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885Y1 -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885Y1
KR200432885Y1 KR2020060024062U KR20060024062U KR200432885Y1 KR 200432885 Y1 KR200432885 Y1 KR 200432885Y1 KR 2020060024062 U KR2020060024062 U KR 2020060024062U KR 20060024062 U KR20060024062 U KR 20060024062U KR 200432885 Y1 KR200432885 Y1 KR 200432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menu
amount
beverage container
orde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효
Original Assignee
이충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효 filed Critical 이충효
Priority to KR2020060024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8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8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문자가 테이블에서 직접 원하는 공급량의 음료를 신속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음료를 마시는 동안 음료의 상태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는, 메뉴를 주문자가 테이블에서 입력하면, 카운터에 주문이 들어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람에게 주문할 필요 없이 안주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는, 주문자가 주문한 음료 및 안주를 추가할 때마다 사람이 일일이 계산하지 않고, 주문자가 주문할 때마다 주문 사항에 대한 금액이 카운터에서 자동으로 계산되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음료판매, 맥주, 메뉴주문, 자동 공급, 테이블 설치

Description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의 전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의 키입력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110: 본체 112: 제1 음료통
114: 제2 음료통 1142, 1144: 호스결합부
1146: 뚜껑 1148: 손잡이
116: 냉각장치 120: 키입력부
121: 음료공급량 선택부 122: 메뉴 입력부
123: 잔량 경고등 124: 호출버튼
125: 입력버튼 126: 취소버튼
127: 램프 130: 연결호스
140: 유량센서 150: 공급기
152: 공급호스 160: 디스플레이부
본 고안은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맥주와 같이 판매단위의 양이 많고 소비량이 많은 음료 및 맥주와 함께 주문하게 되는 안주를 일일이 주문받지 않고, 소비자가 테이블에서 직접 버튼을 입력하여 주문할 수 있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를 주문할 때는 500cc, 1000cc 또는 3000cc 등 그 양이 많으며, 맥주가 담기는 잔의 무게 또한 무거워 사람의 서비스에 의해 운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바 내에서 한번에 여러 잔을 운반하기 힘들기 때문에 인접한 테이블에서 주문이 들어와도 여러 번에 나누어 잔을 운반해야 했으며, 일반적으로, 한번에 마실 만큼의 맥주를 주문하는 것이 아니라, 마시는 도중에 여러 번 추가하여 주문하기 때문에 빈번하게 맥주를 운반해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맥주 제공 업체에서는 많은 서비스 인력이 필요하게 되고, 인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운송시간이 지연되어 맥주의 신선도도 떨어지며, 손님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으며, 일하는 사람도 쉽게 피로해질 수 있었다.
또한, 맥주를 많이 주문하게 되면, 마시는 동안에 주문해 놓은 맥주의 신선도가 떨어져 시간이 지난 후 마시는 맥주는 처음보다 그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맥주와 함께 주문하게 되는 안주의 경우에도, 종래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이 각 테이블에 찾아가 메뉴판을 전달하며, 주문을 받아야 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손님들이 메뉴를 결정하기 위해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여러 번 나누어서 안주를 주문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은 맥주를 운반하며, 안주에 대한 주문도 받고, 안주를 운반해야 하므로, 손님들의 주문에 재빠르게 대응할 수 없으며, 바쁠 때는 주문이 누락되는 경우도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문자가 테이블에서 직접 원하는 공급량의 음료를 신속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음료를 마시는 동안 음료의 상태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메뉴를 주문자가 테이블에서 입력하면, 카운터에 주문이 들어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람에게 주문할 필요 없이 안주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문자가 주문한 음료 및 안주를 추가할 때마다 사람이 일일이 계산하지 않고, 주문자가 주문할 때마다 주문 사항에 대한 금액이 카운터에서 자동으로 계산되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는, 내부 에 음료가 담긴 제1 음료통 및 상기 제1 음료통에서 일정량의 음료를 공급받는 제2 음료통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음료의 공급량 및 메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 상기 제1 음료통 및 제2 음료통을 연결하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를 통과하는 음료의 공급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상기 제2 음료통과 연결되어 개폐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음료가 배출되는 공급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음료의 공급량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공급량만큼의 음료를 제1 음료통에서 제2 음료통으로 공급하되,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공급량을 감지하여 입력된 공급량에 도달하면 제2 음료통으로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음료제어부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음료의 공급량 및 메뉴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카운터에 설치된 메인 시스템과 주고받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는, 상기 유량센서에 감지되는 음료량이 수치로 나타내어 표시되며, 상기 음료량에 해당하는 금액과 주문한 메뉴에 해당하는 금액을 합산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음료량 및 금액을 각각 합산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카운터의 메인 시스템에 의해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제1 음료통 및 제2 음료통이 배치되는 곳이 별도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음료통은 상기 제1 음료통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냉각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음료통은 상기 냉각장치 의 냉각기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음료통은, 상기 연결호스 및 공급부와 연결되는 곳에 뚜껑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는, 음료 공급량 선택부, 메뉴 입력부, 상기 제1 음료통에 남은 음료의 잔량을 토대로 상기 제1 음료통에 남은 음료의 양이 소정의 양보다 적을 경우 불이 들어오는 잔량 경고등, 카운터의 점원을 호출할 수 있는 호출버튼 및 일정시간 내에 누르면 주문이 취소되는 취소버튼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의 전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100)는 내부에 제1 음료통(112) 및 제2 음료통(114)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음료의 공급량 및 메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120), 상기 제1 음료통(112) 및 제2 음료통(114)을 연결하는 연결호스(130), 상기 연결호스(130)를 통과하는 음료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센서(140), 상기 제2 음료통(114)과 연결되어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급기(15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본체(110) 내부에는 제1 음료통(112) 및 제2 음료통(114)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별도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음료통(112)은 내부에 음료를 담고 있으며, 본체(110) 내부에 구비된 냉 각장치(116)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음료통(114)은 제2 음료통(112)의 위에 배치되게 된다.
이때, 제2 음료통(114)을 위한 냉각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음료통(114)은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문자가 자리를 이동할 경우, 제2 음료통(114)에 음료가 남아있을 때 제2 음료통(114)을 본체(110)와 분리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곳의 테이블에 설치된 본체(110)에 넣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키입력부(120)에 의해 음료의 공급량이 입력되면 제1 음료통(114)에 있는 음료가 연결호스(130)를 통해 입력된 양만큼이 제2 음료통(116)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키입력부(120)로부터 음료의 공급량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공급량만큼의 음료만을 제1 음료통(112)에서 제2 음료통(114)으로 공급하되, 상기 유량센서(140)로부터 공급량을 감지하여 입력된 공급량에 도달하면 제2 음료통(114)으로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것은 음료제어부(미도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문자는 제2 음료통(114)과 연결된 공급기(150)를 통해 제2 음료통(114)에 있는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공급기(150)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문자는 음료를 원할 때마다 공급기(150)를 통하여 주문자의 컵에 원하는 양만큼 덜어내어 마실 수 있으므로, 늘 시원한 상태의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본체(110)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음료의 공급량 및 메뉴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카운터에 설치된 메인 시스템(미도시)과 주고받기 위한 송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카운터에 설치된 메인 시스템은,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100)가 설치된 테이블의 고유번호가 저장되어, 주문자가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100)를 통해 음료를 공급받거나 메뉴를 주문할 경우 메인 시스템에 각각 음료 공급량 및 주문 메뉴가 표시되며, 공급된 음료의 금액 및 주문자가 주문한 메뉴에 대한 금액이 합산되어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문자가 주문한 사항에 대해 금액을 지불하면, 메인 시스템에 저장된 각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초기화되어, 다른 고객이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100)를 사용할 때, 혼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100)는 유량센서(140)에 감지되는 음료량이 수치로 나타내어 표시되며, 상기 음료량에 해당하는 금액과 주문한 메뉴에 해당하는 금액을 합산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음료량 및 금액을 각각 합산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음료량 및 금액은 메인 시스템의 데이터가 초기화될 때, 함께 초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60)가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100)에 필 수적으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의 키입력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키입력부(120)는 음료공급량 선택부(121), 메뉴 입력부(122), 잔량 경고등(123), 호출버튼(124) 및 취소버튼(126)이 구비되어 있다.
음료공급량 선택부(121)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100)를 설치하는 사람이 임의로 선택하여 음료 공급량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500cc, 1000cc, 2000cc 및 3000cc로 선택버튼을 정한다면, 주문자가 1000cc 버튼을 선택한 후 입력버튼(125)을 누를 경우, 제1 음료통(112)으로부터 1000cc에 해당하는 음료가 제2 음료통(114)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입력버튼(125)을 누르기 전에 3000cc 버튼을 누른 후 입력버튼(125)을 누른다면 1000cc는 취소되고, 3000cc가 주문되게 된다.
이때, 입력버튼(125)을 누를 때, 카운터의 메인 시스템에도 주문량이 저장되며, 주문량에 해당하는 금액이 계산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음료통(112)과 제2 음료통(114)을 연결하는 연결호스(130)에 의해 음료가 제2 음료통(114)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음료통(114)으로 이동하는 음료의 양을 유량센서(140)가 감지하여, 3000cc의 음료가 제2 음료통(114)으로 이동하였을 때, 음료제어부에서 제1 음료통(112)으로부터 공급되는 음료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60)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부(160)에 주문 한 음료량이 표시되며, 상기 음료량에 해당하는 금액도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뉴 입력부(122)는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어, 주문자가 메뉴를 보고 각 메뉴에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한 후 호출버튼(124)을 누르면 카운터의 메인시스템에 메뉴 주문 사항이 전송되어, 주문한 메뉴를 준비하여 상기 메뉴를 주문한 테이블에 운반하게 된다.
이때, 메뉴 입력부(122)는 숫자 버튼 외에도 각 점포에서 지정하는 메뉴를 직접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숫자의 표시도 도면에 제시된 것처럼 0~8까지가 아니라 임의로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A 점포의 메뉴가 두부김치와 치킨, 두 종류가 있다면, 숫자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메뉴 입력부(122)의 버튼에 직접 메뉴를 표시하여, 별도의 메뉴판 없이 주문자가 메뉴를 누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메뉴가 많을 경우 메뉴를 직접 표시하면 메뉴 입력부(122)에 버튼이 많아지므로, 숫자 버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뉴판은 각 테이블마다 구비되거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주문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메뉴에는 고유번호를 표시하여, 주문자가 메뉴 입력부(122)의 숫자버튼을 사용하여 주문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뉴의 주문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160)에는 주문한 음료에 해당하는 금액 과 주문한 메뉴에 해당하는 금액이 합산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호출버튼(124)은 메뉴버튼을 누르지 않고, 호출버튼(124)만 누를 경우, 카운터에 해당 테이블 번호와 함께 호출 신호가 전송되어, 직원이 해당 테이블에 찾아갈 수 있게 된다.
잔량경고등(123)은 제1 음료통(112)에 남아있는 음료의 양을 토대로 일정 양 이하가 될 경우 불이 들어오게 된다.
잔량경고등(123)에 불이 들어오면 메인 시스템에도 해당 테이블에 잔량이 부족하다는 정보가 전송되어 제1 음료통(112)에 음료를 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음료통(112)에 음료를 채우는 방법은, 카운터에 있는 메인 음료통(미도시)과 각 테이블에 설치된 제1 음료통(112)과 연결되는 호스가 구비되어, 카운터에서 메인 음료통의 벨브를 열어 제1 음료통(112)에 음료를 공급할 수도 있고, 직원이 직접 테이블을 방문하여 제1 음료통(112)에 음료를 채울 수도 있다.
취소버튼(126)은 메뉴 입력부(122)를 통해 메뉴를 입력하고 호출버튼(124)을 눌러 주문을 완료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기 전에 취소버튼(126)을 누르면, 메뉴가 취소되게 된다.
이때, 일정시간은 키입력부(120)에 구비된 램프(127)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카운터에서 주문한 메뉴를 준비하기 전까지 불이 들어오게 되고, 이때 취소버튼(126)을 누르면 주문이 취소되게 된다.
또한, 램프(127)에 불이 꺼졌을 때는 취소버튼(126)을 눌러도 메뉴 취소가 되지 않으며, 이때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취소할 수 없음을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 및 메뉴 주문 장치의 설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100)는 제1 음료통(112)은 탁자 밑으로 위치하게 테이블(10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테이블 위에는 제2 음료통(114), 키입력부(120), 공급기(150) 및 디스플레이부(160)가 위치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의 제2 음료통의 분리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음료통(114)은 후면에 호스결합부(1142, 1144)가 구비되어 있어, 연결호스(130) 및 공급호스(152)가 결합되게 된다.
이때, 호스 결합부(1142, 1144)는 주변에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연결호스(130) 및 공급호스(152)가 끼워져 있을 때, 제2 음료통(114) 내부에 들어있는 음료가 밖으로 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스결합부(1142, 1144)는 뚜껑(114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1146)은 제2 음료통(114)의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음료통(114)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음료통(114)의 후면은 자석이 붙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호스결합부(1142, 1144)의 주변부에 자석을 구비하고, 뚜껑(1146)을 자석이 붙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즉, 호스결합부(1142, 1144)에 연결호스(130) 및 공급호스(152)를 끼우면 뚜껑(1146)이 열리면서 연결호스(130) 및 공급호스(152)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결합부(1142, 1144) 주변에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음료가 새지 않으면서 연결호스(130) 및 공급호스(152)가 호스결합부(1142, 1144)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음료통(114)을 본체(110)에서 분리시킬 때, 제2 음료통(114)을 손잡이(1148)를 사용하여 꺼낼 때, 연결호스(130) 및 공급호스(152)가 빠지면서 자동적으로 뚜껑(1146)이 닫히게 되면서, 제2 음료통(114)을 본체(110)에서 뺄 때 음료가 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장치(100)에 설치된 연결호스(130) 및 공급호스(152)는 동일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를 이동하여 제2 음료통(114)을 다른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장치(100)의 본체(110)에 결합시킬 때, 호스결합부(1142, 1144)와 연결호스(130) 및 공급호스(152)의 위치가 일치하여, 다른 본체(110)에 제2 음료통(114)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안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는, 주문자가 테이블에서 직접 원하는 공급량의 음료를 신속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음료를 마시는 동안 음료의 상태를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는, 메뉴를 주문자가 테이블에서 입력하면, 카운터에 주문이 들어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람에게 주문할 필요 없이 안주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는, 주문자가 주문한 음료 및 안주를 추가할 때마다 사람이 일일이 계산하지 않고, 주문자가 주문할 때마다 주문 사항에 대한 금액이 카운터에서 자동으로 계산되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음료가 담긴 제1 음료통 및 상기 제1 음료통에서 일정량의 음료를 공급받는 제2 음료통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음료의 공급량 및 메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
    상기 제1 음료통 및 제2 음료통을 연결하는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를 통과하는 음료의 공급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상기 제2 음료통과 연결되어 개폐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음료가 배출되는 공급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음료의 공급량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공급량만큼의 음료를 제1 음료통에서 제2 음료통으로 공급하되, 상기 유량센서로부터 공급량을 감지하여 입력된 공급량에 도달하면 제2 음료통으로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음료제어부;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음료의 공급량 및 메뉴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카운터에 설치된 메인 시스템과 주고받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는,
    상기 유량센서에 감지되는 음료량이 수치로 나타내어 표시되며, 상기 음료량 에 해당하는 금액과 주문한 메뉴에 해당하는 금액을 합산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음료량 및 금액을 각각 합산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카운터의 메인 시스템에 의해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제1 음료통 및 제2 음료통이 배치되는 곳이 별도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음료통은 상기 제1 음료통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냉각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음료통은 상기 냉각장치의 냉각기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료통은,
    상기 연결호스 및 공급부와 연결되는 곳에 뚜껑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본체 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음료 공급량 선택부;
    메뉴 입력부;
    상기 제1 음료통에 남은 음료의 잔량을 토대로 상기 제1 음료통에 남은 음료의 양이 소정의 양보다 적을 경우 불이 들어오는 잔량 경고등;
    카운터의 점원을 호출할 수 있는 호출버튼; 및
    일정시간 내에 누르면 주문이 취소되는 취소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KR2020060024062U 2006-09-07 2006-09-07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KR200432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062U KR200432885Y1 (ko) 2006-09-07 2006-09-07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062U KR200432885Y1 (ko) 2006-09-07 2006-09-07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976A Division KR100762351B1 (ko) 2006-09-07 2006-09-07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885Y1 true KR200432885Y1 (ko) 2006-12-07

Family

ID=4178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062U KR200432885Y1 (ko) 2006-09-07 2006-09-07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8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10Y1 (ko) 2007-07-30 2010-06-07 김솔 계수 기능을 가진 주류 공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10Y1 (ko) 2007-07-30 2010-06-07 김솔 계수 기능을 가진 주류 공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666B2 (en) Wine dispensing system
US20220270430A1 (en) Interactive vending machine
CN107531475B (zh) 饮料分配系统
US7750817B2 (en) System and method using a scale for monitoring the dispensing of a beverage
JP5734933B2 (ja) アルコール飲料製造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280775B2 (en) Mobile kiosk system
US10019864B2 (en) Merchandise dispensing system
US20160039653A1 (en) System for Mixing and Dispensing Beverages
GB2449002A (en)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electronic display means
US9751745B2 (en) Combination of dispenser and container for a plurality of containers, having a system for the correct placing
CN107316389B (zh) 一种基于数据挖掘商品库存和动态定价的自动售卖机
US9085450B2 (en) Water dispenser with bag in a box unit
EP3445704B1 (en) Beverage dispenser with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s and method for illuminating the active container
JP2017509556A (ja) 飲料注出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及び飲料注出方法
US7584119B2 (en) Restaurant system
KR200432885Y1 (ko)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KR100762351B1 (ko) 음료판매 및 메뉴주문 장치
US20080235100A1 (en) Restaurant system
KR101557634B1 (ko) 맥주 음용량의 정밀 측정 기능과 편리성 기능을 향상시킨 맥주 판매 시스템
WO2009011957A1 (en) Restaurant system
US202200639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everage dispenser
GB2435528A (en) Timer for chilling beverages
US20080235098A1 (en) Restaurant System
KR200316751Y1 (ko) 술 공급장치
KR20150054303A (ko) 음식점의 음료판매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