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716Y1 - Traction type louver system - Google Patents

Traction type louv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716Y1
KR200434716Y1 KR2020060026850U KR20060026850U KR200434716Y1 KR 200434716 Y1 KR200434716 Y1 KR 200434716Y1 KR 2020060026850 U KR2020060026850 U KR 2020060026850U KR 20060026850 U KR20060026850 U KR 20060026850U KR 200434716 Y1 KR200434716 Y1 KR 200434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lat
rail frame
bundles
lou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8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덕률
Original Assignee
이덕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률 filed Critical 이덕률
Priority to KR2020060026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71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71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consisting of two or more independent parts, movable each in its own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06B7/09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operated or interconnected by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Abstract

본 고안은 견인식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좌우 측면으로 삽입구를 가지며, 좌우 길이방향으로 따라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랫; 상기 슬랫의 좌우 측면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슬랫 연결구를 통해 해당 슬랫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동시에 해당 슬랫 연결구와 연결된 슬랫의 삽입구를 중심으로 해당 슬랫을 회전시키는 다수의 기어 뭉치; 상기 다수의 기어 뭉치들을 내장시켜 일렬로 배열시키며, 해당 기어 뭉치들의 일렬 슬라이딩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 프레임; 및 상기 레일 프레임내의 기어 뭉치들의 슬랫 연결구를 회전시켜서 해당 슬랫 연결구와 결합된 상기 슬랫들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봉회전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tion louver system, having a slot in the left and right sides, a plurality of slats formed in a flat surface alon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gear bundles for supporting the slat from the side through a slat connecto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s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at and rotating the slat about the insertion hole of the slat connected to the slat connector; A rail frame having the plurality of gear bundles embedded therein and arranged in a row, the rail frame providing a linear sliding movement space of the gear bundles; And a rod rotating member for rotating the slat connectors of the gear bundles in the rail frame to rotate the slats coupled with the slat connectors in the forward / reverse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루버, 천창 Louver, skylight

Description

견인식 루버 시스템{TRACTION TYPE LOUVER SYSTEM}Traction louver system {TRACTION TYPE LOUVER SYSTEM}

도 1은 종래의 수동식 루버 시스템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passive louver system.

도 2는 종래의 자동식 루버 시스템의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automatic louver system.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체 견인식 루버 시스템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entire towing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체 견인식 루버 시스템의 반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 half-open state of the entire towing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체 견인식 루버 시스템의 완전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fully open state of the entire towing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체 견인식 루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traction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체 견인식 루버 시스템의 완전개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lly open state of the entire tow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루버 시스템의 기어 뭉치를 나타내는 도면. 8 is a view showing a gear assembly of the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된 기어 뭉치의 내부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9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upling structure of the gear bund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0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거리 이격자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Figure 10 is a side view of the distance spac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루버 시스템의 폐쇄 또는 반개방 상태에서 거리 이격자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distance spacer in the closed or half-open state of the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루버 시스템의 완전개방 상태에서 거리 이격자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distance spacer in the fully open state of the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레일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il fram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슬랫을 나타내는 평면도.14 is a plan view showing a sla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슬랫을 나타내는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a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슬랫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of the slab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7은 본 고안이 적용된 슬랫의 방수 강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proof reinforced state of the slab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8은 본 고안이 적용된 다양한 슬랫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18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various sla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고안은 견인식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루버를 구성하는 슬랫들이 360°회전할 수 있어서 조사되는 빛의 각도 조절은 물론 슬랫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루버를 구성하는 슬랫들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밀집될 수 있어서 슬랫 개방이 아닌 루버의 완전 개방까지도 가능하게 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 louver system, the slats constituting the louver can be rotated 360 °,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irradiated light, as well as to clean the slats, and also the slats constituting the louver moves to one side A towed louver system that can be opened to allow full opening of the louver instead of slat opening.

일반적으로 루버 시스템은 문, 창문, 천정, 지붕 등에 별도로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과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널리 사용되는 기구이다. In general, louver systems are widely used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and air radiated from the outside to the interior by installing them separately in doors, windows, ceilings, roofs, and the like.

도 1은 종래의 수동식 루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passive louver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창된 루버시스템은 창틀(1), 슬랫(2), 다수의 연결프레임(1a)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a)은 각각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창의 슬랫(2)을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결프레임(1a)에 이에 대응하는 핸들(3)이 장착되어야 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louvered louver system includes a window frame 1, a slat 2,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1a. Since the connecting frame (1a)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slats (2) of each window, the corresponding handle (3) must be mounted to each connecting frame (1a).

따라서, 상기 수동식 루버 시스템에서 모든 슬랫(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핸들(3)을 따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해야 하는 사용상의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manual louver system, in order to open or close all the slats 2, there is a disadvantage in using the user to operate each handle 3 separately.

상기 수동식 루버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동식의 루버 시스템으로서 모든 슬랫(2)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루버 시스템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passive louver system, a louver system that can open and close all slats 2 at the same time as an automatic louver system has been developed.

도 2a 및 2b는 종래의 자동식의 루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2A and 2B are schematic views of a conventional automatic louver system.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식의 루버 시스템은 외부에 별도 링크수단이 장착된다.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the automatic louver system is equipped with a separate link means on the outside.

즉, 창틀(1) 일측에 배치된 회전모터(7)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5)와 상기 샤프트(5)를 연결시키는 링크(4), 링크연결고리(4a), 베어링(6)을 포함하는 별도의 링크수단이 창틀(1) 외부에 장착된다.That is, the shaft 5 which is rotated by the rotary motor 7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1 includes a link 4, a link connecting ring 4a, and a bearing 6 connecting the shaft 5. A separate link means is mounted outside the window frame (1).

하지만, 상기 종래 자동식의 루버 시스템 역시 루버연결장치가 외부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복잡하고 외관상 미려하지 않으며, 특히 이러한 루버는 각각의 슬랫의 개방 각도가 한정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채광이나 공기량 조절이 실제로 어렵고, 또한 각각의 슬랫이 제한된 각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슬랫에 대한 주기적인 청소 작업 역시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utomatic louver system is also not complicated and beautiful in appearance because the louver conne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outside, and in particular, the louver is limited to the opening angle of each slat, so the user's desired light or air volume control is actually Difficult, and because each slat is rotated at a limited ang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iodic cleaning operation for the slat is also difficul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루버를 구성하는 슬랫들이 360°회전할 수 있어서 조사되는 빛의 각도 조절은 물론 슬랫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루버를 구성하는 슬랫들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밀집될 수 있어서 슬랫 개방이 아닌 루버의 완전 개방까지도 가능하게 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hat the slats constituting the louver can be rotated 360 °, as well as adjusting the angle of the irradiated light, as well as easy to clean the slats and also constitute the louver It is to provide a towing louver system in which the slats can be moved to one side and concentrated so that even the louver can be fully opened instead of the slat open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견인식 루버 시스템은, 좌우 측면으로 삽입구를 가지며, 좌우 길이방향으로 따라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랫; 상기 슬랫의 좌우 측면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슬랫 연결구를 통해 해당 슬랫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동시에 해당 슬랫 연결구와 연결된 슬랫의 삽입구를 중심으로 해당 슬랫을 회전시키는 다수의 기어 뭉치; 상기 다수의 기어 뭉치들을 내장시켜 일렬로 배열시키며, 해당 기어 뭉치들의 일렬 슬라이딩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 프레임; 및 상기 레일 프레임내의 기어 뭉치들의 슬랫 연결구를 회전시켜서 해당 슬랫 연결구와 결합된 상기 슬랫들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봉회전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wing lou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left and right side has an insertion port, a plurality of slats formed in a flat surface alon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gear bundles for supporting the slat from the side through a slat connecto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s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at and rotating the slat about the insertion hole of the slat connected to the slat connector; A rail frame having the plurality of gear bundles embedded therein and arranged in a row, the rail frame providing a linear sliding movement space of the gear bundles; And a rod rotating member for rotating the slat connectors of the gear bundles in the rail frame to rotate the slats coupled with the slat connectors in the forward / reverse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바람직하게는, 상기 봉회전 부재가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를 설치되는 회전봉을 회전시키고, 해당 회전봉은 레일 프레임내에 배열된 기어 뭉치들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하며 해당 회전봉의 회전력에 의해 기어 뭉치의 슬랫 연결구가 해당 회전봉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rod rotating member rotates the rotating rod installed inside the rail frame, the rotating rod rotates in a state passing through the gear bundles arranged in the rail frame and the slat connector of the gear bundl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rod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 프레임내의 기어 뭉치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견인하여, 해당 기어뭉치들을 레일 프레임내 일측으로 밀집시키는 해당 루버의 완전개방 상태나 해당 기어뭉치들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레일 프레임에 배열시켜 해당 루버의 반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벨트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gear bundles in the rail frame are pull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gear bundles are arranged in the rail frame in a completely open state or the gear bundles are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belt rotation member to enable a half-open or closed state of the louve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회전 부재는 해당 레일 프레임내에서 궤도운동하는 궤도벨트를 회전시키고, 해당 궤도벨트는 레일 프레임내에 배열된 기어 뭉치들 중 선두의 견인 기어뭉치만을 견인하여 전체 기어 뭉치들을 전후 이동시켜서 기어 뭉치들의 이동상태에 따라 루버의 개방 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belt rotating member rotates the track belt orbiting in the rail frame, and the track belt pulls only the first traction gear of the gears arranged in the rail frame to front and rear the entire gears. It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opening state of the louver according to the movement state of the gear bundles by moving.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 프레임내에 배열된 기어 뭉치들은 거리 이격자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반개방 및 폐쇄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레일 프레임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gear bundles arranged in the rail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distance spacer to be arranged in the rail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at half-opening and closing.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 이격자는 양 끝단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꺽여 상측으로 꺽인 자기 걸림구와 하측으로 꺽인 상대 걸림구로 구성되며, 전체 기어 뭉치들은 기어 뭉치간의 관계에서 일 기어 뭉치에 자기 걸림구가 걸리고 타 기어 뭉치에 상대 걸림구가 걸리는 구조를 서로 가져, 선두에 마련된 견인 기어 뭉치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는 궤도 벨트의 루버 폐쇄 또는 반개방을 위한 견인시에도 상기 거리 이격자에 의해 타 기어 뭉치들이 함께 줄지어 견인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레일 프레임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distance spacer is composed of a self-locking latch with both ends bent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 relative catching portion bent in the lower side, the entire gear bundle is a magnetic latch is caught in one gear bund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ar bundles; The other gear bundle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elative catches are caught so that the other gear bundles are lined up together by the distance spacers in the case of towing for the louver closing or half-opening of the track belt which is made only at the front of the towing gear bund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arranged in the rail frame.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체 기어 뭉치들은 기어 뭉치간의 관계에서 일 기어 뭉치에 자기 걸림구가 걸리고 타 기어 뭉치에 상대 걸림구가 걸리는 구조를 서로 가 져, 선두에 마련된 견인 기어 뭉치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는 궤도 벨트의 루버 완전개방을 위한 견인시 상기 거리 이격자의 상대 걸림구가 해제되어 타 기어 뭉치들이 선두의 견인 기어 뭉치에 의해 밀려 밀집되어 레일 프레임내 일측에 밀집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entire gear bundles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agnetic latch is caught in one gear bundle and a relative latch is caught in the other gear bund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ar bundles, so that only the traction gear bundle provided at the top of the track belt When the tow for the louver to fully open the relative stopper of the distance spacer is released so that the other gear bunches are crowded by the leading traction gear bunch is arranged on one side in the rail fram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기 궤도 벨트의 상측 궤도가 수용되는 벨트 수용함; 상기 궤도 벨트의 하측 궤도와 상기 기어뭉치와 상기 회전봉이 수용되어 해당 기어뭉치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기어뭉치 수용함; 및 상기 기어뭉치 수용함에서 슬랫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레일 프레임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기어뭉치의 돌출된 슬랫 연결구가 레일 프레임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슬랫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개방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rail frame includes a belt receiving the upper track of the track belt; The lower track of the track belt and the gear bundle and the rotating rod is accommodated to accommodate the gear bundle to move the gear bundle sliding; And an opening guide formed to open to the slat side from the gear bundle receiving box so that the protruding slat connector of the gear bund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frame is connected to the slat while protruding out of the rail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기 기어뭉치 수용함의 하측에 빈 공간으로 구획되어 기어뭉치의 이동에 따른 소음의 실내 전달을 감소시키는 간격 유지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rail frame is partitioned into an empty space at the lower side of the gear bundle holder to maintain the interval to reduce the indoor transmission of the noise due to the movement of the gear bund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고안은, 루버를 구성하는 슬랫들이 360°회전할 수 있어서 조사되는 빛의 각도 조절은 물론 슬랫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루버를 구성하는 슬랫들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밀집될 수 있어서 슬랫 개방이 아닌 루버의 완전 개방까지도 가능하게 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 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ts constituting the louver can be rotated 360 °, as well as adjusting the angle of the irradiated light, as well as the slab cleaning can be made easily and also the slats constituting the louver can be concentrated to move to one side slats Although the traction louver system that enables the full opening of the louver, rather than opening,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is, of course, it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체 견인식 루버 시스템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체 견인식 루버 시스템의 반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체 견인식 루버 시스템의 완전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entire traction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half-open state of the entire traction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 full traction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fully open state of a.

도 3을 참조하면, 해당 견인식 루버 시스템은 양측으로 구성된 레일 프레임(10)과, 해당 레일 프레임(10)의 내부에서 해당 레일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기어뭉치(20)와, 해당 기어뭉치(20)와 연결되어 해당 기어뭉치(20)의 위치이동에 따라 직선 이동하고 해당 기어뭉치(20)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슬랫(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3, the traction louver system includes a rail frame 10 having two sides, and a plurality of gear bundles 20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frame 10 in the rail frame 10. And a plurality of slats 60 connected to the gear bundle 20 and linearly mov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gear bundle 20 and rotating by the gear bundle 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견인식 루버 시스템은 양측에 마련된 레일 프레임(10)의 내부에 다수의 기어뭉치(20)가 내장되며, 해당 기어뭉치(20)가 레일 프레임(10)의 내부 통로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pulley louver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gear bundles 20 embedded in rail frames 10 provided at both sides, and the gear bundles 20 are internal passages of the rail frame 10. Along the straight line.

또한, 이러한 각각의 기어뭉치(20)에는 슬랫(60)의 끝단이 연결되게 되어 해당 기어뭉치(20)의 회전력 제공에 따라 해당 슬랫(60)은 자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슬랫(60)들이 전체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해당 루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개방 상태를 이루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상태로 자유롭게 변환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slat 6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gear bundles 20 so that the slat 60 itself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ear bundle 20. Accordingly, as the slats 60 rotate as a whole, the louvers may be freely converted into a closed state as shown in FIG. 4 or as shown in FIG. 3.

또한, 이러한 슬랫(60)은 열린 개방 상태에서 해당 기어뭉치(2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상응하게 제한된 구역(레일 프레임 구간)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슬랫(60)들이 전체적으로 레일 프레임(10)의 일측에 모이게 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루버는 완전개방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uch a slat 60 is moved in a limited area (rail fram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gear bundle 20 in the open state. Therefore, as the slats 60 are gathered on one side of the rail frame 10 as a whole, as shown in FIG. 5, the louvers can achieve a completely open state.

이제 이러한 루버의 반개방(도 4 참조), 폐쇄(도 3 참조) 및 완전개방(도 5 참조)이 가능하게 되는 본 고안의 견인식 루버 시스템을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The pulled louv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now possible to open such a louver (see FIG. 4), close (see FIG. 3) and fully open (see FIG. 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체 견인식 루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towing louve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레일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기어뭉치(20)와, 상기 기어뭉치(20) 중 견인 기어뭉치(20b)를 이송시키기 위한 궤도벨트(30)와, 상기 기어뭉치(20)들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견인 기어뭉치(20b)에 따라 피견인 기어뭉치(20a)가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거리 이격자(40)와, 해당 각각의 기어뭉치(20)에 회전력을 인가해 해당 기어뭉치(20)가 슬랫(60)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봉(50)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6, the inside of the rail frame 10 includes a plurality of gear bundles 20 arranged in a row, and a track belt for conveying a traction gear bundle 20b among the gear bundles 20. 30 and the plurality of distance spacers 40 so that the gear bundles 20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or allow the to-be-contained gear bundles 20a to be towed along the traction gear bundle 20b; The rotary rod 50 is provided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respective gear bunch 20 to rotate the slat 60 to the gear bunch 20.

우선, 상기 기어뭉치(2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21)의 상하측에 각각 해당 기어뭉치(20)의 레일 프레임(10)내 이송을 위한 롤러(22)가 구비된다. First, the gear bundle 20 is provided with a roller 22 for conveying in the rail frame 10 of the gear bundle 20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21 formed integrally as shown in Figure 8a do.

여기에서 기어뭉치(20)는, 상기 궤도벨트(30)의 일부가 내부에서 맞물려 체결됨으로써 해당 궤도벨트의 궤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견인 기아뭉치(20b)와, 상기 궤도벨트(30)가 관통되어 지나가게 되어 해당 궤도벨트(30)의 궤도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견인 기아뭉치(20b)의 직선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견인됨으로써 직선운동을 하는 피견인 기아뭉치(20a)로 구분된다. Here, the gear bundle 20 is a traction gear bundle (20b) and the track belt (30) which is a linear movement according to the track motion of the track belt by engaging a portion of the track belt (30) is engaged therein. Is passed through and is separated by the dog hungry (20a) is a linear movement by being pull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traction hunger (20b)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orbital movement of the track belt (30). .

즉, 레일 프레임(10)내에서 궤도운동을 하는 궤도벨트(30)와 직접 맞물려 해당 궤도벨트(30)의 궤도운동에 따라 이동되는 것은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견인 기아뭉치(20b) 뿐이고, 나머지 피견인 기아뭉치(20a)는 해당 궤도벨트(30)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해당 견인 기아뭉치(20a)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직선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only the traction gear bundles 20b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rail frame 10 are directly engaged with the track belt 30 that tracks the track and move according to the track motion of the track belt 30. Phosphorus hungry (20a) is not affected by the track belt (30) is affected by the movement of the traction hunger (20a) will be a linear movement.

따라서, 해당 피견인 기어뭉치(20a)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21)에서 해당 기어뭉치(20a)의 이동방향으로 해당 몸체(21)를 완전히 관통하는 벨트 통과홀(24)이 상측에 구비되지만, 이러한 벨트 통과홀(24)은 단지 해당 궤도벨트(30)의 가이드 역할만을 할 뿐, 해당 궤도벨트(30)와의 어떠한 결합관계도 가지지 않게 된다. Accordingly, the to-be-constructed gear bundle 20a has a belt passage hole 24 that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body 21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ear bundle 20a in the body 21 as shown in FIG. 8A. Although provided on the upper side, such a belt passage hole 24 merely serves as a guide of the track belt 30, and does not have any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track belt 30.

반면, 상기 견인 기어뭉치(20b)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궤도벨트(30)가 해당 몸체(21)내에 삽입된 채로 벨트 고정구(25)에 의해 맞물림 결합되어, 해당 궤도벨트(30)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연동하여 해당 견인 기어뭉치(20b)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견인 기어뭉치(20b)는 해당 궤도벨트(30)와 완전한 체결을 이루어 그 움직임을 같이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raction gear bundle 20b is engaged by the belt fastener 25 while the track belt 30 is inserted into the body 21, as shown in Figure 8b, the track belt 30 The traction gear bundle 20b moves in the same direction by interlocking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Therefore, the traction gear bundle (20b) is made to complete the fastening with the track belt (30) to the same movement.

여기에서 각각의 기어뭉치(20)들은 서로 거리 이격자(40)로 연결되게 되는데, 양 끝단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꺽인 이러한 거리 이격자(40)는 상측으로 꺽인 끝단이 하나의 기어뭉치(20)에서 상측에 마련된 이격자 삽입봉(23)에 삽입되게 된다. Here, each of the gear bundle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distance spacer 40, these distance spacers 40, both ends of which ar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one end of the gear bundle 20 is bent upwards. Is inserted into the spacer insertion bar 23 provided on the upper side.

도 10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거리 이격자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10 is a side view of the distance spac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판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이러한 거리 이격자(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은 상측으로 꺽여 있어 자기 걸림구(41)를 형성하며 자신이 담당하는 기어뭉치(20)의 상측에서 몸체(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이격자 삽입봉(23)에 그 자기 걸림구(41)가 상기 이격 공간을 이용해 안으로 삽입되게 된다. This distance spacer 40 is formed in a long plate shape, as shown in Figure 10, one end is bent upwards to form a magnetic latch (41) and the body on the upper side of the gear bundle 20 in charge The magnetic engaging opening 41 is inserted into the spacer 21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distance 21 by the magnetic insertion hole 41.

또한, 타측 끝단은 하측으로 꺽여 있어 상대 걸림구(42)를 형성하며 바로 옆의 기어뭉치(20)에 설치된 이격자 삽입봉(23)에 걸쳐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is bent to the lower side to form a relative locking port 42 is to span the spacer insertion rod 23 installed in the next gear bundle 20.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견인 기어뭉치(20b)가 상기 궤도벨트(30)의 궤도 운동에 따라 이동하게 되면, 해당 견인 기어뭉치(20b)의 이격자 삽입봉(23)에 자기 걸림구(41)가 걸린 거리 이격자(40)가 그 좌측의 피견인 기어뭉치(20a)에 걸쳐진 상대 걸림구(42)를 통해 해당 피견인 기어뭉치(20a)를 견인하여 견인 기어뭉치(20b)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initial traction gear bundle 20b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orbital motion of the track belt 30, the traction gear bundle 20b of the traction gear bundle 20b is magnetized to the spacer 23. The distance spacer 40 in which the locking hole 41 is caught pulls the corresponding gear block 20a through the relative locking hole 42 spanning the gear block 20a on the left side of the tow gear block 20b. ) Will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그리고 이러한 거리 이격자(40)를 통한 기어뭉치(20)간 견인 작용은 다른 기어뭉치(20)들에도 각각의 거리 이격자(40)를 통해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하여, 결과적으로 견인 기어뭉치(20b)만이 직접적으로 이동하더라도 타 피견인 기어뭉치(20a)들이 연쇄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nd the traction action between the gear bundles 20 through the distance spacer 40 is caused to occur in series through each distance spacer 40 in the other gear bundles 20, as a result of the traction gear bundle 20b Even if only) moves directly, the other dog gear bundles (20a) ar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chain.

따라서, 레일 프레임(10)에서 일측에 모든 기어뭉치(20)들이 몰린 상황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루버의 완전개방 상황에서, 이러한 거리 이격자(40)의 전체적인 길이에 의해 각각의 기어뭉치(20)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해당 레일 프레임(10)에서 이동하여 제위치에 자리하게 된다. Therefore, in a situation in which all the gear bundles 20 are driven on one side of the rail frame 10, that is, in a fully open state of the louver as shown in FIG. 4, the respective gear bundles are defined by the overall length of the distance spacer 40. 20 are moved in the rail frame 10 while maintaining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ther will be in place.

반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뭉치(20)들이 거리 이격자(40)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한 상황에서, 루버의 완전 개방을 위해 상기 궤도벨트(30)가 역방향으로 궤도운동을 하여 해당 견인 기어뭉치(20b)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견인 기어뭉치(20b)에 자기 걸림구(41)가 걸려있고 피견인 기어뭉치(20a)에 상대 걸림구(42)가 상측에서 걸려있던 거리 이격자(40)는 해당 피견인 기어뭉치(20a)측의 이격자 삽입봉(23)의 상측에 걸려있던 상대 걸림구(42)가 자연스럽게 걸림해제되게 된다. On the contrary, in the situation where the gear bundles 20 are spaced apart by the distance spacer 40 as shown in FIG. 11, the track belt 30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for the full opening of the louver. When the traction gear bundle 20b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traction gear bundle 20b is caught by the magnetic catches 41 and the target gear catches 20a are caught by the relative catches 42 from above. The distance spacers 40 were naturally released from the mating latch 42 that was caught on the upper side of the spacer insertion rod 23 on the gear bunch 20a side.

따라서, 해당 견인 기어뭉치(20b)의 역방향 주행에 따라 피견인 기어뭉치(20a)는 해당 견인 기어뭉치(20)를 몸체로 밀게 된다. Therefore, the gear bunch 20a which is the dog according to the reverse travel of the traction gear bunch 20b pushes the traction gear bunch 20 to the body.

그리고 이러한 기어뭉치(20)간 거리 이격자(40)의 상대 걸림구(42)의 걸림해제 작용 및 기어뭉치(20)간에 몸체가 접촉한 상태에서 밀림 작용은 다른 기어뭉치(20)들에도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견인 기어뭉치(20b)만이 직접적으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이격자(40)의 상대 걸림구(42)가 해제된 상태에서 타 피견인 기어뭉치(20a)들이 연쇄적으로 동일한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nd the release action of the relative engaging port 42 of the distance spacer 40 between the gear bundle 20 and the push a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gear bundle 20 is also connected to the other gear bundle 20 As a result, even if only the traction gear bundle 20b moves directly in the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the other dog gear in the state in which the relative catches 42 of the distance spacers 40 are released. The 20a move in the same reverse direction in the chain.

따라서, 이 경우 모든 기어뭉치(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프레임(10)의 일측에 몰려 군집하게 되어 루버의 완전 개방을 이루게 된다. Therefore, in this case, all the gear bundles 20 are clustered at one side of the rail frame 10 as shown in FIG. 7 to achieve full opening of the louver.

여기에서, 상술한 궤도벨트(30)는 해당 레일 프레임(10) 내에서 길다란 타원형 궤도를 이루도록 구비되고 그 양끝단에는 각각 구동 기어(31)와 종동 기어(32)가 구비되어 궤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 기어(31)는 정/역회전 이 모두 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지는 벨트회전 부재(17)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이 이루어지고 그 회전 속도 역시 결정되게 되며, 이러한 벨트회전 부재(17)는 외부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Here, the above-described track belt 30 is provided to form a long elliptical track in the rail frame 10 and both ends thereof are provided with a drive gear 31 and a driven gear 32 to enable orbital movement. do. In addition, the driving gear 31 has a forward rotation and a reverse rotation by the belt rotation member 17 made of a motor capable of bo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rotation speed thereof is also determined, and the belt rotation member 17 is It will be controlled by an external administrator.

한편, 상술한 기어뭉치(20)에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21)에서 해당 기어뭉치(20a)의 이동방향으로 해당 몸체(21)를 완전히 관통하는 회전봉 삽입홀(27)이 하측에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gear bundle 20, as shown in Figure 8a and 8b the rotating rod insertion hole 27 completely penetrating the body 21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ear bundle 20a in the body 21 )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이러한 회전봉 삽입홀(27)은 육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회전봉(50)이 삽입 가능하도록 육각형 형태로 관통된 홈으로 형성되게 되나, 본 고안이 이러한 육각형 형태의 회전봉(50) 및 회전봉 삽입홀(2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rotary rod insertion hole 27 is formed as a groove penetrated in the hexagonal shape so that the rotary rod 50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can be inserted,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a hexagonal rotary rod 50 and the rotary rod insertion hole 27 It is not limited to).

여기에서 이러한 회전봉(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회전봉(50)이 견인 또는 피견인 기어뭉치(20)에 관계없이 모든 기어뭉치(20)들을 한꺼번에 관통하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rotating rod 50 penetrates all the gear bundles 20 at one time regardless of the gear bundle 20 which is one tow or the dog.

이때, 이러한 회전봉(50)이 삽입되는 기어뭉치(20)의 회전봉 삽입홀(27)의 외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축(26)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웜축(26)에는 웜기어(28)가 맞물려 구비되어 연동하게 되며, 이러한 웜기어(28)는 몸체(21)의 외부 측면으로 돌출된 슬랫 연결구(29)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랫 연결구(29)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형의 돌출부이지만, 돌출된 길이방향을 따라 깊은 일자형 홈을 가지고 있어 해당 슬랫 연결구(29)의 회전력이 제대로 슬랫(60)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outer shape of the rotary rod insertion hole 27 of the gear bundle 20 is inserted such that the rotary rod 50 is formed as a worm shaft (26). The worm shaft 26 is interlocked with and interlocked with the worm shaft 26, and the worm gear 28 is coupled with the slat connector 29 protru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body 21. At this time, the slat connector 29 is a cylindrical protrusio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s a whole, but has a deep straight groove along the protruding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lat connector 29 is properly transmitted to the slat 60. It is composed.

따라서, 해당 회전봉 삽입홀(27)에 삽입된 회전봉(50)이 회전하게 되면, 해 당 회전력에 의해 몸체(21) 내부의 웜축(26)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웜축(26)과 웜(worm)과 웜(worm) 결합관계를 가져 두 축이 서로 직교하게 되는 웜기어(28)는 이러한 회전력을 몸체(21)의 외부 측면으로 돌출된 슬랫 연결구(29)에 전달하여 해당 슬랫 연결구(29)가 회전하도록 한다. Therefore, when the rotary rod 50 inserted into the rotary rod insertion hole 27 is rotated, the worm shaft 26 inside the body 21 is rotated by the corresponding rotating force, and the worm shaft 26 and the worm The worm gear 28 having a worm coupling relationship with two ax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slat connector 29 protru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body 21 so that the slat connector 29 rotates. Do it.

여기에서 해당 슬랫 연결구(29)에는 루버를 이루는 슬랫(60)의 일측이 결합되게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러한 슬랫(60)이 회전하게 되어 해당 루버의 반개방 또는 완전 개방을 이루는 슬랫(60)의 회전(자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Here, the one side of the slat 60 forming the louver is coupled to the slat connector 29, and as a result, the slat 60 is rotated, resulting in a half-opening or full opening of the louver 60 Rotation (rotation) becomes possible.

즉, 레일 프레임(10)내에 길게 자리잡은 회전봉(50)의 회전력은 모든 기어뭉치(20)들에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모든 슬랫(60)들이 동일한 속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rod 50, which is long in the rail frame 10, is transmitted to all the gear bundles 20 so that all the slats 60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nd at the same speed.

이때, 이러한 회전봉(50)은 회전 및 역회전이 자유로우며 그 회전속도 역시 제어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rotating rod 50 is free to rotate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is also controllable.

여기에서 이러한 회전봉(50)은 정/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지는 봉회전 부재(16)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이 이루어지고 그 회전 속도 역시 결정되게 되며, 이러한 봉회전 부재(16)는 외부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봉(50)의 회전은 정/역회전 모두 360°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하는 슬랫(60)의 회전(자전) 역시 정/역회전 모두 360°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Here, the rotating rod 50 is made by the rod rotating member 16 made of a motor capable of bo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s made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is also determined, such a rod rotation member 16 It will be controlled by an external administrator.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od 50 is possible to rotate 360 ° both forward / reverse rotation, accordingly, the rotation (rotation) of the rotating slat 60 is also possible to rotate 360 ° both forward / reverse rotation.

이제 도 13을 통해 이러한 레일 프레임(10)에 대한 궤도 벨트(30), 기어뭉치(20), 거리 이격자(40) 및 회전봉(50)의 삽입 상태를 살펴본다. Now looks at the insertion state of the track belt 30, the gear bundle 20, the distance spacer 40 and the rotary bar 50 for this rail frame 10 through FIG.

물론, 도 4만을 참조하더라도 충분히 본 고안에서 레일 프레임(10)에 대한 궤도 벨트(30), 기어뭉치(20), 거리 이격자(40) 및 회전봉(50)의 삽입 상태를 알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even referring only to Figure 4 will be enough to know the insertion state of the track belt 30, the gear bundle 20, the distance spacer 40 and the rotary bar 50 to the rail frame 1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레일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il fram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고안의 레일 프레임(10)은 해당 도 13의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에 구비되는 벨트 수용함(11), 중앙에 구비되는 기어뭉치 수용함(12), 하측에 구비되는 간격 유지함(14) 그리고 기어뭉치 수용함(12)의 측면에 구비되는 개방 가이드(13)로 구성된다.Rail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3, the belt receiving box 11 provided on the upper side, the gear bundle receiving box 12 provided in the center, the space keeping provided at the lower side (14) And it is composed of an opening guide 13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ear bundle receiving box (12).

상기 벨트 수용함(11)은 해당 레일 프레임(10)내에서 궤도를 이루는 궤도 벨트(30)의 상측이 자리잡게 되는 공간으로 구획된다. 여기에서 궤도 벨트(30)의 하측은 이미 기어 뭉치(20)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뭉치 수용함(12)에 내장되는 각각의 기어 뭉치(20)의 벨트 통과홀(24)(피견인 기어뭉치) 및 벨트 고정구(25)(견인 기어뭉치)에 자유관통 및 고정체결되어 자리잡게 된다.The belt holder 11 is divided into a space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track belt 30 forming the track in the rail frame 10 is located. Here, the lower side of the raceway belt 30 is a belt passage hole 24 (dog) of each gear bundle 20 built in the gear bundle holder 12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gear bundle 20 already. Free gear) and belt fastener 25 (towing gear bundle) to be freely penetrated and fixed.

상기 기어뭉치 수용함(12)은 해당 기어 뭉치(20)들이 내장되는 공간으로 구획되어, 해당 기어 뭉치(20)의 상하측 롤러(22)가 상하측면에 접하여 구르도록 구획된다. 그리고 해당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봉(50)은 해당 기어 뭉치(20)의 회전봉 삽입홀(27)에 삽입되게 된다. The gear bundle receiving box 12 is partitioned into a space in which the gear bundles 20 are embedd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rollers 22 of the gear bundle 20 are in contact with and rolled up and down. 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rotary bar 50 is inserted into the rotary rod insertion hole 27 of the gear bundle 20.

이러한 기어뭉치 수용함(12)의 일측면 다시말해 슬랫(60)이 위치되는 일측면으로는 상기 개방 가이드(13)가 레일 프레임(10)의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게 형성되어 내장된 기어 뭉치(20)들의 돌출된 슬랫 연결구(29)들이 슬랫(60)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One side of the gear bundle receiving box 12, that is, one side where the slat 60 is located, the opening guide 13 is formed to open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frame 10 is built-in gear bundle Protruding slat connectors 29 of the 20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lats 60.

그리고 상기 간격 유지함(14)은 상기 기어뭉치 수용함(12)의 하측에 빈 공간으로 구획되어, 해당 기어뭉치 수용함(12)에서 롤러(22)에 의해 이동되는 기어 뭉치(20)의 롤러 소음이 실내에 전달되는 것을 막게 된다. And the space holder 14 is divided into the empty space on the lower side of the gear bundle receiving box 12, the roller noise of the gear bundle 20 is moved by the roller 22 in the gear bundle receiving box 12 This will prevent it from being delivered to the room.

이제, 상술한 기어 뭉치(20)에 연결되어 회전(자전)하고 이동하는 슬랫(6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Now,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lat 60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gear bundle 20 to rotate (rotate) and m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7.

도 1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슬랫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슬랫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슬랫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고안이 적용된 슬랫의 방수 강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4 is a plan view showing a sla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la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etached state of the sla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17 is a sla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waterproof reinforced state of the.

본 고안이 적용된 슬랫(6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고 길죽한 판형으로 이루어져 그 길이방향의 중심에 위치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몸체가 회전하게 되며, 그 몸체의 회전각에 따라 외부 채광이나 외부 공기의 유입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slat 6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a wide elongated plate shape as shown in FIG. 14 so that the body rotates about an ax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body, external light or external ai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flow of the.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5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는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 부재(61)와 이러한 중심 부재(6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연결되는 좌우 날개 부재(64)로 이루어진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5, the center member 61 is located in the center constituting the body and the left and right wing members 64 are selectively coupled and connected to both sides around the center member 61, respectively. )

상기 중심 부재(61)에는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그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기어 뭉치(20)의 돌출된 슬랫 연결구(29)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구(62)가 중심부위에 구비된다. The center member 61 is formed of a rectangular frame, and the inside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62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slat connector 29 of the gear bundle 20 is coupled to the center.

이러한 중심 부재(61)의 삽입구(62)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의 오목부로 형성 되지만, 오목하게 들어간 홈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일자형 돌기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돌출된 슬랫 연결구(29)가 삽입될 때 해당 슬랫 연결구(29)의 돌출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깊은 일자형 홈에 해당 삽입구(62)의 일자형 돌기가 체결되어 해당 슬랫 연결구(29)의 회전력이 제대로 슬랫(60)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The insertion hole 62 of the center member 61 is formed as a cylindrical recess as a whole, but has a straight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recessed groove so that the protruding slat connector 29 is inserted. The straight protrusion of the insertion hole 62 is fastened to the deep straight groove formed along the protruding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t connector 29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lat connector 29 is properly transmitted to the slat 60.

즉, 상기 중심 부재(61)의 삽입구(62)는 상기 기어뭉치(20)의 돌출된 슬랫 연결구(29)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지만, 해당 슬랫 연결구(29)가 그 돌출된 길이방향을 따라 깊은 일자형의 홈이 형성되는 것에 상응하게 해당 삽입구(62)에는 그 함몰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일자형 돌기가 구비되어 있어, 해당 슬랫 연결구(29)가 삽입구(62)에 삽입되는 동시에 이러한 슬랫 연결구(29)의 일자형 홈에 상기 삽입구(62)의 일자형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해당 슬랫 연결구(29)의 회전력이 확실하게 해당 삽입구(62)에 전달되어 해당 슬랫(60)이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lthough the insertion hole 62 of the center member 61 is formed as a concave groove into which the protruding slat connector 29 of the gear bundle 20 can be inserted, the slat connector 29 is protruded in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of a deep straight groove along the direction, the insertion hole 62 is provided with a straight projection projecting along the recessed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rresponding slat connector 29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62. As the linear projection of the insertion hole 62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traight groove of the slat connector 29,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lat connector 29 is reliably transmitted to the insertion hole 62, so that the slat 60 is provided. It will be able to rotate.

이때, 이러한 슬랫(60)의 길이방향 양끝단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구(29)는 서로 튼튼한 축으로 연결되어 그 회전력이 슬랫(60)에 잘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nsertion port 29 formed to correspond to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t 60 is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urdy shaft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slat 60 well.

그리고 상기 중심 부재(61)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4개의 끝단은 좌우 날개 부재(61)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 연결구(63)로서, 상기 날개 부재(64)가 착탈될 수 있는 주름부가 해당 슬랫(60)의 전체적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four end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enter member 61 in a predetermined length are extension connectors 63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wing members 61, and a wrinkle portion to which the wing member 64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 large number is formed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t 60.

마찬가지로, 상기 중심 부재(61)의 대칭하는 좌우 양단에 자유롭게 착탈 가 능한 날개 부재(64)에도 역시 전체적인 길이방향을 따라 주름부가 형성된 중심 연결구(65)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중심 부재(61)의 연장 연결구(63)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Likewise, the wing member 64, which is freely detachable at both symmetrical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er member 61, is also provided with a central connector 65 in which wrinkles are formed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combined with the extension connector (63).

즉, 상기 중심 부재(61)의 수평방향에 좌우로 형성된 연장 연결구(63)와 상기 날개 부재(64)의 연장 연결구(63)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주름부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extension connector 63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enter member 61 and the extension connector 63 of the wing member 64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pleat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ll be.

결과적으로, 이러한 슬랫(60)은 중앙의 중심 부재(61)와 그 좌우에 결합된 날개 부재(64)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중심 부재(61)와 좌우의 날개 부재(64)는 서로 자유롭게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설치고정된 상태의 중심 부재(61)에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날개 부재(64)를 쉽게 교체시킬 수 있게 되어 실용성과 심미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날개 부재(64)의 교체작업은 해당 슬랫(60)의 중심 부재(61)가 360°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서도 간단히 작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날개 부재(64)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공간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As a result, the slat 60 is composed of a center member 61 in the center and a wing member 64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the center member 61 and the wing members 64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reely detached from each other. This becomes possib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wing member 64 of various forms as shown in 18a to 18c in the center member 61 in the installation fixed state as described above can increase the practicality and aesthetics. Of course, the work of replacing the wing member 64 can be simply operated by the user because the center member 61 of the slat 60 can be rotated 360 °. In addition, the wing member 64 may be made of a plastic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the like to enable various spaces.

한편, 이러한 슬랫(60)은 실제 사용시 단순히 통풍이나 채광의 조절뿐만 아니라 지붕으로서의 역할도 겸해야 하므로, 본 고안의 슬랫(60)에서 좌우 날개 부재(64)에는 그 끝단에 오목한 빈 공간으로 형성된 끼움구(66)가 형성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lat 60 should also serve as a roof as well as simply control the ventilation or light in actual use, the left and right wing member 64 in the slat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o a concave empty space at its ends The sphere 66 is formed.

이러한 끼움구(66)는 해당 슬랫(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빈 공간으로 형성되게 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끼움구(66)에는 고무 재질의 방 수 부재(67)가 삽입되게 된다. The fitting hole 66 is formed as a concave empty 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t 60, as shown in Figure 17, the waterproof member 67 of the rubber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66 Will be.

이러한 방수 부재(67)는 해당 슬랫(60)의 폐쇄 상태, 즉 모든 슬랫(60)들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평평한 평탄면을 이루는 폐쇄 상태에서 슬랫(60)들 간의 방수 부재(67)가 외부와 내부간의 방수/방습 상태를 만들어 단순한 통풍이나 채광의 폐쇄 상태가 아닌 방수/방습 그리고 소음의 차단까지도 가능한 완전폐쇄 상태를 만들어 주게 된다. The waterproof member 67 is a closed state of the slat 60, that is, the waterproof member 67 between the slats 60 in the closed state to form a flat flat surface in a state in which all the slats 60 are spaced a predetermined interval outside By creating a waterproof / moisture-proof state between the inside and the inside, it creates a completely closed state that can be waterproof / moisture-proof and noise-blocking, rather than a simple ventilation or light closure.

한편, 다수의 슬랫들로 이루어진 루버가 슬랫들의 회전각에 따라 반개방되거나 폐쇄되고, 또한 슬랫의 이동에 따라 완전개방되고, 또한 슬랫에 대한 방수 부재 장착으로 완전 폐쇄를 이룸은 물론, 날개 부재를 제외한 중심 부재만으로 루버를 구성해 새로운 방식의 인테리어가 가능하게 되며, 해당 날개 부재가 제외된 상태에서 가벼운 중심부재만을 계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외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다각도로 내부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이용한 새로운 내부 인테리어와 이를 통한 내부 구성물에 대한 집중 효과를 줄 수도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 louver made of a plurality of slats is half-opened or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of the slats, and also fully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ats, and also the closure of the wing member as well as the closure of the waterproof member on the slats. The new interior is made possible by constructing the louver with only the center member excluded, and by continuously rotating only the light central material with the wing member removed, the new interior interior used by allowing the light from outside to enter the interior at various angles. And it can also give a concentrated effect on the internal componen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ttached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견인식 루버 시스템은, 루버를 구성하는 개별 슬랫들이 각자 360°회전(자전)할 수 있어서 조사되는 빛의 각도 조절과 채광의 조절은 물론, 슬랫의 양면을 닦기 위하여 실내 또는 실외를 번갈아 오가며 청소를 할 필요가 없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슬랫의 특성을 이용하여 한 장소에서도 슬랫의 양면을 모두 청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ow louver system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vidual slats constituting the louver can be rotated 360 ° (rotating), respectively, as well as adjusting the angle of light and light control, as well as wiping both sides of the slat In order to clean the both sides of the slat in one plac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ats to rotate freely without having to alternate between indoor or outdoor to clean.

또한, 루버를 구성하는 슬랫들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그 회전각에 따라 폐쇄 상태와 반개방 상태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 모든 슬랫들이 개방된 채 서로 밀집대형을 이룬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하여 밀집될 수 있어서 슬랫 의 회전각에 의한 반개방 상태가 아닌 루버의 완전 개방까지도 가능하게 되어 슬랫으로 인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완전한 채광과 통풍이 가능하며 슬랫으로 인해 구획되는 공간의 개념이 달라지고 그 활용이 폭넓어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slats constituting the louver may rotate in a stat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achieve a closed state and a half-open s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as well as to move to one side in a state in which all the slats are close to each other in an open state. It is possible to be compact, so that the louver can be fully opened instead of the half-opened state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slat, so that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light and ventilate without the shadow caused by the slat. There is also the effect of widening the application.

또한, 루버를 구성하는 슬랫들에 방수 부재를 부설함으로써 해당 슬랫들의 폐쇄상태에서 루버에 의해 구획되는 외부와 내부를 완전한 방수/방습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지붕으로서도 훌륭하게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의 소음 역시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waterproof member on the slats constituting the louver,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lock the outside and the interior partitioned by the louver in the closed state of the slats with a perfect waterproof / moisture-proof, it can perform its function as a roof and the outside noise It also has the effect of being completely blocked.

Claims (9)

좌우 측면으로 삽입구를 가지며, 좌우 길이방향으로 따라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랫;A plurality of slats having insertion holes in left and right sides and formed into flat surfaces alon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상기 슬랫의 좌우 측면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슬랫 연결구를 통해 해당 슬랫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동시에 해당 슬랫 연결구와 연결된 슬랫의 삽입구를 중심으로 해당 슬랫을 회전시키는 다수의 기어 뭉치;A plurality of gear bundles for supporting the slat from the side through a slat connecto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s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at and rotating the slat about the insertion hole of the slat connected to the slat connector; 상기 다수의 기어 뭉치들을 내장시켜 일렬로 배열시키며, 해당 기어 뭉치들의 일렬 슬라이딩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레일 프레임; 및 A rail frame having the plurality of gear bundles embedded therein and arranged in a row, the rail frame providing a linear sliding movement space of the gear bundles; And 상기 레일 프레임내의 기어 뭉치들의 슬랫 연결구를 회전시켜서 해당 슬랫 연결구와 결합된 상기 슬랫들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봉회전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 A rod rotation member for rotating the slat connectors of the gear bundles in the rail frame to rotate the slats coupled with the slat connectors in the forward / reverse direction; Tow louver system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봉회전 부재가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부를 설치되는 회전봉을 회전시키고, 해당 회전봉은 레일 프레임내에 배열된 기어 뭉치들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하며 해당 회전봉의 회전력에 의해 기어 뭉치의 슬랫 연결구가 해당 회전봉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 The rod rotating member rotates the rotating rod installed inside the rail frame, and the rotating rod rotates while passing through the gear bundles arranged in the rail frame, and the slat connector of the gear bundle is rotated by the rotating force of the rotating rod. Traction louv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일 프레임내의 기어 뭉치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견인하여, 해당 기어뭉치들을 레일 프레임내 일측으로 밀집시키는 해당 루버의 완전개방 상태나 해당 기어뭉치들을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레일 프레임에 배열시켜 해당 루버의 반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벨트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By pulling the gear bundles in the rail frame in the same direction, the gears are fully opened to one side in the rail frame or the gear bundles are arranged on the rail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half of the louver And a belt rotation member for enabling an open or closed state.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벨트회전 부재는 해당 레일 프레임내에서 궤도운동하는 궤도벨트를 회전시키고, The belt rotating member rotates the track belt orbiting in the rail frame, 해당 궤도벨트는 레일 프레임내에 배열된 기어 뭉치들 중 선두의 견인 기어뭉치만을 견인하여 전체 기어 뭉치들을 전후 이동시켜서 기어 뭉치들의 이동상태에 따라 루버의 개방 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 The track belt is a tow louv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ull the front traction gear only of the gears arranged in the rail frame to move the entire gears back and forth to adjust the open state of the louver according to the movement state of the gears.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레일 프레임내에 배열된 기어 뭉치들은 거리 이격자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반개방 및 폐쇄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레일 프레임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 And the gear bundles arranged in the rail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distance spacer so that the gear bundles are arranged in the rail fram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t half-opening and closing.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거리 이격자는 양 끝단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꺽여 상측으로 꺽인 자기 걸림구와 하측으로 꺽인 상대 걸림구로 구성되며, The distance spacer is composed of a self-locking opening b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oth ends of the distance spacer, and a relative locking opening bent in the lower side, 전체 기어 뭉치들은 기어 뭉치간의 관계에서 일 기어 뭉치에 자기 걸림구가 걸리고 타 기어 뭉치에 상대 걸림구가 걸리는 구조를 서로 가져, 선두에 마련된 견인 기어 뭉치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는 궤도 벨트의 루버 폐쇄 또는 반개방을 위한 견인시에도 상기 거리 이격자에 의해 타 기어 뭉치들이 함께 줄지어 견인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레일 프레임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 The whole gears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gear block has a magnetic latch and the other gear block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ear block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wing louv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gear bundles are pulled together in a line by the distance spac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the rail frame at regular intervals.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전체 기어 뭉치들은 기어 뭉치간의 관계에서 일 기어 뭉치에 자기 걸림구가 걸리고 타 기어 뭉치에 상대 걸림구가 걸리는 구조를 서로 가져, 선두에 마련된 견인 기어 뭉치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는 궤도 벨트의 루버 완전개방을 위한 견인시 상기 거리 이격자의 상대 걸림구가 해제되어 타 기어 뭉치들이 선두의 견인 기어 뭉치에 의해 밀려 밀집되어 레일 프레임내 일측에 밀집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 The entire gear bundles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gear block has a magnetic latch and the other gear block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ear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raction for the full opening of the louver of the track belt is made only for the traction gear provided at the front. When the relative latch of the distance spacer is released when the other gear bunches are pushed by the leading traction gear bunch is arranged in one side in the rail frame densely arranged. 제 2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7, 상기 레일 프레임은The rail frame is 상기 궤도 벨트의 상측 궤도가 수용되는 벨트 수용함;A belt housing for receiving an upper track of the track belt; 상기 궤도 벨트의 하측 궤도와 상기 기어뭉치와 상기 회전봉이 수용되어 해 당 기어뭉치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기어뭉치 수용함; 및 The lower track of the track belt and the gear bundle and the rotating rod is accommodated to accommodate the gear bundle to move the gear bundle sliding; And 상기 기어뭉치 수용함에서 슬랫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레일 프레임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기어뭉치의 돌출된 슬랫 연결구가 레일 프레임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슬랫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개방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 An opening guide which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slat side in the gear bundle receiving box, the protruding slat connector of the gear bund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frame is connected to the slat in a state of protruding out of the rail frame; Tow louver system comprising a.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레일 프레임은The rail frame is 상기 기어뭉치 수용함의 하측에 빈 공간으로 구획되어 기어뭉치의 이동에 따른 소음의 실내 전달을 감소시키는 간격 유지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식 루버 시스템. Traction louv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ace in the lower compartment of the gear bundle to reduce the space to reduce the transmission of the noise due to the movement of the gear bundle.
KR2020060026850U 2006-09-29 2006-09-29 Traction type louver system KR20043471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850U KR200434716Y1 (en) 2006-09-29 2006-09-29 Traction type louv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850U KR200434716Y1 (en) 2006-09-29 2006-09-29 Traction type louver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636A Division KR100918787B1 (en) 2006-09-29 2006-09-29 Traction type louv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716Y1 true KR200434716Y1 (en) 2006-12-28

Family

ID=4178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850U KR200434716Y1 (en) 2006-09-29 2006-09-29 Traction type louv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71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635B1 (en) 2010-01-15 2011-11-04 안건형 Structure of system louver
CN107143916A (en) * 2017-05-02 2017-09-0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Air guide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635B1 (en) 2010-01-15 2011-11-04 안건형 Structure of system louver
CN107143916A (en) * 2017-05-02 2017-09-0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Air guide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523B1 (en) Electric louver system
KR100956846B1 (en) Slat of traction type louver system
KR100918787B1 (en) Traction type louver system
FI70978B (en) LAMELLGARDIN
JPS6151116B2 (en)
US11629548B2 (en) Pet door apparatus
US20150376939A1 (en) Motorized Window Blind
US5819831A (en) Roller blind drive, more particularly for shade producing means
KR100956848B1 (en) Sliding gear body of traction type louver system
EP2780640B1 (en) Ventilation flap
KR200434716Y1 (en) Traction type louver system
KR200434717Y1 (en) Sliding gear body of traction type louver system
CN211201649U (en) Shutter
KR200434718Y1 (en) Slat of traction type louver system
KR100696370B1 (en) Louver
KR20110037000A (en) Rotate type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0459994Y1 (en) driving apparatus for multiple sliding door
KR101227369B1 (en) Internal blind
US6176291B1 (en) Motor-driven reversible shutter
KR101163762B1 (en) Rotate type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EP3527774B1 (en) Easy-mounting screening device and related installation method
RU217348U1 (en) SUPPLY VENTILATION VALVE
RU219305U1 (en) SUPPLY VENTILATION VALVE
KR20030062090A (en) Ruversystem operating device
RU213266U1 (en) VENTILATION DEVICE FOR WINDOW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