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722Y1 -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722Y1
KR200434722Y1 KR2020060027037U KR20060027037U KR200434722Y1 KR 200434722 Y1 KR200434722 Y1 KR 200434722Y1 KR 2020060027037 U KR2020060027037 U KR 2020060027037U KR 20060027037 U KR20060027037 U KR 20060027037U KR 200434722 Y1 KR200434722 Y1 KR 200434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andle
edge
window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안
Original Assignee
이종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안 filed Critical 이종안
Priority to KR2020060027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7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구멍에 한 쌍의 손잡이들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제1 손잡이, 제2 손잡이와 한 쌍의 마구리들로 구성된다. 제1 손잡이는 창호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일측에 끼워지는 제1 몸체를 가지며, 제1 몸체의 전면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붙잡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 구멍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몸체의 후면에 제1 후크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손잡이는 구멍의 타측에 끼워지는 제2 몸체를 가지며, 제2 몸체의 전면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붙잡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 구멍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몸체의 후면에 제1 후크와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결합되는 제2 후크가 형성되어 있다. 마구리들은 제1 및 제2 손잡이 각각의 양단에 구비되어 있고, 전면 가장자리에 구멍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창호의 전후면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가 후크의 걸어 맞춤에 의하여 조립되므로,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가 절감된다. 또한, 창호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가장자리가 은폐되어 외관이 보기 좋아져 제품의 우수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HANDLE ASSEMBLY FOR WINDOWS AND DOOR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창호 13: 구멍
20, 20′: 제1 손잡이 21: 몸체
22: 홈 23: 플랜지
24: 제1 후크 25: 제1 지지판
30, 30′: 제2 손잡이 31: 몸체
32: 홈 33: 플랜지
34: 제2 후크 35: 제2 지지판
40: 마구리 42: 플랜지
본 고안은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구멍에 한 쌍의 손잡이들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창호(窓戶)는 여닫는 방식에 따라 미닫이와 여닫이로 구분하고 있다. 미닫이는 창문 또는 문을 옆으로 밀어서 여닫으며, 여닫이는 틀에 고정되어 있는 경첩을 축으로 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창호의 전후면에 사람이 손으로 붙잡고 창호를 여닫을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의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손잡이는 나사의 체결에 의하여 창호의 전후면 가장자리에 돌출형으로 장착되고 있다. 돌출형 손잡이는 사람이 쉽게 붙잡고 창호를 여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미닫이 창호에 적용하기 부적합한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특히, 벽면속의 공간에 미닫이문을 넣고 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른 바 포켓 도어(Pocket door)의 경우, 돌출형 손잡이가 벽면에 걸려 미닫이문을 열 수 없었다. 그리고 돌출형 손잡이는 사람이 부딪쳐 다치거나 의복 등이 걸려 찢어지는 등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나사가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창호의 전후면에 사람이 손가락을 집어넣어 잡을 수 있는 홈형 손잡이가 구성되고 있다. 문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목재 등을 소재로 제작되어 있는 프 레임에 합판, 중밀도 섬유판 등의 패널이 부착되어 제작되고 있다. 원목을 소재로 제작되어 있는 문의 경우, 문의 가장자리에 홈을 직접 파서 손잡이를 구성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예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홈형 손잡이는 미닫이문의 여닫음 동작에 간섭됨이 없으나, 나사의 체결에 의하여 창호의 전후면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손잡이가 장착되는 창호의 구멍이 노출되거나 나사가 노출되어 창호의 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나사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나사를 은폐하는 별도의 마구리, 장식 등이 부착되고 있어 손잡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이 곤란해지는 등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생산비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가 절감되는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창호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가장자리가 은폐되어 외관이 보기 좋은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창호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일측에 끼워지는 제1 몸체를 가지며, 제1 몸체의 전면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붙잡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몸체의 전면 가 장자리에 구멍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몸체의 후면에 제1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손잡이와; 구멍의 타측에 끼워지는 제2 몸체를 가지며, 제2 몸체의 전면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붙잡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 구멍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몸체의 후면에 제1 후크와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결합되는 제2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손잡이와; 제1 및 제2 손잡이 각각의 양단에 구비되어 있고, 전면 가장자리에 구멍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마구리들로 이루어지는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는 창호(10)의 전후면 가장자리에 장착된다. 도 1과 도 2에는 창호(10)의 일례로 알루미늄을 소재로 제작되어 있는 프레임(11)에 합판, 중밀도 섬유판 등의 패널(12)이 조립되어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1)은 그 속이 비어 있는 중공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프레임(11)의 일측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창호형 손잡이 조립체는 프레임(11)의 구멍(13)에 장착되는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손잡이(20, 30)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20, 30) 각각은 프레임(11)의 구멍(13)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몸체(21, 31)를 갖는다. 제1 및 제2 몸체(21, 31)의 전면에 사람의 손가락을 집어넣어 붙잡을 수 있는 홈(22, 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단에 구 멍(13)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Flange: 23, 3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몸체(21, 31)의 후면에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결합할 수 있도록 후크(Hook: 24, 3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손잡이(20)의 제1 후크(24)는 제1 몸체(21)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손잡이(30)의 제2 후크(34)는 제2 몸체(31)의 후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후크(24, 34) 각각은 제1 및 제2 몸체(21, 31)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판부(24a, 34a)와, 이 연장판부(24a, 34a)의 말단에 서로 걸어 맞출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24b, 34b)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부(24b, 34b)의 일측에는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맞춤할 수 있는 복수의 톱니(24c, 34c)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몸체(21)의 후면 하부에 제2 후크(34)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25)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몸체(31)의 후면 상부에 제1 후크(24)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3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제1 및 제2 후크(24, 34)가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결합되면, 제1 및 제2 후크(24, 34)는 지지판(25, 35)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분리가 방지된다. 제1 및 제2 몸체(21, 31)의 후면 양단에 복수개의 결합홈(26, 36)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20, 30)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몸체(21, 31) 각각의 양단에 한 쌍의 마구리(40)들이 장착되어 있다. 마구리(40)들은 홈(22, 32)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측면판부(41)와, 측면판부(41)의 전면에 구멍(13)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42)로 구성되어 있다. 마구리(40)의 일측에는 결합홈(26, 36)들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편(43)들이 형성되어 있다. 마구리(40)들은 스테인리스스틸강판, 아연도금강판 등을 소재로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의 장착에 있어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우선 제1 및 제2 몸체(21, 31)의 결합홈(26, 36)들에 마구리(40)들의 결합편(43)들을 끼워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양단에 마구리(40)들을 각각 장착한다.
다음으로, 프레임(11)의 전방에서 구멍(13)에 제1 손잡이(20)의 제1 몸체(21)를 끼우면, 제1 몸체(21)의 플랜지(23)와 마구리(40)들의 플랜지(42)가 프레임(11)의 전면에 지지되면서 구멍(13)에 대한 제1 손잡이(20)의 장착이 끝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멍(13)의 가장자리는 제1 몸체(21)의 플랜지(23)와 마구리(40)들의 플랜지(42)에 의하여 은폐되므로, 창호(10)의 외관이 보기 좋게 마무리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제1 손잡이(20)가 구멍(2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제1 손잡이(20)를 프레임(11)에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프레임(11)의 후방에서 구멍(13)에 제2 손잡이(30)의 제2 몸체(31)를 끼우면, 제1 및 제2 후크(24, 34)의 머리부(24a, 34a)가 접촉된다. 이때, 작업자가 제1 손잡이(20)와 제2 손잡이(30)를 서로에 대하여 강하게 누르면, 제1 및 제2 후크(24, 34)의 연장판부(24a, 34a)가 변형되면서 상하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후크(24, 34)의 머리 부(24b, 34b)가 서로 걸어 맞춤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후크(24, 34)의 톱니(24c, 34c)들이 맞춤되어 제1 및 제2 후크(24, 34)의 분리가 방지된다. 제1 및 제2 후크(24, 34)의 상하면은 지지판(25, 35)에 의하여 지지되어 톱니(24c, 34c)들의 분리가 견고하게 방지된다.
한편,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제1 및 제2 후크(24, 34)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2 몸체(31)의 플랜지(33)와 마구리(40)들의 플랜지(42)가 프레임(11)의 전면에 지지되면서 구멍(13)에 대한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장착이 끝난다. 구멍(13)의 가장자리는 제2 몸체(31)의 플랜지(33)와 마구리(40)들의 플랜지(42)에 의하여 은폐되므로, 창호(10)의 외관이 보기 좋게 마무리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제1 및 제2 몸체(21, 31), 홈(22, 32), 플랜지(23, 33), 제1 및 제2 후크(24, 34), 지지판(25)은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제1 및 제2 몸체(21, 31), 홈(22, 32), 플랜지(23, 33), 제1 및 제2 후크(24, 34), 지지판(25)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작용은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작용을 참조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양측단에는 마구리(40′)들이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와 마구리(40′)들은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의 양측단에 마구리(40′)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 손잡이(20, 30)와 마구리(40)들의 조립 공정이 삭제되고, 구조가 단순해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가 절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에 의하면, 창호의 전후면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가 후크의 걸어 맞춤에 의하여 조립되므로,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가 절감된다. 또한, 창호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가장자리가 은폐되어 외관이 보기 좋아져 제품의 우수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창호의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일측에 끼워지는 제1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1 몸체의 전면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붙잡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몸체의 후면에 제1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손잡이와;
    상기 구멍의 타측에 끼워지는 제2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2 몸체의 전면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붙잡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몸체의 후면에 상기 제1 후크와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결합되는 제2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손잡이와;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 각각의 양단에 구비되어 있고, 전면 가장자리에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마구리들로 이루어지는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크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연장판부와, 상기 연장판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톱니들로 구성되어 있는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후면에 상기 제2 후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몸체의 후면에 상기 제1 후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후크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의 양단에 상기 한 쌍의 마구리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KR2020060027037U 2006-09-29 2006-09-29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KR200434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37U KR200434722Y1 (ko) 2006-09-29 2006-09-29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37U KR200434722Y1 (ko) 2006-09-29 2006-09-29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722Y1 true KR200434722Y1 (ko) 2006-12-28

Family

ID=4178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037U KR200434722Y1 (ko) 2006-09-29 2006-09-29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7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65Y1 (ko) * 2013-07-19 2013-09-10 김주영 입실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65Y1 (ko) * 2013-07-19 2013-09-10 김주영 입실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9801B2 (ja) 冷蔵庫用カバーパネルユニット
USD904232S1 (en) Vehicle
CA2404673A1 (en) Refrigerator handle mounting arrangement
KR200434722Y1 (ko) 창호용 손잡이 조립체
KR100776372B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200393512Y1 (ko) 조립식 화장실 도어의 안전보호대
KR200449516Y1 (ko) 도어 손잡이
KR200193633Y1 (ko) 방화문
KR200382764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KR101161138B1 (ko) 가구용 문짝 구조
KR101189985B1 (ko)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JP2004011200A (ja) 扉又は引き出しの持ち手構造
JP6494542B2 (ja) 折戸
KR200382765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JP6233962B2 (ja) 収納装置
KR100592470B1 (ko) 가구용 손잡이
US20200190892A1 (en) Door cover system and method of use
CN212619605U (zh) 抽屉门体
KR200195914Y1 (ko) 방화문의 전면 장식물 고정 구조
KR200328256Y1 (ko) 소형 냉장고용 도어핸들
CN218349023U (zh) 嵌入式门体及制冷设备
KR200355667Y1 (ko) 도어류 제품의 조립구조
KR200297198Y1 (ko) 냉장고 도어의 손잡이 장식편
KR200388506Y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382763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