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858Y1 -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858Y1
KR200431858Y1 KR2020060018142U KR20060018142U KR200431858Y1 KR 200431858 Y1 KR200431858 Y1 KR 200431858Y1 KR 2020060018142 U KR2020060018142 U KR 2020060018142U KR 20060018142 U KR20060018142 U KR 20060018142U KR 200431858 Y1 KR200431858 Y1 KR 200431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bumper
inner frame
bus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원
김대원
Original Assignee
김대원
안기원
(주)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원, 안기원, (주)동성 filed Critical 김대원
Priority to KR2020060018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단이 만곡지게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개방부가 형성된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전방측에 구비된 프런트범퍼로 이루어진 프런트범퍼부재; 및 상기 내부프레임과 아우터리그 프레임 사이에 대응되게 고정되어 스페어 타이어가 보관되는 스페어 타이어 보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중량물인 스페어 타이어를 간편하게 보관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적은 힘으로써 인출시켜 유사시 사용자가 교체작업을 단시간에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버스, 스페어타이어, 보관

Description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Spare tire storage arrangement spare tire for bus}
도 1은 종래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의 단면도.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의 잠금유지부재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내부프레임 30 : 프런트범퍼
32,33 : 좌우측범퍼 35 : 중앙범퍼
37 : 힌지부재 40 : 아우터리드 프레임
60 : 스페어 타이어 보관부재 62,63 : 제1,2수평연결대
65 : 긴 회전롤러 70 : 스페어 타이어
72 : 타이어픽스트랩 74 : 걸림홈
76 : 고정브라켓 80 : 타이어인출부재
82 : 장 인출롤러 83,84 : 고정구
86 : 와이어 90 : 잠금유지부재
92 : 래치 94 : 잠금편
94a : 잠금홈 94b : 이동공
95 : 상하이동편 95a : 걸림홈동편
97 : 스트라이커 98 : 압축스프링
본 고안은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물인 스페어 타이어에 대한 보관 및 교체가 적은 힘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타이어의 손상을 대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어 타이어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는 승용차의 경우에는 차체의 후방 트렁크룸 내부에 보관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화물차의 경우에는 역시 차체의 후방으로 하부에 캐리어장치를 매개로 매달리도록 보관하고 있다.
한편, 버스의 경우에는 스페어 타이어(100)가 전방 차체의 하부에서 캐리어조립체(200)를 매개로 하여 매달리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캐리어조립체(200)는 전방 차체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110)의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부재상(120)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캐리어조립체(200)는 크랭크핸들(210)에 의해 작동되어 아래로 길게 늘어뜨려 체인(220)을 감아 내부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이 체인(220)의 하단은 스페어타이(100)어의 휠(101)의 내부에 끼워진 지지부재(140)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페어 타이어(100)의 휠(101)의 내부에 지지부재(140)를 끼워 고정하고서, 이 지지부재(140)에 체인(220)의 하단을 연결한 상태에서 크랭크핸들(210)을 캐리어조립체(200)에 끼워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체인(220)이 캐리어조립체(200)의 내부로 감겨 올라가게 되므로, 상기 스페어 타이어(100)는 좌우측 사이드프레임(110) 사이로 고정된 프레임부재(111)의 하측면에 인접되게 상승하여 장착되어진다.
또한, 타이어의 교체시 상기 캐리어조립체(200)로부터 스페어 타이어(100)를 탈거시킬 때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크랭크핸들(210)을 돌려 체인(220)은 하방향으로 길게 늘어 뜨린 다음 스페어 타이어(100)의 휠(101)내에 고정된 지지부재(140)로부터 체인(220)을 이탈시키고서 스페어 타이어(100)를 빼내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에 있어서는 전방 차체의 사이드프레임 상에 고정된 프레임부재에 스페어 타이어의 휠 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에 연결된 체인을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캐리어조립체를 장착시켜야 하고, 또한 이 캐리어조립체를 작동시키는 크랭크핸들을 차체의 별도 부위에 구비해야만 한다.
따라서,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에 소요되는 부품의 종류가 다수개이면서 이의 설치를 위한 작업공정도 과다한 실정이고, 이의 제작을 위한 비용도 높으며, 캐리어조립체의 작동에 있어서도 매번 랭크핸들을 캐리어조립체에 끼운 다음, 반복적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중량물인 스페어 타이어를 간편하게 보관 및 인출시킬 수 있어 유사시 사용자가 교체작업을 단시간에 진행할 수 있는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양단이 만곡지게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개방부가 형성된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전방측에 구비된 프런트범퍼로 이루어진 프런트범퍼부재; 및 상기 내부프레임과 아우터리그 프레임 사이에 대응되게 고정되어 스페어 타이어가 보관되는 스페어 타이어 보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되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는 프런트범퍼부재(10)와; 프런트범퍼부재(10) 내측 중앙 영역에 후방으로 평행하게 구비된 사이드레일 프레임(40)과; 사이드레일 프레임(40) 하부에 구비되어 스페어 타이어가 보관되어지는 스페어 타이어 보관부재(60)로 이루어져 버스의 전방 영역에 보관되어진다.
상기 프런트범퍼부재(10)는 내부에 양단이 만곡지게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개방부(21)가 형성된 내부프레임(20)과; 내부프레임(20)의 전방측에 구비된 프런트 범퍼(30)로 이루어진다.
이때, 프런트범퍼(30)는 내부프레임(20)의 양단에 고정되는 좌,우측범퍼(32)(33)와; 좌,우측범퍼(32)(33) 사이의 내부프레임(20) 하부에 힌지부재(37)로써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중앙범퍼(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레일 프레임(40)은 내부프레임(20)의 개방부(21) 상부 중앙 영역에 고정된 수직고정대(42) 내측에 일단이 고정된 한쌍의 세로바(44)와; 세로바(44) 사이에 고정되어 강도를 보강하게 되는 보강바(46)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강바(46) 사이의 세로바(44)에는 아우터리그 프레임(50)이 가로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스페어 타이어 보관부재(60)는 내부프레임(20)과 아우터리그 프레임(40) 사이에 대응되게 고정된 제1,2수평연결대(62)(63)와; 제1,2수평연결대(62)(63) 하부 사이에 등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스페어 타이어(70)가 안착 보관되는 다수의 긴 회전롤러(6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페어 타이어(70)의 외주연에는 타이어픽스트랩(72)이 고정되고, 이 타이어픽스트랩(72) 외주연에는 걸림홈(74)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걸림홈(74)은 아우터리드 프레임(40) 내측에 고정된 고정브라켓(76)에 걸려져 스페어 타이어(70)에 대한 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프런트범퍼부재(10)의 내부프레임(20)과 중앙범퍼(35) 사이에는 스페어 타이어 보관실(60)에 보관되는 스페어 타이어(70)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타이어인출부재(80)가 구비된다.
상기 타이어인출부재(80)는 중앙범퍼(35) 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다수의 장 인출롤러(82)와; 중앙범퍼(35) 내부 양측과 내부프레임(20) 상부에 대응되게 구비된 고정구(83)(84)와; 고정구(83)(84) 사이에 연결되어 중앙범퍼(35)의 개방시 중앙범퍼(35)가 완전히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86)로 이루어진다.
이때, 와어어(86)는 중앙범퍼(35)의 닫힘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 및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중앙범퍼(35) 내부 양측과 내부프레임(20)의 개방부(21) 양측에 구비되어 중앙범퍼(35)의 잠금을 유지하기 위한 잠금유지부재(90)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유지부재(90)는 중앙범퍼(35)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래치(92)와; 래치(9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프레임(20)의 개방부(21) 양측에 구비된 스트라이커(97)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92)는 중앙범퍼(35)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잠금홈(94a)과 이동공(94b)이 각각 형성된 잠금편(94)과; 잠금편(94)의 이동공(94b)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로 출몰되고, 잠금홈(94a)과 일치되는 걸림홈(95a)이 각각 형성된 상하이동편(9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라이커(98)는 내부프레임(20)의 개방부(21) 양측에 구비되어 걸림홈(95a)과 잠금홈(94a)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어 잠금이 유지되어 중앙범퍼(35)의 잠금이 유지되고, 분리시 해제된다.
이때, 상하이동편(95)은 잠금편(94)의 잠금홈(94a) 영역에 장공(95b)이 각각 형성되고, 이 장공(95a)과 장금편(94)을 통하여 회동핀(96)이 삽입되고, 이 회동 핀(96)을 중심으로 장공(95a)이 회동되어 상하이동편(95)이 회동된다.
한편, 상하이동편(95)의 상부와 잠금편(94)의 이동공(94b) 위치에 압축스프링(98)을 연결하여 상하이동편(95)의 상하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4a,4b에서와 같이 펑크 등으로 타이어에 대한 손상이 발생 되면,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에 보관중인 스페어 타이어를 인출시켜 타이어를 교체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프런트범퍼(30)를 구성하는 중앙범퍼(35)를 외측방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중앙범퍼(35) 내부 양측의 래치(92)를 구성하는 잠금편(4)의 잠금홈(94a)이 내부프레임(20)의 개방부(21) 양측에 구비된 스트라이커(92)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하이동편(95)가 상방으로 당기게 되면서 상하이동편(95)의 장공(95a)가 잠금편(94)의 회동핀(96)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하이동편(95)이 잠금편(94)의 이동공(94a)을 따라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하이동편(95)의 걸림홈(95a)이 스트라이커(98)의 외경으로부터 이탈되어 중앙범퍼(35)가 힌지부재(37)를 중심으로 개방된다.
이때, 상하이동편(95)의 상부와 잠금편(94)의 이공공(94b) 위치에 연결된 압축스프링(98)의 탄성력으로써 상하이동편(56)이 원래상태로 복귀된다. 즉, 압축스프링(98)의 복원력으로서 상하이동편(95)의 걸림홈(95a)이 잠금편(94)의 잠금홈(94a)의 전방으로 측으로 이동되어 상호 어긋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이어인출부재(80)를 구성하는 고정구(83)(84) 사이에 연결된 와 이어(86)가 팽팽해지면서 중앙범퍼(35)가 완전히 지면에 닿지 않고 매달려 있는 상태가 유지되면서 내부프레임(20) 중앙 영역의 개방부(21)가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페어 타이어(70)의 외주연에 고정된 타이어픽스트랩(72)의 걸림홈(74)을 아우터리드 프레임(40) 내측의 고정브라켓(76)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스페어 타이어 보관실(60)의 제1,2수평연결대(62)(6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긴 회전롤러(65) 상부의 스페어 타이어(7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스페어 타이어(70)가 긴 회전롤러(65)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내부프레임(20)의 개방부(21)를 통과하여 타이어인출부재(80)를 구성하는 중앙범퍼(35) 내부 양측의 장 인출롤러(82) 상부로 인출되어진다.
그 다음으로 스페어 타이어(70)를 장 인출롤러(82)로부터 이탈시킨 후, 스페어 타이어(70)를 교체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의 교체작업이 완료되면, 손상이 발생된 타이어나 다른 스페어타이어를 상기한 바와 같은 반대로 스페어 타이어(70)를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즉, 타이어인출부재(80)를 구성하는 중앙범퍼(35)의 장 인출롤러(82) 상부에 스페어 타이어(70)를 올려놓은 다음, 스페어 타이어(70)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스페어 타이어(70)가 장 인출롤러(82)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내부프레임(20)의 개방부(21)를 통과하여 스페어 타이어 보관부재(60)의 제1,2수평연결대(62)(6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긴 회전롤러(65) 상부로 이동되어 안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페어 타이어(70)의 외주연에 고정된 타이어픽스트랩(72) 의 걸림홈(74)을 아우터리드 프레임(40) 내측의 고정브라켓(76)에 결합시킨 다음, 중앙범퍼(35)를 내측방으로 당기면 좌,우측범퍼(32)(33) 사이의 중앙범퍼(35)가 힌지부재(37)를 중심으로 내측방으로 회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하이동편(95)의 걸림홈(95a)이 스트라이커(97)의 외경에 탄력적으로 걸려지게 되면서 록킹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중앙범퍼(35)의 닫힘이 유지된다. 이때, 고정구(83)(84)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86)가 느슨해진 상태가 되나, 동작에는 간섭을 주지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중량물인 스페어 타이어를 간편하게 보관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적은힘으로써 인출시켜 유사시 사용자가 교체작업을 단시간에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양단이 만곡지게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개방부(21)가 형성된 내부프레임(20)과; 상기 내부프레임(20)의 전방측에 구비된 프런트범퍼(30)로 이루어진 프런트범퍼부재(10); 및
    상기 내부프레임(20)과 아우터리그 프레임(40) 사이에 대응되게 고정되어 스페어 타이어(70)가 보관되는 스페어 타이어 보관부재(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범퍼(30)는
    상기 내부프레임(20)의 양단에 고정되는 좌,우측범퍼(32)(33);
    상기 좌,우측범퍼(32)(33) 사이의 상기 내부프레임(20) 하부에 힌지부재(37)로써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중앙범퍼(35); 및
    상기 내부프레임(20)과 상기 중앙범퍼(35) 사이에 구비되어 보관중인 스페어 타이어(70)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타이어인출부재(8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타이어(70)의 외주연에는 걸림홈(74)이 형성된 타이어픽스트랩(72)이 고정되고,
    상기 아우터리드 프레임(40) 내측에는 상기 걸림홈(74)이 걸려지는 고정브라켓(76)이 구비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70)에 대한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인출부재(80)는
    상기 중앙범퍼(35) 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다수의 장 인출롤러(82);
    상기 중앙범퍼(35) 내부 양측과 내부프레임(20) 상부에 대응되게 구비된 고정구(83)(84); 및
    상기 고정구(83)(84) 사이에 연결되어 중앙범퍼(35)가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8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범퍼(35) 내부 양측과 상기 내부프레임(20)의 개방부(21) 양측에 잠금유지부재(90)를 구비하되,
    상기 잠금유지부재(90)는,
    상기 중앙범퍼(35)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잠금홈(94a)과 이동공(94b)이 각각 형성된 잠금편(94)과; 상기 잠금편(94)의 이동공(94b)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로 출몰되고, 잠금홈(94a)과 일치되는 걸림홈(95a)이 각각 형성된 상하이동편(95)으로 이루어진 래치(92);
    상기 내부프레임(20)의 개방부(21)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홈(95a)과 잠금홈(94a)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어 잠금이 유지되어 중앙범퍼(35)의 잠금이 유지되는 스트라이커(97); 및
    상기 상하이동편(95)의 상부와 상기 잠금편(94)의 이동공(94b) 위치에 연결되어 상하이동편(95)의 상하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압축스프링(98);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KR2020060018142U 2006-07-04 2006-07-04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KR200431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42U KR200431858Y1 (ko) 2006-07-04 2006-07-04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42U KR200431858Y1 (ko) 2006-07-04 2006-07-04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858Y1 true KR200431858Y1 (ko) 2006-11-27

Family

ID=4178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142U KR200431858Y1 (ko) 2006-07-04 2006-07-04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8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28455C2 (ru) * 2013-01-14 2014-09-20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Дорофеев Механизм поднятия и опускания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междугородного автобуса
RU2528459C2 (ru) * 2013-01-14 2014-09-20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Дорофеев Механизм поднятия и опускания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междугородного автобус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28455C2 (ru) * 2013-01-14 2014-09-20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Дорофеев Механизм поднятия и опускания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междугородного автобуса
RU2528459C2 (ru) * 2013-01-14 2014-09-20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Дорофеев Механизм поднятия и опускания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междугородного автобус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1858Y1 (ko) 버스용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KR200412701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1558481B1 (ko) 차량의 슬라이드형 스페어 타이어 보관장치
KR200411893Y1 (ko) 자전거 자물쇠
KR102508297B1 (ko) 글로브 박스의 전면 패널 조립구조
JP5619589B2 (ja) 着脱自在かつ収納自在なクロスバーを備える車用荷台
TW469231B (en) Body cover device for cars
CN109987030B (zh) 一种隐藏式电动汽车储物盒装置
KR20100138419A (ko) 자전거 잠금 장치
CN105365748A (zh) 一种固定于车厢顶部的锁链式的车头锁
CN105365750A (zh) 一种固定于驾驶座的锁链式的车头锁
KR101673691B1 (ko) 접이식 카고스크린의 레버 록킹장치
KR100448130B1 (ko) 차량용 트렁크 매트 개폐장치
JP3134981U (ja) 荷台シート装置
KR100223451B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CN110593619A (zh) 一种共享单车搬运载具
CN105365769A (zh) 一种固定于仪表盘上侧挡板的伸缩式的方向盘锁
CN105365754A (zh) 一种固定于驾驶座的锁链式的方向盘锁
CN105365766A (zh) 一种固定于仪表盘上侧挡板的锁链式的方向盘锁
CN105365760A (zh) 一种固定于仪表盘下方的伸缩式的方向盘锁
CN105365764A (zh) 一种固定于遮阳板的锁链式的方向盘锁
CN105365768A (zh) 一种固定于仪表盘下方的锁链式的方向盘锁
CN105383439A (zh) 一种固定于车厢底部的伸缩式的方向盘锁
CN105365756A (zh) 一种固定于车厢顶部的锁链式的方向盘锁
CN105365755A (zh) 一种固定于驾驶座的复合式的方向盘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