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448Y1 - 정수기 저수탱크 오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 저수탱크 오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448Y1
KR200434448Y1 KR2020060023876U KR20060023876U KR200434448Y1 KR 200434448 Y1 KR200434448 Y1 KR 200434448Y1 KR 2020060023876 U KR2020060023876 U KR 2020060023876U KR 20060023876 U KR20060023876 U KR 20060023876U KR 200434448 Y1 KR200434448 Y1 KR 200434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air
membran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심
Original Assignee
윤명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심 filed Critical 윤명심
Priority to KR2020060023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4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4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정수기의 고기능 필터에서 정수된 음용수가 정수에서부터 음용 시 까지 외부공기와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완전 밀폐 구조를 갖는 저수탱크 중에서, 저수기능과 냉각기능을 동시에 갖춘 직렬방식 스테인리스 저수탱크에 위생막 을 내장한 정수 수보관 저수탱크.
Figure 112006507045573-utm00001
정수기. 저수탱크. 위생 막. 오염방지. 공기 무 접촉.

Description

정수기 저수탱크 오염방지장치{Preventing contamination system for direct connected storage tank for purified water}
도1은 직렬식 물탱크 상세도이다
도2는 물탱크 만수 시 위생막이 외부 공기가 배출된 후 수압에 의해 수축된 단면도이다.
도3은 물탱크의 위생막이 출수 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로 인하여 팽창된 단면도이다.
도4는 물탱크 내부에 물이 유입될 때 위생막이 접혀지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모습이다.
도5는 위생막 투시도이다
도6은 위생막 단면도이다
오늘날 모든 가정과. 업소, 직장, 단체마다 정수기는 가장 보편적인 생활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가장 위생적 이어야 할 정수기가 항상 세균문제로 여름철만 되면 보도매체들의 단골 메뉴로 등장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일부 정수기의 경우 미네랄까지 제거할 정도로 깨끗한 물을 만들어내지만, 정작 마시게 되는 물에서 세균이 검출되는 이유는 바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의 잘못된 구조 때문이다.
즉 탱크 내에 정수된 물이 들어오고 나갈 때 수량의 증감에 따라 공기가 물과 반대로 드나들면서 대기 중의 각종 병원균 및 먼지 등 다양한 오염원을 운반한다. 심지어 집 개미나 심한 경우 바퀴벌레까지 침투가 가능한 정수기의 구조를 개선하지 않고서는 음용수의 위생 상태를 보장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UV살균기나 필터를 정수기 물통 내부에 장착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이미 유입된 오염원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이 아니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정수수를 공기나 오염원으로부터 완전히 차단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기존 저장탱크의 구조는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할 경우, 탱크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입수와 출수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고안은 필터를 통과한 물을 각종 오염원을 운반하는 공기의 유통으로부터 완전히 차단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위생막이다. 이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작은 벌레는 물론 오염원인 공기의 접촉까지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위생적인 상태로 정수수를 음용할 때 까지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제작되거나 시판되어 사용 중인 직렬식 정수기에 별도의 장치 없이 간단히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본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근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의 기호 1번은 직렬식 정수방식의 스테인리스 물탱크이다.
도1의 기호 2번은 물탱크 덮개이다. 덮개 내부에는 물이 덮개에 직접 닿지 않도록 3cm 두께와 스티로폼을 부착한다. 이렇게 하면 만수 시 수위가 스티로폼만큼만 상승하게 된다. 또 냉각되어진 물로 인해 덮개 외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의 기호3 번은 물탱크 외부 보온장치인 스티로폼이다. 기호 4번과 5번은 냉각장치 냉매 호스이다.
도1의 기호6번은 공기통풍구이다. 정수수의 원활한 유입과 유출을 위해 덮개 상단에 1mm 정도의 구멍을 뚫는다.
도1의 기호 7번은 정수탱크로 입수되는 정수수 유입관이다.
도1의 기호8번은 본 고안품인 위생막이 물탱크 내부를 감싸며 설치되고, 입구가 통 외부를 약간 감싸 안은 모습이다.
도3의 기호9번은 덮개 상단에 부착된 스티로폼이다.
도3의 기호 10번은 냉 온수 유출구이다.
도3의 기호 11번은 덮개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고탄력 원형 패킹이다.
도3의 기호 12번은 위생막 공기 배출구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와 같이 정수수가 유입되면 위생막 하단부는 수압에 의해 상승하며 상단에 있는 공기를 덮개에 있는 공기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며, 수압에 의해 계속 상승해 도2와 같이 상단의 스티로폼에까지 닿게 되어, 통 내부는 물로 가득 차게 된다. 이때 스테인리스 재질의 덮개와 저장탱크 몸체는 결속장치에 의해 수압 이상으로 강하게 결속되어 있기 때문 에, 수위 감지장치나 별도의 차단장치가 없어도 정수는 자동으로 중단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3의 경우는 정수수가 완전히 배출된 모습이다. 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상단 덮개의 공기 유입구 를 통해서 공기가 유입됨으로 위생막 내부의 물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3의 기호 9번처럼 덮개 내부에는 스티로폼을 약3cm 정도 두께로 부착하여 수위 상승을 억제하며, 동시에 냉각된 정수수가 덮개 외부에 이슬 맺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덮개와 저수탱크 본체가 만나는 지점에는, 고탄력의 원형 패킹을 위생막과 상단 덮개 사이에 설치하고, 저장탱크 본체와 덮개를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강한 힘으로 결속함으로써, 상단 덮개의 공기유출입구 외에 다른 곳으로부터는 공기가 유입될 수 없도록 밀봉한다. 또한 도3의 기호 12번과 같이 위생 막 중심에는 개폐가 가능한 공기 배출구를 만들어 필터 교환이나, 기타 정비작업 등 여러 이유로 인하여 발생되는 공기를 배출 할 수 있도록 한다.
고기능 필터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정수에서 음용 시까지 공기를 비롯한 각종 오염원들로부터 완전히 격리시켜 보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수기는 크게 역 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한 정수 방식과 중공사막 멤브레인 정수 방식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다시 직렬식과 병렬식으로 나뉘는데, 병렬식은 정수기 상단에 플라스틱 물탱크를 설치하고, 하단부에 온수탱크와 냉수탱크를 별도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식이다. 직렬식은 냉수탱크를 생략하고, 정수기 상단에 스테인리스 재질로 물탱크를 만든 후 물탱크에 냉각장치를 부착하여 직접 냉각하며, 하단부에는 온수탱크만 구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어떤 형태의 정수기든 기존 제품은 출수와 입수가 지속적으로 반복됨으로써 수량의 증감에 따라 물탱크 상단의 공기 통풍구를 통해서 공기가 드나들며, 공기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먼지 등 외부의 각종 오염물질로 인하여 정수수가 끊임없이 오염된다. 시간이 갈수록 이러한 오염물질은 누적되어 정수수 오염은 가중되게 된다.
일부제품의 경우 물탱크 내부에 UV살균기나 세라믹 필터를 설치하거나, 물탱크 내부를 은나노 코팅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런 방식은 오염원의 침투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을 전제하는 방식으로서, 오염원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방식과는 거리가 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 기술적 과제는 오염원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물탱크를 완전 밀폐된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일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 물탱크가 진공상태가 되어 입수와 출수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유연성이 있는 비닐 또는 PVC 폴리에틸렌, 기타 합성수지 계통의 무독성 재질을 이용하여, 오염원과 접촉 없이 완전히 밀폐된 청정 공간에서 정수수가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존 정수수 보관통 내부에 위생막을 설치하여, 정수수가 유입 시에는 수위와 같이 팽창하여 상승하고 출수 시에는 수위가 내려가는 만큼 수축하여 하강함으로써 원활한 입수와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고안된 비닐, PVC, 폴리에틸렌과 기타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한 신축성 있는 무독성 위생막과 위생막 중심부에 개폐가 가능한 공기배출구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수된 물이 정수에서부터 음용시 까지 공기나 각종 오염원과 접촉되지 않고 위생적으로 보관되며, 기존 수위조절 장치나 자동잠금장치인 볼탑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자재비 및 생산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일부 이온수기 또는 수소포함수를 생산하는 필터를 장착한 정수기의 경우 시원한 물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맞춰 냉각을 해야 하나, 물탱크에 보관되는 과정에서 수소가 증발하여 원하는 품질을 보장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고육책으로 선 냉각 후 이온화 방식을 택함으로써, 음용 목적이 아닌 산성수까지 냉각해야 하는 에너지 낭비 요인을 동반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물을 이용할 경우 증발의 염려가 없어, 음용수만을 위한 후 냉각 방식을 택할 수 있어 훨씬 경제적이다. 복합기능을 갖는 필터의 경우에도 애써 만든 수소의 증발을 억재 할 수 있어 각 제품들의 효능을 최대한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정수기 내부의 직렬식 냉각기능을 포함한 저수물탱크에 비닐, PVC, 폴리에틸렌, 합성수지 계통의 다양한 재질을 소재로 하여, 공기와 접촉 없이 정수수를 저장할 수 있는 위생막.
  2. 이온수기 및 수소 발생 정수기, 산소발생 정수기 등에 직렬식 냉각기능이 포함한 물탱크에 비닐, 폴리에틸렌, PVC, 합성수지 계통의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산소 등 각종 미네랄의 증발 및 산화를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
  3. 수소포함수를 생산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필터 또는 전기 분해방식인 이온수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소포함수를 생산 시 수소 증발을 억제할 목적으로 직렬식 냉각기능을 포함한 저수탱크에 사용되는 비닐, 폴리에틸렌, PVC, 합성수지 계통의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 막.
KR2020060023876U 2006-09-01 2006-09-01 정수기 저수탱크 오염방지장치 KR200434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876U KR200434448Y1 (ko) 2006-09-01 2006-09-01 정수기 저수탱크 오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876U KR200434448Y1 (ko) 2006-09-01 2006-09-01 정수기 저수탱크 오염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656A Division KR20060095890A (ko) 2006-08-08 2006-08-08 정수기 저수탱크 오염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448Y1 true KR200434448Y1 (ko) 2006-12-21

Family

ID=4178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876U KR200434448Y1 (ko) 2006-09-01 2006-09-01 정수기 저수탱크 오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4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6518B2 (ja) 2018-07-16 2024-04-12 コーウェイ株式会社 冷水タン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6518B2 (ja) 2018-07-16 2024-04-12 コーウェイ株式会社 冷水タン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188B1 (ko) 휴대용 정수기
JP7297864B2 (ja) 空気浄化のための生物学的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626242B1 (ko) 이동 가능한 식수 회수 시스템 및 식수 생성 장치
US20120055888A1 (en) Outlet for shower or faucet head
WO2004105916A1 (en) Water treatment devices and cartridges therefor
KR200434448Y1 (ko) 정수기 저수탱크 오염방지장치
CN207435229U (zh) 一种多功能高效污水处理设备
CN106955584A (zh) VOCs生物降解洗涤系统
US20020066698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and vessel
KR20060095890A (ko) 정수기 저수탱크 오염방지장치
KR100758020B1 (ko)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수처리기
JP5072193B2 (ja) 自重濾過装置を備えた飲水器
JPH03186A (ja) 浄水器
WO2019096231A1 (zh) 净化滤芯及净水杯
JP2004508184A (ja) 浄水装置
CN206911120U (zh) VOCs生物降解洗涤系统
JPH04953Y2 (ko)
US8075678B1 (en) Portable water extracting and purif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200384936Y1 (ko) 아연이온화장치가 부착된 정수기
CN206720977U (zh) 一种小型生活污水处理设备
CN209501260U (zh) 有机废气循环净化设备的冷凝器
CN205481407U (zh) 一种地下排风系统用空气自动过滤净化系统
KR20080056792A (ko) 공기정화시스템
CN101898807A (zh) 曝气式家用常压净水器
US20190077684A1 (en) System for Treating Sew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7

Year of fee payment: 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