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287Y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287Y1
KR200433287Y1 KR2020060025314U KR20060025314U KR200433287Y1 KR 200433287 Y1 KR200433287 Y1 KR 200433287Y1 KR 2020060025314 U KR2020060025314 U KR 2020060025314U KR 20060025314 U KR20060025314 U KR 20060025314U KR 200433287 Y1 KR200433287 Y1 KR 200433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exhaust pipe
exhaus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도진
Original Assignee
황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도진 filed Critical 황도진
Priority to KR2020060025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2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아파트, 다층건물 등과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물에 있어서, 실외기의 배기구와 건물 외벽에 설치된 방충망을 서로 연통하게 연결하여 실외기의 배출공기를 건물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통상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2)의 배기구(3)의 주변부에 장착되어 건물외벽(4)에 마련된 방충망(5)에 연결되므로서 상기 배기구(3)가 상기 방충망(5)과 연통되므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에 있어서; 상기한 배기관(1)은 상기한 실외기(2)의 배기구(3)의 주변부에 착탈되도록 배면에 고정부재(6)가 마련되며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환상의 공간부(7)를 가지며 전면에 개방된 도우넛 형상의 수납부재(8)와, 상기 수납부재(8)의 공간부(7)에 수납되며 양단부에 통상의 영구자석(9)이 마련되고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관체(10)를 포함하고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을 제공한다.
배기구, 공기조화기, 실외기, 주름관, 수납관.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An exhaust pipe for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을 보인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동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동 일부 확대 사용상태 예시도,
도 4는 동 부분확대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을 보인 일부 확대 단면 예시도,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기관, 2 : 실외기,
3 : 배기구, 4 : 건물외벽,
5 : 방충망, 6 : 고정부재,
7 : 공간부, 8 : 수납부재,
9 : 영구자석, 10 : 관체,
11 : 영구자석, 12 : 볼트,
13 : 너트, 14 : 고리,
15 : 영구자석부재.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다층건물 등과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물에 있어서, 실외기의 배기구와 건물 외벽에 설치된 방충망을 서로 연통하게 연결하여 실외기의 배출공기를 건물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더운 여름철에는 실내를 냉방하고, 추운 겨울철에는 실내를 난방하는 장치로써, 외부에 열교환이 이루어진 배출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실외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실외기는 통상적으로 건물의 실외에 설치되어 사용이 되어지나, 아파트 및 다층건물의 경우에는 실내의 베란다 또는 간이 창고에 설치되어 창문 또는 방충망을 통해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도록 된 실외기에 있어서는 실외기와 창문 또는 방충망과의 이격거리로 인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실내로 역류하므로써 실내의 냉난방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파트, 다층건물 등과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물에 있어서, 실외기의 배기구와 건물 외벽에 설치된 방충망을 서로 연통하게 연결하여 실외기의 배출공기를 건물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은 통상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배기구의 주변부에 장착되어 건물외벽에 마련된 방충망에 연결되므로서 상기 배기구가 상기 방충망과 연통되므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에 있어서; 상기한 배기관은 상기한 실외기의 배기구의 주변부에 착탈되도록 배면에 고정부재가 마련되며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환상의 공간부를 가지며 전면에 개방된 도우넛 형상의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의 공간부에 수납되며 양단부에 통상의 영구자석이 마련되고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은 상기한 고정부재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은 상기한 고정부재는 통상의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을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1)은 통상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2)의 배기구(3)의 주변부에 장착되어 건물외벽(4)에 마련된 방충망(5)에 연결되므로서 상기 배기구(3)가 상기 방충망(5)과 연통되므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에 있어서; 상기한 배기관(1)은 상기한 실외기(2)의 배기구(3)의 주변부에 착탈되도록 배면에 고정부재(6)가 마련되며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환상의 공간부(7)를 가지며 전면에 개방된 도우넛 형상의 수납부재(8)와, 상기 수납부재(8)의 공간부(7)에 수납되며 양단부에 통상의 영구자석(9)이 마련되고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관체(1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재(6)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고정부재(6)는 통상의 볼트(12)와 너트(13)로 이루어져 실외기(2)에 볼트결합될 수 있으며, 수납부재(8)의 배면에 양면테이프를 접착하여 실외기(2)에 접착고정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건물의 창문틀에 고정된 방충망(5)에는 고리(14)가 마련된 영구자석부재(15)이 다수개가 걸쳐져 있어, 비금속재질의 방충망에 상기한 관체(10)의 일단이 자석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1)은 건물의 실내에 설치된 실외기(2)의 배기구(3)의 주변에 상기한 수납부재(8)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수납부재(8)의 공간부(7)에 수납된 관체(10)의 종단을 빼어내어 건 물의 방충망(5)에 자석합하여 고정하므로서 상기 실외기(2)의 배기구(3)와 방충망(5)을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이 되며, 실외기(2)의 배기구(3)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관체(10)를 통해 방충망(5)으로 인도되어 건물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 실외기(2)의 배출공기가 건물의 실내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원할하게 배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관체(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후렉시블한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관체(10)를 상기 수납부재(8)의 공간부(7)에 그 길이를 줄이어 삽입하여 수납시켜 보관을 하거나, 수납부재(8)의 공간부(7)에 관체(10)의 수납이 완료되면 실외기(2)에서 수납부재(8)를 이탈시켜 별도의 장소에 보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는 아파트, 다층건물 등과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물에 있어서, 실외기의 배기구와 건물 외벽에 설치된 방충망등과 같은 창문을 서로 연통하게 연결하여 실외기의 배출공기를 건물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상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2)의 배기구(3)의 주변부에 장착되어 건물외벽(4)에 마련된 방충망(5)에 연결되므로서 상기 배기구(3)가 상기 방충망(5)과 연통되므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에 있어서;
    상기한 배기관(1)은 상기한 실외기(2)의 배기구(3)의 주변부에 착탈되도록 배면에 고정부재(6)가 마련되며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환상의 공간부(7)를 가지며 전면에 개방된 도우넛 형상의 수납부재(8)와,
    상기 수납부재(8)의 공간부(7)에 수납되며 양단부에 통상의 영구자석(9)이 마련되고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관체(1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부재(6)는 영구자석(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부재(6)는 통상의 볼트(12)와 너트(13)로 이루어져 실외기(2)에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KR2020060025314U 2006-09-20 2006-09-2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KR200433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14U KR200433287Y1 (ko) 2006-09-20 2006-09-2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314U KR200433287Y1 (ko) 2006-09-20 2006-09-2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287Y1 true KR200433287Y1 (ko) 2006-12-08

Family

ID=4178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314U KR200433287Y1 (ko) 2006-09-20 2006-09-2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28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31B1 (ko) * 2008-05-22 2010-03-22 황도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CN105485788A (zh) * 2016-02-16 2016-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移动空调及其排风管
KR101932252B1 (ko) * 2018-07-11 2018-12-24 하성용 반도체 제조장비의 냉각수 배관 및 이의 설치방법
CN110195896A (zh) * 2019-06-28 2019-09-03 宜丰县中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空调室外机的热风降温装置
KR20200093155A (ko) 2019-01-28 2020-08-05 신진호 투시창 구비형 실외기-갤러리창 연결조립체
KR20200144970A (ko) 2019-06-20 2020-12-30 신진호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31B1 (ko) * 2008-05-22 2010-03-22 황도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CN105485788A (zh) * 2016-02-16 2016-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移动空调及其排风管
KR101932252B1 (ko) * 2018-07-11 2018-12-24 하성용 반도체 제조장비의 냉각수 배관 및 이의 설치방법
KR20200093155A (ko) 2019-01-28 2020-08-05 신진호 투시창 구비형 실외기-갤러리창 연결조립체
KR20200144970A (ko) 2019-06-20 2020-12-30 신진호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CN110195896A (zh) * 2019-06-28 2019-09-03 宜丰县中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空调室外机的热风降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3287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CN201095874Y (zh) 一种节能环保健康舒适的房屋
TW201944009A (zh) 外氣空調機及換氣系統
ITMI990282U1 (it) Un condizionatore d'aria con minore rumorosita' verso l'interno
KR200462254Y1 (ko) 탈부착 가능한 방풍비닐.
CN203824040U (zh) 套管式换热螺旋断续翅片空调通风装置
CN201129831Y (zh) 一种厨房空调系统
CN203132042U (zh) 一种建筑节能通风器
CN213578015U (zh) 接管结构以及具有其的空调器
CZ347496A3 (en) Ventilation device with a heating
JP2006284066A (ja) 室内換気システム
CN210220141U (zh) 内嵌式墙壁新风机
CN210118941U (zh) 一种分享空调安装孔剩余空间通风的新风机安装结构
KR2009012165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배기관
RU112356U1 (ru) Система наружных блоков кондиционеров
KR200241661Y1 (ko) 전열교환기 시스템의 급기그릴 연결구
KR200254757Y1 (ko) 냉난방기의 열교환기 파이프용 커버
CN207702664U (zh) 一种设置于地下室外墙中的多功能串联换风机
KR200384289Y1 (ko) 벽부착형 열교환 환기장치
CN209027029U (zh) 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JPH0248756Y2 (ko)
US11767988B1 (en) Outdoor enclosure for a circulating pump
CN211041294U (zh) 一种利用空调墙孔安装的微型新风机
CN110285500B (zh) 便于安装的空调
JP2001289478A (ja) 換気装置の結露排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