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583Y1 -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583Y1
KR200434583Y1 KR2020060025893U KR20060025893U KR200434583Y1 KR 200434583 Y1 KR200434583 Y1 KR 200434583Y1 KR 2020060025893 U KR2020060025893 U KR 2020060025893U KR 20060025893 U KR20060025893 U KR 20060025893U KR 200434583 Y1 KR200434583 Y1 KR 200434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power
external
connection
vehicl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신이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신이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신이엘씨
Priority to KR2020060025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에 의해 생성된 동작 제어 신호를 자동차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감지된 경우 외부 전원으로부터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 전원을 입력 받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와 휴대용 전자 기기 간에 전원을 상호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차, 원격 제어, 휴대용 전자 기기, 전원 공유.

Description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A remote controller for ca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일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와 휴대용 전자 기기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와 휴대용 전자 기기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11 : 입력부
12 : 송신부
13, 13': 전원 연결부
30 : 케이블 장치
40 : 휴대용 전자 기기
44 : 외부 입력 단자
본 고안은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자동차의 특정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거리에서 원격으로 자동차의 도어를 잠금/해제하거나 엔진 시동을 거는 등의 특정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구동력을 공급하는 전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에는 구동력을 공급을 위한 자체 배터리가 내장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하면, 내장된 자체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더 이상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체 배터리가 완전히 소모된 것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에 불편이 따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는 동작을 위해 반드시 자체 배터리를 내장하여야 하므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키(key)와 함께 휴대되기 때문에, 자동차 키의 분실 시 함께 분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비된 자체 전원의 방전에 대비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와 전원을 상호 공유할 수 있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전자 기기의 전원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자체 전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자체 전원을 제거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 기기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휴대가 편리하고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입력부에 의해 생성된 동작 제어 신호를 자동차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감지된 경우 외부 전원으로부터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 전원을 입력 받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 전원을 자체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 전원과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 전원의 공급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감지된 경우 전원부에 우선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과의 연결은 전원 연결부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외부 입력 단자를 연결하는 별도의 케이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전원 연결부에 형성된 커넥터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외부 입력 단자 간의 직접 연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는 커넥터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외부 입력 단자가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 기기와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일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사용 상태를 참조하여 도 2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는 자동차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는 이외에도 자동차 엔진의 시동, 자동차 등(light)의 점멸 등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자동차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는 입력부(11), 송신부(12) 및 전원 연결부(13)를 포함한다.
입력부(11)는 자동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입력부(11)는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휠 키(wheel key),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1개 이상의 키 버튼이 구비된 키 패드 형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입력부(11)는 사용자가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입력부(11)에 구비된 키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따라 해당 키 버튼에 상응하는 동작 제어 신호(본 예에서는 도어의 잠금 설정 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 등)를 생성한다.
송신부(12)는 입력부(11)에 의해 생성된 특정 동작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동작 제어 신호를 자동차에 구비된 수신부(21)로 전달(송신)한다.
송신부(12)에 의한 동작 제어 신호의 송신에는 무선 RF(Radio Frequency)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2)는 입력 받은 동작 제어 신호의 보다 정확한 송신을 위하여 송신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부(미도시), 송신될 신호를 변조 및 부호화하는 무선 처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송신된 동작 제어 신호는 자동차의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되고, 자동차에 구비된 제어부(22)는 수신된 동작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특정 동작을 지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신된 동작 제어 신호가 자동차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인 경우, 제어부(22)는 자동차의 도어 잠금 장치(23)에 잠금 해제를 위한 소정의 신호를 전달하게 되며, 이에 의해 자동차 도어의 잠금 설정은 해제될 것이다.
전원 연결부(13)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작동을 위한 구동 전원을 직접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는 별도의 자체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 있으며,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작동을 위한 구동 전원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에 의하면, 외부의 전자 기기의 전원을 공유하여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자체 전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자체 전원을 제거함으로써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 내에 별도의 자체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 내에는 자체 전원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자체 전원이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연결부(13)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됨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를 구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자체 전원에 의해 직접 구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는 구비된 자체 전원의 방전에 대비하여 전원 연결부(13)를 통한 외부의 전자 기기(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 기 등)와 전원을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전원 연결부(13)를 통한 외부 전원과의 연결 방법 및 그 사용 상태에 대하여는 이하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에는 동작 제어 신호의 송신을 위한 송신부(12)와 더불어 자동차로부터 출력되는 특정 신호(예를 들어, 자동차의 상태, 위치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데이터 등)의 수신을 위한 별도의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자동차와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 간의 신호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와 휴대용 전자 기기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와 휴대용 전자 기기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전원 연결부(13)를 통해 연결되어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를 작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외부 전원의 공급 장치로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작동을 위하여 또는 자체 전원의 예기치 않은 방전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어느 때라도 대용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나, 외부 전원의 공급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는 외부 전자 기기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외부 전원의 공급장치로서 이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는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한 다양한 휴대 장치가 이용될 수 있지만, 도 3 및 도 4에서는 휴대용 전자 기기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4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전원 연결부(13)와 외부 전원과의 연결은 별도의 케이블 장치(30)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케이블 장치(30)의 양 끝에 구비된 2개의 커넥터(connecter)가 하나는 전원 연결부(13)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외부 입력 단자(44)에 연결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40)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 입력 단자(44)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 입력 단자(44)는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신호 단자와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원 단자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입력 단자(44)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40)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신호 단자와 전원 단자는 각각 구분되어 구현되거나 통합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고안의 전원 연결부(13)에도 외부 전원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원 공유 단자(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장치(30)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외부 입력 단자(44)와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전원 연결부(13)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외부 입력 단자(44)의 전원 단자와 전원 연결부(13)의 전원 공유 단자 간의 전원의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감지된 경우, 전원 연결부(13)는 외부 전원(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자체 배터리)을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구동 전원으로서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 이러한 외부 전원과의 연결 여부의 감지 또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로 구동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 설정은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3) 내에 별도의 자체 전원이 구비된 경우를 가정한다면, 제어부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감지된 경우 별도 구비된 자체 전원에 우선하여 외부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케이블 장치(30)에 의해 연결된 전원 연결부(13)와 외부 입력 단자(44) 간에 구동 전원의 공유가 가능해지게 되며,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에 구비된 별도의 자체 전원이 방전된 경우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배터리를 공유하여 이용함으로써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 있어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자체 전원을 공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당업자는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와 이동 통신 단말기(40) 상호 간에 전원의 양방향 공유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전원 연결부(13)와 외부 입력 단자(44) 간을 연결하는 케이블 장치(30)로는 USB 케이블, 전원 케이블 등을 포함하여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원 연결부(13)가 이동 통신 단말기(44)에서의 표준화된 외부 입력 단자(44)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44)에 이용되는 기존의 케이블 장치가 그대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전원 연결부(13')와 외부 전원과의 연결은 전원 연결부(13')에 형성된 커넥터에 의해 이루지고 있다. 즉, 외부 전원과의 연결은 전원 연결부(13')에 형성된 커넥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외부 입력 단자(44) 간의 직접 연결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4의 전원 연결부(13')는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외부 입력 단자(44)와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3의 전원 연결부(13)와 상이한 식별 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또한, 도 4에서의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와 이동 통신 단말기(40) 간의 전원 공유 방법도 도 3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와 같이 전원 연결부(13')가 커넥터를 직접 갖추고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3과 달리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 장치는 불필요하며,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휴대성도 보다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가 전원 연결부(13')의 커넥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40)의 외부 입력 단자(44)가 직접 연결된 상태로 이동 통신 단말기(40)와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경우,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를 보다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10)의 분실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하면 구비된 자체 전원의 방전에 대비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와 전원을 상호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의 전자 기기의 전원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자체 전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자체 전원을 제거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 기기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휴대가 편리하고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를 상기 자동차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 전원을 입력 받는 전원 연결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 전원을 자체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과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 전원의 공급 경로를 제 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전원부에 우선하여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과의 연결은 상기 전원 연결부와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외부 입력 단자를 연결하는 별도의 케이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외부 입력 단자와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전원과의 연결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외부 입력 단자 간의 직접 연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외부 입력 단자가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와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KR2020060025893U 2006-09-26 2006-09-26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KR200434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893U KR200434583Y1 (ko) 2006-09-26 2006-09-26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893U KR200434583Y1 (ko) 2006-09-26 2006-09-26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583Y1 true KR200434583Y1 (ko) 2006-12-22

Family

ID=4178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893U KR200434583Y1 (ko) 2006-09-26 2006-09-26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5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1546B2 (ja) 車両通信システム
US20080197970A1 (en) Remote access system
US87001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infrared signalling in smart phone devices
US20050035950A1 (en) Portable input device for computer
EP1122648A3 (en) Method of making and /or using mobile device charging cradle
US7953371B2 (en)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bined with antenna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7046395A (ja) 車輌情報設定装置
US6211862B1 (en) Wire/wireless keyboard for use in a computer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5192311A (ja) 携帯機器用カバー
EP1308827A2 (en) Portable computer apparatus with power sav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101200985B1 (ko) 호스트 기기 결합형 무전기
CN101600009A (zh) 无线控制装置及具有该控制装置的无线通信装置
KR200434583Y1 (ko)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KR100723498B1 (ko) Usb 장치
KR20110076726A (ko)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3167855U (ja) 多機能マウス
KR10178866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111497719B (zh) 一种信标模块
KR20070032897A (ko) 30핀 입출력 커넥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는유무선 겸용 스테레오 헤드폰 및 스테레오 오디오 전송장치
CN203165205U (zh) 与具有闪光灯的智能电子产品配合的遥控装置
KR101210179B1 (ko) 차량용 스마트키
KR20210007921A (ko) 차량용 제어 장치
US20040183781A1 (en) Mouse having blue tooth transforming device
KR20070079522A (ko)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된 무선 마우스
JP2003032338A (ja) ブルートゥースパックおよびブルートゥース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