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202Y1 - 자동복정형 방수복 - Google Patents

자동복정형 방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202Y1
KR200433202Y1 KR2020060020104U KR20060020104U KR200433202Y1 KR 200433202 Y1 KR200433202 Y1 KR 200433202Y1 KR 2020060020104 U KR2020060020104 U KR 2020060020104U KR 20060020104 U KR20060020104 U KR 20060020104U KR 200433202 Y1 KR200433202 Y1 KR 200433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buoyancy
suit
buoyancy material
waterproof s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뎃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뎃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뎃
Priority to KR2020060020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2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복정형 방수복에 관한 것으로서, 얼굴을 제외한 신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며 방수지퍼가 있는 구명용 방수복에 있어서, 상기 방수복의 전면에 부력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난자를 수면 위로 부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난자의 신체 전면 즉 얼굴이 하늘을 향하도록 몸을 자동으로 뒤집어 줌으로써 조난자가 의식이 없는 상태 즉 실신상태에서도 호흡이 가능하여 조난자를 안전하게 구명할 수 있게 된다.
자동, 복정, 방수복, 부력재, 벨트

Description

자동복정형 방수복{Immersion suit insulated classified as lifejacke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정형 방수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복의 부력재를 도시한 제 1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복의 부력재를 도시한 제 2 설치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복의 부력재를 도시한 제 3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수복 110 : 모자
111 : 커버 120 : 부력재
130 : 반사테이프 140,140' : 방수지퍼
150 : 장갑부 151 : 벨크로밴드
160 : 신발부 161 : 벨크로밴드
200 : 부력재 210 : 벨트
211 : 버클 212 : 텅
310 : 재봉부 320 : 벨크로
330 : 단추
본 고안은 자동복정형 방수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난시 방수복 착용자의 얼굴이 수면 위로 신속하게 위치되게 부유시키는 자동복정형 방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선박들은 조난에 대비하여 탑승 인원수에 따라 구명조끼 등을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구명조끼는 조난자가 물속으로 빠지게 되면, 구명조끼를 착용한 신체부위 즉 상체부분을 수면 위로 부상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명조끼는 단순히 조난자의 상체부분만을 수면 위로 부상시키기 때문에, 의식을 상실한 조난자에게는 구명조끼가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의식을 잃은 조난자의 상체부분이 구명조끼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되더라도 조난자 스스로가 머리를 곧추 세워 머리가 수면에 잠기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하여야 하나 이미 의식을 잃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자세 유지가 어렵고, 그로 인해 신체에서 제일 무거운 부분인 머리가 수면에 다시 잠기게 되는 아주 치명적인 단점 이 있다.
또, 의식을 잃은 조난자가 구명조끼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되더라도 조난자가 엎어진 상태 즉 조난자의 전면이 수심측을 향하도록 부상되는 경우에는 조난자 스스로가 몸을 뒤집을 수 없기 때문에, 결국에는 조난자는 아주 치명적인 부상 내지는 목숨을 잃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난자를 수면 위로 부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난자의 신체 전면 즉 얼굴이 하늘을 향하도록 몸을 자동으로 뒤집어 줌으로써 조난자를 안전하게 구명할 수 있는 자동복정형 방수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복정형 방수복은, 얼굴을 제외한 신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며 착.탈복용 방수지퍼가 있는 구명용 방수복에 있어서, 상기 방수복의 전면 상체부에 부력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력재는 폴리에틸렌폼으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한장 또는 여러장의 단위부력재가 겹쳐져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재는 방수복의 전면 상체부 중앙부 또는 좌우 어느 한 일 측부에 설치되되, 벨크로 또는 단추 또는 재봉으로서 부착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력재는 그 일단이 방수복에 재봉되고 타단은 방수복에 벨크로 또는 단추로서 부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복에는 부력재를 몸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벨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복의 모자에는 머리를 부상시켜 지지하는 부력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복은 네오플렌계열 고무의 발포시트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반사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착용가능한 신체 치수 즉 착용자의 몸무게나 키 등에 따른 치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정형 방수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복정형 방수복(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오플렌계열(Neoprene Sponge Sheet)의 발포시트와 같은 재질로서, 얼굴을 제외한 신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방수복(100)에는 머리를 감싸는 모자(110)와, 손과 발까지 감싸는 장갑부(150) 및 신발부(160)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네오플렌계열의 재질로 형성된 방수복(100)은 가볍고 방수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유성, 내열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물에 뜨는 부력성과 체온을 유지시켜 주는 보온성이 양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모자(110)에는 모자(110)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11)가 신체 전면의 목부위를 단추나 벨크로와 같은 체결수단으로서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장갑부(150)와 신발부(160)에는 손목과 발목을 각각 조여주는 벨크로밴드(151)(16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방수복(100)의 상의 전면부에 방수복(100)의 착용 및 탈의를 용이케 하는 방수지퍼(140)가 설치되고, 상기 방수지퍼(14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수용 지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방수복(100)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재가 부착되되, 상기 반사부재는 반사테이프(130)로 구성되어, 조난자의 위치를 알리게 된다.
상기 방수복(100)의 모자(110) 후면부에는 모자(110)에 감싸진 머리를 수면 위로 부상시켜 지지하는 부력재(12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방수복(100)의 전면에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폼(P.E FOAM)으로 이루어진 부력재(20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부력재(200)는 부착수단에 의한 방수복(100)과의 부착을 위해, 폴리에틸렌 폼을 직물이나 합성수지 시트(필름)와 같은 포장재로 포장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틸렌폼으로 형성된 부력재(200)는 물보다 비중이 낮아 수 면 위로 잘 부상되는 장점이 있고, 상기 모자(110) 후면부의 부력재(120)도 폴리에틸렌폼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부력재(200)는 한장 또는 여러장의 단위부력재(미도시)가 겹쳐져서 형성될 수 있고, 착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단위부력재의 개수를 조정하면 그에 알맞은 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부력재(200)는 방수복(100)에 재봉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벨크로나 똑딱단추 등과 같은 탈.부착수단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복(100)에는 부력재(200)를 몸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벨트(2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벨트(210)는 서로 대향되는 양단부에 각각 버클(211)과 버클(211)에 체결되는 텅(212)이 형성되고, 서로 체결된 버클(211)과 텅(212)은 부력재(200)의 반대편측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즉, 도 1과 같이 부력재(200)가 방수복(100)의 오른편에 설치된 경우에는 버클(211)과 텅(212)이 체결된 벨트(210)의 체결부가 방수복(100)의 왼편에 위치되고, 부력재(200)가 방수복(100)의 왼편에 설치된 경우에는 벨트(210)의 체결부가 방수복(100)의 오른편에 위치되게 구성한다.
이는, 상기 부력재(200)와 벨트(210)의 체결부를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벨트(210)의 체결시 벨트(210)에 의한 부력재(200)가 몸의 중심부 즉 배꼽부위측으로 당겨져 이동되는데, 상기 부력재(200)가 몸의 중심부에 위치되었을 때 부력작용이 극대화되어 몸을 뒤집는 즉 자동복정 기능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부력재(200)를 방수복(100)의 전면 중심부측에 설치한 일례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방수복(100)의 전면 중앙부에 방수지퍼(14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방수지퍼(140)와 부력재(200)간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부력재(2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수복(100) 전면의 중앙부에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벨크로나 똑딱단추로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방수지퍼(140) 양편의 방수복(100)에 벨크로나 똑딱단추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한 벨크로나 똑딱단추를 상기 부력재(200)의 일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방수복(100)의 착용 및 탈의 시 방수복(100)에서 먼저 부력재(200)의 일측을 분리시킨 후 착용 및 탈의를 하고, 방수복(100)의 착용 후에는 부력재(200)를 방수복(100)에 부착시킨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복(100)의 전면 중앙부에 부력재(200)를 설치하되, 상기 부력재(200)는 그 일단이 방수복(100)에 재봉되고 타단은 방수복(100)에 벨크로(320) 또는 똑딱단추(330)로서 부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부력재(200)는 방수복(100)에서 완전 분리되지 않고 재봉부(310)를 기준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하에서 방수복(100) 의 착용시 부력재(200)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력재(200)의 다른 설치예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재(200)를 방수복(100) 전면의 중앙부에 재봉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방수지퍼(140')는 부력재(200)와 이격된 방수복(100)의 일측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부력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수단으로서 방수복(100)에 단독으로 부착 고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벨트(210)로서 몸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부력 및 자동복정 작용이 극대화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방수복(100)에는 착용자의 체형 즉 착용가능한 몸무게 등과 같은 치수가 표시되어 있음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수복(100)의 일측에는 방수복(100)내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력재(200)가 설치된 방수복(100)을 착용한 조난자는 부력재(200)에 의해서 수면 위로 신속하게 부상될 뿐만 아니라 조난자의 신체 전면이 하늘을 향하도록 몸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뒤집어 줌으로써 조난자를 안전하게 구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재가 도 1과 같이 설치된 방수복의 부유시험결과 즉 자동복정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폴리에틸렌폼(P.E FOAM)으로 이루어진 표본부 력재의 부력시험결과를 하기에서 나타내었다.
1) 표본부력재의 크기 : 5t × 1m × 1m(두께 × 가로 × 세로)
2) 단위부력재의 무게 : 92.2 g/㎡
3) 부력 시험 방법 : 초기검사 / 24시간 후 검사
4) 부력 시험 결과(해양수산부 고시 2005-59호) : N(newton)
- 초기검사 : 55.31N
- 24시간 후 검사 : 54.72N
이하, 실시예를 통해 방수복 착용자의 몸무게에 따른 자동복정에 필요한 부력재의 면적/크기를 산출하였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어린이용 방수복의 자동복정에 필요한 부력재의 부력을 나타낸 것이다.
- 부력재의 제원 : 5t × 18㎝ × 40㎝(두께 × 가로 × 세로)로 이루어진 단위부력재가 12겹으로 형성됨
- 어린이의 최대 몸무게 : 50㎏
- 방수복의 최대 무게 : 4.3㎏(3.8㎏±0.5㎏)
- 방수복 몸통부의 폭 : 45㎝
- 부력재와 방수지퍼 사이의 간극 : 2㎝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몸무게, 부력재의 무게를 포함한 방수 복 자체의 무게 중심인 MM으로부터 방수복 왼편 끝단 축에 발생하는 모멘트는 하기와 같이 산출된다.
① 총무게 : 50㎏(어린이 몸무게) + 4.3㎏(방수복 무게) + [92.2g/㎡ × 0.072㎡(18㎝ × 40㎝) × 12겹](부력재의 무게) ≒ 54.3796㎏(최대 무게)
② 총 모멘트 : 54.3796㎏f × 0.45m/2(모멘트 거리) = 12.2354 ㎏f·m
2) 어린이 몸무게 부력, 방수복 자체 부력 및 가슴/복부에 부착된 폴리에틸렌폼 부력재의 기하학적 중심 MM'에서 방수복 왼편 끝단 축에 발생되는 모멘트는 하기와 같이 산출된다.
① 사람 몸의 비중은 0.97이므로 50㎏ 몸무게 어린이의 부력은 50㎏f × 0.97 ≒ 48.5㎏f
② 방수복 자체의 부력(24시간 수침후의 부력) : 98.16N × 0.101972㎏f/N(N과 ㎏f 간의 상관계수) = 10.01㎏f
③ 부력재의 부력(5t × 18㎝ × 40㎝ × 12겹)(24시간 침수후) : 54.72N × 0.072㎡/1㎡ × 12겹 × 0.101972㎏f/N ≒ 4.821㎏f
④ 총부력 = 48.5㎏f + 10.01㎏f + 4.821㎏f = 63.331㎏f
⑤ 방수복 왼편 끝단 축에 발생되는 총 모멘트 량 :
[48.5㎏f(어린이 몸무게 부력) × 0.45m/2(모멘트 거리)] +
[10.01㎏f × 0.45m/2(방수복 자체의 모멘트 거리)] +
[4.821㎏f × 0.335m(0.45m/2 + 0.02(부력재와 방수지퍼의 간극(2㎝) + 0.18/2(부력재의 가로길이/2))]
= 10.9125㎏f·m + 2.2522㎏f·m + 1.61470㎏f·m = 14.7794 ㎏f·m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산출된 자료에 근거하여 2)>1)의 조건하에서 부력재에 의하여 발생한 부력의 힘으로 방수복을 착용한 어린이가 숨을 쉬고 생존할 수 있도록 방수복 착용자(어린이)가 해난, 조우 등의 사유로 의식이 없는 즉 실신상태에서 얼굴이 해수면 측으로 향하게 될 경우, 자동적으로 착용자의 얼굴이 하늘을 향하도록 자동복정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어린이 몸무게 부력에 기인한 모멘트 + 방수복 자체의 모멘트 + 부력재의 모멘트 > 어린이 몸무게 + 방수복 자체 무게 + 부력재 무게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모멘트 상태라면 충족된다.
즉, 14.7794㎏f·m > 12.2354㎏f·m 가 되어 안전계수는 120.79%(14.7794㎏f·m ÷ 12.2354㎏f·m × 100%) 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성인용 방수복의 자동복정에 필요한 부력재의 부력을 나타낸 것이다.
- 부력재의 제원 : 5t × 24㎝ × 50㎝(두께 × 가로 × 세로)로 이루어진 단위부력재가 15겹으로 형성됨
- 성인의 최대 몸무게 : 150㎏
- 방수복의 최대 무게 : 5.4㎏(4.9㎏±0.5㎏)
- 방수복 몸통부의 폭 : 56㎝
- 부력재와 방수지퍼 사이의 간극 : 2㎝
1) 착용자의 몸무게, 부력재의 무게를 포함한 방수복 자체의 무게 중심인 MM으로부터 방수복 왼편 끝단 축에 발생하는 모멘트는 하기와 같이 산출된다.
① 총무게 : 150㎏(성인 몸무게) + 5.4㎏(방수복 무게) + [92.9g/㎡ × 0.12㎡(24㎝ × 50㎝) × 15겹](부력재의 무게) ≒ 155.5659㎏(최대 무게)
② 총 모멘트 : 155.5659㎏f × 0.56m/2(모멘트 거리) = 43.5584 ㎏f·m
2) 성인 몸무게 부력, 방수복 자체 부력 및 가슴/복부에 부착된 폴리에틸렌폼 부력재의 기하학적 중심 MM'에서 방수복 왼편 끝단 축에 발생되는 모멘트는 하기와 같이 산출된다.
① 사람 몸의 비중은 0.97이므로 150㎏ 몸무게 성인의 부력은 150㎏f × 0.97 ≒ 145.5㎏f
② 방수복 자체의 부력(24시간 수침후의 부력) : 124.05N × 0.101972㎏f/N(N과 ㎏f 간의 상관계수) = 12.6496㎏f
③ 부력재의 부력(5t × 24㎝ × 50㎝ × 15겹)(24시간 침수후) : 54.72N × 0.12㎡/1㎡ × 15겹 × 0.101972㎏f/N ≒ 10.0438㎏f
④ 총부력 = 145.5㎏f + 12.6496㎏f + 10.0438㎏f = 168.1934㎏f
⑤ 방수복 왼편 끝단 축에 발생되는 총 모멘트 량 :
[145.5㎏f(성인 몸무게 부력) × 0.56m/2(모멘트 거리)] +
[12.6496㎏f × 0.56m/2(방수복 자체의 모멘트 거리)] +
[10.0438㎏f × 0.42m(0.56m/2 + 0.02(부력재와 방수지퍼의 간극(2㎝) + 0.24/2(부력재의 가로길이/2))]
= 40.74㎏f·m + 3.5418㎏f·m + 4.2183㎏f·m = 48.50 ㎏f·m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산출된 자료에 근거하여 2)>1)의 조건하에서 부력재에 의하여 발생한 부력의 힘으로 방수복을 착용한 성인이 숨을 쉬고 생존할 수 있도록 방수복 착용자(성인)가 해난, 조우 등의 사유로 의식이 없는 즉 실신상태에서 얼굴이 해수면 측으로 향하게 될 경우, 자동적으로 착용자의 얼굴이 하늘을 향하도록 자동복정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성인 몸무게 부력에 기인한 모멘트 + 방수복 자체의 모멘트 + 부력재의 모멘트 > 성인 몸무게 + 방수복 자체 무게 + 부력재 무게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모멘트 상태라면 충족된다.
즉, 48.50㎏f·m > 43.5584㎏f·m 가 되어 안전계수는 111.34%(48.50㎏f·m ÷ 43.5584㎏f·m × 100%) 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거인용 방수복의 자동복정에 필요한 부력재의 부력을 나타낸 것이다.
- 부력재의 제원 : 5t × 28㎝ × 50㎝(두께 × 가로 × 세로)로 이루어진 단위부력재가 15겹으로 형성됨
- 거인의 최대 몸무게 : 200㎏
- 방수복의 최대 무게 : 6.5㎏(6.0㎏±0.5㎏)
- 방수복 몸통부의 폭 : 68㎝
- 부력재와 방수지퍼 사이의 간극 : 3㎝
1) 착용자의 몸무게, 부력재의 무게를 포함한 방수복 자체의 무게 중심인 MM으로부터 방수복 왼편 끝단 축에 발생하는 모멘트는 하기와 같이 산출된다.
① 총무게 : 200㎏(거인 몸무게) + 6.5㎏(방수복 무게) + [92.9g/㎡ × 0.14㎡(28㎝ × 50㎝) × 15겹](부력재의 무게) ≒ 206.69509㎏(최대 무게)
② 총 모멘트 : 206.69509㎏f × 0.68m/2(모멘트 거리) = 70.27633 ㎏f·m
2) 거인 몸무게 부력, 방수복 자체 부력 및 가슴/복부에 부착된 폴리에틸렌폼 부력재의 기하학적 중심 MM'에서 방수복 왼편 끝단 축에 발생되는 모멘트는 하기와 같이 산출된다.
① 사람 몸의 비중은 0.97이므로 200㎏ 몸무게 거인의 부력은 200㎏f × 0.97 ≒ 194㎏f
② 방수복 자체의 부력(24시간 수침후의 부력) : 192.21N × 0.101972㎏f/N(N과 ㎏f 간의 상관계수) = 19.6㎏f
③ 부력재의 부력(5t × 28㎝ × 50㎝ × 15겹)(24시간 침수후) : 54.72N × 0.14㎡/1㎡ × 15겹 × 0.101972㎏f/N ≒ 11.7178㎏f
④ 총부력 = 194㎏f + 19.6㎏f + 11.7178㎏f = 225.3178㎏f
⑤ 방수복 왼편 끝단 축에 발생되는 총 모멘트 량 :
[194㎏f(거인 몸무게 부력) × 0.68m/2(모멘트 거리)] +
[19.6㎏f × 0.68m/2(방수복 자체의 모멘트 거리)] +
[11.7178㎏f × 0.51m(0.68m/2 + 0.03(부력재와 방수지퍼의 간극(3㎝) + 0.28/2(부력재의 가로길이/2))]
= 65.96㎏f·m + 6.444㎏f·m + 5.976㎏f·m = 78.38 ㎏f·m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산출된 자료에 근거하여 2)>1)의 조건하에서 부력재에 의하여 발생한 부력의 힘으로 방수복을 착용한 거인이 숨을 쉬고 생존할 수 있도록 방수복 착용자(거인)가 해난, 조우 등의 사유로 의식이 없는 즉 실신상태에서 얼굴이 해수면 측으로 향하게 될 경우, 자동적으로 착용자의 얼굴이 하늘을 향하도록 자동복정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거인 몸무게 부력에 기인한 모멘트 + 방수복 자체의 모멘트 + 부력재의 모멘트 > 거인 몸무게 + 방수복 자체 무게 + 부력재 무게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모멘트 상태라면 충족된다.
즉, 78.38㎏f·m > 70.27633㎏f·m 가 되어 안전계수는 111.53%(78.38㎏f·m ÷ 70.27633㎏f·m × 100%) 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부력재(200)가 도 2 내지 도 4에 설치된 방수복(100)은 위와 같은 시험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부력재(200)가 방수복(100)의 중앙부 즉 배꼽부위에 설치된 경우에는, 위 시험예와 같이 부력재(200)가 방수복(100)의 일편에 설치된 경우보다 대략 2배 이상의 신속한 자동복정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위 시험결과에서 ÷2 한 값을 없애면 된다).
따라서, 상기 부력재(200)를 방수복(100)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경우는, 부력재(200)를 전술한 시험예의 부력재(200)보다 그 크기와 두께를 1/2 정도로 절감하여도 위와 같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복정형 방수복에 따르면, 조난자를 수면 위로 부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난자의 신체 전면 즉 얼굴이 하늘을 향하도록 몸을 자동으로 뒤집어 줌으로써 조난자가 의식이 없는 상태 즉 실신상태에서도 호흡이 가능하여 조난자를 안전하게 구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얼굴을 제외한 신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며 착.탈복용 방수지퍼가 있는 구명용 방수복에 있어서,
    상기 방수복의 전면 상체부에 부력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폴리에틸렌폼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착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한장 또는 여러장의 단위부력재가 겹쳐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방수복의 전면 상체부 중앙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방수복의 전면 상체부 중앙부에 벨크로 또는 단추로서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그 일단이 방수복에 재봉되고 타단은 방수복에 벨크로 또는 단추로서 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방수복의 전면 상체부 좌우 어느 한 일측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복에는 부력재를 몸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벨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복의 모자에는 머리를 부상시켜 지지하는 부력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복은 네오플렌계열 고무의 발포시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복에는 반사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복에는 착용가능한 신체 치수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정형 방수복.
KR2020060020104U 2006-07-25 2006-07-25 자동복정형 방수복 KR200433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04U KR200433202Y1 (ko) 2006-07-25 2006-07-25 자동복정형 방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04U KR200433202Y1 (ko) 2006-07-25 2006-07-25 자동복정형 방수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833A Division KR100802156B1 (ko) 2006-07-25 2006-07-25 자동복정형 방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202Y1 true KR200433202Y1 (ko) 2006-12-08

Family

ID=4178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104U KR200433202Y1 (ko) 2006-07-25 2006-07-25 자동복정형 방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2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85B1 (ko) * 2012-08-02 2014-12-16 백진주 구명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85B1 (ko) * 2012-08-02 2014-12-16 백진주 구명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9263A (en) Protective sea rescue suit
EP2888161B1 (en) Splash-resistant automatically inflatable flotation device
KR100802156B1 (ko) 자동복정형 방수복
CA2503084C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KR200388455Y1 (ko) 구명용 방수복
EP0744336B1 (en) A life jacket
US4563157A (en) Cold-proof water-proof garment
KR200433202Y1 (ko) 자동복정형 방수복
EP3024347A1 (en) Clothing with inflation system
US6554668B2 (en) Life jacket
CA1085235A (en) Thermal immersion protection jacket
EP0023430A1 (en) A safety garment
KR100783125B1 (ko) 구명복
KR200424895Y1 (ko) 구명용 방수복
JPH09136691A (ja) 浮揚体
KR101472885B1 (ko) 구명복
JPH02399Y2 (ko)
GB2268387A (en) Floatation device
KR20110103262A (ko) 구명용 방수복
TW202417319A (zh) 帶有救生功能的衣服
US1085130A (en) Life-saving suit.
GB2059360A (en) Buoyant Jackets
KR20220121434A (ko) 구명 튜브가 구비된 작업복
JPS6344405Y2 (ko)
CN111098999A (zh) 冬泳救生设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