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243Y1 - 공간확장 화장실 - Google Patents

공간확장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243Y1
KR200434243Y1 KR2020060024948U KR20060024948U KR200434243Y1 KR 200434243 Y1 KR200434243 Y1 KR 200434243Y1 KR 2020060024948 U KR2020060024948 U KR 2020060024948U KR 20060024948 U KR20060024948 U KR 20060024948U KR 200434243 Y1 KR200434243 Y1 KR 200434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pace
vehicle
space expansion
toil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림교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림교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림교역
Priority to KR2020060024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2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7/00Wheeled lavat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개시된 공간확장 화장실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차량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화장실본체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한 측에 대략 직육면체형상이며 내측면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소정공간에는 세면대를 구비한 공간확장부; 및 화장실본체와 공간확장부 사이에 개재되며, 화장실본체의 내측에서 외측 또는 화장실본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고, 그 이동에 따라 공간확장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공간확장 화장실은 공간화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넓고 쾌적한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공간, 확대, 간이, 이동, 화장실

Description

공간확장 화장실{Bathroom able to expand inlying space}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확장 화장실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간확장 화장실의 사시도,
도 2b은 도 2a의 공간확장 화장실의 측면도,
도 2c는 도 2a의 공간확장부가 외측으로 이동된 공간확장 화장실의 배면도,
도 2d는 도 2a의 공간확장부가 내측으로 이동된 공간확장 화장실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간확장 화장실의 배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공간확장 화장실 110,210...화장실 본체
120...이동부 130,230...화장실부스
140,240...변기 150,250...세면대
160,260...오수 저장부
본 고안은 공간확장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가능한 공간확장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분뇨 등 오수를 수용하기 위한 정화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공사장이나 공원 등과 같은 부지에 따로 정화조를 설치하여야하는 번거로움, 설치 작업시 인력과 시간 및 비용 등이 많이 지출되기 때문에 이동식 화장실을 구비하여, 일시적으로 필요하거나, 정화조설치가 어려운 부지 등에 간단한 시공만으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화장실을 구비한다.
이러한 이동식 화장실은, 차량을 통하여 이동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로 폭에 한정하여 화장실 폭을 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은 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변기의 개수도 제한되어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화장실을 사용함에 있어서 불쾌감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화장실을 사용함에 있어서 좁은 공간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쾌적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간확장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공간확장 화장실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화장실본체와; 상기 화장실본체의 하측 내부에 위치하며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이고 상기 화장실본체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부와; 상기 화장실본체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 부스와; 상기 화장실 부스 내부에 장착된 변기; 및 상기 화장실본체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변기로부터 이동된 분뇨가 저장되는 오수 저장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실본체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의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소정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관통홀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차량 길이방향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측부; 및 상기 관통홀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차량 길이방향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우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공간확장 화장실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화장실본체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한 측에 대략 직육면체형상이며 내측면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공간에는 세면대를 구비한 공간확장부; 및 상기 화장실본체와 상기 공간확장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측에서 외측 또는 상기 화장실본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고, 그 이동에 따라 상기 공간확장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화장실 본체와 상기 공간확장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확장 화장실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간확장 화장실(100)은 화장실본체(110)와, 이동부(120)와, 화장실 부스(130)와, 변기(140) 및 오수 저장부(16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공간확장 화장실(100)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본체(110)는 상기 차량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화장실본체(110)의 하측 내부에 위치되며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이고 상기 화장실본체(110)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화장실 부스(130)는 상기 화장실본체(110)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 되고, 상기 화장실본체(110)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의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소정위치에 관통홀(H)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관통홀(H)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차량 길이방향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측부(121) 및 상기 관통홀(H)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차량 길이방향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우측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좌측부(121) 및 상기 우측부(126)는 상기 화장실 부스(1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100)에 복도를 형성하게 된다. 복도를 형성하는 상기 좌측부(121) 및 상기 우측부(126)는 각각의 화장실 부스(130)마다 계단(미도시)을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러움과 계단을 설치하게 되는데 필요한 제작비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단은 사다리일 수 있으며, 상기 화장실 부스(130)로 이동하기 위하여 채용되는 계단이라면 다양한 응용례가 가능하다.
상기 좌측부(121)와 상기 우측부(126)는 각각 상기 좌측부(121)와 상기 우측부(126)를 이동시킬 수 있는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이동부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좌측부(121) 및 상기 우측부(126)의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는 한 쌍의 기어가 맞물려 작동하는 것으로, 한 쌍의 기어 중 한 개의 기어는 상기 관통홀(H)의 일 측에 장착되고, 또 다른 기어는 상기 이동부(120)에 장착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는 모터가 더 구비되어 동력으로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변기(140)는 상기 화장실 부스(130)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용무를 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화장실본체(110)는 세면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용무를 마치고 발생한 분뇨는 상기 오수 저장부(160)에 저장되는데, 상기 오수 저장부(160)는 상기 화장실본체(110)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변기(140)로부터 이동된 분뇨가 저장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간확장 화장실의 사시도이고, 도 2b은 도 2a의 공간확장 화장실의 측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공간확장부가 외측으로 이동된 공간확장 화장실의 배면도이고, 도 2d는 도 2a의 공간확장부가 내측으로 이동된 공간확장 화장실의 배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공간확장 화장실(200)은 화장실본체(210)와, 공간확장부(220), 이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실본체(210)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화장실(2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확장부(220)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한 측에 대략 직육면체형상이며 내측면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공간에는 세면대(25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청결함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화장실본체(210)와 상기 공간확장부(220) 사이에 개재되며, 특히, 상기 화장실본체(210)와 상기 공간확장부(220)의 하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부(120)와 같이, 상기 화장실 본체(110, 210) 하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공간확장 화장실의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이동부는 피니언 기어를 더 구비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화장실본체(210)의 내측에서 외측 또는 상기 화장실본체(2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고 그 이동에 따라 상기 공간확장부(220)를 이동시킨다.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200)은 상기 화장실 본체(210)와 상기 공간확장부(2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볼트일 수 있으며, 상기 화장실 본체(210)의 하부 및 상기 공간확장부(220)의 하부에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상기 나사홀에 고정되어 상기 화장실 본체(210)와 상기 공간확장부(22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본체(210)와 상기 공간확장부(220)의 외측의 밑면에 설치되어 외관을 헤치지 않으면서도,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200)의 공간이 확장된 공간확장부(2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해 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200)은 화장실 부스(23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실부스(230)는 상기 화장실본체(210)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사용자가 용무를 볼 수 있도록 변기(240)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용무를 마치고 발생한 분뇨는 오수 저장부(260)에 저장되는데, 상기 오수 저장부(160)는 상기 화장실본체(210)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변기(240)로부 터 이동된 분뇨가 저장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화장실본체(2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장실본체(210)의 상부면 중 복도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천장은, 상기 공간확장부(220)가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간확장부(220)의 상부 벽면이 이동되면,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200)의 천장이 개방된다.
상기 천장이 개방된 경우, 화장실을 사용하게 되면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불쾌한 냄새 및 폐쇄된 공간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공기 오염을 환풍기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해소하지 않고도, 개방된 천장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200)은 천장고정부(270) 및 천장개폐부(27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천장개폐부(275)는 PVC, 비닐, 천 등 유연한 재료가 적용될 수 있으며, 자유롭게 착탈이 가능하다. 상기 천장개폐부(275)는 천장을 개방시키기위해 상기 천장개폐부(275)를 이탈시켜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200)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거나, 자외선을 통해 화장실을 자연 소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개폐부(275)는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200)의 천장 윗면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천장개폐부(275)를 펼칠 수 있다.
상기 천장고정부(270)는 상기 공간확장부(220)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특히,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확장부(220)의 상부 내측 면에 위치될 수 있어, 상기 공간확장부(220)의 모든 윗면을 덮지 않아 재료를 낭비하지 않을 수 있 다.
상기 공간확장부(220)를 덮지 않는 좁은 면적을 가진 상기 천장고정부(270)에 따라, 우천시 받아지는 빗물을 지면으로 자연적으로 흘려보내기 위해, 상기 공간환장부(2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지면이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개폐부(275)에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남,녀 화장실을 가로 막는 벽 상부에 상기 천장 개폐부(275)를 지지할 수 있는 봉(277)을 설치할 수 있다.
천장이 개방된 공간확장 화장실의 천장개폐부(275)는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200)의 공간이 늘어난 복도의 상부와 상기 천장 개폐부(275) 사이가 개방되어 자연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면서도 우천시, 비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200)이 차량을 통해 이동될 경우 도로 폭에 따라,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확장부(220)를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간확장부(220)가 내측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천장개폐부(270)는 PVC, 천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져 상기 공간확장부(220)를 이동시킬 때마다 탈부착할 필요가 없다.
또 따른 실시예로, 공간확장 화장실은 공간확장부가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좌,우측이 개방되고 상하면이 폐쇄된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확장부가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간확장부의 상부 벽면이 이동되어도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의 폐쇄된 천장이 있으므로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은 천장을 구 비하여, 우천시 비를 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은 도 2a에 도시된 공간확장 화장실(200)과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200)의 천장개폐여부, 천장개폐부(275), 천장고정부(270)의 구비 여부만을 달리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간확장 화장실의 배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간확장 화장실(300)은 화장실 부스(330)가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300)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부스(330)가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공간확장 화장실은(300)은 상기 도 2d에 도시된 차량과 달리 그 길이 방향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간확장 화장실은,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이 협소한 공간 및 제한된 변기의 개수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었던 것과 달리, 본 고안에 따른 공간확장 화장실은 공간화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넓고 쾌적한 화장실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화장실본체와;
    상기 화장실본체의 하측 내부에 위치하며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이고 상기 화장실본체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부와;
    상기 화장실본체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 부스와;
    상기 화장실 부스 내부에 장착된 변기; 및
    상기 화장실본체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변기로부터 이동된 분뇨가 저장되는 오수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 화장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본체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의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소정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관통홀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차량 길이방향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측부; 및
    상기 관통홀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차량 길이방향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우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 화장실.
  3.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화장실본체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한 측에 대략 직육면체형상이며 내측면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공간에는 세면대를 구비한 공간확장부; 및
    상기 화장실본체와 상기 공간확장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화장실본체의 내측에서 외측 또는 상기 화장실본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고, 그 이동에 따라 상기 공간확장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 화장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본체와 상기 공간확장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 화장실.
KR2020060024948U 2006-09-15 2006-09-15 공간확장 화장실 KR200434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48U KR200434243Y1 (ko) 2006-09-15 2006-09-15 공간확장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48U KR200434243Y1 (ko) 2006-09-15 2006-09-15 공간확장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243Y1 true KR200434243Y1 (ko) 2006-12-18

Family

ID=4178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948U KR200434243Y1 (ko) 2006-09-15 2006-09-15 공간확장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2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177B1 (ko) 가변형 욕실을 구비한 캠핑카
CN204636185U (zh) 一种便捷式移动厕所
CN202949834U (zh) 多功能宠物房车
CN108035416B (zh) 移动厕所
KR200434243Y1 (ko) 공간확장 화장실
KR101588085B1 (ko) 친환경 욕실용 선반유닛 및 그 시공방법
GB2266735A (en) Sanitary module
US4527511A (en) Pet bath and litter box combination
CN214784453U (zh) 一种低能耗节水型移动厕所
KR100738637B1 (ko) 이동식 화장실
CN209852158U (zh) 一种房车一体式卫生间
KR200211134Y1 (ko) 간이 화장실
RU2569831C2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ая кабина
WO1997013930A1 (de) Wc-bidet,-kombinationen unterschiedlicher verwendbarer gesässbrillenaufflage-vorrichtungen
CN210258292U (zh) 一种模块化的洗漱间
CN212863880U (zh) 一种起重机多功能操作室
CN212801829U (zh) 一种新型防臭节水移动公厕
JPH03202562A (ja) 可変浴室ユニット
CN213143285U (zh) 一种移动厕所
CN212926317U (zh) 一种卫生间底盘
KR102099507B1 (ko) 캠핑차량용 세면대
JPH043076Y2 (ko)
CN118065508A (zh) 折叠建筑和折叠建筑组件
WO2006083120A1 (en) A toilet bowl
JP4480542B2 (ja) ユニットバス用防水パン及びユニットバ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