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622Y1 - Precast concrete panels - Google Patents
Precast concrete pane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4622Y1 KR200434622Y1 KR2020060026801U KR20060026801U KR200434622Y1 KR 200434622 Y1 KR200434622 Y1 KR 200434622Y1 KR 2020060026801 U KR2020060026801 U KR 2020060026801U KR 20060026801 U KR20060026801 U KR 20060026801U KR 200434622 Y1 KR200434622 Y1 KR 20043462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cast concrete
- beams
- slab
- concrete panel
- plate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3230 Joint stif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04B5/0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with beams placed against one another optionally with pointing-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래브의 시공시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속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panel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construction quality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slab, and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continuity.
본 고안은 판체부 하부의 둘레에 분할형 작은보가 배치되도록 하고, 판체부의 양측 코너부에는 연결철물들이 배열되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구성하여, 거치상태를 개선시키고 접합부 강성을 증대시켜 주는 동시에, 습식구조로 견고히 연결 접속되도록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이나 큰보가 압축력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면서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큰보 사이의 상부에 덮여진 토핑콘크리트가 들떠서 균열이 발생됨을 방지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간의 접합부에 균열이 발생됨을 방지하며, 조립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들의 접합부가 이완되는 일없이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split-shaped beams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plate body, and to configure the precast concrete panel so that the connecting hardware is arranged at both corners of the plate body, to improve the mounting state and increase the joint rigidity, The construction allows the construction to be firmly connected with the wet structure, prevent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 or the beam from being damaged by the compressive force, while the topping concrete covered on the upper part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panel and the beam is excited. It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joints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panel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tinuity without loosening the joints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s assembled.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슬래브, 큰보, 작은보, 토핑콘크리트 Precast Concrete Panel, Slab, Big Beam, Small Beam, Topping Concrete
Description
도1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panel
도2a는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한 상태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ab construction using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panel
도2b는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한 상태를 정단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2b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ab construction using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panel
도3은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는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4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cast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b는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정단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4b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판체부의 상부에 돌출형 철근유닛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정단면도로 나타낸 것임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precast concrete panel having a protruding rebar unit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body;
도6은 전,후측과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에 길이형의 키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concrete panel in which length-type key grooves are formed in front and rear side split beams.
도7a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종측 작은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저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7a show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precast concrete panel having a longitudinal side beams in a bottom view
도7b는 도7a의Ⅰ-Ⅰ선 확대단면도FIG. 7B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A
도8a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횡측 작은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저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8a shows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recast concrete panel having a transverse side beams in a bottom view
도8b는 도8a의Ⅱ-Ⅱ선 단면도8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8A.
도9는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한 상태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ab construction us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도9의“Ⅲ”부 확대단면도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tion “III” of Fig. 9;
도11은 도9의 Ⅳ-Ⅳ선 확대단면도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도12는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슬래브에 현장타설되는 슬래브를 연결 시공한 상태를 예시한 부분 확대단면도Figure 12 is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to be cast on-site to the slab constructed by us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P: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10: 판체부P: precast concrete panel 10: plate part
11: 와이어메시 12: 돌출형 철근유닛11: wire mesh 12: protruding rebar unit
13: 단턱부 20: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13: chin 20: split small beam of front and back
21: 키홈 30: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21: keyway 30: split small beams on both sides
31: 키홈 32: 긴장재31: keyway 32: tension material
40: 연결철물 41: 매립부40: connecting hardware 41: buried part
42: 고리부 43: 삽입용 철근42: ring 43: reinforcing bar
50: 종측 작은보 60: 횡측 작은보50: longitudinal side beam 60: lateral side beam
G: 큰보 G1: 단턱G: Big beam G 1 : step
T1: 토핑콘크리트 T2: 철근T 1 : topping concrete T 2 : rebar
본 고안은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래브의 시공시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속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ncrete panel for constructing a slab,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cast concrete panel for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and construction quality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a slab, and maintaining continuousness.
이전의 통상적인 건축물의 슬래브는 공사현장에서 직접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현장콘크리트를 큰보와 일체가 되도록 타설하는 현장타설식 슬래브공법으로 시공하거나, 공장 혹은 현장 주변의 작업장에서 준비된 형틀 내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를 해당 작업위치에 미리 설치된 큰보에 거치되도록 조립하는 조립식 슬래브공법으로 시공되어 왔다.The slab of the conventional building is constructed by the site casting type slab method that installs the formwork directly at the construction site, reinforces the steel, and then casts the concrete to be integrated with the large beam, or within the mold prepared at the factory or the work site around the site. It has been constructed by prefabricated slab method to assemble precast concrete members manufactured by placing prestresses after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and mounting them on large beams pre-installed at the corresponding work positions.
전자의 현장타설식 슬래브공법으로 슬래브를 시공하는 경우, 슬래브와 큰보가 일체가 되므로 시공품질이 우수한 장점을 갖게 되는 반면에, 공사현장에서 직접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까다롭고도 번거로운 작업으로 인하여 많은 전문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데 따른 공사기간 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the slab is constructed by the electronic cast-in-place slab method, the slab and the large beam are integrated so that the construction quality is excellent. Not only professional personnel are required, but the construction period for pouring and curing concrete at the site was excessively required.
후자의 조립식 슬래브공법으로 슬래브를 시공하는 경우,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를 미리 설치된 큰보에 거치시켜서 조립 설치하게 되므로,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게 되는 반면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 간은 물론이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와 큰보 간의 일체성이 취약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When the slab is constructed by the latter prefabricated slab method, since the precast concrete member manufactured at the factory is mounted on the pre-installed big beam, it is assembled and installed, and thus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while not only between precast concrete members.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weakness of the integrity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member and the large beams is weak.
한편, 최근에는 건축물의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철근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제작하되, 소요 두께와 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는 판체부(1a)와, 상기 판체부(1a) 하면의 폭방향 중간에 간격을 두고 하향 돌출되어 전,후단에 걸침턱(1b')이 형성된 복수개의 작은보(1b)로서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라고도 칭함)이 개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o construct a slab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ure 1, the pre-stress is made to be introduced from the reinforced concrete as a whole material, but the plate body portion (1a) is formed flat to the required thickness and area, Precast concrete panel 1 (half precast) composed of a plurality of
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은 이전의 현장타설식 슬래브공법과 조립식 슬래브공법의 장점을 절충한 슬래브공법(이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공법이라 한다)으로 슬래브(S)를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주었다.This precast concrete panel (1) is a slab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lab method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the previous cast-in-place slab method and the prefabricated slab method. I gave it.
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a 및 도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당위치에 미리 설치된 큰보(2)의 단턱(2a)에 작은보(1b)의 전,후단에 형성된 걸침턱(1b')이 걸쳐지게 거치시키면서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들이 접속되도록 조립하고, 조립된 프리캐스트 콘크리 트패널(1)들의 상부에 철근(3a)을 배근한 후 토핑콘크리트(3)를 현장타설하여 슬래브(S)를 시공하였다.That is, when the slab method us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mall beam (1b) on the step (2a) of the large beam (2) pre-install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sembled so that the neighboring precast concrete panels (1) are connected while the mounting step (1b ') formed in the mounting, and reinforce the reinforcing bar (3a) on top of the assembled precast concrete panels (1) The slab (S) was constructed by site-casting concrete (3).
이와 같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공법에 따르면, 큰보(2)에 거치시키면서 조립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들의 상부에 철근(3a)을 배근하고 토핑콘크리트(3)를 현장타설하여 슬래브(S)를 시공함으로써, 이전의 현장타설식 슬래브공법에서 까다롭고 번거로운 작업을 수반하는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시공성을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이전의 조립식 슬래브공법에서 지적된 일체성이 취약한 문제를 해결하여 주는 등의 장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slab method using a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panel, such as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3a) on the top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s (1) assembled while mounting on the large beam (2) by placing the topping concrete (3)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S) eliminates the use of formwork that is cumbersome and cumbersome in the previous cast-in-place slab method, which not only improves the constructability, but also weakens the integrity pointed out in the prefabricated slab method. There was an advantage such as to solve.
그러나,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은 두께가 얇은 판체부(1a)의 폭방향 중간에 걸침턱(1b')을 갖는 작은보(1b)를 돌출 형성한 구성을 가짐으로 인하여, 슬래브(S)의 시공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첫째는 큰보(2)의 단턱(2a)에 걸침턱(1b')을 통하여 작은보(1b)가 걸쳐져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의 거치상태가 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시공이 완료된 슬래브(S)에 중량물이 적치되어 토핑콘크리트(3)로부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에 하중이 전달되면, 도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의 중간부는 인장되면서 처지고 전,후단은 치켜 올려지면서 작은보(1b)의 전,후단이 큰보(2)에 국부적으로 커다란 압축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이나 큰보(2)가 압축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과 큰보(2) 사이의 상부에 덮여진 토핑콘크리트(3)가 들떠서 균열이 발생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First, since the
둘째는 판체부(1a)의 폭방향 중앙부에 작은보(1b)가 몰려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이 완료된 슬래브(S)에 적치된 중량물에 의한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는 경우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들이 토핑콘크리트(3)를 통하여 전달받게 되는 편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하지 못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 간의 접합부에 쉽게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since the
셋째는 큰보(2)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들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은 판체부(1a)를 맞대어 고정철편(1c) 및 코킹재(1d)를 이용해 건식구조로 접합하게 됨으로써, 조립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들의 접합부가 매우 취약하여, 시공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1)들이 이완되면서 연속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the
본 고안은 판체부 하부의 둘레에 분할형 작은보가 배치되도록 하고, 판체부의 양측 코너부에는 연결철물들이 배열되도록 구성하여, 첫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거치상태를 개선시켜서 슬래브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간의 접합부 강성을 증대시켜서 슬래브의 시공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셋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상호간을 습식구조로 견고히 연결 접속시켜서 슬래브의 연속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o that the split girder is arranged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plate part, and the connecting hardware is arranged at both corners of the plate part,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lab by improv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The state aims to provide precast concrete panels. Second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panel that significantly improves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slab by increasing the joint rigidity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panels. Thir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panel that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slab by connect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s with a wet structure.
본 고안도 전체적으로 철근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제작되며, 소요 두께와 평면적을 가지는 판체부의 하부에 1개 이상의 작은보를 갖도록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made so that the pre-stress is introduced from the reinforced concrete as a whole, and the technical concept is the same as in the configuration to have one or more small beam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body having the required thickness and planar area.
단,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은 상기 판체부(10) 하부의 둘레에 상기 작은보 절반크기의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분할형 작은보(20, 30)들을 구비하고, 상기 판체부(10) 상부의 양측 코너부에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연결철물(40)들이 노출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However, the precast concrete panel (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도면 중 미설명 부호 H는 기둥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H denotes a pillar.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본 실시예에서는 도3 내지 도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요 두께와 평면적을 갖는 판체부(10), 상기 판체부(10) 하부의 전,후단에 대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 상기 판체부(10) 하부의 좌,우단에 대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 상기 판체부(10) 상부의 양측 코너부에 노출되도록 배열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철물(40)들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3 to 4b, the
그리고, 상기 판체부(10)와,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 및, 양측의 분 할형 작은보(30)들은 그 단면형상에 상응하도록 종횡으로 직교하는 매립철근(P1)들을 배근하여 단면내에 매립되게 하되, 그 매립철근들이 피복되도록 타설 성형되는 피복콘크리트(P2)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판체부(10)는 설계 단면두께를 가지며 상,하면이 편평한 판상체로 형성하여서 된다. 이 판체부(10)는 슬래브(S)의 시공시 토핑콘크리트(T1)를 타설할 수 있는 평면적을 제공하는 동시에, 슬래브(S)의 시공후 타설된 토핑콘크리트(T1)를 떠받치게 된다.The
또, 상기 판체부(10)의 단면내에는 상기 매립철근(P1)들의 직상부에 수평하게 와이어메시(11)를 매설하여서, 상기 판체부(10) 자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cross section of the
여기에서 도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판체부(10)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1개 이상의 돌출형 철근유닛(12)을 구비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 돌출형 철근유닛(12)은 슬래브(S)의 시공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위에 배근되는 철근(T2)과 연결한 후 타설되는 토핑콘크리트(T1) 내에 매립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토핑콘크리트(T1) 간의 일체성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As shown in FIG. 5, it is apparent that one or more protruding rebar units 1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돌출형 철근유닛(12)은 상기 판체부(10)의 단면내에 하단이 매립되고 상단은 그 판체부의 상부로 경사지게 노출되어 서로 마주하는 1쌍의 굴곡철 근(121)과, 1쌍의 굴곡철근(121)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 설치되는 수평철근(122)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 unit 12 has a lower end embedd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은 각각 상기 판체부(10) 하부의 전,후단에 일체로서 내측은 상광하협의 경사면을 이루고 외측은 수직면을 이루는 돌기형으로 형성하여서 된다.The front and
그리고,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은 도4a에서와 같이, 상기 판체부(10) 전,후단에 폭방향으로 통상의 작은보 절반크기의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은 도10에서와 같이, 큰보(G)의 단턱(G1)에 걸쳐져서 그 큰보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거치되므로, 시공이 완료된 슬래브(S)에 적치되는 중량물에 의해 커다란 하중을 작용받게 되더라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중간부가 인장되면서 전,후단이 치켜 올려지는 현상을 억제하고, 큰보(G)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분산시켜 주는 기능을 발휘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큰보(G) 사이의 상부에 덮여진 토핑콘크리트(T1)가 들떠서 균열이 발생됨을 방지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이나 큰보(G)가 압축력으로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게 된다.The split beams 20 at the front and rear sides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have a width of a half of a normal beam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또,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의 외면에는 키홈(21)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다. 이 키홈(21)은 도10에서와 같이, 슬래브(S)의 시공시 큰보(G)와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 사이의 간극에 현장타설시 충전되는 토핑콘크리 트(T1)가 유입 경화되어서 전단키의 역할을 감당하게 하여 준다.In addition,
이때, 상기 키홈(21)은 도3에서와 같이,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 외면에 등간격으로 요입되는 낱개형 또는 도6에서와 같이,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요입되는 길이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은 각각 상기 판체부(10) 하부의 양측단에 일체로서 내측은 상광하협의 경사면을 이루며 외측은 수직면을 이루는 돌기형으로 형성하여서 된다.The split beams 30 on both sides are integrally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은 도4b에서와 같이, 상기 판체부(10) 하부의 양측단에 길이방향으로 통상의 작은보 절반크기의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은 도11에서와 같이, 상기 판체부(10) 최대의 폭으로 배치되므로, 시공이 완료된 슬래브(S)에 적치된 중량물에 의한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토핑콘크리트(T1)를 통하여 전달받게 되는 편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간의 접합부에 균열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divided beams 30 on both sides may protrude to have a width of a normal beam siz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또, 상기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의 외면에는 키홈(31)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다. 이 키홈(31)은 도11에서와 같이, 슬래브(S)의 시공시 이웃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의 분할형 작은보(30) 사이에 별도로 충전되는 무수축몰탈(M)이 유입 경화되어서 전단키의 역할을 감당하게 하여 준다.In addition,
이때, 상기 키홈(31)은 도3에서와 같이, 상기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 외면에 등간격으로 요입되는 낱개형 또는 도6에서와 같이, 상기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요입되는 길이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 상기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의 단면에서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에 이르기까지 상하방향의 등간격으로 긴장재(32)들을 긴장상태로 매설하여서, 상기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은 물론이고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 및 판체부(10)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연결철물(40)들은 상기 판체부(10) 상부의 양측 코너부에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 설치하여서 된다.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연결철물(40)들은 도3 및 도4b에서와 같이, 각각 상기 판체부(10)의 단면내에 수평하게 매립되는 매립부(41)와, 그 매립부로부터 상기 판체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향 절곡되는 고리부(42)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3 and 4b, the connecting
이러한 연결철물(40)들은 도11에서와 같이, 슬래브(S)의 시공시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의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이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한 후, 양측에서 겹쳐지는 고리부(42)의 중심에 삽입용 철근(43)을 관통시키고 현장타설되는 토핑콘크리트(T1) 내에 매립되도록 한 습식구조로 견고하게 연결 접속시킬 수 있어, 조립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의 접합부가 시공후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이완되는 일없이 연속성을 유지되게 하여 준다.These connecting
여기에서, 상기 연결철물(40)들과 근접한 상기 판체부(10) 상부의 양측 코너부에 길이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부(13)를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 단턱부(13)는 도11에서와 같이, 슬래브(S)의 시공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의 연결철물(40)들이 양측에서 겹쳐져서 삽입용 철근(43)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현장타설되는 토핑콘크리트(T1)내에 피복두께로 매립될 수 있게 하여 준다.Here, it is preferable to have a
또 도12에서와 같이, 현장타설되는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슬래브(100)를 어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에 타설된 토핑콘크리트(T1)에 연결하려는 경우에, 상기 슬래브(100)의 끝부분이 상기 단턱부(13에 걸쳐진 형태로서 안정적으로 연결 시공될 수 있게 하여 준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when the
도7a 및 도7b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판체부(10) 하부의 폭방향 중간에 돌출되어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과 연이어지는 종측 작은보(50)를 1개 이상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종측 작은보(50)는 상기 판체부(10)와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서, 시공이 완료된 슬래브(S)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하중감당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이점을 갖는다.7a and 7b show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in the middl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종측 작은보(50)는 통상의 작은보와 대등한 폭을 가지며 양측이 상광하협의 경사면을 이루는 돌기형으로 형성하여서 된다.The
또, 상기 종측 작은보(50)는 단면형상에 상응하도록 종횡으로 직교하는 매립철근(P1)들을 배근하여 단면내에 매립되게 하되, 그 매립철근들이 피복되도록 타설 성형되는 피복콘크리트(P2)로 형성하여서 된다.In addition, the
여기에서, 상기 종측 작은보(50)에는 그 단면에서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에 이르기까지 상하방향의 등간격마다 긴장재(51)들을 긴장상태로 매설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도8a 및 도8b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판체부(10) 하부의 폭방향으로 상기 종측 작은보(50)와 직교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과 연이어지는 횡측 작은보(60)를 1개 이상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횡측 작은보(60)는 상기 종측 작은보(50)와 함께 상기 판체부(10)와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서, 시공이 완료된 슬래브(S)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하중감당능력을 더욱 증대시켜 주는 이점을 갖는다.8A and 8B illustrate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trude to be orthogonal to the
상기 횡측 작은보(60)는 통상의 작은보와 대등한 폭을 가지며 양측이 상광하협의 경사면을 이루는 돌기형으로 형성하여서 된다.The
또, 상기 횡측 작은보(60)는 단면형상에 상응하도록 종횡으로 직교하는 매립 철근(P1)들을 배근하여 단면내에 매립되게 하되, 그 매립철근들이 피복되도록 타설 성형되는 피복콘크리트(P2)로 형성하여서 된다.In addition, the lateral side beams 60 are buried in the cross-section by reinforcing the embedded reinforcing bars (P 1 ) perpendicular to the cross-secti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the coated concrete (P 2 ) to be cast-poured to cover the buried reinforcing bars It should be formed.
이하,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슬래브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us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고안도 해당위치에 미리 설치된 큰보의 단턱에 거치시키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들을 조립하고, 조립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들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한 후 토핑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assembles the precast concrete panels while mounting on the step of the gibo pre-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on the top of the assembled precast concrete panels, and then in place of the topping concrete in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The concept of technology is the same as that of
단,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슬래브의 시공방법은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이 각각 판체부(10) 하부의 둘레에 통상의 작은보 절반크기의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분할형 작은보(20, 30)들과, 상기 판체부(10) 상부의 양측 코너부에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노출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철물(40)들을 갖도록 성형 제작하여, 상기 큰보(G)의 단턱(G1)에 그 전,후단에 형성된 분할형 작은보(20)들을 걸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을 각각 거치시키고, 상기 큰보(G)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 사이에는 현장타설되는 토핑콘크리트(T1)가 충전되어서 연결 접합되게 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 상호간은 그 양측단에 형성된 분할형 작은보(3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맞대져서 겹쳐지는 연결철물(40)들을 관통하도록 삽입 용 철근(43)을 끼우고 현장타설되는 상기 토핑콘크리트(T1) 내에 매립되도록 연결 접합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However,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ab us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9 to 11, the precast concrete panels (P), respectively, a typical small beam around the bottom of the
이때, 이웃하여 서로 마주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의 분할형 작은보(30) 사이에, 상기 토핑콘크리트(T1)를 타설하기 이전에 미리 무수축몰탈(M)를 충전시키고, 그 무수축몰탈의 하방에 백업재(B) 및 코킹재(C)를 차례로 채워서 밀봉시킴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non-condensation mortar (M) before filling the topping concrete (T 1 ) between the split type beams 30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s (P)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It is preferable to seal the backing material (B) and the caulking material (C) one after the other by shrinking mortar.
그리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판체부(10)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1개 이상의 돌출형 철근유닛(12)을 갖추어서, 슬래브(S)의 시공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위에 배근되는 철근(T2)과 연결한 후 현장타설되는 토핑콘크리트(T1) 내에 매립되게 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토핑콘크리트(T1) 간의 일체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들 외면에는 낱개형 또는 길이형으로 요입 형성되는 키홈(21)을 갖추어서, 슬래브(S)의 시공시 큰보(G)와 상기 전,후측의 분할형 작은보(20) 사이의 간극에 현장타설시 충전되는 토핑콘크리트(T1)가 유입 경화되어서 전단키의 역할을 감당하게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vided
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30)들 외면에는 낱개형 또는 길이형으로 요입 형성되는 키홈(31)을 갖추어서, 슬래브(S)의 시공 시 이웃하여 서로 마주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의 분할형 작은보(30) 사이에 별도로 충전되는 무수축몰탈(M)이 유입 경화되어서 전단키의 역할을 감당하게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vided
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기 연결철물(40)들과 근접한 상기 판체부(10) 상부의 양측 코너부에 길이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부(13)를 갖추어서, 도11에서와 같이, 슬래브(S)의 시공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들의 연결철물(40)들이 양측에서 겹쳐져서 관통되는 삽입용 철근(43)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현장타설되는 토핑콘크리트(T1)내에 피복두께로 매립될 수 있게 하며, 도12에서와 같이, 현장타설되는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슬래브를 어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에 타설된 토핑콘크리트(T1)에 연결하려는 경우에, 상기 슬래브(100)의 끝부분이 상기 단턱부(13)에 걸쳐진 형태로서 안정적으로 연결 시공될 수 있게 하여 준다.In addition, the stepped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에 따르면, 판체부의 양측 코너부에는 연결철물들이 배열되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구성하여, 거치상태를 개선시키고 접합부 강성을 증대시켜 주는 동시에, 습식구조로 견고히 연결 접속되도록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첫째 큰보의 단턱에 판체부 하부의 전,후단에 돌출 형성된 분할형 작은보가 걸쳐져서, 큰보와 분할형 작은보가 서로 넓은 면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거치되기 때문에, 시공이 완료된 슬래브에 적치된 중량물에 의한 하중이 작용되더라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전,후단이 치켜 올려지는 현상을 억제하고, 큰보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분산시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큰보 사이의 상부에 덮여진 토핑콘크리트가 들떠서 균열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는 동시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이나 큰보가 압축력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cast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 so that the connecting hardware is arranged at both corners of the plate portion, improve the mounting state and increase the joint stiffness, and firmly connected by a wet structure By allowing the construction to be connected, the split beams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part of the plate portion are placed on the step of the first beam, so that the beams and the split beams are mounted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arge area. Even if the load of the heavy slab loaded on the finished slab is applie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s are prevented from being lifted up, and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big beams is distributed to cover the upper part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panels and the beams. It prevents cracking by topping concrete and free This phenomenon being damaged by a large cast concrete panels and beams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mpressive force to prevent balsaengdoem.
둘째는 양측의 분할형 작은보들이 상기 판체부 최대의 폭으로 배치되므로, 시공이 완료된 슬래브에 적치된 중량물에 의한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판체부의 양측단에 돌출 형성된 분할형 작은보가 토핑콘크리트를 통하여 전달받게 되는 편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하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간의 접합부에 균열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divided beams on both sides are disposed to the maximum width of the plate body, even if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load due to the heavy material placed on the completed slab is biased to either side, the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plate body. Since the shaped beams efficiently handle the eccentric loads received through the topping concrete,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cracks in the joints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panels.
셋째는 큰보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들이 판체부의 양측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면적이 넓은 분할형 작은보를 맞대어져서 연결철물들로 서로 연결되고, 그 연결철물들이 이후에 타설되는 토핑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습식구조로 연결 접속되기 때문에, 조립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들의 접합부가 견실하여서, 시공후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이완되는 일없이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 precast concrete panels mounted on the big beams are formed to protrude on both ends of the plate, so tha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pieces with large split type beams, and the connecting pieces are embedded in the topping concrete which is subsequently poured. Since the connection is connected in a wet structure, the joints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s assembled and installed are robust,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inuity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relaxed even after a period of time after construction.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판체부 하부의 둘레에 분할형 작은보가 배치되도록 하고, 판체부의 양측 코너부에는 연결철물들이 배열되도록 구성함 으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이나 큰보가 압축력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면서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큰보 사이의 상부에 덮여진 토핑콘크리트가 들떠서 균열이 발생됨을 방지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간의 접합부에 균열이 발생됨을 방지하며, 조립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들의 접합부가 이완되는 일없이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rranged in the split girder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plate body, and by configuring the connecting hardware to be arranged at both corners of the plate body, precast concrete panel or girder by the compressive forc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amage, the topping concrete covered between the top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and the large beams to prevent the cracks generated, prevent the cracks generated in the joint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panels, and pre-installed precast The joints of the concrete panels are designed to have a useful effect, such as maintaining the continuity without loosening.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801U KR200434622Y1 (en) | 2006-09-29 | 2006-09-29 | Precast concrete pane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801U KR200434622Y1 (en) | 2006-09-29 | 2006-09-29 | Precast concrete panel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5620A Division KR100760393B1 (en) | 2006-09-29 | 2006-09-29 | Precast concrete panel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4622Y1 true KR200434622Y1 (en) | 2006-12-22 |
Family
ID=4178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6801U KR200434622Y1 (en) | 2006-09-29 | 2006-09-29 | Precast concrete pane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4622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3979B1 (en) | 2007-05-07 | 2007-10-05 | 정도건설 주식회사 | Underground Parking Lot Multi Slab |
KR101460620B1 (en) | 2014-07-04 | 2014-11-14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A third rail construction method with improved construct 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
-
2006
- 2006-09-29 KR KR2020060026801U patent/KR200434622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3979B1 (en) | 2007-05-07 | 2007-10-05 | 정도건설 주식회사 | Underground Parking Lot Multi Slab |
KR101460620B1 (en) | 2014-07-04 | 2014-11-14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A third rail construction method with improved construct 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0393B1 (en) | Precast concrete panel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 |
US9988775B1 (en) | Concrete i-beam for bridge construction | |
KR101482522B1 (en) | Nodular Box Girder, and Nodular Box Girde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CN110469001B (en) | Superimposed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A2652410A1 (en) | Structural ele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JP2522714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frame | |
JP2006316580A (en) | Corrugated steel plate web pc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using corrugated steel plate web pc composite beam | |
KR102080594B1 (en) | Couple girder | |
KR200434622Y1 (en) | Precast concrete panels | |
JPH11222814A (en) | Steel composite bridge using precast prestress concrete floor slab | |
KR100694587B1 (en) | Slab Structure Using Multi-ribbed Precast Concrete Panels | |
JP3208530B2 (en) | Precast concrete formwork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 |
CN110424600A (en) | It is a kind of it is distributed after pour assembled integral prefabricated concrete hollow slab rib-beam floor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H08209831A (en) | Compound ultra-light floor board and manufacture thereof | |
CN101059009B (en) | Reinforced concrete precast plate | |
JPH0426483Y2 (en) | ||
KR101047426B1 (en) | Steel composite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mortar bonding and steel composite bridge obtained by using | |
JP3026058B2 (en) | PC composite floor slab | |
JP2010281040A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floor slab, panel for constructing the steel concrete composite floor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concrete composite floor slab | |
KR102742360B1 (en) | Prefabricated nodular girder for bridg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H10245922A (en) | Stepped floor execution method using perforated pc panel for composite floor | |
JP2003041516A (en) | Integral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parts of continuous girder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ng it | |
JPH02296948A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slab | |
JPH0444550A (en) | Semi-precast rc building | |
JP2002138415A (en) | Cross girder member for girder member in pc bridge and girder mem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9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61128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2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92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UC2102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