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382Y1 -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 Google Patents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382Y1
KR200433382Y1 KR2020060026560U KR20060026560U KR200433382Y1 KR 200433382 Y1 KR200433382 Y1 KR 200433382Y1 KR 2020060026560 U KR2020060026560 U KR 2020060026560U KR 20060026560 U KR20060026560 U KR 20060026560U KR 200433382 Y1 KR200433382 Y1 KR 200433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vely
switchgear
load current
ground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6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3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1Use of solid insulating compounds resistant to the contacting fluid dielectrics and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e.g. to SF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5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상의 부하전류를 각 회로별로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하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는 일체형 개폐기와 3상의 부하전류를 각 회로별로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는 독립형 개폐기를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작업목적이나 필요에 따라 각 상을 독립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도록 하고, 일체형 개폐기의 개폐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개폐기의 개폐오류 또는 실패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3상의 부하전류를 각 회로별로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는 3개의 독립형 개폐기와 상기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는 하나의 일체형 개폐기가 병렬 접속되어, 3상의 부하전류를 각 회로별로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하거나 또는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도록 하고 일체형 개폐기나 독립형 개폐기의 접점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점검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에 의해 구현된다.
가스 개폐기, 변압기, 고정 접촉자, 가동 접촉자, 개별, 일괄적.

Description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Gas insulated load break switch for a pad mounted ground}
도 1은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본 고안에 의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본 고안에 의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탱크 10a, 10b, 10c: 독립형 개폐기
11, 33: 가동 접촉자 11a, 11b, 34a 34b, 34c: 블레이드
12a, 12b, 12c, 22, 23, 24: 고정접촉자 13, 31: 회전 중심축
14, 35: 공통 단자편 15, 36: 접지 단자편
16, 37: 전원 단자편 20: 일체형 개폐기
21: 베이스 32a, 32b: 브라켓
38: 핸들 40, 50: 점검창
본 고안은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은 3상의 부하전류를 개폐 및 절체할 때 각 회로별로 부하전류를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하거나 혹은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목적에 따라서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하고, 일체형 개폐기의 개폐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개폐기의 개폐오류 또는 실패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폐기는 전기회로에 있어서 전력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제어하는 장치이고, 전기회로의 개폐 및 선로 절체를 할 수 있도록 전원과 부하 기기 사이에 설치되는 전기기기로서 사용전압 또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매질에 따라 유입개폐기, 가스 개폐기, 진공 개폐기 등으로 구분된다.
본 고안은 소호매질이 6불화항가스(SF6 Gas)를 사용하는 가스개폐기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이러한 가스 개폐기는 고전압회로에 주로 쓰이는 것으로서 변압기의 부하전류의 개폐 또는 절체할 때 고정 접촉자에서 이동하는 가동접촉자 간에 많은 아크가 발생하게 되어 화재의 위험성은 내포되어 있으나, 가격이 저렴한 이점으로 현재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스 개폐기는 3상의 부하전류를 개폐 및 절체할 때 각 회로에 대해 부하전류를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함으로써 부하전류를 개폐 및 절체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스 개폐기는 개폐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어 개폐상태 즉, 개폐오류 또는 실패를 확인하지 못하여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비싼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스개폐기가 갖고 있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3상의 부하전류를 개폐 및 절체할 때 각 회로별로 부하전류를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하거나 혹은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함으로써 작업목적이나 필요에 따라 각 회로를 독립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일체형 개폐기의 개폐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개폐기의 개폐오류 또는 실패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는,
6불화항가스 속에 잠겨져 있는 3상의 부하전류를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3상의 부하전류를 각 회로별로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는 3개의 독립형 개폐기와 상기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는 하나의 일체형 개폐기가 병렬 접속되어, 3상의 부하전류를 각 회로별로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하거나 또는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일체형 개폐기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3개의 가동 접촉자의 단부에는 3개의 고정 접촉자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위한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3개의 고정 접촉자는 상기 회전하는 가동 접촉자의 블레이드와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공동 단자편과 접지 단자편 및 부하 단자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속자의 개폐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점검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독립형 개폐기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 으로 회전하는 하나의 가동 접촉자의 단부에는 3개의 고정 접촉자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위한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3개의 고정 접촉자는 상기 회전하는 가동 접촉자의 블레이드와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공통 단자편과 접지 단자편 및 부하 단자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본 고안에 의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본 고안에 의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의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탱크(1) 내에 수용된 지상 설치형 부하개폐기는 3상의 부하전류를 개폐 및 절체하기 위한 3개의 독립형 개폐기(10a)(10b)(10c)와 하나의 일체형 개폐기(20)가 병렬 접속된 구조를 갖는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3개의 독립형 개폐기(10a)(10b)(10c)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축(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가동 접촉자(11)와 이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3개의 고정 접촉자(12a)(12b)(12c)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각 가동 접촉자(11)는 회전 중심축(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으로서 양단에 3개의 고정 접촉자(12a)(12b)(2c)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블레이드(11a)(11b)를 갖는다. 또한, 가동 접촉자(11)의 블레이드(11a)(11b)와의 전기적 인 접속을 위한 3개의 고정 접촉자(12a)(12b)(12c)는 공통 단자편(14)과 접지 단자편(15) 및 부하 단자편(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중심축(13)을 중심으로 하는 가동 접촉자(11)의 회전으로 블레이드(11a)(11b)가 고정 접촉자(12a)(12b)(12c)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므로 공통 단자편(14)이나 접지 단자편(15)이 부하 단자편(16)과 선택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즉, 탱크(1) 외부에 위치한 조작스위치와 독립적으로 연동하는 회전 중심축(13)을 각각 가지고 있으므로 독립형 개폐기(10a)(10b)(10c)는 3상의 부하전류를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일체형 개폐기(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압기의 탱크(1)의 공간에 설치되어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삼각형태의 베이스(21)를 포함한다.
베이스(21)는 3개의 꼭짓점에는 고정 접촉자(22)(23)(24)가 구성되고, 각 고정 접촉자(22)(23)는 공통 단자편(35)과 접지 단자편(36)에 연결되며, 고정 접촉자(24)는 부하 단자편(37)에 각각 연결된다. 즉, 하나의 일체형 개폐기(20)는 3개의 독립형 개폐기(10a)(10b))(10c)와 병렬 접속된다.
3개의 고정 접촉자(22)(23)(24)는 베이스(21)의 꼭짓점에 수평방향으로 인서트 성형으로 조립된 체결볼트에 조립되고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즉, 각 고정 접촉자(22)(23)(24)는 한 쌍의 판 스프링과 이 판 스프링 사이에 설치되어 체결볼트에 조립되는 연결 스페이서와, 한 쌍의 판 스프링 및 연결 스 페이서와 한 쌍의 판 스프링을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볼트와, 이들 연결볼트 각각으로 한쪽의 판 스프링의 외측에서 끼워지는 한 쌍의 압축 스프링과, 한쪽의 연결볼트에 끼워서 한 쌍의 판 스프링들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과, 한 쌍의 연결볼트에 나사 조립되어 한 쌍의 압축 스프링을 압축하는 너트로 구성된다.
베이스(21)는 3개로 구성되고 이들 각각은 중심에 관통하는 회전 중심축(31)을 보유한다. 각각의 베이스(21)들은 양방에 브라켓(32a)(32b)이 각각 돌출되고, 이들 브라켓(32a)(32b)에 의해 상호 간은 볼트 및 너트의 체결 부재에 의한 체결로 연결된다.
회전 중심축(31)에는 각 베이스(21)의 3개의 고정 접촉자(22)(23)(24)에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33)를 배치 결합하되, 각 베이스(21)의 한쪽에 결합으로 격리되고 회전 중심축(31)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가동 접촉자(33)는 고정 접촉자(22)(23)(24)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위한 블레이드(34a)(34b)(34c)가 각각 90도로 위치한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T자형 가동 접촉자(33)는 고정 접촉자(22)(23)(24)의 각 블레이드(34a)(34b)(34c)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회전 중심축(31)으로 회전하되, 각 블레이드(34a)(34b)(34c) 모두가 단자편(35)(36)(37)에 접촉하거나 혹은 3개의 블레이드(34a)(34b)(34c) 중 2개의 블레이드만을 선택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중심축(31)을 중심으로 하는 가동 접촉자(33)의 회전으로 블레이드(34a)(34b)(34c)가 고정 접촉자(22)(23)(24)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므로 공통 단자편(35)이나 접지 단자편(36)이 부하 단자편(37)과 선택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즉, 탱크(1) 외부에 위치한 핸들(38)과 연동하는 회전 중심축(31)을 각각 가지고 있으므로 일체형 개폐기(20)는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가동접촉자(33)가 고정접촉자와 접점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창(40)이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가동 접촉자(33)의 블레이드(34a)(34b)(34c)가 고정 접촉자(22)(23)(24)와 개폐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개폐오류나 실패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3개의 독립형 개폐기(10a)(10b)(10c)는 가동접촉자(11)의 개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창(50)이 각각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가동접촉자(11)의 블레이드(11a,11b)의 개방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개폐오류나 실패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를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3에서와 같이 3상의 부하전류를 3개의 독립형 개폐기(10a)(10b)(10c) 또는 하나의 일체형 개폐기(20)를 이용하여 3상의 부하전류를 각 회로별로 개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하거나 혹은 3상의 부하전류의 각 회로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어 작업 목적에 따라서 편리성이 확보되고,
일체형 개폐기(20)의 접점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각각 의 독립형 개폐기(10a)(10b)(10c)에도 점검창(50)을 더욱 구비하여 안전성 및 편리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3상의 부하전류를 개폐 및 절체할 때 각 회로별로 부하전류를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하거나 또는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함으로써 작업목적이나 필요에 따라 각 상의 부하전류를 독립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개폐기의 개폐상태를 외부에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6불화항가스 속에 잠겨져 있는 3상의 부하전류를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3상의 부하전류를 각 회로별로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는 3개의 독립형 개폐기와 상기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는 하나의 일체형 개폐기가 병렬 접속되어, 3상의 부하전류를 각 회로별로 독립적으로 개폐 및 절체하거나 또는 3상의 부하전류를 일괄적으로 개폐 및 절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독립형 개폐기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나의 가동 접촉자의 단부에는 3개의 고정 접촉자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위한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3개의 고정 접촉자는 상기 회전하는 가동 접촉자의 블레이드와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공통 단자편과 접지 단자편 및 부하 단자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독립형 개폐기에는 가동접촉자의 개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창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일체형 개폐기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3개의 가동 접촉자의 단부에는 3개의 고정 접촉자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위한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3개의 고정 접촉자는 상기 회전하는 가동 접촉자의 블레이드와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공동 단자편과 접지 단자편 및 부하 단자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개폐기는 가동접촉자의 접점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KR2020060026560U 2006-09-29 2006-09-29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KR200433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560U KR200433382Y1 (ko) 2006-09-29 2006-09-29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560U KR200433382Y1 (ko) 2006-09-29 2006-09-29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382Y1 true KR200433382Y1 (ko) 2006-12-08

Family

ID=4178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560U KR200433382Y1 (ko) 2006-09-29 2006-09-29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3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6894A (zh) 一种智能高压双电源切换开关
RU2410789C2 (ru) Конта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гранич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который ограничивает отклонение подвижной контакт-детали
CN103608884A (zh) 开关装置和开关柜
JPH06335125A (ja) 開閉装置
KR101124493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CN113257610A (zh) 一种高压隔离开关、隔离电源的方法及应用
KR200433382Y1 (ko) 개별 또는 일괄 개폐가 가능한 지상 설치형 부하 개폐기
CN110326079B (zh) 具有两个隔离开关和功率开关的开关装置
KR200411534Y1 (ko) 가스 부하 개폐기
KR100370103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단로기
KR101279894B1 (ko) 고체 절연 스위치기어용 개폐기
KR101100711B1 (ko) 스위치기어의 접지개폐기구
KR200420586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pt 간이 단로부
KR100790559B1 (ko)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기
CN205564619U (zh) 一种隔离开关
CN219350963U (zh) 一种纵旋常压密封空气绝缘开关设备
CN215933466U (zh) 一种旋转式隔离开关及多相隔离开关装置
CN209708929U (zh) 低压断路器的触头系统
JP3816794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0402395Y1 (ko)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기
CN218333575U (zh) 一种三相开关结构
KR101843455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구동부와 보조 접점 분리 구조
KR200365572Y1 (ko) 가스 배전반의 단로기 구조
KR20130037931A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접지 개폐기의 컨택트
KR101960058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구동부와 보조 접점의 원거리 분리 동작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