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356Y1 - 집게 차량용 전자척 - Google Patents

집게 차량용 전자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356Y1
KR200434356Y1 KR2020060026126U KR20060026126U KR200434356Y1 KR 200434356 Y1 KR200434356 Y1 KR 200434356Y1 KR 2020060026126 U KR2020060026126 U KR 2020060026126U KR 20060026126 U KR20060026126 U KR 20060026126U KR 200434356 Y1 KR200434356 Y1 KR 200434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ase
chuck
attached
electronic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기
Original Assignee
한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기 filed Critical 한영기
Priority to KR2020060026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3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3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게 차량용 전자척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내에 코일이 권회된 코어가 안치되는 전자척에서, 해당 코어 또는 케이스를 사각 형상으로 구성하고 해당 코어, 또는 케이스, 또는 코어와 케이스에 해당 코어와 동일한 재질의 연결 수단을 부착시켜 해당 전자척내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의 자성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척, 집게차

Description

집게 차량용 전자척{ELECTROMAGNETIC CHUCK OF CARGO CRA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척이 채용된 집게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형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형 전자척의 작업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각형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일반적인 사각형 전자척의 자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부착면
20 : 본체 21 : 코일
22 : 코어 31 : 연장구
32 : 모서리 메움구 33 : 모서리 연결구
34 : 코어변 부착구 35 : 부착면 완충구
본 고안은 집게 차량용 전자척에 관한 것으로, 주로 철물 수집상이나 공사장 등에서 사용되는 집게 차량에 설치되어 주변 철재물을 자력으로 부착하는 전자석인 전자척을 작업이 용이한 사각형 박스 형태로 형성하며, 철재물 부착면의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의 자력을 강화시키고 전체 철재물 부착면이 고른 자력을 가지도록 하면서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빠른 철재물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집게 차량용 전자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척은 내부 코어에 코일이 권회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코일에 흐르면 일정한 자성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자력을 통해 철물 수집상에서 철물 추출 및 이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공사장에서 철재 가공 작업의 뒷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전자척에 인가되는 전원은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를 하거나 별도의 발전기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에 이러한 전자척이 장착된 집게 차량이 도시되어 있다.
집게 차량은 암이 설치된 본체를 좌우 회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암 역시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집게 차량은 암의 말단에 부착된 전자척(1)은 전선(2)을 통해 인입되는 전원에 따라 자성을 가진 전자석으로 변환되어 주변의 철재물을 흡입해 부착하게 된다.
도 2에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전자척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자척은 대 게 원형의 케이스(3) 내에 코어(4)와 코일(5)이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전자척은 그 케이스(3) 외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제 작업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원형의 전자척은 일예로 짐차의 화물칸과 같은 공간에서 철재물을 흡착할 경우 그 형상의 특이성 때문에 필연적으로 흡착 불가능 구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흡착 불가능 구역의 경우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해당 철재물을 수거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케이스(3)의 내부에 코어(4)와 코일(5)이 구성된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 전자척도 개발된 바 있다.
하지만, 코어(4)에 권회되는 코일(5)의 특성상 케이스(3)의 4 군데 모서리에는 케이스(3)의 변과 달리 권회된 코일(5)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서는 비교적 작은 자력이 발생되게 된다.
더군다나, 코어(4)와 케이스(3)간의 거리에 있어서, 코어(4)의 변과 케이스(3)의 변간의 거리(a)와 코어(4)의 모서리와 케이스(3)의 모서리간의 거리(b)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각형상의 전자척은 전체적으로 균등한 자력을 발생시키는데 많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실제 철재물 흡착과 같은 작업의 능률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철재물을 부착하는 철재물 부착면이 전체적으로 대단히 불균일한 자력 분포를 가지게 됨으로써 작업시 필연적으로 해당 철재물 부착면에는 불균일하게 철 재물이 부착될 수 밖에 없어 해당 전자척은 작업 중 쉽게 수평 균형을 잃게 되어 조정자가 작업시 전자척을 제어하기 힘들게 한다. 또한 이러한 전자척의 균형 상실은 작업 시간의 지연은 물론 사용되는 배터리 전원의 낭비와 차량 동력 낭비를 가져오게 되며, 결과적으로 전자척을 이용한 철재물 수거 및 운송 작업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각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는 전자척을 구성하여 짐차의 화물칸이나 작업장에서 철재물을 수거할 때 흡착 불가능 구역이 발생하지 않는 전자척을 제작함과 동시에, 해당 사각형상의 전자척에서 낮은 자기장 분포를 가지는 구역의 자력을 강화시켜 전체 철재물 부착면의 자력 세기 분포를 개선시킴으로써 철재물 수거 및 운송 작업시 철재물의 흡착력 강화와 동시에 전자척의 움직임 조정 및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집게 차량용 전자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집게 차량용 전자척은, 케이스내에 코일이 권회된 코어가 안치되는 전자척에서, 해당 코어 또는 케이스를 사각 형상으로 구성하고 해당 코어, 또는 케이스, 또는 코어와 케이스에 해당 코어와 동일한 재질의 연결 수단을 부착시켜 해당 전자척내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의 자성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수단은 판형의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해 당 코어의 모서리에 부착되고 타단이 해당 케이스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코어와 케이스를 연결시키는 연장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수단은 삼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케이스의 모서리를 이루는 변과 변 사이에 부착되어 해당 케이스의 모서리를 메우는 모서리 메움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수단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케이스의 모서리를 이루는 변과 변에 각각 양 끝단이 부착되어 해당 모서리를 이루는 변과 변을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수단은 해당 코어의 측면벽과 코일과의 사이에 위치되되, 해당 코어의 모서리와 모서리에 각각 양 끝단이 부착된 상태로 중앙부위가 돌출되는 판형의 코어변 부착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수단은 해당 케이스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중 철재물의 부착이 이루어지는 부착면에서 상기 코어의 위치와 대응되는 부착면에는 비철금속 재질의 부착면 완충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주로 철물 수집상이나 공사장 등에서 사용되는 집게 차량에 설치되어 주변 철재물을 자력으로 부착하는 전자석인 전자척을 작업이 용이한 사각형 박스 형태로 형성하며, 철재물 부착면의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의 자력을 강 화시키고 전체 철재물 부착면이 고른 자력을 가지도록 하면서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빠른 철재물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집게 차량용 전자척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일반적인 사각형 전자척의 자력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는 일반적인 사각형상 외관을 가지는 전자척에서 각 중요 부위에 대한 자기장의 크기가 표시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전자척의 최중심인 코어 중심부(코어의 중심부는 채워지거나 사각홀 형태로 천공될 수 있다)(A)는 700G, 코어 중심부 외곽 모서리(B)는 1176G, 코어의 모서리(C)는 11730G, 코어의 변(D)은 4560G,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E)는 440G, 케이스의 내측 변(F)은 3420G, 케이스의 외측 모서리(H)는 1580G의 자기장 세기를 가지게 된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전자척에서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E)와 외측 모서리(H)는 440G 및 1580G의 자기장 세기를 가지는데, 이는 타 부위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수치이다. 또한 코어의 변(D)은 4560G의 자기장 세기를 가지는데 이 역시 11730G의 자기장 세기를 가지는 코어의 모서리(C)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수치이다.
이러한 약소 자력 분포 부위(E, H, D)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작업시 필연적으로 해당 철재물 부착면이 불균일하게 철재물을 부착할 수 밖에 없게 만들어 쉽게 전자척의 수평 균형이 흔들리기 때문에 해당 전자척 조정자가 작업 중 전자척을 제어하기 힘들게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이러한 약소 자력 분포 부위(E, H, D)의 자기장 세기를 강화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들을 통해 전자척의 움직임 안정화와 제어 안정화 역시 달성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약소 자력 분포 부위 중 전자척에서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E) 및 외측 모서리(H) 부위에 대한 자기장의 세기를 개선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전자척에서 내측에 마련된 코어(22)와 해당 전자척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의 내측 모서리에는 바(Bar) 형태의 연장구(31)가 연결된다.
여기에서 코일(21)이 권회되는 코어(22)는 순철(pure iron)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코어(22)는 탄소를 비롯하여 산소·질소·규소·수소·인·황 등의 불순물이 배재된 순수 철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 형태의 연장구(31) 역시 해당 코어(22)와 동일한 순철을 판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해당 코어(22)의 외측 모서리에는 해당 외측 모서리 형상에 대응되는 암형의 모서리 접속부가 부착되게 되고, 또한 해당 케이스(10)의 내측 모서리에는 해당 내측 모서리 형상에 대응되는 숫형의 모서리 접속부가 부착되어, 전체 연장구(31)가 해당 코어(22) 모서리와 케이스(10) 모서리를 연결하게 된다.
여기에서 해당 케이스(10)는 철재 재료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구(31)는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코어(22) 및 케이스(10)의 최상단에 돌출되지 않게 동일한 높이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코어(22)와 동일한 순철로 이루어지는 해당 연장구(31)는 케이스(10)내에서 코어(22)가 차지하는 전체 면적을 넓혀 자로의 형성을 보다 원활하게 하며, 코어(22)에서의 자기장을 케이스(10)의 모서리로 연장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해당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인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E) 부위에 대한 자기장의 세기를 종래 440G 에서 1140G로 강화시키며, 또한 케이스의 외측 모서리(H) 부위에 대한 자기장의 세기를 종래 1580G 에서 1623G로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약소 자력 분포 부위 중 전자척에서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E) 부위에 대한 자기장의 세기를 개선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전자척에서 케이스(10)의 모서리 부위에는 해당 모서리를 메우는 판 형태의 모서리 메움구(32)가 부착된다.
이러한 모서리 메움구(32)는 해당 코어(22)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순철을 판형으로 성형하여 부착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서리 메움구(32)는 해당 케이스(10)의 모서리 부위가 전체적으로 90°의 각도를 가지게 되므로 이에 상응하는 각도를 이 루는 두개의 변과 해당 변들을 연결하는 변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판형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해당 모서리 메움구(32)는 케이스(10)의 내측 모서리 부위를 일정부분 메우게 되며, 결과적으로 해당 케이스(10)가 사각형이 아닌 내부 코어(22)에 감긴 코일(21)의 형상(타원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케이스(10) 내측면을 개조하게 된다. 즉, 해당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1)의 최외곽 부위와 케이스(10)의 내측이 거의 상응하는 형상을 가져 그 이격 거리가 종래에 비해 상당히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서리 메움구(32)는 사각형 케이스의 특성상 코어(22)의 모서리와 케이스(10)의 모서리간의 거리가 코어(22)의 변과 케이스(10)의 변간의 거리에 비해 멀던 것을, 가깝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서리 메움구(32)는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코어(22) 및 케이스(10)의 최상단에 돌출되지 않게 동일한 높이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코어(22)와 동일한 순철로 이루어지는 해당 모서리 메움구(32)는 케이스(10)내에서 코어(22)가 차지하는 전체 면적을 넓혀 자로의 형성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케이스(10)의 모서리와 코어(22)간의 거리를 단축시키게 되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코일(21)의 형상과 동일한 케이스(10) 내측면을 제공하게 되므로 해당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인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E) 부위에 대한 자기장의 세기를 종래 440G 에서 1210G로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는 약소 자력 분포 부위 중 전자척에서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E) 부위에 대한 자기장의 세기를 개선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전자척에서 케이스(10)의 모서리 부위에는 해당 모서리를 이루는 케이스의 변과 변을 연결하는 판 형태의 모서리 연결구(33)가 부착된다.
이러한 모서리 연결구(33)는 해당 코어(22)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순철을 판형으로 성형하여 부착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서리 연결구(33)는 해당 케이스(10)의 모서리 부위를 구성하는 양측의 변, 즉 90°의 각도로 형성된 케이스의 두 변을 연결한다. 여기에서 해당 케이스(10)의 모서리와 마주하는 모서리 연결구(33)의 내측은 역시 90°의 각도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해당 모서리 연결구(33)는 해당 케이스(10)의 내측 모서리 부위를 일정부분 메우게도 되지만 그 성형된 외관의 특성상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22)의 모서리와 상당히 가까운 위치에(제 2 실시예에 비해) 위치되게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서리 연결구(33)는 사각형 케이스의 특성상 코어(22)의 모서리와 케이스(10)의 모서리간의 거리가 코어(22)의 변과 케이스(10)의 변간의 거리에 비해 멀던 것을, 가깝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서리 연결구(33)는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코어(22) 및 케이스(10)의 최상단에 돌출되지 않게 동일한 높이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코어(22)와 동일한 순철로 이루어지는 해당 모서리 연결구(33)는 케이스(10)내에서 코어(22)가 차지하는 전체 면적을 넓혀 자로의 형성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케이스(10)의 모서리와 코어(22)간의 거리를 단축시키게 되므로 해당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인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E) 부위에 대한 자기장의 세기를 종래 440G 에서 1208G로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는 약소 자력 분포 부위 중 전자척에서 코어의 변(D) 부위에 대한 자기장의 세기를 개선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전자척에서 코어의 변(D) 부위에는 해당 변을 어느정도 돌출되게 하는 코어변 부착구(34)가 부착된다.
이러한 코어변 부착구(34)는 해당 코어(22)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순철을 판형으로 성형하여 부착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코어변 부착구(34)는 해당 코어(10)의 측면벽에 덧대어지도록 얇은 판형으로 성형되며, 양 끝단이 코어(10)의 측면벽에 부착되게 된다. 여기에서 해당 코어변 부착구(34)의 길이는 코어(10)의 변 길이에 비해 길다.
상기 코어변 부착구(34)는 코어(10)와 그에 감기는 코일(21)의 사이에서 부착되게 되는데, 코어(10)가 사각형이고 이에 감기는 코일(21)은 코어의 변 위치에 약간의 공간을 가질 수 밖에 없으므로 해당 코어변 부착구(34)의 부착 공간은 확보된다.
따라서, 해당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변 부착구(34)는 말단 즉 코어(10)와 접착되는 코어(10)의 모서리쪽으로 갈수록 코어(10)와 짧은 이격간격을 가지게 되며, 중앙 즉 코어(10)의 변 중심 위치로 갈수록 코어(10)와 넓은 이격간격을 가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코어변 부착구(34)는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코어(22) 및 케이스(10)의 최상단에 돌출되지 않게 동일한 높이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코어(22)와 동일한 순철로 이루어지고 해당 코어(22)와 그에 감기는 코일(21)의 사이에 위치되는 해당 코어변 부착구(34)는 사각형으로 구성되는 코어(22)의 변이 차지하는 부피를 변 방향으로 볼록하게 넓혀 코어로 인한 자로의 형성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코어(22)의 변과 코일(21)간의 거리를 단축시키게 되므로 해당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인 코어의 변(D) 부위에 대한 자기장의 세기를 종래 4560G 에서 7730G로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다음으로, 도 10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자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실제 집게 차량에서는 전자척의 자성을 이용하여 철재물을 흡착 및 탈착시키기 위하여 해당 전자척에 인입되는 전류를 공급 및 차단시키는 방식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어느정도 해당 전자척의 코어(10)가 자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절재물들은 쉽게 해당 전자척에서 탈락되지 않고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작업 능률을 많이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즉, 빠르게 철재물을 흡착시키고 다시 탈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철재물을 수거 및 집하시키는 작업에서 해당 전자척에 대한 전원 인가가 중단되더라도 해당 전자척이 자성을 유지하게 되므로 항상 작은 크기의 절재물들이 어느정도 전자척에 붙어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밖에 없어서 전력의 낭비는 물론 작업 능률을 상당히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자척의 자성 유지는 대부분 코어의 자성 유지에 기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해당 전자척의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당 전자척에서 실재 철재물이 부착되는 부착면(11)에서 해당 코어(22)가 위치하는 자리에 부착면 완충구(35)를 삽입하게 된다.
이러한 부착면 완충구(35)는 비철금속(nonferrous metal)으로 이루어져 자성의 영향이 상당부분 배제된다.
따라서 해당 부착면 완충구(35)는 해당 전자척에 대한 전원 인입시에는 충분히 해당 철재물들에 대한 부착면으로서 철재물들을 흡착시키도록 작용하게 되지만, 해당 전자척에 대한 전원이 차단된 시점에서는 비철금속으로서 빠르게 자성을 잃어버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가장 강한 자성이 나타나는 코어(22)의 부근에서도 잔여 철재물이 남아있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비철금속 재질의 부착면 완충구(35)는 해당 부착면(11)과 동일한 두께로 성형되어 삽입되거나, 해당 부착면(11)의 일부분(바람직하게는 코어 위치)을 함몰시켜 함몰된 해당 부착면(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집게 차량용 전자척은 사각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는 전자척을 구성하여 짐차의 화물칸이나 작업장에서 철재물을 수거할 때 흡착 불가능 구역이 발생하지 않는 전자척을 제작함과 동시에, 해당 사각형상의 전자척에서 철재물 부착면 중 낮은 자기장 분포를 가지는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의 자력을 강화시켜 전체 철재물 부착면의 자력 세기 분포를 개선시킴으로써 철재물 수거 및 운송 작업시 철재물의 흡착력 강화와 동시에 전자척의 움직임 조정 및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구, 모서리 메움구, 모서리 연결구 및 코어변 부착구를 통해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인 전자척 케이스의 내측 모서리와 외측 모서리 그리고 코어의 변에 대한 자기장 세기를 강화시켜 전자척의 자성에 의한 흡착력 강화와 전자척의 움직임 조정 및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척의 철재물 부착면을 구성함에 있어 코어 위치의 철재물 부착면에 비철금속 재질의 부착면 완충구를 삽입시킴으로써 전자척에 대한 전원 인가의 중단시 가장 자성이 강한 해당 부위가 빠르게 자성을 잃어버리게 만들어, 코어의 부근에서도 잔여흡착 철재물이 남아있지 않게 해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빠르고 확실한 철재물 흡착 및 탈락이 가능하게 되어 철재물을 수거 및 집하 작업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케이스내에 코일이 권회된 코어가 안치되는 전자척에서, 해당 코어 또는 케이스를 사각 형상으로 구성하고 해당 코어, 또는 케이스, 또는 코어와 케이스에 해당 코어와 동일한 재질의 연결 수단을 부착시켜 해당 전자척내 약소 자력 분포 부위의 자성을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차량용 전자척.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판형의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해당 코어의 모서리에 부착되고 타단이 해당 케이스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코어와 케이스를 연결시키는 연장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차량용 전자척.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삼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케이스의 모서리를 이루는 변과 변 사이에 부착되어 해당 케이스의 모서리를 메우는 모서리 메움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차량용 전자척.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케이스의 모서리를 이루는 변과 변에 각각 양 끝단이 부착되어 해당 모서리를 이루는 변과 변을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차량용 전자척.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해당 코어의 측면벽과 코일과의 사이에 위치되되, 해당 코어의 모서리와 모서리에 각각 양 끝단이 부착된 상태로 중앙부위가 돌출되는 판형의 코어변 부착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차량용 전자척.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해당 케이스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차량용 전자척.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중 철재물의 부착이 이루어지는 부착면에서 상기 코어의 위치와 대응되는 부착면에는 비철금속 재질의 부착면 완충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차량용 전자척.
KR2020060026126U 2006-09-27 2006-09-27 집게 차량용 전자척 KR200434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26U KR200434356Y1 (ko) 2006-09-27 2006-09-27 집게 차량용 전자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26U KR200434356Y1 (ko) 2006-09-27 2006-09-27 집게 차량용 전자척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076A Division KR100751851B1 (ko) 2006-09-27 2006-09-27 집게 차량용 전자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356Y1 true KR200434356Y1 (ko) 2006-12-20

Family

ID=4178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26U KR200434356Y1 (ko) 2006-09-27 2006-09-27 집게 차량용 전자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3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133A (ko) * 2013-08-09 2015-02-23 한석민 흡착력 보강구조를 가지는 전자척
KR101892730B1 (ko) * 2017-06-09 2018-08-28 조석묵 부착력을 개선한 집게 차량용 전자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133A (ko) * 2013-08-09 2015-02-23 한석민 흡착력 보강구조를 가지는 전자척
KR101584216B1 (ko) * 2013-08-09 2016-01-11 한석민 흡착력 보강구조를 가지는 전자척
KR101892730B1 (ko) * 2017-06-09 2018-08-28 조석묵 부착력을 개선한 집게 차량용 전자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2696C2 (ru) Магнитное рельсовое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0213885B2 (en) Electromagnetic base for magnetic drill press
JP3810073B2 (ja) 電磁気成形を利用した結合方法
KR200434356Y1 (ko) 집게 차량용 전자척
KR100751851B1 (ko) 집게 차량용 전자척
CN103123844B (zh) 一种区域磁场强度增强组合永磁体
US11069464B2 (en) Method and assembly for producing a magnet
KR101022523B1 (ko) 흡착력을 개선한 집게 차량용 전자척
CN205943636U (zh) 一种强磁场组件
CN204067612U (zh) 一种汽车搭铁端子
CN201732654U (zh) 具有永磁偏磁的磁性元件
CN204737571U (zh) 一种新型起重电磁铁
CN206865829U (zh) 一种无焊插针结构
CN109291849B (zh) 一种卧式压力容器运输装置及运输方法
KR101584216B1 (ko) 흡착력 보강구조를 가지는 전자척
CN104766718A (zh) 烧结磁铁制造装置
JP4057092B2 (ja) 円弧状フェライト磁石の乾式磁場成型装置
KR101872665B1 (ko) 중장비 차량탑재용 전자척
CN207458699U (zh) 一种发声器的磁路系统及包括其的发声器
CN207299199U (zh) 壁挂板、分体机和壁挂板的安装结构
CN205096780U (zh) 线束支架焊接工装
CN211196175U (zh) 一种EPBi执行机构安装支架及汽车
KR100953122B1 (ko) 리프팅 전자석
CN205092115U (zh) 一种便于制造安装的三相电感用铁芯
CN208306470U (zh) 一种有效降低钢卷运输车钢卷侧翻事故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