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470Y1 - Case of Sound instrument - Google Patents

Case of Sound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470Y1
KR200434470Y1 KR2020060025790U KR20060025790U KR200434470Y1 KR 200434470 Y1 KR200434470 Y1 KR 200434470Y1 KR 2020060025790 U KR2020060025790 U KR 2020060025790U KR 20060025790 U KR20060025790 U KR 20060025790U KR 200434470 Y1 KR200434470 Y1 KR 200434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emo
pen
memo paper
devi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7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일흥
Original Assignee
손일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일흥 filed Critical 손일흥
Priority to KR2020060025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47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47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2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memorandum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선 헤드셋이 수용되는 케이스의 일 측에 펜 또는 메모지가 구비되어, 무선 헤드셋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메모 가능하도록 하는 음향기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of an audio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e of an audio device provided with a pen or a note paper on one side of a case in which the wireless headset is accommodated, so that the user of the wireless headset can quickly and easily take notes. .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향기기의 케이스는, 음향기기가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본체가 형성되고, 메모지가 수용되는 메모지 수납부와 펜이 결합되는 펜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다.The case of the soun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the main body is detachably accommodated the sound device is formed, at least one of the pen housing portion is combined with a pen and a paper memo housing accommodating a memo paper;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제안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 사용 중 메모를 요할 경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메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when a user requires a memo while using the wireless headse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take a note.

음향기기, 케이스, 펜, 메모지, 수납 Audio system, case, pen, note paper, storing

Description

음향기기 케이스 {Case of Sound instrument}Sound Case {Case of Sound instrument}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헤드셋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eneral wireless headset.

도 2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후면도.9 is a rear view of the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후면도.10 is a rear view of the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메모지 수납부 및 메모지의 상세도.11 is a detailed view of a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and a memo paper of the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정면도.12 is a front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측면도.13 is a sid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평면도.14 is a plan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정면도.16 is a front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절개 정면도.17 is a cutaway front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20, 30, 40, 50, 60, 70 : 음향기기용 케이스 10, 20, 30, 40, 50, 60, 70: case for sound equipment

15, 25, 35, 45, 55, 65, 75 : 메모지 수납부15, 25, 35, 45, 55, 65, 75: note paper storage

16, 26, 36, 46, 56, 66, 76 : 메모지16, 26, 36, 46, 56, 66, 76: memo

17, 27, 37, 47, 57, 67, 77 : 펜 수납부17, 27, 37, 47, 57, 67, 77: pen housing

18, 28, 38, 48, 58, 68, 78 : 펜18, 28, 38, 48, 58, 68, 78: pen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선 헤드셋이 수용되는 케이스의 일 측에 펜 또는 메모지가 구비되어, 무선 헤드셋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메모 가능하도록 하는 음향기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of an audio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e of an audio device provided with a pen or a note paper on one side of a case in which the wireless headset is accommodated, so that the user of the wireless headset can quickly and easily take notes. .

근래 들어서 휴대폰이나 MP3등과 같은 모체가 되는 전자기기에 부속하여 별도의 음향기기를 더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이나 MP3와 같은 기기를 직접 손에쥐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러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음향 기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 것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인한 것이다.In recent years, by using additional sound devices in addition 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MP3s, users can use such devices even without hands 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MP3s. The use of such an acoustic device is attributable to the development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Wireless Lan (WL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헤드셋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eneral wireless headset.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무선 헤드셋(1)은 소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어폰(6)이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a general wireless headset 1 includes a main body 2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an earphone 6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2.

한편, 상기 본체(2)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정부(4)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부(3)와, 무선 헤드셋(1)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온/오프 버튼(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일 측면에는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와, 무선 헤드셋(1)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치하도록 하는 클립(5)이 더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the volume control unit 4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user, the microphone unit 3 for receiving the user's voice, and the ON / used to control the power of the wireless headset 1 An off button (not shown) is formed. In addition,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a battery (not shown) and a clip 5 for allowing the user to conveniently mount the wireless headset 1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2.

또한,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모체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증폭된 신호를 음파를 나타내는 소정의 전기신호로 재생하는 재생회로가 내장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물론이다. 상기 각 회로들은 상기 본체(2) 내부에 놓이는 소정의 기판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2 has a Bluetooth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arent such as an MP3 player or a mobile phone, an amplifying circuit for amplify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Bluetooth module, and an amplified signal representing sound waves. Of course, there is a built-in reproduction circuit for reproducing a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and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headset is performed by each of these components. Each of the circuits is preferably provided on a predetermined substrate placed inside the body 2.

그리고, 상기 이어폰(6)의 내부에는 전기신호를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음향신호로 재생하는 스피커 장치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6)의 단부에는 연성재질의 삽입부재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면 부드럽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삽입부재가 일단 귀에 삽입되면, 삽입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헤드셋(1)이 귀에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귓바퀴와 유사한 모양 및 형식의 어떠한 틀이 필요치 않게 된다.The earphone 6 has a speaker device for reproducing an electric signal as an acoustic signal by vibration of air. In addition, a flexible member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arphone 6,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is softly deformed when the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so that the insertion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ny frame of similar shape and form to the wheel for allowing the wireless headset 1 to be mounted on the ear.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무선 헤드셋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무선 헤드셋을 그 모체가 되는 핸드폰 또는 MP3 등의 전자기기와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무선 헤드셋이 대략 엄지 손가락 하나 정도의 소형 기기이기 때문에 그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분실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However, conventionally, there is no separate case for storing such a wireless headset. Therefore,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wireless headset should be stored separately from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n MP3 that is the parent. Furthermore, since the wireless headset is a small device of about one thumb, its storage is not eas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loss increases.

또한, 상기 무선 헤드셋을 케이스 없이 외부에 보관하였기 때문에, 상기 무선 헤드셋의 돌출된 부분에 다른 물품이 걸리게 되면 무선 헤드셋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In addition, since the wireless headset was stored outside without a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ireless headset is damaged when another item is caught 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wireless headse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실용출원 제20-2006-0019189호 등에서, 내부에 무선 헤드셋이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무선 헤드셋의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는 음향기기 케이스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n acoustic device case for forming a wireless headset inside the Korean Utility Application No. 20-2006-0019189, such that the wireless headset can be easily stored and carried. .

그러나, 상기 음향기기 케이스에는 무선 헤드셋만이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무선 헤드셋을 사용 중인 사용자가 급하게 메모 등을 하여야 할 경우, 이와 같은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only the wireless headset is formed in the acoustic device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who is using the wireless headset needs to take a note in a hurry.

즉, 상기 음향기기 케이스에 펜, 메모지 등의 필기도구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기록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필기도구를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That is, since a writing instrument such as a pen or a memo paper is not provided in the case of the audio devic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a separate writing instrument when recording is required.

본 고안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신속한 메모가 가능한 음향기기 케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o device case capable of quick memo.

또한, 음향기기 케이스에 펜 및/또는 메모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 시, 이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필요한 사항을 메모할 수 있는 음향기기 케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en and / or a memo pad to the user can, if necessary,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take note of the necessary matter.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향기기의 케이스는, 음향기기가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본체가 형성되고, 메모지가 수용되는 메모지 수납부와 펜이 결합되는 펜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다.The case of the soun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the main body is detachably accommodated the sound device is formed, at least one of the pen housing portion is combined with a pen and a paper memo housing accommodating a memo paper;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의 음향기기 케이스는, 내부에 음향기기가 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메모지가 수용되는 메모지 수납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 일 측에 형성되어 펜이 거치되는 펜 수납부;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oustic device case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n acoustic device is mounted; A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memo paper; And a pen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pen.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의 음향기기 케이스는, 음향기기가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음향기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 일 측에 형성되는 펜 수납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메모지 수납부;가 포함된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an acoustic devic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device is formed so that the sound device can be accommodated; A pen housing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의 음향기기 케이스는, 클립이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 및 메모지가 수용되는 메모지 수납부와 펜이 결합되는 펜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oustic device case includes: a body in which a clip is integrally formed; And at least one of a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memo paper is accommodated and a pen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pen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의 음향기기 케이스는, 음향기기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에 결합되고, 메모를 기록하는 전면과 탈부착 가능한 접착제가 도포된 이면을 포함하는 메모지가 복수 매 적층되어 형성되는 점착식 메모첩;이 포함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oustic device case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n acoustic device is accommodated; And a sticky memo pad,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memo papers including a front surface for recording a memo and a back surface on which a detachable adhesive is applied.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의 음향기기 케이스는, 가죽 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무선 헤드셋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메모지가 수용되는 메모지 수납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펜이 결합되는 펜 수납부;가 포함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oustic device case includes: a body formed of a leather material and having a wireless headset therein; A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formed in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memo paper; And a pen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the main body and having a pen coupled thereto.

제안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 사용 중 메모를 요할 경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메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when a user requires a memo while using the wireless headse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take a not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d, change, delete, and add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 would be able to suggest.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측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dio equipment cas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audio equipment cas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10)는, 무선 헤드셋이 수용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음향기기의 탈거를 방지하는 덮개부(12)가 포함된다. 2 and 3, the sound device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1, the wireless headset is accommodated, and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sound devic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over portion 12 is included.

상세히, 상기 본체(11)는 내부에 무선 헤드셋이 수용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는 속이 빈 상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무선 헤드셋이 수용될 수 있도록 삼각, 사각 또는 그 이상의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main body 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box in which a hollow part is formed to accommodate a wireless headset therein. As illustrated in FIG. 2, the main body 11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he main body 11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quare or more polygonal column shape to accommodate the wireless headset.

또한, 상기 본체(11)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무선 헤드셋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합성 수지, 금속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11)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10) 내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고, 외관상 미려하고, 무게가 가볍고, 제조 비용이 감소되도록 투명한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1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metal, etc. to protect the wireless headset from an external impact. Preferably, the main body 1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ontents in the case 10 and is beautiful in appearance, light in weight, and reduced in manufacturing cost.

한편, 상기 덮개부(12)는 상기 본체(11)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1)에 수용되는 무선 헤드셋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2)는 본체와 동일한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ver part 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 so that the wireless headse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1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The cover 1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더욱 상세히, 상기 덮개부(12)는 본체(11)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2)가 본체(11)로부터 완전히 분리/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덮개부(12)는 본체(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2)가 본체(11)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11)와 덮개부(12)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덮개부(12)가 본체(11)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결합 부재(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13)에 의하여 상기 본체(11)와 덮개부(12)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덮개부(12)는 상기 본체(11)에 대하여 개폐된다. In more detail, the cover part 12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11, and the cover part 12 may be formed to be completely separated / coupled from the main body 11. Alternatively, the cover part 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1 so that the cover part 12 may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 In this case, a coupling member 13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main body 11 and the cover part 12 to open and close the cover part 12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 The main body 11 and the cover part 1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member 13, and the cover part 12 is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11)에 형성되는 메모지 수납부(15)와 펜 수납부(17)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the memo pad accommodating part 15 and the pen accommodating part 17 formed on the main body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메모지 수납부(15)가 더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11)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는 별도의 칸막이(111)에 의하여 내부와 외부로 구획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는 무선 헤드셋(1)이 수용되고, 상기 중공부의 외부에는 메모지가 수용되는 메모지 수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 수납부(15) 내부에 메모지(16)가 두루마리 형태로 내장될 수 있다.First, a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15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 In detail, the hollow par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 is partitioned inside and outside by a separate partition 111, and the wireless headset 1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llow part, and a memo paper is accommodated outside the hollow part.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15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memo paper 16 may be embedded in the scroll form in the memo storage unit 15.

한편, 상기 본체(11)의 외측에는 메모지 출납홈(19)이 더 형성된다. 상기 메모지 출납홈(19)을 통하여 메모지 수납부(15)에 내장된 메모지(16)가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emo paper receiving groove 19 is furth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 The memo paper 16 embedded in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15 may be drawn out and used through the memo paper drawing-out groove 19.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지(16)에는 하나 이상의 절단부(161)가 형성되어 메모지(16)가 일정 크기로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두루마리 휴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점선 모양의 절단부와 유사한 절단부(161)가 상기 메모지(16)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메모지(16)를 자신이 원하는 크기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emo paper 16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cutouts 161 to easily cut the memo paper 16 to a predetermined size. That is, a cutout 161, which is similar to a cut line having a dotted lin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roll paper, is formed on the memo paper 16,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ut the memo paper 16 to a desired size. .

한편, 상기 본체(11)의 외부 일 측에는 펜 수납부(17)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펜 수납부(17)는 환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의 고리 형상의 펜 수납부(17)에 펜(18)이 끼워짐으로써 음향기기 케이스(10)에 펜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펜(18)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결합 부재(18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펜(18)의 몸체 가 상기 펜 수납부(17)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펜(18)의 결합 부재(181)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펜 수납부(17)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펜(18)이 본체(11)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n housing portion 17 is formed on on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11. In detail, the pen housing 17 may be formed in an annular annular shape. The pen 18 is provided in the acoustic device case 10 by inserting the pen 18 into the annular annular pen housing 17. In addition, the pen 18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coupling member 181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By the above structure, the body of the pen 18 is fitted to the pen housing 17, and the coupling member 181 of the pen 18 is elastically deformed to engage with the pen housing 17.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en 18 is not easi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11.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펜과 펜 수납부, 그리고 메모지와 메모지 수납부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en and the pen accommodating part, and the memo paper and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상기 펜 수납부(17)에 자성 부재가 구비되고, 펜(18)의 일 측에 또한 자성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펜 수납부(17) 측 자성 부재와 펜(18) 측 자성 부재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본체(11)에 펜(18)이 결합 될 수 있다. For example, a magne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pen housing 17, and a magnetic member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en 18, and the magnetic member on the pen housing 17 and the magnet on the pen 18. The pen 18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1 by the coupling of the members.

또한, 상기와 같이 메모지 수납부(15)가 별도로 구비되지 아니하고, 점착식 메모첩이 본체(11)의 일 측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메모를 기록하는 전면과, 탈부착 가능한 접착제가 도포된 이면을 포함하는 메모지가 복수 매 적층된 점착식 메모첩이 본체(11)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15 is not separately provided, a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adhesive memo pad to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That is, an adhesive memo pad in which a plurality of memo papers including a front surface for recording a memo and a back surface on which a detachable adhesive is applied may be stacke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무선 헤드셋(1)의 사용 중 메모가 필요할 경우, 상기 메모지(16) 및 펜(18)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통화 내용을 메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a user needs a memo while using the wireless headset 1, the memo 16 and the pen 18 can be easily memoized the contents of the call.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상기 메모지 수납부가 형성되는 부분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 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parts are the same as the original embodiment, except that the part in which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 without description thereof will us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평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an audio devic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of an audio equipment cas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20)의 본체(21) 일 측에는 별도의 메모지 수납부(25)가 더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메모지 수납부(25)는 일반적인 장방형의 메모지가 수납 가능하도록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 수납부(25)의 내부에 상기 메모지 수납부(25)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메모지(26)가 수용된다.4 to 6, a separate memo paper storage unit 25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21 of the acoustic device cas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detail,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25 is formed in a hollow pillar shape to accommodate a general rectangular memo paper. In addition, a memo paper 26 having a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25 is accommodated in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25.

여기서, 상기 메모지 수납부(25)는 상기 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모지 수납부(25)는 본체(21)와는 별도 부재로 형성되어, 접착 부재 등에 의하여 본체(21)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Here, the memo paper storage unit 2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21. Alternatively,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25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main body 21 and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1 by an adhesive member or the like.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지 수납부(25)의 일 측면에는 홈 형상의 메모지 인출부(2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모지 인출부(29)는 메모지 수납부(25)의 일 측에 함몰 형성되어, 메모지 수납부(25)에 수용되어 있는 메모지(26) 일부가 메모지 수납부(25)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메모지 인출부(29)에 노출되어 있는 메모지(25)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메모지(25)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Preferably, a groove-shaped memo withdrawal unit 29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memo storing unit 25. In detail, the memo paper withdrawal unit 29 is recessed on one side of the memo paper storage unit 25 so that a part of the memo paper 26 accommodated in the memo paper storage unit 25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mo paper storage unit 25. Be sure to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memo sheet 25 by pulling the memo sheet 25 exposed to the memo sheet dispensing unit 29.

한편, 상기 본체(21)의 일 단부에 덮개부(미도시)가 더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21)와 별도로 덮개부(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상기 본체(21)에 수용되는 무선 헤드셋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비추어 볼 때 당연하다 할 것이다. Meanwhile, a cover part (not shown) is further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1, or a cover part (not shown)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21, and the radio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21. In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it will be obvious that the headset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메모지가 용이하게 인출 가능한 메모지 수납부가 구비되는 음향기기 케이스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ound device case is provided with a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that can be easily pulled out.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무선 헤드셋이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메모지 수납부의 형상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original embodiment of the other parts, except that the shape of the main body accommodating the wireless headset and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 without description thereof will us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후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of an audio device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view of the audio equipment case.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는, 무선 헤드셋(1)이 수용되도록 안착부(33)가 형성되는 본체(31), 상기 본체(31)에 형성되는 메모지 수납부(35) 및 펜 수납부(37)가 포함된다.7 to 9, the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1 and a main body 31 in which a seating portion 33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wireless headset 1. The memo paper storage unit 35 and the pen housing unit 37 are included.

상세히, 상기 본체(31)에는 무선 헤드셋(1)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헤드셋(1)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부(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33)의 측면은 상기 안착부(33)로부터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되어, 상기 무선 헤드셋(1)의 고정 위치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In detail, in order to accommodate the wireless headset 1, the main body 31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3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headset 1.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3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ating portion 33 to a certain degree, it is formed to support the fixed position of the wireless headset (1).

바람직하게, 상기 음향기기 케이스(30)는 소정의 탄성 계수를 가진 합성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향기기 케이스(30)에 무선 헤드셋(1)이 결합될 때에는 일정 정도 탄성 변형을 일으켜, 상기 무선 헤드셋(1)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헤드셋(1)이 일단 결합된 뒤에는 상기 음향기기 케이스(30)는 원상 복귀되어, 상기 무선 헤드셋(1)이 탈거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 위치를 지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coustic device case 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modulus. Therefore, when the wireless headset 1 is coupled to the acoustic device case 30, elastic deformation occurs to a certain extent so that the wireless headset 1 is easily coupled. After the wireless headset 1 is coupled, the acoustic device case 30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stably support the fixed position so that the wireless headset 1 is not removed.

한편, 상기 본체(31)의 내부에는 메모지 수납부(35)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31)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메모지(36)가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의 일 측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메모지(36)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1, a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35 is formed. In detail, a hollow part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31, and a memo paper 36 is stored in the hollow part. And, one side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o be open to allow the entry and exit of the note paper (36).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지 수납부(35)의 개구측에는 홈 형상의 메모지 인출부(3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모지 인출부(39)는 메모지 수납부(35)의 일 측에 함몰 형성되어, 메모지 수납부(35)에 수용되어 있는 메모지(36) 일부가 메모지 수납부(35)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메모지 인출부(39)에 노출되어 있는 메모지(35)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메모지(35)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Preferably, a groove-shaped memo withdrawal part 39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opening side of the memo storing part 35. In detail, the memo paper withdrawal unit 39 is recessed on one side of the memo paper storage unit 35 so that a part of the memo paper 36 accommodated in the memo paper storage unit 35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mo paper storage unit 35. Be sure to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memo sheet 35 by pulling the memo sheet 35 exposed to the memo sheet extracting unit 39.

한편, 상기 본체(31)의 외부 일 측에는 펜 수납부(37)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펜 수납부(37)는 환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의 고리 형상의 펜 수납부(37)에 펜(38)이 끼워짐으로써 음향기기 케이스(30)에 펜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펜(38)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결합 부재(38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펜(38)의 몸체가 상기 펜 수납부(37)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펜(38)의 결합 부재(381)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펜 수납부(37)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펜(38)이 본체(31)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n housing portion 37 is formed on on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31. In detail, the pen housing 37 may be formed in an annular annular shape. The pen 38 is inserted into the annular annular pen housing 37 so that the pen is provided in the acoustic device case 30. In addition, the pen 38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381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By the above structure, the body of the pen 38 is fitted to the pen housing 37, and the coupling member 381 of the pen 38 is elastically deformed to engage with the pen housing 37.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en 38 is not easi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31.

한편, 상기 본체(31)의 후면에는 음향기기 케이스(30)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치하도록 하는 클립(34)이 더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of the main body 3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lip 34 for the user to conveniently mount the acoustic device case 30.

상세히, 상기 무선 헤드셋(1)은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태로서, 언제든지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음향기기 케이스(30)의 본체(31)의 어느 일 측에는 클립(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본체(31)의 어느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연장되는 형태로서, 클립(34)은 그 자체로서 어느 정도의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셔츠의 호주머니 등의 모서리에 상기 클립(34)을 이용하여 음향기기 케이스(30)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폰에 전화가 오는 등, 무선 헤드셋(1)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거치된 음향기기 케이스(30)로부터 무선 헤드셋(1)을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detail, the wireless headset 1 is generally used by a user like a mobile phon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headset 1 be placed in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reach it at any time. To this end, a clip 34 may be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main body 31 of the acoustic device case 30. The clip extends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31 to the other end, and the clip 34 can itself be deformed to some extent.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acoustic device case 30 by using the clip 34 at the corner of the shirt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headset 1 is to be used, such as a call to a mobile phone, the wireless headset 1 may be easily withdrawn from the mounted acoustic device case 30.

상기 클립(34)은 본 고안의 음향기기 케이스(30)가 막대나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그 사용성이 더욱 개선되는 것으로서, 음향기기 케이스(30)가 볼펜 등과 같은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호주머니 등에 걸려서 거치됨으로써, 그 사용성이 한층 더 개선될 수 있다. The clip 34 is to improve the usability when the acoustic device cas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rod or cylindrical shape, the pocket in the case where the audio device case 30 is used in the form of a ballpoint pen, etc. By hanging on the back, the u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무선 헤드셋 등의 음향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케이스에 펜 및 메모지가 구비되어, 통화 중 중요 사항의 메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음향기기 케이스에 의하여, 음향기기의 분실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a pen and a memo paper are provided in a case in which a sound device such as a wireless headset can be accommodat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emo of important matters during a call is easily made. In addition, by the acoustic device cas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ss of the audio device is prevented.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본체에 형성되는 메모지의 형상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3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par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the shape of the memo paper formed on the main body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 without description thereof will use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후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메모지 수납부 및 메모지의 상세도이다.FIG. 10 is a rear view of the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detailed view of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unit and the memo paper of the audio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40)의 일측에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의 메모지 수납부(4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 수납부(45) 내부에는 점착식 메모첩(46)이 수용된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one side of the acoustic device case 40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45 having an open shape at an upper side thereof. The memo pad 46 is accommodated in the memo pad accommodating part 45.

상세히, 상기 점착식 메모첩(46)은 메모를 기록하는 전면과, 탈부착 가능한 접착제가 도포된 이면을 포함하는 메모지가 복수 매 적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면의 일 단부에만 탈부착 가능한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과 접착제가 도포되지 아니한 부분이 서로 교차되도록 메모지가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점착식 메모첩(46)의 최상단에 부착된 메모지는 상기 메모지 수납 부(45)의 상단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최상단에 부착된 메모지가 인출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최상단에 부착된 메모지의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에 접착되어 있던 직하단의 메모지의 일측이 상기 메모지 수납부(45)의 상단에 놓이게 된다. In detail, the adhesive memo pad 46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memo papers including a front surface for recording a memo and a back surface on which a detachable adhesive is applied. Here, a detachable adhesive is applied only to one end of the back surface, and a memo paper is laminated so that a portion where the adhesive is applied and a portion where the adhesive is not applied cross each other. The memo paper attach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sticky memo pad 46 is formed to be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45. Accordingly, when the memo paper attached to the uppermost end is drawn out, at the same time, one side of the memo paper directly below the upper end of the memo paper attached to the adhesive-coated portion of the memo attached to the uppermost end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45.

이와 같이, 최상단의 메모지가 인출됨과 동시에 그 바로 아래의 메모지 일단이 항상 메모지 수납부(45)의 상단에 놓이도록 형성되어, 메모지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most memo paper is drawn out and at the same time, one end of the memo paper immediately below it is alway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memo paper storage portion 45, so that the memo paper can be easily withdrawn.

물론, 상기와 같은 별도의 메모지 수납부(45)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점착식 메모첩(46)이 직접 본체(41)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Of course, the separate memo paper storage unit 45 as described above is not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dhesive memo pad 46 is attached directly to the main body 41.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메모지 수납부(45)가 구비되어 메모지의 탈거가 방지되는 동시에, 적층된 점착식 메모첩(46)의 최상단의 메모지가 항상 메모지 수납부(45)의 상단에 놓이게 되어 메모지의 인출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착식 메모첩(46)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메모지를 원하는 장소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45 is provided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memo paper, and the memo paper at the top of the stacked sticky memo notebook 46 is always placed on the top of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45. Withdrawal of the memo paper has the advantage that it becomes easy. In addition, the adhesive memo pad 46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attach the memo paper to a desired place.

<제 5 실시예>Fifth Embodiment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본체와 클립의 결합 관계 및 본체에 안착되는 무선 헤드셋의 고정 구조가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3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parts are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lip and the fixing structure of the wireless headset seated on the main body are different.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 without description thereof will use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평면도이다.12 is a front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of an audio device cas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of an audio equipment case.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50)는 본체(51)와 클립(54)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2 to 14, the acoustic device case 5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51 and the clip 54 are integrally formed.

상세히, 상기 본체(51)의 후면부에는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클립(54)이 본체(51)와 일체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본체(51) 및 클립(54)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음향기기 케이스(50)를 주머니 등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립(54)을 잡아당기면, 일정 정도 그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클립(54)의 단부가 본체(51)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다. 상기 본체(51)와 클립(54)이 이격된 공간을 주머니 등에 끼우고, 상기 클립(54)을 잡아당긴 손을 놓으면 상기 클립(54)은 원위치되어 본체(51)와 밀착되며, 이에 의하여 음향기기 케이스(50)의 탈거가 방지된다. In detail,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51 is formed to be integrally curved with the main body 51 so that the clip 54 is detachable. The main body 51 and the clip 5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ccordingly, when the user pulls the clip 54 to fix the acoustic device case 50 to a pocket or the like, the shape thereof is deformed to some extent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clip 54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51 to some extent. . When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dy 51 and the clip 54 is inserted into the pocket or the like, and the hand that pulls the clip 54 is released, the clip 5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51. Removal of the device case 50 is prevented.

한편, 상기 본체(51)의 전면에는 무선 헤드셋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52)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52)는 본체로부터 돌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1) 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무선 헤드셋이 상기 음향기기 케이스(50)로부터 인출, 또는 음향기기 케이스(50)로 인입될 때는 상기 고정부(52)는 일정 정도 그 형상이 변형되고, 무선 헤드셋이 완전히 인입 또는 인출된 이후에는 원위치되도록 형성된다. Meanwhile, at least one fixing part 52 for fixing the wireless headset is protru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51. As shown in FIG. 14, the fixing part 52 protrudes and is bent from the main body.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51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erefore, when the wireless headset is withdrawn from the acoustic device case 50, or when the wireless headset is withdrawn from the acoustic device case 50, the fixing part 52 is deformed to a certain degree, and after the wireless headset is fully retracted or withdrawn. It is formed to be in the original posi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체(51)와 클립(54)이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간결한 형상의 무선 헤드셋 고정부(52)가 형성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감소되고, 외관이 미려한 음향기기 케이스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ain body 51 and the clip 54 are integrally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wireless headset fixing unit 52 having a concise shape is formed,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vice case is provided.

<제 6 실시예>Sixth Embodiment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본체의 형상 및 재질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원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original embodiment of the other parts, but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 without description is used as the description of the original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5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절개 정면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front view of an audio device cas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utaway front view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audio equipment case.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60)의 본체(61)는 가죽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 to 17, the main body 61 of the acoustic device case 6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leather material.

상세히, 종래 핸드폰 케이스 또는 명함 케이스 등에는 신축성이 있고 형태 변형이 일정 정도 자유로워 물품의 수용이 용이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 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한 가죽 소재가 일반적으로 이용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가죽 소재를 음향기기 케이스에 적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detail,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case or business card case is elastic and has a certain degree of freedom of shape deformation, so that it is easy to accommodate the article, provides a soft touch, improves the user's wearing comfort, and absorbs shock from the outside. This beautiful leather was commonly used. Therefore,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ther material is applied to the acoustic device cas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60)는 가죽 소 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무선 헤드셋이 수용되는 본체(61)와, 상기 본체(61)의 상방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61) 내부에 수용되는 무선 헤드셋(1)의 탈거가 방지되도록 하는 덮개부(62)와, 상기 본체(61)의 내부에 형성되고 메모지가 수납되는 메모지 수납부(65)와, 상기 본체(61)의 내부에 형성되고 펜이 수납되는 펜 수납부(미도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The acoustic device case 6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f a leather material and a wireless headset is accommodated therein, and is formed above the main body 61 and the main body ( 61, a cover 62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wireless headset 1 accommodated therein, a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65 formed inside the main body 61 and storing the memo paper, and the main body 61; It is formed in the interior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en housing (not shown) in which the pen is accommodated.

상세히, 상기 본체(61)는 신축성 있는 가죽 소재의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무선 헤드셋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압착되어 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반면, 내부에 무선 헤드셋이 수용될 때에는, 상기 무선 헤드셋이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확장가능하도록 형성된다. In detail, since the main body 6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tretchable leather bag, the main body 61 may be compressed in a state where the wireless headset is not accommodated, thereby minimizing its volume.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less headset is accommodated therein,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to be expandable to accommodate the wireless headset.

한편, 상기 본체(61) 내부에는 메모지 수납부(65)가 더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61)의 내부에는 메모지가 수납되는 메모지 수납부(65)가 일종의 주머니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 수납부(65)의 입구에는 지퍼(69) 등이 형성되어, 상기 메모지 수납부(65)에 수납된 메모지의 탈거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61 is a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65 is further formed. In detail, the inside of the main body 61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kind of pocket of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65 in which the memo paper is stored. In addition, a zipper 69 may be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65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memo paper stored in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65.

또한, 상기 본체(61)의 내부 일 측에는 펜 수납부(67)가 형성되고, 상기 펜 수납부(67)에 펜(68)이 결합된다.In addition, a pen accommodating portion 67 i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main body 61, and a pen 68 is coupled to the pen accommodating portion 67.

한편, 도면에는 상기 메모지 수납부(65) 및 펜 수납부(67)가 본체(6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메모지 수납부(65) 및 펜 수납부(67)가 본체(61)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 또는 메모지 수납부(65)와 펜 수납부(67) 중 어느 일 측은 본체(61)의 외측에 형성되고 타 측은 본체(61)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 등 다양한 실시예가 본 고안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memo paper housing 65 and the pen housing 67 is shown to b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61,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mo paper storage unit 65 and The pen housing portion 67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61 or one side of the memo pad storage portion 65 and the pen housing portion 67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61,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61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embodiments may be deriv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being formed in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신축성이 있고 형태 변형이 일정 정도 자유로워 물품의 수용이 용이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 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Due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lasticity and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are free to some extent, so that it is easy to receive the article, provides a soft touch, improves the user's wearing comfort, absorbs the impact from the outside, an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It works.

<제 7 실시예>Seventh Example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본체의 형상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6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par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ix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shape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 without description thereof will use the description of the sixth embodim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8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70)의 본체(71)는 가죽 소재로 형성되고, 핸드폰 케이스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 외측에 펜 수납부(77) 및 메모지 수납부(7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18, the main body 71 of the acoustic device case 7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leather material and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mobile phone case so that the pen housing 77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And memo paper storage unit 7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70)의 본체(71) 일 측에는 별도의 메모지 수납부(75)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모지 수납부(75)는 일반적인 장방형의 메모지가 수납 가능하도록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지 수납부(75)의 내부에 대략 상기 메모지 수납부(75)와 동일한 형상의 메모지(76)가 수용된다.In detail, a separate memo storage unit 75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71 of the acoustic device case 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memo paper housing 75 is formed in a hollow columnar shape to accommodate a general rectangular memo paper. In addition, a memo paper 76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75 is accommodated in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75.

여기서, 상기 메모지 수납부(75)는 상기 본체(7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모지 수납부(75)는 본체(71)와는 별도 부재로 형성되어, 접착 부재 등에 의하여 본체(71)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Here, the memo paper housing 7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71. Alternatively, the memo paper housing 75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main body 71, and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71 by an adhesive member or the like.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지 수납부(75)의 일 측면에는 홈 형상의 메모지 인출부(7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모지 인출부(79)는 메모지 수납부(75)의 일 측에 함몰 형성되어, 메모지 수납부(75)에 수용되어 있는 메모지(76) 일부가 메모지 수납부(75)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메모지 인출부(79)에 노출되어 있는 메모지(75)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메모지(75)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Preferably, a groove-shaped memo paper withdrawal unit 79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memo paper housing 75. In detail, the memo paper extractor 79 is recessed on one side of the memo paper storage unit 75 so that a part of the memo paper 76 accommodated in the memo paper storage unit 75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mo paper storage unit 75. Be sure to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memo sheet 75 by pulling the memo sheet 75 exposed to the memo sheet dispensing unit 79.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신축성이 있고 형태 변형이 일정 정도 자유로워 물품의 수용이 용이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되는 동시에, 메모지가 용이하게 인출 가능한 메모지 수납부가 구비되는 음향기기 케이스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lastic device is flexible and the shape deformation is free to some extent, so that the storage of the article is easy, and the user's wearing comfort is improved by providing a soft touch, and at the same time, the memo sheet accommodating unit is provided with a memo sheet for easy retrieval. The effect is that the case is provided.

본 고안에 따른 음향기기 케이스에 의해서, 음향기기 케이스에 펜 및/또는 메모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 시, 이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필요한 사항을 메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the acoustic devic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 and / or note paper is provided in the audio device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quickly and easily take note of the necessary matter by using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상기 무선 헤드셋의 사용 중 메모가 필요할 경우, 메모지 및 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통화 내용을 메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needs a memo while using the wireless headset, there is an effect that a memo and a pen can be easily memoized by using a call.

또한, 메모지가 용이하게 인출 가능한 메모지 수납부가 구비되는 음향기기 케이스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ase is provided with an audio device provided with a memo paper storage portion that can be easily withdrawn.

또한, 본체와 클립이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간결한 형상의 무선 헤드셋 고정부가 형성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감소되고, 외관이 미려한 음향기기 케이스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and the clip are integrally formed and at the same time a simple shape of the wireless headset fixing part is forme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appearance of the audio device case with a beautiful appearance is provided.

또한, 신축성이 있고 형태 변형이 일정 정도 자유로워 물품의 수용이 용이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 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ity and deformation of the shape is free to some extent, it is easy to accommodate the article, provides a soft touch to improve the user's wearing comfort, the impact from the outside can be absorbe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또한, 점착식 메모첩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메모지를 원하는 장소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memo pad is provided, the user can attach the memo paper to a desired place.

Claims (18)

음향기기가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본체가 형성되고,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detachably accommodated sound equipment, 메모지가 수용되는 메모지 수납부와 펜이 결합되는 펜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는 음향기기 케이스.And at least one of a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 memo paper and a pen accommodating portion to which a pen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내부에 음향기기가 거치되는 본체;A main body in which an acoustic device is mounted;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메모지가 수용되는 메모지 수납부; 및 A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memo paper; And 상기 본체의 외부 일 측에 형성되어 펜이 거치되는 펜 수납부;가 포함되는 음향기기 케이스.And a pen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pe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모지 수납부에 수용되는 메모지가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메모지 출납홈이 형성되는 음향기기 케이스.And a memo paper entry / receiv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emo paper accommodated in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can be pulled out.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 및 메모지 수납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모지 수납부에 두루마리 형상의 메모지가 수용되는 음향기기 케이스.The main body and the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ound device case is accommodated in the scroll-shaped memo paper.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메모지가 용이하게 절단 가능하도록, 상기 메모지에는 하나 이상의 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케이스.One or more cutting parts are formed in the memo paper so that the memo can be easily cut.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펜 수납부와 펜 중 적어도 일 측에는 자성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케이스.And at least one side of the pen housing and the pen, wherein a magnetic member is formed. 음향기기가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음향기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 A main body in which a seat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ound apparatus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sound apparatus; 상기 본체의 외부 일 측에 형성되는 펜 수납부; 및A pen housing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메모지 수납부;가 포함되는 음향기기 케이스.And a memo paper storage uni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본체의 일 측에는 상기 본체가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클립이 더 형성되는 음향기기 케이스.One side of the main body is an acoustic device case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clip is easily mounted. 클립이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 및A main body in which a clip is integrally formed; And 메모지가 수용되는 메모지 수납부와 펜이 결합되는 펜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는 음향기기 케이스.And at least one of a memo paper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 memo paper and a pen accommodating portion to which a pen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클립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케이스.The clip is an acoustic device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본체에는 음향기기의 고정 위치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음향기기 케이스.The main body is a sound device case protruding one or more fixing parts for supporting a fixed position of the sound device. 음향기기가 수용되는 본체; 및A main body accommodating sound equipment; And 상기 본체 일측에 결합되고, 메모를 기록하는 전면과 탈부착 가능한 접착제가 도포된 이면을 포함하는 메모지가 복수 매 적층되어 형성되는 점착식 메모첩;이 포함되는 음향기기 케이스.And an adhesive memo pad,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memo papers including a front surface for recording a memo and a back surface on which a detachable adhesive is applied.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점착식 메모첩 이면의 일 단부에만 탈부착 가능한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과 접착제가 도포되지 아니한 부분이 서로 교차되도록 메모지가 적층되는 음향기기 케이스.A detachable adhesive is applied to only one end of the back side of the adhesive memo pad, and a note paper is laminated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adhesive is applied and the portion where the adhesive is not applied are laminated to each other.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측이 개구된 메모지 수납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메 모지 수납부에 상기 점착식 메모첩이 수용되는 음향기기 케이스.One side of the main body is an acoustic device case is further formed, the upper side is opened, the adhesive memo pad is accommodated in the message receiving portion. 가죽 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무선 헤드셋이 수용되는 본체;A main body formed of a leather material and having a wireless headset therein;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메모지가 수용되는 메모지 수납부; 및A memo paper accommodating part formed in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memo paper; And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펜이 결합되는 펜 수납부;가 포함되는 음향기기 케이스.And a pe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and having a pen coupled thereto.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본체에 수용되는 무선 헤드셋의 탈거가 방지되도록 덮개부가 더 포함되는 음향기기 케이스.An audio equipment case further comprising a cover part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wireless headse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메모지 수납부는 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음향기기 케이스.The note holder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case.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메모지 수납부 및 펜 수납부는 본체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 케이스.The note holder and the pen housing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se of the audio device.
KR2020060025790U 2006-09-25 2006-09-25 Case of Sound instrument KR20043447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790U KR200434470Y1 (en) 2006-09-25 2006-09-25 Case of Sound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790U KR200434470Y1 (en) 2006-09-25 2006-09-25 Case of Sound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470Y1 true KR200434470Y1 (en) 2006-12-20

Family

ID=4178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790U KR200434470Y1 (en) 2006-09-25 2006-09-25 Case of Sound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47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192B2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US6698560B2 (en) Cord holder device
US9004333B2 (en) Cases and cover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140128132A1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s
EP2906074B1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s
KR100760278B1 (en) Wireless headset
US7822448B2 (en) Protective apparatus for a portable device
KR100689031B1 (en) Wireless headse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461004B1 (en)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KR200478010Y1 (en) Card wallet for a cellphone
KR101483146B1 (en) multi-function case for mobile phone
KR200434470Y1 (en) Case of Sound instrument
KR100725628B1 (en) Wireless headset
KR200427806Y1 (en) Case of Sound instrument
KR200430647Y1 (en) Case of Sound instrument
KR100760341B1 (en) Sound instrument
KR100806940B1 (en) Cradle type bluetooth wireless headset case
US20080108387A1 (en) Carrying case with integrated input-output device
KR20210094923A (en) foldable phone case
KR200375089Y1 (en) Case of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N220023020U (en) From wired earphone of taking in function
KR200472574Y1 (en) Cell-phone protecting case with purse
KR100725626B1 (en) Sound instrument
KR101489095B1 (en) Safty Case for Cellular phone with earphone fastening device
KR101529168B1 (en) Wallet Type Mobile Phon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