 200h. The full sentence 300a shown in FIG. 1 "I swim in the lake all morning until my grandmother calls me for lunch." The portion becomes 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300a for the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learn.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은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300a)의 문장의 구성 부분들에 대응된다. 상기 나에 대한 부분 이미지(200a)는 'I"에, 상기 내가 수영하는 부분 이미지(200b)는 "swim"에, 상기 호수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200c)는 "the lake"에, 상기 아침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200d)는 "all morning"에, 상기 할머니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200e)는 "my grandmother"에, 상 기 할머니가 부르는 것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200f)는 "call"에, 할머니가 부르는 대상인 나에 대한 부분 이미지(200g)는 "me"에, 및 상기 점심에 먹을 것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200h)에는 "lunch"에 대응될 수 있다.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correspond to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sentence of 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300a. The partial image 200a about me is at "I", the partial image 200b at which I swim is at "swim", the partial image 200c corresponding to the lake is at "the lake", and in the morning The partial image 200d corresponds to "all morning", the partial image 200e corresponding to the grandmother corresponds to "my grandmother", the partial image 200f corresponding to the grandmother calls to "call", The partial image 200g of me, which is called by the grandmother, may correspond to “me” and “lunch” to the partial image 200h corresponding to the lunch.

상기 대응은 상기 전체 문장(300a)에 포함되어 있는 전치사나 접속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the lake"은 "in the lake"으로, 상기 "lunch"는 "for lunch"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상기 전치사나 접속사에 대한 대응은 상기 부분 이미지들 간에 연결되며 상기 부분 이미지 간의 관계성을 표시하는 관계성 표시 수단과 대응될 수 있음을 원칙으로 한다.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correspondence may also be applied to include prepositions or conjunctions included in the entire sentence 300a. In this case, the "the lake" is "in the lake" and the "lunch" is "for lunch." Can b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spondence with the preposition or the conjunction word may be connected with the relation display means for connecting the partial images and display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al image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display mean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부분 이미지들이 표현되는 바탕 화면이 본 고안의 학습 베이스면(100)이 된다. 상기 학습 베이스면(100)은 학습자가 학습하는 바탕이 되는 것으로, 그 바탕이 되는 재료는 종이, 또는 전자적 매체에 의해 표현되는 화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이가 좋다. The background screen on which the partial images are represented becomes the learning base surfa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base surface 100 serves as a basis for the learner to learn, and the material may be a paper or a screen expressed by an electronic medium. Preferably paper is good.

상기 학습 베이스 면에는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 간의 관계성을 표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계성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이 추출되는 전체 이미지(700)에 관한 정보가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체 이미지(700)에 대응되는 어학 학습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는데, 상기 어학 학습 콘텐츠는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과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을 통해서 학습해야 할 내용으로, 영어 문장인 것이 바람직하 다.In addition to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the learning base plane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relation display means for express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Information regarding the entire image 700 from which the images 200a to 200h are extracted may be represented. In addition, language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image 700 may be displayed.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is a content to be learned through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and the relationship display means. Is preferably.

상기 관계성을 표현하는 관계성 표시 수단은 본 고안의 사상의 핵심적인 구성 수단으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The relationship display means expressing the relationship is a key component of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the following meaning.

본 고안 사상은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구성 단위가 본질적으로 주어를 중심으로 공간적 및 시간상으로 멀어지면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는 것에 기반하므로,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의 순차적 배열을 훈련하는 것이 학습의 중요 목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성 단위에 해당되는 상기 전체 영어 문장에서의 구성 부분을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와 대응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의 연결 순서를 보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문장의 구성 단위들을 대응시키면서 머릿속으로 떠올릴 수 있게 된다. 즉, 머릿속에서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이 연속해서 지나가고,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에 대응되는 상기 문장의 구성 부분이 떠오른다면 전체 영어 문장은 자연스럽게 머릿속에 떠오르거나, 입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대부분의 학습자가 하나의 전체 문장(full sentense)를 자연스럽게 연이어 말하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그 전체 문장을 구성 단위로 끊어 내지 못하고, 설령 끊어내더라도 연결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을 이용하게 되면,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를 머릿속에 그리면서 그 순서대로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에 대응되는 상기 문장의 구성 단위를 말하면 상기 전체 문장(300a)의 순서대로 말하게 되게 된다.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English sentence are arranged sequentially in space and time away from the subject, so that training the sequential arrangement of the structural units of the English sentence becomes an important goal of learn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rrespond the constituent parts in the entire English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tional units with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Therefore, the learner can think in the head while matching the structural units of the senten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artial image (200a to 200h) while looking at the connection order of the partial image (200a to 200h). That is, if partial images 200a to 200h pass continuously in the head, and a constituent part of the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comes to mind, the entire English sentence naturally floats in the head or pops out into the mouth. do. One of the reasons why most learners do not speak one full sentence naturally is that they do not break the whole sentence into units, and even if they cut it, they do not connect well. In this case, when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are used, the structural units of the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in order are drawn while drawing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in the head. The sentences will be spoken in the order of 300a.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문장의 구성단위가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도록 방향성을 표시하는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600a, 600b, 600c)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서는 상기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들(600a, 600b, 600c)이 각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eferable to include directional arrow diagrams 600a, 600b, and 600c indicating directionality so that structural units of the sentence flow naturally. 3 shows that the directional arrow diagrams 600a, 600b, 600c may exist between the respective partial images.

그런데, 이때 상기 각각의 문장의 구성 단위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주는 데는 연결 장치가 필요한데, 통상적으로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가 그런 역할을 맡게 된다.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사람들에게는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어느 정도 분명한 뜻을 가지면서 문장을 연결할 때만 사용되는 접속사와는 달리, 전치사는 문장의 여러 요소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다수의 학습자에게 전치사는 특정한 느낌 없이 숙어 등을 통해 외워서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However, in this case, a connection device is required to naturally connect the structural units of the sentences, and a preposition, a conjunction company, an affiliate company, or a participle usually plays such a role. For those who lear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t is not easy to use prepositions, conjunctions, affiliates, or participles naturally. In particular, unlike the conjunctions that are used only to link sentences with a certain meaning, prepositions are used in various elements of a sentence. Therefore, many learners recognize that prepositions should be memorized through idioms without any particular feeling. It is becoming.

전치사는 문장 등에서 명사나 기타 다른 요소와 합쳐져서 구 등을 형성하면서 상기 영어 문장을 구성 단위로 분절하는데 중요한 관절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학습자들은 모국어에 전치사가 없으므로, 전치사에 대한 본능적인 느낌/이미지/컨셉이 없는 관계로 전치사의 정확하고 자유로운 사용에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학습자들은 전치사가 들어가 있는 구 등을 숙어 등으로 외우기도 하고, 전치사의 용법에 대해 문법의 관점에서 학습하기도 한다. 하지만, 마치 우리가 은/는/이/가와 같은 조사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과 같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들은 전치사에 대해 특별한 학습이 없어도 전치사를 자연스럽게 사용한다. Preposi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segmenting the English sentences into constituent units, forming phrases by combining them with nouns and other elements in sentences and the like. Generally, learners who lear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do not have a preposition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thus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accurate and free use of the preposition because there is no instinctive feeling / image / concept for the preposition. Thus, learners may memorize phrases that contain prepositions with idioms, or learn about the use of prepositions in terms of grammar. However, just as we are free to use the surveys like silver / yi / ga, native speakers of English use natural prepositions without any special learning about them.

이에 본 고안자는 원어민들처럼 전치사를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치 사 각각에 대한 느낌/용도/활용 상황을 다이어그램을 표현해 주는 것이 좋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상기 다이어그램은 상기 반드시 그 전치사가 작용하는 복합적인 대상과 함께 표시되어야 그 대상들 사이의 관계성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전치사가 사용되는 구조는 "A + 전치사 + B"의 구조를 가지는데, 더욱 쉽게 말하면, "전치사의 앞에 오는 말(A) + 전치사 + 전치사의 뒤에 오는 말(B)"의 구조로 전치사가 사용된다. 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in order to use prepositions freely like native speakers, it is good to express a diagram of feelings / uses / utilization situations for each of the prepositions.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could be intuitively recognized only when displayed.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eposition is used has the structure of "A + preposition + B", more easily speaking, the structure of "preposition of the preposition (A) + preposition + the word following the preposition (B)" structure. Is used.

예를 든다면 "swim + in + the lake"가 된다. 이때, 전치사의 앞에 오는 말 및/또는 전치사의 뒤에 오는 말과 상기 전치사가 개개의 전치사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가가 전치사의 사용에 중요하다. 상기 개별 전치사마다 그 전치사의 뜻에 해당되는 각 다이어그램이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각 다이어그램은 상기 전치사의 본질적 용도를 가장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다이어그램을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400a, 400c)이라 한다.For example, "swim + in + the lake".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for the preposition of the preposition and / or the word following the preposition, and in what circumstances the preposition forms the individual prepositions. Each individual preposition can correspond to each diagram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of the preposition. Each diagram should be able to most intuitively represent the essential use of the preposition. Such diagrams are referred to as preposition correspondence diagrams 400a and 400c.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400a, 400c)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 전치사 in 은 상기 주어를 기준으로 주어 쪽으로 열린 반원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전치사 for는 전치사 뒤에 오는 대상(B)로 지향하면서 점프하는 반원형의 화살표로 되어 있다. 상기 각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400a, 400c)은 상기 전치사의 용법/쓰임 용도/쓰임 상황(사용되었을 때의 의미)을 표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도 6에서는 at에 관한 다이어그램, 도 7에서는 in, of 및 during에 관한 다이어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과 도 6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전치사 in에 대한 다이어그램이 닮은 꼴(위상 기하학적으로 유사함)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각 전치사 마다에 하나의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이 대응되어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The preposition correspondence diagrams 400a and 400c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preposition in is represented by a semicircle open toward the subject based on the subject, and the preposition for is a semicircular arrow jumping while pointing to the object B following the preposition. Each of the prepositional correspondence diagrams 400a and 400c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that can express the usage / use of the preposition and the use situation (meaning when used). The preposition correspondence diagram may identify a diagram regarding at in FIG. 6 and a diagram regarding in, of, and during in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diagrams for the prepositions in common in FIGS. 3 and 6 are similar shapes (phase geometric similarities). That is, it can be seen that one preposition mapping diagram corresponds to each preposition.

본 고안에서는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400b)을 관계성 표시 수단의 한 요소로 도입하고 있다. 도 3에 표시된 접속사 until은 접속사 뒤에 오는 대상(B)까지 가는 화살표와 그 화살표가 상기 접속사 뒤에 오는 대상(B) 바로 앞에 정지한다는 정지선이 결합한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속사마다 고유한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400b)이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다이어그램이 학습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 그 다이어그램을 표시해 줄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해 주지 않아도 무방할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의 접속사 while에 대한 다이어그램은 표현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후자의 한 예가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junction correspondence diagram 400b is introduced as an element of the relationship display means. The conjunction until until shown in FIG. 3 is expressed as a combination of an arrow leading to an object B following the conjunction and a stop line indicating that the arrow stops immediately before the object B following the conjunction. As such, a unique conjunction correspondence diagram 400b may correspond to each conjunction, and if the diagram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learning effect, the diagram may be displayed, and in some cases, the diagram may not be displayed. It may not. The diagram for the conjunction while in FIG. 7 is not represented, which is an example of the latter.

상기 전치사와 접속사 등과 마찬가지로 관계사와 분사에 대해서도 특별한 실시예를 들지 않아도, 각각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 및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도입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관계사는 주로 앞뒤에 문장이 오므로(특히 앞에는 명사 등의 선행사가 옴), 접속사에 준하여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면 되고, 분사는 앞뒤에(특히 분사 앞에) 문장이 아닌 명사 등이 주로 오므로 전치사에 준해서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면 충분할 것이다. 물론, 관계사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어 각각에 대해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이 1:1로 대응될 수 있겠지만, 분사는 기본적으로 동사에 기반하므로, 동사의 종류만큼 다수가 있게 된다. 다만, 분사는 수동형과 능동형의 2종류가 있고, 이들은 "분사 앞에 오는 말(A)+ 분사 + 분사 뒤에 오는 말(B)"의 구조로 되어 있고, 수동형은 A와 분사가 " 목적어 + 동사"의 관계가 성립할 때가 많고, 능동형은 A와 분사가 "주어 + 동사"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 수동과 능동의 관계를 반영하여 해당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hat the affiliated company correspondence diagram and the sprayed correspondence diagram can be introduced, respectively, without regard to the affiliated company and the participle as well as the prepositions and the connected part. In other words, affiliates usually have sentences before and after (particularly nouns, such as nouns), so you can create a diagram of a relative company in accordance with the conjunction, and participles that are not sentences before and after (particularly before participle) are mainly located. It would be sufficient to generate a spray response diagram based on the preposition. Of course,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affiliated companies, so that each company's correspondence diagram can be 1: 1, but since the participle is basically based on verbs, there are as many as the types of verbs. However, there are two types of injection, passive type and active type, and they have the structure of "word before injection (A) + injection + word following injection (B)", and the passive type A and injection are "object + verb".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is often established, and the active type is often given the "giving + verb" relationship between A and the participle, the corresponding parting relationship may be generated by refl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sive and the active part.

도 3에는 상기 전체 영어 문장에서 상기 문장 구성 단위를 연결하는 전치사에 대해서 학습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식별 표시(310a 내지 310c)가 포함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식별 표시(310a 내지 310c)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 표시는 상기 전치사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다른 문장의 구성 단위에 대해서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식별 표시가 많이 사용되면 학습자의 주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식별 표시(310a 내지 310c)로 글자의 크기를 크게 하는 방법을 취했다.FIG. 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ncludes identification marks 310a to 310c that call the learner's attention to the prepositions connecting the sentence units in the entire English sentence. The identification marks 310a to 310c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a font, a letter size, a letter thickness, a letter slope, an underline, a shadow, and a color of a letter.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mark may be performed not only for the preposition, but also for structural units of other sentences. However, when the identification mark is frequently use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attention of the learner is lowered. In the above embodiment, a method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letters with the identification marks 310a to 310c is taken.

그리고, 본 고안의 학습 베이스면(100)에는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이 추출되는 모체가 되는 상기 전체 이미지(700)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체 이미지(700) 상에는 상기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600a 내지 600c),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400a 내지 400c), 상기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400b)에 더하여, 상기 전체 이미지(700) 상에서 상기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를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부분 이미지 특정 다이어그램(800a 내지 800e) 등 크게 4가지 종류가 쓰일 수 있다. 도 4의 부분 이미지 특정 다이어그램(800a 내지 800e)는 전체 이미지(7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 중 특 정할 필요가 있는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부분 이미지 특정 다이어그램의 일실시예이다. 상기 부분 이미지 특정 다이어그램(800a 내지 800e)은 원, 사각형 등과 같은 폐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며, 물건 등의 부분 외곽선 중의 일부가 되는 경우에는 개곡선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base surfa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entire image 700 serving as a parent from which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are extracted.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directional arrow diagrams 600a to 600c, the prepositional correspondence diagrams 400a to 400c, and the conjunctional correspondence diagram 400b, the partial image on the entire image 70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image 700. Four types can be used, such as the partial image specification diagrams 800a to 800e used to specify 200a to 200h). Partial image specific diagrams 800a through 800e of FIG. 4 are examples of partial image specific diagrams used to specify partial images that need to be specified among the respective partial images 200a through 200h included in full image 700. Yes. The partial image specification diagrams 800a to 800e are preferably closed curves such as circles, squares, and the like, and may be open curves when they become part of partial outlines of objects and the like.

도 4과 같이 전체 이미지(700)에 상기 부분 이미지 특정 다이어그램(800a 내지 800e)이 포함되어 있으면, 학습자는 전체 이미지(700)를 대상으로 하여 전체 문장(300a)이 어떻게 구성되고 흘러가는지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전체 이미지(700)에 방향성 다이어그램(900a, 900b)까지 포함되어 있다면 더욱 그 효과가 클 것이다.When the partial image specific diagrams 800a to 800e are included in the entire image 700 as shown in FIG. 4, the learner intuitively describes how the entire sentence 300a is constructed and flows with respect to the entire image 7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nderstood. Furthermore, if the overall image 700 includes the directional diagrams 900a and 900b, the effect will be even greater.

아울러,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가 머릿속에 순차적으로 그려지게 되므로, "전체 문장(300a)과 전체 이미지(700) vs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와 문장 구성 단위"를 통해서 1) 전체 이미지(700)가 주어질 때, 상기 전체 문장(300a)을 구성하는 문장의 구성 단위들이 전체 이미지(700)와 관련하여 어떻게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전개되어 나가는지와, 2) 전체 문장(300a)이 주어질 때, 상기 전체 이미지(700)를 구성하는 부분 이미지(200a 내지 200h)들이 어떻게 상기 문장의 구성 부분과 대응되면서 어떻게 연결되어 나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계는 도 1 에 잘 표현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are sequentially drawn in the head, 1) the entire image (through the entire sentence 300a and the entire image 700 vs the partial image 200a to 200h and the sentence structuring unit). When 700 is given, how the structural units of the sentences constituting the whole sentence 300a are arranged and sequentially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whole image 700, and 2) when the whole sentence 300a is given, It is possible to know how the partial images 200a to 200h constituting the entire image 700 are connected while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sentence. Such a relationship is well represented in FIG.

도 2내지 도 4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 그림(손이나 컴퓨터 그래픽으로 그린 그림, 이하 같다.)을 대상으로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사상은 일러스트레이션에만 한정되지 않고, 실사 사진(실물이나 실체를 사진으로 찍은 사진)에 대해서도 물론 적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도 7은 실사 사진에 본 고안의 사상을 적용한 것이다. 대상이 되는 실사 사진은 도 5에 있다.In FIGS. 2 to 4, descriptions have been made on an illustration picture (a hand or a graphic drawn by a computer graphic).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ion only, and can of course also be applied to the real picture (the picture taken with the picture of the real thing or the substance). 6 to 7 appl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hoto-realistic photograph. The actual photo of the object is shown in FIG. 5.

이때, 전체 이미지가 복잡하거나, 전체 문장(300b, 300c)이 중문이나 복문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부분 이미지(200i 내지 200q)들은 하나의 세트로 하여 2개 이상의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과는 도 7은 실사 사진에 대하여 전체 문장(300b, 300c)이 복문일 경우, 2개의 부분 이미지 세트로 전체 이미지를 나누어 보여주고 있다. 물론, 문장이 중문이나 복문이더라도 하나의 부분 이미지 세트로 보여 줄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만, 이렇게 할 경우 부분 이미지(200i 내지 200q)들이 너무 많거나 하여 복잡해 질 수 있기에 상기 전체 이미지에서 추출된 부분 이미지(200i 내지 200q)들을 2개 이상의 세트로 나누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entire image is complicated or the entire sentences 300b and 300c are the Chinese or the complex sentence,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200i to 200q may be configured as two or more sets as one set. 6 and 7 show the entire image divided into two partial image sets when the full sentences 300b and 300c are complex sentences with respect to the real picture. Of course, even if the sentence is a Chinese sentence or a compound sentence, it can be shown as a single partial image set, of course, but in this case, since the partial images (200i to 200q) may be too large or complicated, the extracted portion from the whole image The images 200i to 200q are divided into two or more sets.

상기 도 6과 도 7에도 부분 이미지(200i 내지 200q)가 있으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300b, 300c)가 있으며, 전치사 (310d 내지 310h)가 있고, 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400d 내지 400h)가 상기 해당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표현되어 있다. 상기 도 6과 도 7에 표시되어 있는 전치사 차체(500d 내지 500h)는 학습자가 상기 전치사와 상기 전치사에 대응되는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400d 내지 400h)에 익숙해 있는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기 때문에 모든 어학 학습 교재마다 반드시 표시될 필요까지는 없다.6 and 7 also have partial images 200i to 200q, full language learning content 300b and 300c, prepositions 310d to 310h, and corresponding prepositional diagrams 400d to 400h respectively. ) Is represented between the corresponding partial images. The prepositional vehicle bodies 500d to 500h shown in FIGS. 6 and 7 are not necessarily displayed when the learner is familiar with the prepositions and the prepositional correspondence diagrams 400d to 400h corresponding to the prepositions. It does not have to be marked on every study book.

도 6내지 도 8에는 상기 도 3내지 도 4에 표현되는 학습 베이스 면이 표현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상기 학습 베이스 면과 상기 학습 베이스 면에 표현되는 내용부의 관계가 1) 종이 매체 vs. 상기 종이 매체 위에 표현되는 콘텐츠, 2) 디지털 디스플레이 매체 vs.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매체 위에 표현되는 콘텐츠 및 콘텐츠가 표현될 수 있는 매체 vs. 상기 콘텐츠가 표현될 수 있는 매체 위에 표현되는 콘텐츠의 관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기 때문에, 도 6내지 도 8에는 상기 학습 베이스 면에 표현되는 내용부를 중심으로 도시하였기 때문이다.6 to 8, the learning base plane represented in FIGS. 3 to 4 is not represent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portion expressed on the learning base surface and the learning base surface is 1) paper media vs. a. Content represented on the paper medium, 2) digital display medium vs. The content expressed on the digital display medium and the medium on which the content can be expressed vs. a. This is because the content may be one or more of the relations of the content expressed on the medium on which the content can be expressed.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어학 학습 교재를 주위에 있는 일러스트레이션이나 사진으로부터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사진 기사나 애니메이션의 스크립트 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어학 학습 교재를 제작할 수 있다.First, the language learning textbook can be easily produced from the surrounding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It is easy to produce language learning materials through photo articles and animation scripts.

둘째, 전체 문장을 상기 전체 문장에 대응되는 전체 이미지의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일련의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부분 이미지들을 통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문장의 구성 단위를 연관짓고, 상기 문장의 구성 단위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전체 문장을 구성하게 되므로, 학습자로 하여금 긴 영어 문장을 직관적이고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아울러, 부분 이미지를 도입하였으므로 학습자의 머릿속에 부분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떠오를 수 있게 되어 특정한 문장의 구성 부분 다음에 올 다른 특정한 문장의 구성 부분이 용이하게 떠오를 수 있도록 한다.Second, extract a partial image of the entire image corresponding to the whole sentence, associate the structural units of the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image through the series of sequentially arranged partial images, and construct the sentence Since the entire sentence is composed by combining the units sequentially, it can help the learner to construct long English sentences intuitively and easily. In addition, since the partial image is introduced, the partial image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learner's head so that the constituent parts of other specific sentences that follow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specific sentences may easily come up.

셋째, 상기 문장의 구성 부분들 사이에서 관계성을 부여하면서 연결해 주는 전치사에 대해서, 상기 전치사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다이어그램을 상기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표현해 줌으로써, 전치사에 대한 직관적인 느낌을 가지게 도와 주며, 전치사의 용도와 쓰임새를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ird, with respect to the prepositions that give a connection between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sentence, by representing a predetermined diagram corresponding to the preposition between the partial images, it helps to have an intuitive feeling about the prepositions, It can make it easier to learn the uses and uses of prepositions.

넷째, 상기 부분 이미지들과 함께 상기 다이어그램들이 표현되는 전체 이미지를 제공해 줌으로써, 전체 이미지와 전체 문장과의 관계성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여, 영자 신문 등에 나오는 사진과 사진에 대한 설명 등을 통하여 교재의 범위를 벗어난 일상 생활에서도 본 고안 사상을 적용하는 영어 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by providing the whole image in which the diagrams are expressed together with the partial images, it is possible to practi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image and the whole sentence, through the photographs and explanations of photographs in English newspapers, etc. There is an effect to be able to learn English to apply the subject innovation in everyday life outside the scope.

다섯째, 본 고안의 어학 학습 교재는 하나의 전체 이미지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부분 이미지가 상하 좌우로 입체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입체적으로 배열되는 상기 부분 이미지들에 상기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가 입체적으로 대응되므로, 영어를 입체적으로 배울 수 있게 된다. 기존의 그림을 통한 영어 학습법은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 방향만의 흐름(평면적 배열)만이 존재했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평면적으로 영어를 배울 수밖에 없게 되었다.Fifth, since the language learning textboo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single whole image,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existing on the whole image are three-dimensionally arranged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whole is arranged on the three-dimensionally arranged partial images. Since the structural units of sentences correspond in three dimensions, it is possible to learn English in three dimensions.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learning English through the picture, there was only a flow (planar arrangement) from left to right and top to bottom, so that the learners had to learn English flatly.

여섯째, 본 고안의 어학 학습 교재는 화살표 등과 같은 방향성 표시 수단이 다수 있고,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이 있으므로, 학습자는 그 방향성을 따라가거나, 상기 다이어그램을 통하여 방향을 잡을 수 있으므로, 영어식 순서에 따라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를 읽고 듣고 말하고, 쓰게 된다. 그러므로, 본 어학 학습 교재로 학습하게 되면, 한국식 영어 학습의 고질적인 문제인 영어 문장을 한국말로 거꾸로 뒤집어서 해석하면서 영어 문장에 나와 있는 정보를 파악하는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Sixth, since the language learning textboo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directional display means such as an arrow, and there are prepositions, conjunctions, affiliates, or participating diagrams, the learner can follow the direction or orient through the diagram. You will read, hear, speak, and write the structural units of the whole sentence in the English order. Therefore, if you study with this language learning textbook,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error in grasping the information in the English sentence while interpreting the English sentence, which is a chronic problem of Korean English learning, upside down in Korean.

Claims (15)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적어도 2 이상의 부분 이미지;At least two or more partial images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상기 부분 이미지가 표시되는 학습 베이스면; 및A learning base surface on which the partial image is displayed; And 상기 부분 이미지 간의 관계성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계성 표시 수단;을 포함하며,At least one or more relationship indicating means for indic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al images;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부분 이미지는 하나의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The at least two partial images are selected from one full image,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And a language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ima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분 이미지 간의 연결 순서에 대한 방향성 다이어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향성 다이어그램은 화살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And a directional diagram of a connection order between the partial images, wherein the directional diagram has an arrow sha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은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이며, The relationship indicating means is a line diagram,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 주변에서는 전치사가 표시되어 있으며, Around the diagram with the line there is a preposition 상기 전치사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preposition is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은 상기 전치사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이며,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상기 전치사 각각에 대하여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line diagram is a preposition correspondence diagram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eposition, and the preposition correspondence diagram has a different shape for each of the prepositio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은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이며, The relationship indicating means is a line diagram,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 주변에서는 접속사가 표시되어 있으며, The conjunctions are shown around the diagram with the lines, 상기 접속사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connection word is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은 상기 접속사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이며, 상기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상기 접속사 각각에 대하여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line diagram is a conjunction correspondence diagram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junctions, the connection correspondence diagram is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different shape for each of the conjunctio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은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이며, The relationship indicating means is a line diagram,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 주변에서는 관계사가 표시되어 있으며, Around the diagram with the line, affiliates are displayed. 상기 관계사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affiliated company is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은 상기 관계사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이며, 상기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상기 관계사 각각에 대하여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line diagram is an affiliated company corresponding diagram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affiliated company, and the affiliated company corresponding diagram has a different shape for each of the affiliated compani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은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이며, The relationship indicating means is a line diagram,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 주변에서는 분사가 표시되어 있으며, Around the diagram with the lines are shown the spray, 상기 분사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jet is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ed in 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선으로 된 다이어그램은 상기 분사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이며, 상기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상기 분사가 수동형일 때와 능동형일 때가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line diagram is an injection corresponding diagram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jection, and the injection correspondence diagram has a different shape when the injection is passive and when the active is activ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는 텍스트로 된 문장이며, 상기 문장은 상기 지시 다이어그램에 대응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식별 표시가 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is a text sentence, the sentence is an identification mark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diagram, the identification mark is a font, the size of the character, the thickness of the character, Language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among the gradient, underline, shade and color of the text is appli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 베이스면에서는 상기 전체 이미지를 더 포함하며,The learning base further includes the entire image, 상기 부분 이미지에는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지시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며,The partial image may include an instruction diagra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redetermined area of the entire image and displayed on the entire image. 상기 지시 다이어그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도형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살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And the instruction diagram includes at least one closed figure and at least one arrow.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상기 부분 이미지는 실사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partial image is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the live-action image.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상기 부분 이미지는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partial image is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the illustration image.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상기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적어도 2 이상의 부분 이미지는 적어도 2 이상의 세트로 구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The visually recognizable at least two or more partial images are configured to be distinguished into at least two or more sets,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는 텍스트로 된 문장이며, 상기 문장은 상기 지시 다이어그램에 대응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식별 표시가 되어 있으며, The entire language learning content is a text sentence, the sentence is identified by at least one of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diagram,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The identification mark is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font, the size of the letter, the thickness of the letter, the slope of the letter, the underline, the shade and the color of the letter is applied.
KR2020060027200U 2006-09-30 2006-09-30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KR2004349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200U KR200434904Y1 (en) 2006-09-30 2006-09-30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200U KR200434904Y1 (en) 2006-09-30 2006-09-30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712A Division KR100887307B1 (en) 2006-09-30 2006-09-30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904Y1 true KR200434904Y1 (en) 2006-12-29

Family

ID=4178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200U KR200434904Y1 (en) 2006-09-30 2006-09-30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90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382B1 (en) 2006-09-30 2008-11-10 최재봉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Diagrams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on a Whole Im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382B1 (en) 2006-09-30 2008-11-10 최재봉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Diagrams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on a Whole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adings Introducing Lyotard: art and politics
Harris Signs of writing
Purba The importance of including culture in EFL teaching
Zabrodskaja Tallinn: Monolingual from above and multilingual from below
Hinton New writing systems
Nørgaard Multimodality and the literary text: Making sense of Safran Foer’s Extremely Loud and Incredibly Close
JP2019507913A (en) Educational toy simulator
WO2012013104A1 (en) English reader and identifying and reading machine
KR100867382B1 (en)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Diagrams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on a Whole Image
KR200434904Y1 (en)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KR100767715B1 (en) Studying cards for memorizing words
KR200434905Y1 (en)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Diagrams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on a Whole Image
KR200434909Y1 (en) English learning Material Utilizing Whole Images and Part Images Comprising Diagrams
KR100887307B1 (en) 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Relation Information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Selected from a Whole Image
KR100867384B1 (en) English learning Material Utilizing Whole Images and Part Images Comprising Diagrams
CN201853386U (en) Electronic English reader, English teaching material or book and recognizing machine
Rockwell Appropriating written French: Literacy practices in a Parisian elementary classroom
Rasinski et al. Building Vocabulary with Greek and Latin Roots: A Professional Guide to Word Knowledge and Vocabulary Development: Keys to Building Vocabulary
Cahill et al. Orthography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endangered languages
Naruemon Causes of English spelling errors made by Thai foreign language learners
Rosenthal Lost in transcription: the problematics of commensurability in academic representations of American Sign Language
Kubler Basic Written Chinese: Move From Complete Beginner Level to Basic Proficiency (Downloadable Audio Included)
Tarantelli Voice into text: Case studies in the history of linguistic transcription
JP3094932U (en) Japanese language learning paper
Damaso “Mr. D, Is This, Like, a Real Word?”: Stories of a Linguist in a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