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338Y1 -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338Y1
KR200432338Y1 KR2020060012567U KR20060012567U KR200432338Y1 KR 200432338 Y1 KR200432338 Y1 KR 200432338Y1 KR 2020060012567 U KR2020060012567 U KR 2020060012567U KR 20060012567 U KR20060012567 U KR 20060012567U KR 200432338 Y1 KR200432338 Y1 KR 200432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dal
moon
rotor wheel
housing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원 filed Critical 박재원
Priority to KR2020060012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제 3 하우징(10)의 내측에 제 1.2 하우징의 내측 선단부와 종단부가 각각 주축 베어링(36a)(36b)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형의 수직 주축(35)과: 상기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의 원주주변둘레에서부터 지지대(33)로 확대 설치된 반달형 회전차판(32) 외측에 반달형 다중 날개(32)를 유로 단면으로 형성되는 회전차(30)를 다단계로 설치 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나선형, 풍력 에너지, 기계적 에너지, 역학적 에너지ㅡ운동 에너지, 풍차, 아우징, 회전차, 수직축형, 다단계 구조,

Description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The wind power generator multiple}
도 1은 본 고인에 따른 반달형 회전차 다단계 정면의 종단면도 모형도이고,
도 2는 도1의 회전차 1단계를 분리 확대한 정면의 모형도이고,
도 3은 도 1의 회전차 1단계를 분리 확대한 상단부의 모형도이고,
도 4는 도 3의 회전차 반달형 날개 크기를 차등 확대 나타낸 모형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중간부를 확대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회전차부분만 발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
10: 하우징 11,12 발전기
14: 수동 조절기 15; 원주 베어링
30: 반닿형 회전차 31: 반달형 회전차판
32: 반달형 다중 날개 33: 지지대
35: 수직 주축 35a, 35b: 축단
36a, 36b: 주축 베어링
본 고안은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공기 유동이 가진 역학적 에너지 특성 이용을 위해 수직축의 원주주변둘레에 지지대로 확대된 원주부분에 반달형 회전차를 통하여 연속된 풍력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총파워가 고효율 유지하는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수평축형 풍차들은 풍력의 출력을 크게 하는데, 회전차 날개를 크게 해야 하기 때문에 예상 풍속으로 풍차를 설계한다는 것은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프로펠러 풍차에서는 날개의 피치를 변화시켜서 여분의 풍력 에너지인 바람을 그냥 통과 시키도록 하여, 비경제적이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풍차들은 높은 탑 설치에 여분의 풍력 에너지바람을 일부 그냥 통과 시키거나, 하나의 탑에 하나의 풍차를 설치 큰 장치 비용과는 달리 작은 에너지를 얻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유동이 가진 역학적 에너지 특성 이용을 위해 수직축의 원주주변둘레에 반달형 다중 회전차를 통하여 연속된 풍력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 총파워가 고효율 유지하는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제 1 발전기(11)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10')과:
제 2 발전기(12)를 수용하는 제 2 하우징(10")과:
제 1,2 하우징(10')(10")을 수용하는 제 3 하우징(10)과:
제 3 하우징(10)의 내측 선단부와 종단부가 각각 주축 베어링(36a)(36b)에 지지되어 작동하는 원통형의 수직 주축(35)과:
제 1,2 발전기(11)(12)를 가동하기 위한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에서 부터 지지대(33)로 확대 멀어진 끝부분에 케이싱으로 단장 설치된 반달형 회전차판(31) 외측에 반달형 다중 날개(32)를 유로 단면으로 형성하는 반달형 회전차(30)와:
상기 반달형 회전차판(31) 내측 상하부 원주주변둘레와 제 1.2 하우징(10')(10")사에 원주 베어링(15)과:
상기 반달형 회전차판(31) 내측 상하부와, 제 1.2 하우징(10')(10")의 사이에 수동 감속기(14)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반달형 회전차(30)의 유로 단면으로 원통형의 수직 주축(35) 중심에서부터 지지대(33)로 확대 멀어진 끝부분에 케이싱으로 단장 설치된 반달형 회전차판(31) 외측 원주주변둘례 반달형 다중 날개(32)가 3단계 차등 높이로 형성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반달형 회전차판(31) 내측 상하부 원주주변둘레와, 제 1.2 하우징(10')(10") 사이에 수동 감속기(14)를 설치 조절 태풍에서도 안전하게 운전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반달형 회전차(30)는 주축 베어링(36a,36b)과, 원주 베어링(15)에 의해 원심력과 구심력이 상호작용을 하는 수직축형 구조로 한다.
이하 첩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3),(4)에서, 본 고안은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제 1 하우징(10')은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의 내측 선단부에 위치한 제 1 발전기(11)를 수용한다, 제 2 하우징(10")은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의 내측 종단부에 위치한 제 2 발전기(12)를 수용한다, 제 3 하우징(10)은 제 1,2 하우징(10')(10")을 수용한다. 제 3 하우징(10)은 제 1.2 발전기(11)(12)를 가동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을 수용하며,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은 공기 유동이 가진 역학적 에너지의 특성 이용을 위하여 제 1,2 발전기(11)(12)를 가동하는 다단계 풍력발전장치이다,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은 제 1,2 하우징(10')(10")의 내측 선단부와 종단부가 각각 주축 베어링(36a)(36b)에 의해 지지되고, 반달형 회전차(30)는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에서부터 지지대(33)로 확대 멀어진 끝부분에 케이싱으로 단장 설치된 반달형 회전차판(31) 외측 원주주변둘레 반달형 다중 날개(32) 유로로 단면으로 형성한다. 반달형 회전차(30)의 상하측 축단(35a)(35b)에 제 1.2 발전기(11)(12)와 원통형의 수직 주축(30)과 결합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기 유동이 가진 역학적 에너지의 특성을 활용하는 수직축형 반달형 다중 날개(32) 유로 단면으로 형성되는 반달형 회전차(30)로 하는 풍차구조이다.
반달형 회전차(30)의 지지를 위하여 반달형 회전차(30)의 중심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의 축단(35a)(35b)에 제 1,2 발전기(11)(12)와 결합되는 축단부분도 베어링(36a)(36b)으로 지지한다. 반달형 회전차판(31) 내측 상하부 원주주변둘레와, 제 1.2 하우징(10')(10") 사이에 설치된 원주 베어링(15)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 1,2,3 하우징은 일체로 결합되어 반달형 회전차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상기 베어링에 각각 지지된다
미 설명부호 13은 제 1,2 발전기(11)(12)에 증속기어를 나타내며, 미 설명 부호 32'은 회전차(30)의 첫째 높은 반달형 날개를 나타내며, 설명 부호 32"은 회전차(30)의 둘째 높은 반달형 날개를 나타내며, 설명 부호 32"'은 회전차(30)의 섯번째 높은 반달형 날개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반달형 회전차(30)의 유로 단면은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의 중심에서 지지대(33)로 확대 멀어진 끝부분에 케이싱으로 단장 설치된 반달형 회전차판(31) 외측 부분에 반달형 다중 날개(32)가 3단계로 차등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시된 것 처럼 반달형 날개(32)가 3단계 차등 높이로 형성된 것은 발달형 날개 (32")(32"')에서 수용 하지 못한 여분의 에너지를 반달형 날개(32')에서 향력형으로 수용하고,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해오는 반달형 날개(32'")(32")의 뒤면 및 옆면에서 수용 못한 여분의 에너지를 날개(32')에서 최종 마찰 또는 밀어주는 식으로 변화를 주어 반달형 회전차판(31)의 설치에서 반달형 회전차판(31) 중심부분에 에너지가 크게 합쳐진 하나의 켜다란 힘으로 조합되어 작용하는 효과를 증대하기 위함이다.
도 (5),(6)에서 본 고안의 제 1,2,3, 하우징(10')(10")(10)은 대체적으로 기둥 2개 이상와 지지대(받침대)로 골격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되어. 반달형 회전차(30)의 중심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의 축단(35a)(35b)에 제 1,2 발전기(11)(12)와, 결합되는 축단부분의 베어링(36a)(36b)과, 반달형 회전차판(31) 내측 상하부 원주주변둘레와, 제 1.2 하우징(10')(10") 사이에 원주 베어링(15)이 제 1,2,3 하우징(10')(10")(10)에 일체로 결합되어 반달형 회전차(30)가 원활하게 작동 되는 기둥이다.
이때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이 제 1,2 하우징(10')(10")의 내측 선단부와 종단부가 각각 주축 베어링·(36a)(36b)에 의해 지지되어 작동되는 외부지향적 원심성 운동과. 반달형 회전차판(31) 내측 상하부 원주주변둘레와, 제 1.2 하우징(10')(10") 사이에 원주 베어링(15)에 의하여 내부지향적 구심성 운동, 즉, 구심력과, 원심력이 상호작용 대형 풍차에서도 조용하게 능동적으로 작동된다
이때 공기 유동이 가진 역학적 특성을 이용에서 회전차의 단면적이 가진 정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볼 때 반달형 회전차(30)의 1/2 정도의 날개부분에서 풍력 에너지인 바람을 받은 항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반달형 회전차(30)의 1/2 정도 부분에서는 반달형 회전차(30)가 회전해 오는 날개의 뒤면 또는 옆면의 경사면을 풍력 에너지인 바람의 마찰에 의한 향력으로 밀어주어 작용하는 반작용으로 하나의 힘으로 합쳐져 작용 한다.
본 고안은 태풍때 안전적 가동을 위하여 강력한 힘의 제동력 작용이 큰 반달형 회전차판(31)의 내측 상하부분의 원주주변둘레와, 제 1.2 하우징(10')(10")사이에 수동 감속기(14)를 설치 조절 태풍에서도 안전하게 운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중심축을 향한 내부지향적 구심성운동, 즉, 원주날개 끝에 최대 에너지가 원주반경이 켜진 비례 만큼 제곱비례 극대화 발생하는 구조로서 연속된 풍력 에너지가 다단계에서 작용하는 총파워로 연속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이 제 1,2 하우징(10')(10")의 내측 선단부와 종단부가 각각 주축 베어링·(36a)(36b)에 의해 지지되어 작동되는 외부지향적 원심성 운동과. 케이싱으로 단장된 반달형 회전차판(31)의 내측 상하부 원주주변둘레에 설치된 원주 베어링의 몸체(15a)와, 제 1.2 하우징(10')(10")에 회전링(15b)으로 하는 원주 베어링(15)의 내부지향적 구심성 운동, 즉, 구심력과, 원심력이 상호작용 대형 풍차에서도 조용하게 능동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반달형 회전차(30)의 유로 단면은 원통형의 수직 주축(35)의 중심에서 지지대(33)로 원주반경이 확대 멀어진 부분에 케이싱으로 단장된 반달형 회전차판(31)의 외측 부분에 반달형 다중 날개(32)가 3단계로 차등 크기에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시된 것 처럼 반달형 날개(32)가 3단계 차등 높이 크기로 달리 하는 것은 제일 작은 발달형 날개(32'")에서 수용 하지 못한 여분의 에너지를 반달형 날개(32")에서 수용하고, 또한 반달형 날개(32")에서 수용 못한 여분의 에너지를 반달형 날개(32')에서 최종 수용하는 변화와, 케이싱으로 단장된 반달형 회전차판(31)의 설치에서 반달형 회전차판(31)의 중심부분에 에너지가 크게 합쳐진 하나의 켜다란 힘으로 조합되어 작용하는 효과를 증대하기 위함이다.
이때 공기 유동이 가진 역학적 특성을 이용에서 회전차의 단면적이 가진 정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볼 때 반달형 회전차(30)의 1/2 정도의 날개 부분에서 풍력 에너지인 바람을 받은 항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반달형 회전차(30)의 1/2 정도 부분에서는 반달형 회전차(30)가 회전해 오는 날개의 뒤면 또는 옆면의 경사면을 풍력 에너지인 바람의 마찰에 의한 향력으로 밀어주어 작용하는 반작용으로 하나의 힘으로 합쳐져 작용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은 공기 유동이 가진 역학적 특성을 이용 반달형 회전차로 하는 풍차가 단면적이 가진 최대에너지를 창출은 원주에서 수직 중심축을 향한 내부지향적 구심성운동, 원주날개 끝에 최대 에너지가 즉, 원주반경이 켜진 비례 만큼 제곱비례 다단계에서 연속된 총파워가 고효율로 생성된다.
본 고안 실시예에서 각 단계가 동일 하므로서, 편의상 1단계 부호로 예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본 기술분야 당업자는 1단계에서부터 수 많은 다단계의 회전차로 하는 풍차도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제 1 발전기(11)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10')과:
    제 2 발전기(12)를 수용하는 제 2 하우징10")과:
    제 1,2 하우징(10')(10")을 수용하는 제 3 하우징(10)과:
    제 3 하우징(10)의 내측 선단부와 종단부가 각각 주축 베어링(36a)(36b)에 지지되어 작동되는 원통형의 수직 주축(35)과:
    제 1,2 발전기(11)(12)를 가동하기 위한 원통형의 수직 주축(35) 서부터 지지대(33)로 확대 멀어진 끝부분에 케이싱으로 단장 설치된 반달형 회전차판(31) 외측에 반달형의 다중 날개(32)가 3단계로 차등 높이로 하는 유로 단면을 형성하는 반달형 회전차(30)와:
    회전차판(31)내측 상하부 원주주변둘레와, 제 1.2 하우징(10')(10") 사이에 원주 베어링(15)과:
    반달형 회전차판(31)내측 상하부와, 제 1.2 하우징(10')(10")의 사이에 수동 감속기(14) 설치를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반달형 회전차(30)의 유로 단면으로 원통형의 수직 주축(35) 중심에서부터 지지대(33)로 확대 멀어진 끝부분에 케이싱으로 단장 설치된 반달형 회전차판(31) 외측에 반달형 다중 날개(32)가 3단계 차등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반달형 회전차(30)는 주축 베어링(36a,36b)과, 원주 베어링(15)에 의해 원심력과 구심력이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반달형 회전차판(31)내측 상하부 원주주둘레와, 제 1.2 하우징(10')(10") 사이에 수동 감속기(14)를 설치 조절 태풍때 안전하게 운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KR2020060012567U 2006-05-06 2006-05-06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KR200432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567U KR200432338Y1 (ko) 2006-05-06 2006-05-06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567U KR200432338Y1 (ko) 2006-05-06 2006-05-06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328A Division KR20070099377A (ko) 2006-04-03 2006-04-03 다단계 풍력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338Y1 true KR200432338Y1 (ko) 2006-12-04

Family

ID=4178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567U KR200432338Y1 (ko) 2006-05-06 2006-05-06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3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859B1 (ko) 2006-11-29 2008-03-20 한국해양연구원 조립식 헬리컬 터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859B1 (ko) 2006-11-29 2008-03-20 한국해양연구원 조립식 헬리컬 터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990B1 (ko) 제트 휠 방식의 수직축 터빈을 채용한 풍력발전시스템
CN102052255B (zh) 冲击式风力发电装置
US7218011B2 (en) Diffuser-augmented wind turbine
KR101112479B1 (ko) 다단다중날개풍력시스템
US20110309625A1 (en) Direct drive distributed generator integrated with stayed rotor
KR101849052B1 (ko) 방향키 풍력을 이용한 환풍기와 무동력 선풍기 발전 시스템
WO2006123951A1 (en) A wind turbine
JP2013534592A (ja) 垂直軸風車
KR20110010241A (ko) 편심축을 가진 멀티 사이클로이드 곡선 시스템을 구현하는 풍력발전장치
WO2006126001A1 (en) Energy conversion turbine unit
WO2006065248A2 (en) Diffuser-augmented wind turbine
EP2923077B1 (en) Wind turbine rotor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GB2275970A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s
WO2003098034A1 (en) Wind turbine rotor construction
WO2012007934A1 (en) Dual vertical wind turbine
KR200432338Y1 (ko)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US8148841B1 (en) Modular wind turbine system
KR200435521Y1 (ko) 다중 나선형 구조의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KR200432337Y1 (ko) 풍력 발전기
KR101597466B1 (ko) 슈퍼기어를 이용한 풍력 및 수력 복합형 발전장치
KR100755739B1 (ko) 다중 나선형 구조의 다단계 풍력 발전장치
KR200435710Y1 (ko) 다중 나선형 풍력 발전장치,
RU104252U1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EP3396153A1 (en) A combination of a wind jet turbine and a wind turbine
KR20070099377A (ko) 다단계 풍력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