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661Y1 -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661Y1
KR200433661Y1 KR2020060026782U KR20060026782U KR200433661Y1 KR 200433661 Y1 KR200433661 Y1 KR 200433661Y1 KR 2020060026782 U KR2020060026782 U KR 2020060026782U KR 20060026782 U KR20060026782 U KR 20060026782U KR 200433661 Y1 KR200433661 Y1 KR 200433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ing
horizontal
badminton
badminton 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스포츠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포츠유피 filed Critical (주)스포츠유피
Priority to KR2020060026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6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28Means for achieving greater mobility of the string b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22String guides on frames, e.g. gromm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14Protection devices on th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12Devices arranged in or on the racket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14Arrangements for stringing, e.g.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strings during stri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10)은, 스트링이 복수 개의 홀에 끼워지고 홀 주변에는 그로멧이 구비된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10)의 좌상, 좌하, 우상, 우하 부위에 형성된 홀을 가로 스트링(61) 연결을 위한 가로 스트링용 홀(20)과 세로 스트링(62) 연결을 위한 세로 스트링용 홀(30)로 각각 구분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10)은, 프레임(10) 둘레를 따라 중앙부위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내측 둘레부(70); 일정 부위의 상기 내측 둘레부(70)의 돌출 부위(71)에 Y자형 트랙(100);을 구비하되, 상기 Y자형 트랙(100)은, Y 자형으로 폭이 벌어지기 시작하는 시작부(110)와, 폭이 벌어진 상태에서 바깥쪽 내측 둘레부(70)와 경계를 두도록 양 측에 단턱(140)을 구비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부(120) 및, 상기 연장부(120)의 단부에서 다시 폭이 좁아지는 종결부(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에 의하면, 스트링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모서리 부위에 가로/세로 스트링이 별도로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홀을 마련하여 스트링의 탄성을 증가할 수가 있고, 가로/세로 스트링을 프레임에 연결할 경우 각각의 용도에 따른 그로멧을 색상 차에 의하여 구분지어 작업자의 혼동 없는 편리한 작업 상태를 제공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FRAME FOR BADMINTON RACKET}
도 1은 공지의 배드민턴 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에 스트링을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에 Y자형 트랙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Y자형 트랙에 대한 중앙 부위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에 파워 범퍼가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100: Y자형 트랙
20: 가로 스트링용 홀 110: 시작부
30: 세로 스트링용 홀 120: 연장부
40: 가로 스트링용 그로멧 130: 종결부
50: 세로 스트링용 그로멧 140: 단턱
61: 가로 스트링 150: 리세스
62: 세로 스트링 200: 파워 범퍼
70: 내측 둘레부 210: 플레이트
71: 돌출 부위 220: 돌기부
본 고안은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스트링의 탄성력을 적절히 보유할 수 있는 홀 형성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프레임 자체의 내구성과 파워를 증강할 수 있도록 내측 둘레부에 Y자형 트랙을 형성시킨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은 네트를 중앙에 두고 셔틀콕을 쳐서 상대 진영에 넘기는 경기를 말하며, 셔틀콕이 바닥에 떨어지기 전에 상대 진영으로 쳐 넘겨야 이기는 게임 룰을 가지고 있다. 이 때, 상대가 타격한 셔틀콕을 쳐 넘기는 운동 기구가 바로 배드민턴 라켓이다.
도 1은 공지의 배드민턴 라켓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배드민턴 라켓(1)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샤프트(6), 상기 프레임(2)과 샤프트(6)를 연결하는 연결부위(8), 상기 프레임(2) 내에 셔틀콕이 탄성 내지 반동에 의하여 타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트링(3), 샤프트(6) 하방으로 구비되어 있는 그립(7)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2)은 배드민턴 라켓(1)의 수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특히 장시간 사용하거나 충격에 쉽사리 뒤틀리는 현상이 방지되고 더불어 내구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가벼운 무게로 이루어기 위하여 과거 목재 내지 스틸 재로로만 이용되다가 현재에는 각종 카본/그래파이트 섬유, 티타늄 등의 합성소재 내지 합금 등이 사용되고 있다.
프레임(2)의 내측에 매설되어 있는 스트링(3)은 복수 개의 가로, 세로로 교차되어 있는 격자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링(3)은 프레임(2)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복수 개로서 형성되어 있는 홀(4)에 삽입이 되되, 스트링(3)은 소모성 제품으로서 사용 중에 끊어지거나 낡아 교체할 개연성이 있어 교체 시에 홀(4)에 끼워져 약간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무 내지 플라스틱 재질의 그로멧(grommet)(5)을 통하여 스트링(3)의 교체 작업을 보조하고 있다. 즉, 그로멧(5)은 스트링(3)이 직접적으로 홀(4)에 접촉할 때 그 마찰력으로 스트링(3)이 낡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링(3)을 홀(4)에 끼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그로멧(5)은 모든 홀(4)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프레임(2)을 8 상한으로 등분한다고 가정할 때 스트링(3)을 프레임(2)에 끼우기 난해하거나 탄성력이 상하좌우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부위인 좌상/좌하 부위 및 우상/우하 부위(이를 모서리 부위라고도 한다), 하 부위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 적이다.
따라서 그로멧(5)이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2) 모서리 부위의 홀은 스트링(3)이 보다 촘촘히 형성되어 스트링(3) 본연의 탄성이 떨어지고 임팩트 충격을 그대로 스트링(3) 자체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스트링(3)이 보다 안전하게 프레임(2)에 지지될 뿐 아니라 임팩트 시 전달되는 충격을 적절히 고르게 분산시켜 스트링(3) 고유의 탄성력이 셔틀콕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공지의 배드민턴 라켓은 그로멧(5)이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관없이 하나의 홀(4)에서 가로, 세로 스트링(3)이 모두 끼워지기 때문에 충격이 보다 직접적으로 프레임(2) 및 스트링(3)에 전달이 될 뿐 아니라, 가로, 세로 스트링(3)이 하나의 홀(4)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스트링(3)의 탄력이 둔화되는 문제점이 따르고 있었다.
따라서 셔틀콕의 임팩트 등의 과정에서 충격이 상대적으로 높게 전달이 되는 프레임(2)의 모서리(좌상, 좌하, 우상, 우하 부위)에 스트링(3)을 보다 내구성이 있고 고유의 탄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가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배드민턴 플레이어라면 누구나 파워풀한 스매싱과 안정된 게임을 요망할 것이 당연하다 할 것인바, 이를 결정할 수 있는 요인은 플레이어의 기본 실력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특히 배드민턴 프레임의 구조 역시 중요하다고할 것이다.
즉, 배드민턴 라켓 재질이 신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물론 중요하나 공지 의 프레임의 소재 개발에만 주력하던 연구개발 방법과 달리, 프레임 내측에 특수한 구성을 형성하여 뒤틀림 없는 내구성과 안정성, 반동과 탄성 에너지의 손실이 없이 셔틀콕의 임팩트 시 발생되는 파워를 그대로 킥에 전달 할 수 있는 파워를 보유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진 프레임의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른 부위보다 탄성력이 둔화되는 프레임의 모서리부위에 스트링을 삽입하기 위한 홀을 가로 스트링과 세로 스트링이 각각 별도의 홀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스트링 본연의 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주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라켓 사용자가 복수 개로 이루어진 홀에 스트링을 삽입할 때 혼동 우려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각각의 가로 스트링용 홀과 세로 스트링용 홀에 구비된 그로멧의 색깔을 서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가로 스트링과 세로 스트링을 용이하게 식별하게 하여 홀에 스트링의 연결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 내측 둘레부의 특정 부위에 특수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Y 자형상의 트랙을 설치하여 프레임의 내구성 및 파워를 증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추가 목적은 상기 Y자형 트랙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일정 깊이 로 내측 함몰되어 있는 리세스를 구비하여 스트링의 탄성을 증강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추가 목적은 상기 Y자형 트랙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라켓의 밸런스를 컨트롤 할 수 있는 파워 범퍼를 프레임 외측 둘레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10)은, 스트링이 복수 개의 홀에 끼워지고 홀 주변에는 그로멧이 구비된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10)의 좌상, 좌하, 우상, 우하 부위에 형성된 홀을 가로 스트링(61) 연결을 위한 가로 스트링용 홀(20)과 세로 스트링(62) 연결을 위한 세로 스트링용 홀(30)로 각각 구분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10)은, 프레임(10) 둘레를 따라 중앙부위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내측 둘레부(70); 일정 부위의 상기 내측 둘레부(70)의 돌출 부위(71)에 Y자형 트랙(100);을 구비하되, 상기 Y자형 트랙(100)은, Y 자형으로 폭이 벌어지기 시작하는 시작부(110)와, 폭이 벌어진 상태에서 바깥쪽 내측 둘레부(70)와 경계를 두도록 양 측에 단턱(140)을 구비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부(120) 및, 상기 연장부(120)의 단부에서 다시 폭이 좁아지는 종결부(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 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10)은 3 층으로 이루어진 복합 소재(즉, 나노 멜트, 그래파이트, 카본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는 소재의 기본 특성 이외에, 크게 홀의 형성 구조와 트랙의 형성 구조라는 2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10)에 가로 및 세로 스트링(61,62)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10)은 특히 모서리 부위에 일반적으로 하나의 홀에서 가로/세로 스트링을 모두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지의 라켓 프레임에 반하여, 가로 스트링(61)과 세로 스트링(62)을 각각 별도로 삽입할 수 있는 가로 스트링용 홀(20)과 세로 스트링용 홀(3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목적에서도 잠시 설명하였듯이, 프레임(10)을 상, 하 ,좌, 우, 좌상, 좌하, 우상, 우하의 방식으로 8상한으로 등분한다 가정하였을 때 특히 좌상, 좌하, 우상, 우하, 즉 모서리 부위에는 다른 부위보다 촘촘히 가로 및 세로 스트링(61,62)이 연결되어 있음을 도 2를 보아 알 수 있는 바, 이러한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홀에 스트링(61,62)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대적으로 연결 자체가 팽팽해져 스트링(61,62) 고유의 탄성력이 떨어지게 되어 셔틀콕 임팩트 시 충격이 그대로 스트링(61,62)에 전달될 우려가 높아 스트링(61,62)의 수명이 단축되며 더욱이 하나의 홀에서 가로/세로 스트링(61,62)을 모두 삽입하고 있을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 점이 더욱 부각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10)은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히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가로 스트링용 홀(20)과 세로 스트링용 홀(30)로 각각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홀에서 가로/세로 스트링(61,62)을 모두 삽입하고 있을 경우보다 가로/세로 스트링(61,62) 고유 탄성력이 보다 적절히 표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로/세로 스트링(61,62)의 팽팽한 연결 정도를 완화시켜 가로/세로 스트링(61,62)의 긴장력을 줄임으로서 스트링(61,62)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불어, 도 2를 참조하면 가로/세로 스트링용 홀(20,30)에 구비된 그로멧(40,50) 역시 가로 스트링용 그로멧(40)과 세로 스트링용 그로멧(50)으로 색상의 차이를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언급하였듯이, 프레임(10) 모서리 부위에는 스트링(61,62)이 촘촘히 연결되기 때뭉에 스트링(61,62)의 교체 작업 시에 가로/세로 스트링(61,62)이 혼동이 되어 상당한 주의를 요하지 않고서는 스트링(61,62)을 혼동하여 홀에 연결할 우려가 높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10)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그로멧을 예를 들어 세로 스트링용 그로멧(50)의 색상은 적색, 가로 스트링용 그로멧(40)의 색상은 흑색으로 각각 구분을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각 홀(20,30)에 삽입시켜야 할 스트링(61,62)을 혼동 없이 구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10)에 스트링(61,62)을 연결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기존 하나의 홀에서 가로/세로 스트링(61,62)을 모두 삽입하지 않고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 의하여 마련된 별도의 가로/세로 스트링용 홀(20,30)에서 각각 가로/세로 스트링(61,62)을 끼울 수 있기 위해서는 이에 따른 스트링(61,62) 연결 방식이 설명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스트링(61,62) 연결 방식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세로 스트링(62)은, 중앙 A1에서 시작하여 왼쪽 방향으로 C10까지 맨 다음, C11,C12,C13을 건너 뛰어 C14에서부터 A15-A13-C12로 나와서 C7에서 매듭을 짓는다.
가로 스트링(61)은, B6에서 매듭을 짓고 B8로 가서 시작을 하여, A8-A10-B10-B12-A12-A13-B13-B14-A14-A15-B15-...-D15-D14-C14-C13-D13-D11-C11-C9-D9로 나온 후 D7에서 매듭을 짓는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가로 스트링(61)과 세로 스트링(62)을 프레임(10)에 연결할 수가 있으며, 연결 시에 가로 스트링용 그로멧(40)과 세로 스트링용 그로멧(50)이 각각 색상 차이를 두고 형성이 되어 있어 작업자가 혼동이 없이 연결 작업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도울 수가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10)에 Y자형 트랙(10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Y자형 트랙(100)의 중앙 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링(61,62)에 셔틀콕이 임팩트가 됨과 동시에 플레이어가 킥을 하게 되면, 셔틀콕의 임팩트 충격에 의하여 프레임이 미세 진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과 더불어 스트링(61,62)의 탄성이 상호 작용을 하여 셔틀콕을 반발하는 탄성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프레임의 내구성만을 강조하여 강성 소재만을 사용하다보면, 탄성력을 발생하는 근원인 진동이 일정하게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따르며 반대로 프레임 자체가 유연성이 크기 때문에 진동이 필요 이상으로 발생될 경우에는 오히려 스트링(61,62)의 탄성이 떨어지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스트링(61,62)이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의 내측 둘레부의 재질 및 구조는 이러한 양면성을 가급적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10)은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셔틀콕이 임팩트가 이루어질 확률이 높은 상하좌우 부위의 내측 둘레부에 Y자형 트랙(100)을 형성하여 상기 문제점을 적절히 극복하고 있다.
즉, 프레임(10)의 내측 둘레부(70)를 이루는 표면의 폭 중에서 중앙 부위는 스트링(61,62) 형성 방향으로 내측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약간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렇게 돌출되어 있는 부위 중 상하좌우 부위에서 일정 길이만큼 Y자형 트랙(1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Y자형 트랙(100)은 내측 둘레부(70)의 상하좌우 부위 중 일정 부위에서 폭이 벌어지기 시작하는 시작부(110)와 이렇게 벌어진 상태로 일정 길이 연장을 한 연장부(120)와 다시 그 폭이 좁아지는 종결부(13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시작부(110)와 종결부(130)의 형상이 마치 Y 자 형상과 유사하여 Y자형 트랙이라 명명을 한 것이다.
벌어진 상태로 연장이 되는 연장부(120)는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140)에 의하여 바깥쪽 내측 둘레부(70) 부위와 구별이 된다. 더불어, 벌어진 상태로 연장이 되는 부위의 표면은 다른 부위보다 약간 하방으로 함입 구성되어 있는 리세스(15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Y자형 트랙(100)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카본 섬유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초경량 특성 및 우수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Y자형 트랙(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셔틀콕이 임팩트 되는 과정에서 프레임(10)은 미세 진동을 하며 약간 뒤틀리게 되는데 만일 이러한 뒤틀림이 무작위 방향으로 이루어지면 진동 손실이 심해 진동력을 스트링(61,62) 탄성력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소모가 많아지게 됨과 동시에 프레임(10) 자체의 소재에 상관없이 자체 내구성도 떨어지게 된다.
이 때, 프레임(10) 내측 둘레부(70)를 입체 돌출 구조로 이루게 될 경우 그 입체 구조에 따라 진동 방향을 스트링(61,62) 방향으로 집중하게 하여 진동 에너지 손실이 적어지고 일정 형상으로만 프레임(10)이 형상 변형이 되어 내구성도 보존할 수가 있는데, 특히 임팩트가 많이 발생되는 프레임(10)의 상하좌우 부위가 다른 부위보다 이러한 특수한 목적을 달성할 필요가 높아지고 입체 구조 중에서도 내측 둘레부(70)의 바깥 방향은 일반 형상을 유지하되, 스트링(61,62)이 연결되어 있는 중 앙 표면을 단턱(140)의 도움으로 다른 바깥 부위와 경계를 두고 내측으로 약간 함입되도록 형성을 한다면 벌어진 폭에 의하여 진동이 분산됨과 동시에 단턱(140)의 경계를 통해 바깥 부위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줄이게 되어 진동이 스트링(61,62) 방향으로만 집중되는 작용을 얻을 수가 있고 더불어 벌어진 부위가 약간 함입되어 있다면 충격이 전달되는 거리를 증가함으로 임팩트에 따른 충격력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Y자형 트랙(100)은 바로 이러한 근거에 기인하여 형성이 된 것인 최적의 구조인바, 단턱(140)에 의한 Y 자형 구조는 충격을 스트링(61,62) 방향으로 집중시킴과 동시에 Y자 형으로 벌어진 만큼 충격을 분산하기 위한 구조인 것이고, 리세스(150)는 충격에 따른 거리를 증가하여 물리적으로 충격을 감소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Y자형 트랙(100)에 의하여, 일정 방향으로 진동을 집중시키기 때문에 진동 손실이 적어 보다 파워풀한 킥을 이룰 수가 있을 뿐 아니라 프레임(10)이 무작위로 뒤틀리는 현상 없이 임팩트 충격을 분산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프레임(10) 자체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10)의 일 부위에 추가로 결합 가능한 파워 범퍼(200)에 대한 구조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파워 범퍼(200)는 프레임(10)의 외측 일 부위에 결합되는 것으로 프레임(10)의 호 형상에 상응한 곡도를 가지도록 구부러져 형성이 되어 있는 플레이트(210) 와, 상기 플레이트(210)에서 프레임(10) 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기부(220)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브러시 형태를 가진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파워 범퍼(200)가 프레임(10)에 결합이 되기 위해서는, 프레임(10)에 돌기부(220)를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워 범퍼(200)는 배드민턴 라켓의 밸런스를 컨트롤 내지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파워 범퍼(200)의 무게로 인하여 배드민턴 라켓에서 하중을 작용하여 하중에 따른 파워 증가 내지 착용감 등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요망하는 밸런스를 조절 및 적용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에 의하면,
1) 스트링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모서리 부위에 가로/세로 스트링이 별도로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홀을 마련하여 스트링의 탄성을 증가할 수가 있고,
2) 가로/세로 스트링을 프레임에 연결할 경우 각각의 용도에 따른 그로멧을 색상 차에 의하여 구분지어 작업자의 혼동 없는 편리한 작업 상태를 제공할 수가 있으며,
3) 프레임 내측 부위에 Y 자형 트랙을 형성하여 셔틀콕 임팩트 시에 프레임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증가하고 임팩트 충격을 적절히 분산함과 아울러 스트링 탄성력으로 에너지 소모 없이 전달할 수 있는 파워를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4)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무게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는 파워 범퍼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스트링이 복수 개의 홀에 끼워지고 홀 주변에는 그로멧이 구비된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의 좌상, 좌하, 우상, 우하 부위에 형성된 홀을 가로 스트링 연결을 위한 가로 스트링용 홀과 세로 스트링 연결을 위한 세로 스트링용 홀로 각각 구분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및 세로 스트링용 홀에 구비된 그로멧은 색상 차이에 의하여 가로 스트링용 그로멧과 세로 스트링용 그로멧으로 각각 구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3.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둘레를 따라 중앙부위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내측 둘레부;
    일정 부위의 상기 내측 둘레부의 돌출 부위에 Y자형 트랙;을 구비하되, 상기 Y자형 트랙은,
    Y 자형으로 폭이 벌어지기 시작하는 시작부와, 폭이 벌어진 상태에서 바깥쪽 내측 둘레부와 경계를 두도록 양 측에 단턱을 구비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다시 Y자형으로 폭이 좁아지는 종결부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프레임 라켓.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표면에는 일정 두께로 함입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프레임 라켓.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Y자형 트랙은 내측 둘레부 중, 좌상, 좌하, 우상, 우하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프레임 라켓.
  6. 제 3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외측 일 부위에는 호 형상으로 곡도를 가지고 일정 길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서 프레임 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기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파워 범퍼;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프레임 라켓.
KR2020060026782U 2006-09-29 2006-09-29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KR200433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782U KR200433661Y1 (ko) 2006-09-29 2006-09-29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782U KR200433661Y1 (ko) 2006-09-29 2006-09-29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661Y1 true KR200433661Y1 (ko) 2006-12-13

Family

ID=4178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782U KR200433661Y1 (ko) 2006-09-29 2006-09-29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6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92Y1 (ko) 2008-10-08 2010-10-22 (주)스포츠유피 스트링의 탄성력을 강화한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KR101238700B1 (ko) 2010-12-01 2013-03-04 배국열 배드민턴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92Y1 (ko) 2008-10-08 2010-10-22 (주)스포츠유피 스트링의 탄성력을 강화한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KR101238700B1 (ko) 2010-12-01 2013-03-04 배국열 배드민턴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4297A (en) Lacrosse stick head
JP5401185B2 (ja) ラケット
CA1273662A (en) Lacrosse stick having open sidewall structure
WO2005070068A3 (en) Extended-use ball striking training device
KR200433661Y1 (ko) 배드민턴 라켓 프레임
JP2002537004A (ja) フレーム側で窪んだラケットストリング案内
AU2014404677A1 (en) A bat for playing ball games
CN205127326U (zh) 一种改进的卵形羽毛球拍
KR200459465Y1 (ko) 배드민턴 라켓의 웨이트 캡
US4802678A (en) Sports racket
US20170021244A1 (en) Lacrosse stick head with protected string attachment feature
CN218248287U (zh) 设有可移动配重的跳绳
US20150190691A1 (en) Multi-panel lacrosse pocket
JP7049414B2 (ja) 人工シャトルコック
WO1991013657A1 (en) Multi-frame racket
CN207055876U (zh) 一种新型多功能勾拳沙袋
CA1046545A (en) Practice tennis racket
KR200383193Y1 (ko) 연습용 배드민턴 셔틀콕
KR200391374Y1 (ko) 배드민턴 래킷의 구조
KR20110003879U (ko) 배드민턴 라켓의 웨이트 클립
WO2002102474A1 (fr) Poids destine a une raquette
US20220072388A1 (en) Device for hitting a ball
US20050054461A1 (en) Golf club head with springy striking area
KR20090130268A (ko) 셔틀콕
US20230405426A1 (en) Quiet Pickleball Pad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